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7(5); 2023 > Article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K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된 2020년과 2021년에 K 대학교의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에 비해 2021년 온라인 교양수업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인식이 개선되었으나, 교수자의 충실한 피드백과 흥미로운 수업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둘째, 향후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수강 의향은 증가했지만, 교양실습 과목의 경우 수강 의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인문계 및 이공계에 비해 예체능계 온라인 교양수업의 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학습자들의 온라인 수업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와 장애학생 지원 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학습자는 녹화된 강의 형태를 가장 선호하며, 향후 실시간 화상 강의에서 녹화 기능과 추가 영상 제공 등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2020년과 동일하게 2021년에도 과제 부담과 실습수업의 어려움, 교수와의 소통 문제 등이 온라인 교양수업의 단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오프라인 실습 활동 병행 및 플립러닝 등의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2020년에 이어 2021년도에도 학습자들은 교수의 강의 전달력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의 관심 및 적극성이 온라인 교양수업 질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양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 of learners regarding online general education at K Univers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nd 2021. The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learners’ perceptions and level of satisfaction. The summariz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2020, the level of overall satisfaction among students with online general education classes increased in 2021, and learners’ perceptions improved. However, their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feedback and interesting class structures remained low. Second, there was an increased intention on the part of students to enroll in online general education courses, but the intention was lower for liberal arts practicum courses. Student satisfaction with online general courses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was lower compared to humanities and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rring, Mathematics) fields. Third, learners reported an improvement in their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addressing the digital information gap and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quire consideration. Fourth, learners preferred pre-recorded lectures, and meeting their demands through features like recording functions and additional videos in real-time video lectures was necessary. Fifth, similar to 2020, learners identified assignment burdens, difficulties in practical courses, and communication issues with instructors as disadvantages of online liberal arts education. Sixth, in both 2020 and 2021, learners recognized that instructors’ delivery skills and their interest and enthusiasm in online classes were the most crucial factors in enhancing the quality of online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onlin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propo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1. 서론

2020년 초부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확산하여 유례없는 사회적 변화와 격동의 시기를 거쳤다. 대면으로 이루어지던 사회적 활동이 잠정적으로 중단되었고, 대학 교육 역시 이에 큰 영향을 받았다. 대면 수업의 중단과 학생들의 안전을 고려한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많은 교육 기관들이 긴급하게 대안적인 교육방식을 도입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교육은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 부상했다. 온라인 교육은 물리적인 공간을 벗어나 서로 다른 장소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비대면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촉진과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 여부가 교육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우채영, 김향숙, 2023).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 3월부터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고, 2022년 2월까지 일반대학에서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수업이 핵심 교육방식으로 채택되었다. 2023년 3월부터는 거리두기 완화 및 일상으로의 복귀를 위한 정책이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코로나 이전과 같이 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대학 교육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온라인 수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대면 수업으로 전면 전환이 상당 부분 진행되었으나, 코로나 시기 동안 교수자 및 학습자 모두 온라인 수업에 대한 친숙성이 높아졌고, 온라인 수업의 편의성과 장점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한국은 스마트기기 보급률과 정보통신 능력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단기간에 온라인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코로나 이후의 대학 교육은 이전과 같이 전면 대면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기보다는,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이 공존하는 하이브리드형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혁신적인 교육과정 개편 및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
온라인 수업의 급격한 도입과 전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학습자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도 변화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실질적인 인식과 만족도 변화 양상에 대한 실태조사 및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며 교양교육에 초점을 둔 연구는 더욱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만족도 변화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대학 교양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온라인 교양 수업이 어떠한 장점과 한계를 가졌는지 파악하고, 추후 개선 방안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교육기관과 교수자가 온라인 교육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K 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코로나19가 격화된 2020년과 2021년 동안 대학생들의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변화는 어떠한가?

  2.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수강 의향 변화는 어떠한가?

  3.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의 제반 여건 및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2. 이론적 배경

2.1. 4차 산업시대 교양교육의 방향 및 온라인 교양교육의 역할

교양교육은 대학에서 전공 교육과정과 함께 제공되는 교육으로, 대학교육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지식과 자율적인 학구 능력 함양, 그리고 인간과 사회, 자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세계관 및 건전한 가치관 확립에 기여하는 교육을 의미한다(허혜연, 김미정, 2023). 교양교육은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교육 및 직업교육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교육의 목적에 따라 일반교육과 자유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윤유진, 2020). 일반교육이란 전공에 상관없이 학생들에게 공통으로 제공되는 교육으로, 전인적 인격체 형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을 의미하며, 자유교육은 자유롭게 폭넓은 사고를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교육을 뜻한다(박주호, 유기웅, 2014).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은 이와 같은 일반교육과 자유교육의 공동 목표를 추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박주호, 유기웅, 2014).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데,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초융합성’, ‘초연결성’, ‘초지능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홍석민, 2022). 초융합성은 디지털 혁명을 바탕으로 첨단 과학 기술들이 상호 간 경계를 넘어 융합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초연결성은 사물인터넷을 비롯하여 사회 전체가 급속히 연결되는 현상을 뜻하고, 초지능성은 AI가 빅데이터와 딥러닝에 의해 인간을 능가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홍석민, 2022). 이러한 시대에는 개별적인 전문 지식보다 지식의 융합과 창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며,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를 넘어 보편적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다양한 지식을 이해하고 융합하며 재창조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허혜연, 김미정, 2023).
또한, Schwab(2016)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사회정서 역량(social-emotional skill)이 중요한데, 특정 직무 중심의 정량화 가능한 ‘하드 스킬(hard skill)’보다,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 같은 ‘소프트 스킬’(soft skill)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허혜연, 김미정, 2023). 이는 특정 직무 중심의 정형화된 지식을 적용하는 능력은 AI 같은 기술문명에 의해 쉽게 대체될 수 있는 반면, 인간성을 전제하는 소프트 스킬은 상대적으로 대체가 어렵고, 기술 발전이 고도화될수록 진정성 있는 소통 및 정서적 교류의 가치가 더욱 중시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현대의 교양교육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새로운 가치에 주목하고, 시대적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교양교육은 단순히 정보나 지식을 전달하는 기초 교육의 역할을 넘어서,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전달 능력, 공감 능력, 건전한 인성과 리더십 등 시대변화에 따른 대처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역량 기반 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즉 인간의 삶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변화에 대한 유연한 적응 능력을 기르는 것이 4차 산업시대의 교양교육의 핵심 목표라 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이러한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도전이자 위협으로 작용하였다. 코로나 시대는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와 더불어 사회적 단절로 인한 인간성 상실이라는 명암을 남겼다. 산업현장과 생활 전반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었으며, 자동화,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의 분야에서 급격한 혁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보안 문제, 디지털 격차 및 정보 불평등에 대한 우려가 증대하였으며, 사회적 단절과 고립을 초래하였다. 교육 현장에서도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며 온라인 활동이 전면적으로 대두되었으나, 네트워크를 통한 무한한 연결의 가능성이 무색하게도 사회적 접촉과 대면 소통의 제한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즉 온라인을 통한 교양교육은 인간성이 배제된 플랫폼을 활용하여 인간적인 가치와 소통 능력을 함양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요구에 직면한 셈이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기술의 이점과 혜택을 최대화하면서 인간적 가치와의 균형을 고려하는 것이 교양교육의 핵심 과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코로나 시기 동안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2.2.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이 확대되면서 최근 몇 년간 온라인 교양교육의 효과와 장단점에 관한 국내 연구도 다수 발표되었다. ‘온라인’, ‘교양’을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해본 결과, 특정 교양 교과목에 대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교양 영어(김경회, 2022; 김소정, 2022; 박은경, 2020; 이보경, 2020; 정신시아명희, 2023), 교양 일본어(백이연, 2020), 교양 수학(진성희, 2021, pp. 295-303) 같은 이론 중심 교과목뿐 아니라, 교양 글쓰기(오선경 등, 2021), 교양 국악(조석연, 2017), 교양 체육(백채영, 김원정, 2020) 같은 실습 및 예체능 교과목의 온라인 활용 방안과 효과에 관한 연구도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체로 단일 교과목 및 사례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
일부 연구는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온라인 교양수업의 전반적인 운영 및 성찰에 관한 담론을 진행하였다. 이난(2021)은 대학의 온라인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고려사항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자의 온라인 컨텐츠 제작 및 첨단 기술 활용에 대한 전문적 교육이 필요하며, 둘째, 단순한 지식 습득 및 이해가 아닌, 고차원적 사고방식 향상을 위하여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온라인 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해야 하고,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다양한 융합 형태를 고려한 공정한 인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넷째, 온라인 교육에서 교수자는 가르침(teaching)을 넘어 지도(tutoring) 역할을 포괄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홍성연(2020)은 2020년 1학기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교양교과목을 분석하여 온라인 교양교육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우선 동영상 녹화강의와 실시간 수업을 균형 있게 배치하고, 학습과제 및 학습량의 조절이 필요하며, 수업자료 및 동영상의 질 개선, 평가의 공정성과 변별력 강화, 상호작용과 피드백 강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활용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코로나 시대의 교양교육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난(2021)의 연구도 인간과 공동체라는 특정 교과목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 활용 방안을 논의하여 일반화의 제약이 있고, 홍성연(2020)의 연구는 학습자가 아닌 교수자의 온라인 교양과목 수업성찰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의 경험을 포함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교양 교과목의 사례를 넘어, K 대학에서 실시된 전체 온라인 교양 교과목을 분석 대상에 포함함으로써 일반화의 가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수요자의 요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들이 단일 학기, 단일 연도에 진행된 교양수업을 바탕으로 논지를 전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2020년도와 2021년도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온라인 교양수업이 처음 도입된 시기와 안정화된 시기의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온라인 교양수업의 발전 방향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2.3. 코로나 시기 K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 현황

K 대학은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으로, 총 다섯 개의 단과대학(복지융합대학, 경영관리대학, 글로벌인재대학, 공과대학, 사범대학)과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교양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K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은 6대 핵심역량에 해당하는 글로벌, 리더십, 사회공헌, 자기계발, 전문성, 창의융합 역량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건전하고 합리적인 인격과 실력을 갖춘 교양인, 봉사인, 전문인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초교양, 균형교양, 일반교양으로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6대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양 교과목을 설정하여, 그에 맞추어 교과목이 운영된다.
코로나가 본격화된 2020년과 2021년 K 대학에 개설된 교양 교과목 및 강좌 운영 수를 표 1에 제시하였고,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강좌 개설 비중을 표 2에 제시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의 정의를 살펴보면, S-러닝(Smart Learning)은 온라인을 통하여 수업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전용 강좌로, 이는 코로나 시기 이전부터 운영되어온 원격수업 형태를 말한다. B-러닝은(Blended Learning)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이 혼합된 강좌를 말하며, 한 주차의 강좌를 일정 비율의 온⋅오프라인 수업으로 구성하는 방식의 강좌를 말한다. C-러닝(Complementary Learning)은 교내 대학 및 대학원 교과 강좌에 개설된 강좌로써 오프라인 수업을 보완하는 온라인 강좌를 말한다.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수강 인원의 제한이 없고(Massive), 모든 사람이 수강 가능하며(Open), 온라인으로(Online) 제공되는 강좌이다(Course). 2020년 1학기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되고 맞이한 첫 학기로, 급작스럽게 대다수의 교양강좌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된 시기이다. 2020년 1학기에는 기초교양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가 14.9%(20개) 진행되었으나, 이후 2021년 2학기까지 모든 교양강좌가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교과목 중 C-러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원래 S-러닝이나 B-러닝 같은 온라인 수업으로 기획되어 있던 교과목 외에 모든 교과목이 갑자기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오프라인 수업을 보완하는 온라인 강좌로 임의 구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엄밀한 정의에 따라 교수학습방법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우며,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교양교과목을 구분하지 않고,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표 1>
2020-2021년 교양 교과목 및 강좌 운영 수
구분 2020년 1학기 2020년 2학기 2021년 1학기 2021년 2학기
기초교양 교과목 수 11 5 8 17
강좌 운영 수 135 64 194 202

균형교양 교과목 수 54 55 54 58
강좌 운영 수 100 99 97 101

일반교양 교과목 수 3 3 28 29
강좌 운영 수 10 11 30 30

합계 교과목 수 68 63 90 90
강좌 운영 수 245 174 321 333
<표 2>
2020-2021년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강좌 개설 비중(%)
구분 2020년 1학기 2020년 2학기 2021년 1학기 2021년 2학기
기초교양 강의 14.9 0.0 0.0 0.0
S-러닝 0.0 0.0 0.0 0.0
B-러닝 0.0 0.0 0.0 0.0
C-러닝 85.1 100.0 100.0 99.0
K-MOOC 0.0 0.0 0.0 1.0

균형교양 강의 0.0 0.0 0.0 0.0
S-러닝 8.7 13.6 3.1 11.9
B-러닝 0.0 0.0 0.0 2.0
C-러닝 91.3 86.4 96.9 86.1
K-MOOC 0.0 1.8 0.0 0.0

일반교양 강의 0.0 0.0 0.0 0.0
S-러닝 0.0 0.0 3.1 3.3
B-러닝 0.0 36.4 0.0 0.0
C-러닝 100.0 63.6 96.9 96.7
K-MOOC 0.0 0.0 0.0 0.0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K 대학의 재학생이다. 2020년 연구참여 학생 수는 888명(남: 223명, 여: 665명)으로, 이중 인문사회계 73.4%(652명), 이공계 17.5%(155명), 예체능계 8.0%(71명), 기타 1.1%(10명)로 구성되었다. 학년별 분포는 1학년 26.1%(232명), 2학년 24.1%(214명), 3학년 27.5%(244명), 4학년 22.3%(198명)에 해당한다. 2021년 연구참여 학생 수는 978명(남: 293명, 여: 685명)으로, 인문사회계 76.6%(749명), 이공계 15.7%(154명), 예체능계 6.6%(65명), 기타 1.0%(10명)으로 구성되었다. 학년별 분포는 1학년 24.0%(235명), 2학년 24.0% (235명), 3학년 27.3%(267명), 4학년 24.6%(241명)에 해당한다.

3.2. 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20년과 2021년에 실시된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1)의 일환으로 수집된 자료 중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인식에 관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2020년 8월 24일~9월 25일, 2021년 6월 14일~7월 30일에 걸쳐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3.3. 조사 도구

3.3.1. 교양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2020⋅2021년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SEL) 문항 중 교양수업 만족도와 관련된 14개 문항과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추가된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에 관한 2개 문항이 사용되었다. 각 문항은 4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정되었다.

3.3.2. 온라인 수업 여건 및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2020⋅2021년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SEL) 문항 중 ‘온라인 수업 여건과 학생의 인식’에 대한 5개 영역(온라인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여건, 온라인 강의 형태 선호도, 온라인 수업의 장점, 온라인 수업의 단점,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이 포함되었으며, 각 항목은 4점 리커트 척도 상에서 평정되었다.

3.4. 자료 분석 방법

리커트 4점 척도를 활용한 문항의 평정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2020년과 2021년의 평정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균 점수의 증감대비율을 제시하였다.

4. 연구 결과

4.1. 2020-2021년 교양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분석 결과

교양수업 만족도와 관련된 14개 문항과 향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강 의향과 관련된 2개 문항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전체 교양수업에 대한 만족도 비교 분석 결과, 2021학년도 종합 만족도는 2020학년도 평균 2.90점 대비 0.14점 증가한 3.04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1370) = 4.89, p < .001, 모든 문항에서 2020년 대비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세부 항목 중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상승한 항목은 ‘학습량이 적절함’, ‘교수로부터 충실한 피드백이 있었음’으로 전년 대비 0.20점 상승하였고, 다음으로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 방법이 사용되었음’이 전년 대비 0.18점 상승하였다.
<표 3>
2020-2021년도 교양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비교
구분 항목 2020 (N=659) 2021 (N=713) 증감 대비 t
교양 수업에 대한 만족도 1 수업 목표와 학생들이 해야 할 과제 및 활동이 명확함 3.00 (0.58) 3.11 (0.61) ▲0.11 3.41***

2 강의계획서 내용과 실제 수업 간 일치도가 높음 2.99 (0.70) 3.10 (0.68) ▲0.11 2.95**

3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방법이 사용되었음 2.94 (0.68) 3.12 (0.67) ▲0.18 4.93***

4 교수들은 과목 내용을 관련 사전 경험이나 지식과 연관 지어 설명함 2.99 (0.69) 3.08 (0.72) ▲0.09 2.36*

5 교수들은 적절한 사례나 시범을 보여줌(시연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도움 2.89 (0.79) 3.01 (0.76) ▲0.12 2.87**

6 수업 내용과 관련된 적절한 수업 자료 혹은 미디어가 활용됨 3.00 (0.77) 3.15 (0.73) ▲0.15 3.70***

7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호기심을 자극하도록 구성함 2.75 (0.87) 2.91 (0.84) ▲0.16 3.47***

8 학습 내용의 이해나 수행이 어려운 경우, 교수가 추가적인 설명이나 안내를 제공함 2.82 (0.78) 2.99 (0.77) ▲0.17 4.06***

9 학습량이 적절함 2.78 (0.78) 2.98 (0.72) ▲0.20 4.94***

10 교수로부터 충실한 피드백이 있었음 2.55 (0.88) 2.75 (0.85) ▲0.20 4.28***

11 시험 과제 등의 평가는 수업내용의 범위에서 이루어짐 3.05 (0.71) 3.19 (0.68) ▲0.14 3.73***

12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3.04 (0.72) 3.16 (0.67) ▲0.12 3.20**

13 수업 내용이 교양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됨 2.93 (0.74) 3.04 (0.75) ▲0.11 2.73**

14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2.80 (0.80) 3.00 (0.79) ▲0.20 4.66***

종합 만족도 2.90 (0.53) 3.04 (0.53) ▲0.14 4.89***

구분 항목 2020 (N=888) 2021 (N=971) 증감 대비 t

향후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1 교양이론에 대한 과목이 향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된다면 수강할 의향이 있음 3.15 (0.80) 3.34 (0.80) ▲0.19 5.11***

2 교양실습에 대한 과목이 향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된다면 수강할 의향이 있음 2.32 (1.01) 2.68 (1.04) ▲0.36 7.56***

종합 만족도 2.74 (0.91) 3.01 (0.92) ▲0.27 6.35***

주. 괄호 안은 표준편차

* p < .05.

** p < .01.

*** p < .001.

향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강 의향을 살펴보면, 2021학년도 교양이론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은 전년 대비 0.19 증가한 3.34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t(1857) = 5.11, p < .001, 교양실습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 2.68점으로 전년 대비 0.36 상승하여 2020학년 대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강 의향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1857) = 7.56, p < .001.

4.2. 2020-2021년 계열 별 교양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분석 결과

계열 별(인문사회계, 이공계, 예체능계) 교양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2020-2021년도 계열 별 교양수업 만족도 및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비교
항목 인문사회계1) 이공계2) 예체능계



2020 (N=472) 2021 (N=528) 증감 대비 t 2020 (N=118) 2021 (N=118) 증감 대비 t 2020 (N=63) 2021 (N=59) 증감 대비 t
교양 수업에 대한 만족도

1 수업 목표와 학생들이 해야 할 과제 및 활동이 명확함 2.98 (0.60) 3.10 (0.62) ▲ 0.12 3.10** 3.02 (0.54) 3.19 (0.57) ▲0.17 2.35* 3.03 (0.51) 3.10 (0.61) ▲0.07 0.69

2 강의계획서 내용과 실제 수업 간 일치도가 높음 3.00 (0.72) 3.10 (0.68) ▲0.10 2.26* 2.89 (0.68) 3.15 (0.66) ▲0.26 2.98** 3.03 (0.62) 2.98 (0.66) ▼0.05 0.43

3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방법이 사용되었음 2.95 (0.70) 3.12 (0.68) ▲0.17 3.89*** 2.89 (0.68) 3.19 (0.63) ▲0.30 3.52*** 3.00 (0.60) 2.98 (0.68) ▼0.02 0.17

4 교수들은 과목 내용을 관련 사전 경험이나 지식과 연관 지어 설명함 3.00 (0.71) 3.09 (0.74) ▲0.09 1.96 2.95 (0.67) 3.08 (0.67) ▲0.13 1.49 2.98 (0.63) 3.02 (0.68) ▲0.04 0.34

5 교수들은 적절한 사례나 시범을 보여줌(시연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도움 2.92 (0.80) 3.00 (0.78) ▲0.08 1.60 2.77 (0.80) 3.05 (0.68) ▲0.28 2.90** 2.90 (0.71) 2.98 (0.63) ▲0.08 0.66

6 수업 내용과 관련된 적절한 수업 자료 혹은 미디어가 활용됨 2.99 (0.78) 3.15 (0.74) ▲0.16 3.35*** 3.03 (0.68) 3.21 (0.68) ▲0.18 2.03* 2.94 (0.90) 2.98 (0.73) ▲0.04 0.27

7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호기심을 자극하도록 구성함 2.75 (0.86) 2.92 (0.84) ▲0.17 3.16** 2.73 (0.90) 2.97 (0.80) ▲0.24 2.17* 2.70 (0.91) 2.64 (0.89) ▼0.06 0.37

8 학습 내용의 이해나 수행이 어려운 경우, 교수가 추가적인 설명이나 안내를 제공함 2.85 (0.80) 2.98 (0.77) ▲0.13 2.62** 2.75 (0.68) 3.08 (0.75) ▲0.33 3.54*** 2.71 (0.81) 2.93 (0.76) ▲0.22 1.54

9 학습량이 적절함 2.78 (0.81) 2.98 (0.72) ▲0.20 4.13*** 2.78 (0.67) 3.07 (0.61) ▲0.29 3.48*** 2.78 (0.77) 2.81 (0.84) ▲0.03 0.21

10 교수로부터 충실한 피드백이 있었음 2.56 (0.87) 2.77 (0.85) ▲0.21 3.86*** 2.54 (0.87) 2.80 (0.88) ▲0.26 2.28* 2.51 (0.93) 2.53 (0.80) ▲0.02 0.13

11 시험 과제 등의 평가는 수업내용의 범위에서 이루어짐 3.06 (0.71) 3.17 (0.70) ▲0.11 2.46* 3.01 (0.69) 3.30 (0.56) ▲0.29 3.54*** 3.06 (0.76) 3.14 (0.66) ▲0.08 0.62

12 평가관리와 채점은 공정하였음 3.04 (0.72) 3.18 (0.67) ▲0.14 3.18** 3.02 (0.69) 3.13 (0.69) ▲0.11 1.22 3.05 (0.79) 3.02 (0.71) ▼0.03 0.22

13 수업 내용이 교양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됨 2.96 (0.74) 3.04 (0.76) ▲0.08 1.68 2.88 (0.67) 3.08 (0.76) ▲0.20 2.14* 2.79 (0.81) 2.95 (0.75) ▲0.16 1.13

14 전반적으로 수업의 질에 대해 만족함 2.81 (0.81) 3.00 (0.78) ▲0.19 3.78*** 2.81 (0.74) 3.09 (0.76) ▲0.28 2.87** 2.75 (0.86) 2.86 (0.88) ▲0.11 0.70

종합 만족도 2.90 (0.54) 3.04 (0.54) ▲0.14 4.09*** 2.86 (0.48) 3.10 (0.48) ▲0.24 3.84*** 2.87 (0.52) 2.92 (0.53) ▲0.05 0.53

향후 온라인 수업 수강 의향

1 교양이론에 대한 과목이 향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된다면 수강할 의향이 있음 3.14 (0.80 3.31 (0.81) ▲0.17 3.33*** 3.21 (0.80) 3.39 (0.76) ▲0.18 1.77 3.07 (0.80) 3.41 (0.75) ▲0.34 2.42*

2 교양실습에 대한 과목이 향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된다면 수강할 의향이 있음 2.22 (1.01) 2.66 (1.03) ▲0.44 6.81*** 2.70 (0.98) 2.72 (1.09) ▲0.02 0.15 2.34 (0.94) 2.84 (1.00) ▲0.50 2.85**

종합 만족도 2.68 (0.91) 2.99 (0.92) ▲0.31 5.36*** 2.96 (0.89) 3.06 (0.93) ▲0.10 0.85 2.71 (0.87) 3.13 (0.88) ▲0.42 2.66**

주. 괄호 안은 표준편차

1) 인문사회계:인문계열, 사회계열(상경계 포함), 교육(사범)계열, 2) 이공계: 공학계열, 자연계열

* p < .05.

** p < .01.

*** p < .001.

인문사회계열 교양수업에 대한 만족도 비교 분석 결과, 2021학년도 종합 만족도는 2020학년도 평균 2.90점 대비 0.14점 증가한 3.04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998) = 4.09, p < .001, 대부분의 문항에서 2020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 중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상승한 항목은 ‘교수로부터 충실한 피드백이 있었음’, ‘학습량이 적절함’으로 전년 대비 각각 0.21점과 0.20점 상승하였다.
한편, 2021학년도 인문사회계열 교양이론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은 3.31점으로 전년 대비 0.17점 상승하였고, t(998) = 3.33, p < .001, 교양실습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은 2.66점으로 전년 대비 0.44점 상승하여 2020학년 대비 향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강 의향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998) = 6.81, p < .001.
이공계열 교양수업에 대한 만족도 비교 분석 결과, 2021학년도 종합만족도는 2020학년도 평균 2.86점 대비 0.24점 증가한 3.10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234) = 3.84, p < .001. 대부분의 문항에서 2020년 대비 상승을 보였다. 세부 항목 중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상승한 항목은 ‘학습 내용의 이해나 수행이 어려운 경우, 교수가 추가적인 설명이나 안내를 제공함’,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방법이 사용되었음’으로 전년 대비 각각 0.33점과 0.30점 상승하였고, 다음으로 ‘학습량이 적절함’, ‘시험 과제 등의 평가는 수업내용의 범위에서 이루어짐’이 전년 대비 0.29점 상승하였다.
2021학년도 이공계열 교양이론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은 3.39점으로 전년 대비 0.18점 상승하였고, 교양실습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 2.72점으로 전년 대비 0.02점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각 t(234) = 1.77, p = .077, t(234) = 0.15, p < .882.
예체능계열 교양수업에 대한 만족도 비교 분석 결과, 2021학년도 종합만족도는 2020학년도 평균 2.87점 대비 0.05점 상승한 2.92점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t(120) = 0.53, p = .600. 또한, 계열별 만족도 비교 분석 결과 예체능계 교양수업 만족도 결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 중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상승한 항목은 ‘학습 내용의 이해나 수행이 어려운 경우, 교수가 추가적인 설명이나 안내를 제공함’, ‘수업 내용이 교양을 함양하는 도움이 됨’으로 전년 대비 각각 0.22점과 0.16점 상승하였다. 2020학년도 대비 하락한 세부항목은 4항목으로 전년 대비 가장 많이 하락한 항목은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호기심을 자극하도록 구성함’, ‘강의계획서 내용과 실제 수업 간 일치도가 높음’ 으로 전년 대비 각각 0.06점과 0.05점 하락하였다.
2021학년도 예체능계열 교양이론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은 3.41점으로 전년 대비 0.34점 상승하였고, t(120) = 2.42, p = .005, 교양실습에 대한 온라인 수강 의향 2.84점으로 전년 대비 0.50점 상승하여, t(120) = 2.85, p = .008, 전반적으로 2020학년 대비 향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수강 인식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3. 2020-2021년 온라인 수업 여건 및 인식 변화

온라인 수업 여건 및 학생의 인식과 관련된 5개 영역(온라인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여건, 온라인 강의 형태 선호도, 온라인 수업의 장점, 온라인 수업의 단점,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표 5>
2020-2021년 온라인 수업 여건과 학생의 인식 변화
항목 2020 N=888 2021 N=971 증감 대비 t
온라인 수업여건 1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여건(인터넷, 컴퓨터 등)은 충분히 갖추어져 있었습니까? 3.36 (0.66) 3.47 (0.60) ▲0.11 3.76***

온라인 강의형태 선호도 1 실시간 화상 강의 1.82 (0.80) 2.10 (0.83) ▲0.28 7.39***

2 녹화된 강의(동영상, 교수가 직접 녹화한 PPT 등 영상시청) 3.31 (0.70) 3.35 (0.73) ▲0.04 1.20

3 수업자료 단순 업로드 2.17 (1.02) 2.26 (1.04) ▲0.09 1.88

4 과제물 대체 강의 2.07 (0.97) 2.25 (1.02) ▲0.18 3.89***

온라인 수업의 장점 1 시공간의 자유로움 3.55 (0.58) 3.68 (0.52) ▲0.13 5.10***

2 토론 및 교수님과의 소통이 더 쉬움 2.03 (0.83) 2.33 (0.91) ▲0.30 7.40***

3 녹화된 강의 반복 청취 가능 3.51 (0.68) 3.67 (0.57) ▲0.16 5.51***

4 수업의 질 향상 2.04 (0.89) 2.36 (0.94) ▲0.32 7.52***

5 강의자와 직접 대면에서 오는 불편함 해소 2.54 (1.00) 2.84 (0.96) ▲0.30 6.60***

6 대면 강의에 비해 수업내용의 전달력이 좋음 2.16 (0.97) 2.52 (1.03) ▲0.36 7.74***

7 통학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됨 3.54 (0.72) 3.65 (0.63) ▲0.11 3.51***

온라인 수업의 단점 1 수업이 지루함 2.78 (0.82) 2.62 (0.86) ▼0.16 4.10***

2 토론이나 질문, 교수님과의 소통이 어려움 3.02 (0.80) 2.72 (0.91) ▼0.30 7.52***

3 평가의 공정성을 확신할 수 없음 2.75 (0.94) 2.56 (0.94) ▼0.19 4.35***

4 실기, 실습수업을 하기 어려움 3.26 (0.79) 3.04 (0.90) ▼0.22 5.58***

5 수업진행 방식이 복잡해서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움 2.09 (0.91) 1.95 (0.84) ▼0.14 3.45***

6 수업에 집중하기 어려움 2.80 (0.91) 2.68 (0.99) ▼0.12 2.71**

7 과제가 너무 많음 3.49 (0.72) 3.11 (0.90) ▼0.38 9.99***

8 학생들 간의 소통의 어려움 3.09 (0.85) 2.91 (0.94) ▼0.18 4.32***

9 시간을 포함한 자기관리가 잘 안됨 2.45 (1.01) 2.29 (1.05) ▼0.16 3.34***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 1 교수의 내용 전문성 3.31 (0.59) 3.36 (0.59) ▲0.05 1.83

2 교수의 강의 내용 전달력 3.67 (0.52) 3.63 (0.55) ▼0.04 1.61

3 교수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관심/적극성 3.52 (0.58) 3.53 (0.59) ▲0.01 0.37

4 평가 방법의 적절성 3.49 (0.60) 3.40 (0.62) ▼0.09 3.17**

5 교수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3.35 (0.70) 3.34 (0.68) ▼0.01 0.31

6 교수의 콘텐츠 개발 능력 3.14 (0.76) 3.19 (0.75) ▲0.05 1.43

7 학습안내 및 정보 제공 3.43 (0.61) 3.43 (0.60) - 0.00

8 교수의 피드백 제공 3.45 (0.60) 3.47 (0.60) ▲0.02 0.72

주. 괄호 안은 표준편차

** p < .01.

*** p < .001.

온라인 수업 여건의 경우, 2021학년도 평균 3.47로 2020학년도 평균 3.36점 대비 0.11점 상승하여,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여건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t(1857) = 3.76, p < .001.
온라인 강의 형태 선호도의 경우, 2020학년도와 동일하게 2021학년도에도 ‘녹화된 강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 중 2020년 대비 가장 많이 상승한 항목은 ‘실시간 화상 강의’로 0.28점 상승하였다, t(1857) = 7.39, p < .001.
온라인 수업 장점 분석 결과,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모두 ‘시공간의 자유로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부 항목의 경우 ‘대면 강의에 비해 수업내용의 전달력이 좋음’이 0.36점 상승하고, t(1857) = 7.74, p < .001, ‘수업의 질 향상’이 0.32점 상승하였다, t(1857) = 7.52, p < .001.
온라인 수업 단점의 경우, 역문항으로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며 2020학년도 대비 2021학년에 모든 항목의 점수가 낮아졌으므로 온라인 수업 단점이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세부 항목 중 가장 많이 개선된 항목은 ‘과제가 너무 많음’, ‘토론이나 질문, 교수님과의 소통이 어려움’으로 각각 0.38점과 0.30점 개선되었다, 각각 t(1857) = 9.99, p < .001, t(1857) = 7.52, p < .001.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 분석 결과,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모두 ‘교수의 강의 내용 전달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의 경우 중요도의 변화가 가장 큰 항목은 ‘평가 방법의 적절성’으로 0.09점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t(1857) = 3.17, p = .002.
다음으로 온라인 수업 여건과 학생의 인식에 대한 영역별 우선순위를 표 6에 제시하였다. 온라인 수업 여건과 학생의 인식에 대한 5개의 영역별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강의 형태 선호도의 경우 ‘녹화된 강의’(동영상, 교수가 녹화한 PPT등 영상시청)가 1순위로 나타났으며, ‘수업자료 단순 업로드’가 2순위로 2020학년과 2021학년의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 6>
2020-2021년도 온라인 수업 여건과 학생의 인식에 관한 영역별 우선순위
영역 및 우선수위 항목
온라인 강의 형태 선호도 2020 ⋅ 2021 1순위 녹화된 강의(동영상, 교수가 직접 녹화한 PPT등 영상 시청)
2순위 수업자료 단순 업로드
3순위 과제물 대체 강의
4순위 실시간 화상 강의

온라인 수업의 장점 2020 1순위 시공간의 자유로움
2순위 통학에 소용되는 비용이 절감됨
3순위 녹화된 강의 반복 청취 가능

2021 1순위 시공간이 자유로움
2순위 녹화된 강의 반복 청취 가능
3순위 통학에 소용되는 비용이 절감됨

온라인 수업의 단점 2020 ⋅ 2021 1순위 과제가 너무 많음
2순위 실기, 실습수업을 하기 어려움
3순위 토론이나 질문, 교수님과의 소통이 어려움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 2020 1순위 교수의 강의 내용 전달력
2순위 교수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관심/적극성
3순위 평가 방법의 적절성

2021 1순위 교수의 강의 내용 전달력
2순위 교수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관심/적극성
3순위 교수의 피드백 제공
온라인 수업의 장점에 대한 분석 결과,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모두 ‘시공간의 자유로움’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통학에 소용되는 비용이 절감됨’, ‘녹화된 강의 반복 청취 가능’이 다음 우선순위로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단점의 경우,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동일하게 ‘과제가 너무 많음’, ‘실기, 실습수업을 하기 어려움’, ‘토론이나 질문, 교수님과의 소통이 어려움’ 순서로 단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의 경우, 2020학년도와 2021학년도 동일하게 ‘교수의 강의 내용 전달력’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교수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관심/적극성’이 2위 였고, 다음으로 각각 ‘평가 방법의 적절성’, ‘교수의 피드백 제공’이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5.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2020년과 2021년도 K 대학교의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개선사항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수업 만족도의 전체 평균이 2020년 2.90에서 2021년 3.04로 상승하였으며, 14개의 만족도 세부 항목에 대한 평가 역시 모두 상승하였다. 이는 2020년도 코로나19 초창기에 대면수업이 급작스럽게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겪었던 시행착오를 통하여, 2021년도에는 온라인 수업의 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는 포함되지 않은 자료이나, 코로나19 이전 대면수업으로 진행되던 2019년도 K 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3.03이었으나, 2020년 온라인으로 전환되면서 2.90으로 하락하였고, 이후 2021년에 다시 상승하는 패턴을 보였다. 급격한 변화를 맞아 교수자와 학습자, 학교 기관 모두 혼란의 시기를 보냈으나, 일 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이러한 혼란을 극복하고 온라인 수업을 통한 교과과정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교수로부터 충실한 피드백이 있었음’, ‘수업이 흥미롭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도록 구성함’ 항목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점수를 나타냈는데, 해당 항목의 만족도 상승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예를 들어, 교양 교과목 담당교원들의 워크샵 개최를 통한 온라인 교수법 강의 및 강의 노하우 공유 등 정보교류 활성화를 통한 강의 개선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향후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수강 의향이 2.74에서 3.01로 개선되었지만, 교양이론에 비해 교양실습 온라인 수강 의향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열에서 더욱 극명하였는데, 이공계열의 경우, 교양이론에 비해 교양실습 온라인 수강 의향의 점수가 낮고 점수 상승폭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양실습 과목 및 이공계열 필수교양 교과목의 경우, 온라인 강의 진행 시, 학생과의 다양한 소통 창구를 통한 온라인 수업 한계를 최소화하고 소수 인원을 활용한 실습 등의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한 신철균 등(2020)의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은 전공기초 지식 및 취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교양교육의 목표로 꼽는 반면, 교원들은 보편적 가치와 규범 탐구, 핵심역량의 개발 등을 교양교육의 목표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였다. 즉 학생들은 대학 졸업 후 직업 세계로 진입하기 위해 본인의 전공이나 희망 진로 분야에서 전문성을 습득하는 것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고 있으나, 이는 대학 교양교육이 추구하는 전통적인 가치와 다소 괴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양실습 과목의 경우, 학생들이 요구하는 전문성과 실용성의 수준이 교양이론 과목보다 더욱 높을 수 있고, 온라인 수업 형태로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교양실습 과목에서 전공과 연계한 전문성과 실용성을 강화하면서도, 교양교육의 본래적 가치를 접목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계열별 교양수업 만족도 분석 결과, 예체능계 교양수업 만족도의 경우 종합 만족도 점수와 세부 항목별 점수가 다른 계열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예체능계열의 특성 상, 실습 비중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온라인 수업 시 오프라인 실습활동을 어떻게 운영하고 배치할지에 대한 체계적인 구상과 질 관리 체계가 필요해 보인다.
넷째, 온라인 수업 여건 조사 결과, 2020년도에 3.36에서 2021년도 3.47로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습자 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내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공간 증대, 인터넷, 컴퓨터, 스마트 기기 등의 보급 확대 및 온라인 수업 플랫폼에 대한 친숙도가 증가한 결과로 사료된다. 그러나 여전히 디지털 정보격차가 존재하고, 디지털 정보격차는 사회문화적 격차로 확대되어 소외의 문제로 이어지므로 이에 대한 경각심이 요구된다. 특히 저소득층 및 장애인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대학 및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2021). 또한, 오프라인 대면 수업에서 지원되는 장애학생 도우미 시스템을 온라인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할지, 온라인 수업에 특화된 별도의 지원 시스템이 필요한지 등에 대한 논의와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온라인 강의 형태 선호도의 경우 2개년 모두 ‘녹화된 강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온라인 수업 장점 항목 중 점수가 높게 나타난 ‘시공간의 자유로움’, ‘녹화된 강의 반복 청취 가능’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선행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시공간적 편의성’과 ‘반복학습’ 등 수업 진행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녹화식 수업의 장점으로 꼽은 바 있다(백이연, 2020). 또한, 온라인 교양 영어 수업에서 실시간 강의보다 녹화된 강의에서 수강생들이 느끼는 불안이 적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향후 온라인 수업이 지속될 경우 실시간 화상 강의 보다 온라인 녹화 강의 방식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박은경, 2020). 해당 연구에서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수업 진행의 예측불가능성 및 비효율성, 컴퓨터 및 서버 불안정에 대한 불안감이 주요 기피 사유로 나타났는데, 녹화된 강의의 경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실시간 화상 강의’ 진행 시, 녹화를 통한 추가 영상 제공 등을 통해 학습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녹화된 강의를 얼마의 기간 동안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가이드라인이 요청된다. 학습자의 입장에서 녹화된 강의를 반복 청취하는 것은 장점으로 작용하나, 언제든 강의를 다시 들을 수 있는 환경은 강의 청취에 대한 집중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녹화된 강의를 무제한으로 시청 가능하게 할 경우, 강의 컨텐츠에 대한 불법 복제 및 유포의 위험도 증가한다. 이는 교수자의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학습자와 교수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합의된 기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시청을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학습 효과가 뛰어난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 자료가 축적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의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온라인 수업의 단점 분석 결과, ‘과제가 너무 많음’ 항목이 가장 높게 나왔으나, 2020년도에 비해 2021년도에는 이 문항을 포함한 모든 항목이 개선되었다.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지속적이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도가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보인다. 또한 ‘실기, 실습수업을 하기 어려움’, ‘토론이나 질문, 교수님과의 소통이 어려움’이 주요 단점으로 꼽혔는데, 물리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수업과 함께 오프라인 실습 활동을 주기적으로 병행하거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같이 온라인을 통한 선행학습 이후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교수와 토론식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법을 적용하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더타운이나 제페토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토론을 실시하는 등 온라인 수업 환경에 맞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 분석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교수의 강의 내용 전달력’ 및 ‘교수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관심/적극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온라인 수업의 성패가 교수자의 자질과 의지에 달린 것으로 인식함을 의미한다. 온라인 수업은 오프라인 대면 수업에 비해, 교수자들 간의 강의력에 대한 비교가 용이하고, 오프라인 수업의 맥락 정보나 비언어적 요소들이 충분히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교수자의 언어적 전달력이 강조된다. 특히 현재 대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인터넷 사교육 시스템에 익숙한 세대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내고, 매끄럽게 내용을 전달하는 스타 강사들의 전달력을 대학 교수자에게도 기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이 양질의 수업 컨텐츠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나, 이를 온라인 환경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온라인 장비 및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향상과 함께, 온라인 환경에 특화된 발성, 속도, 시선 처리, 제스처 등을 익히기 위한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온라인 수업 질 향상을 위한 중요도 분석 결과, ‘교수의 피드백 제공’이 2021년 3위에 올라,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바람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수업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히려 교수자가 주도하는 일방적인 강의로 전락할 가능성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수업의 특성상, 오프라인 수업에 비해 강의 정원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교수자들이 학생들과 상호작용하거나 양질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온라인 수업의 정원을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논의와 정책이 요구되며, 피드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2020년과 2021년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으나, 2022년 자료가 포함되지 않았다. 추후 2022년 자료를 포함한 3개년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논의를 확장할 필요가 있고, 이후 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병행 체제에서 학습자들의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해당 년도 K 대학의 교양수업을 수강한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대학 수업 참여에 큰 관심이 없거나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학생들이 조사에 적극 참여하지 않음으로써 연구 결과가 긍정 편향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향후 더욱 다양한 학생들을 포함하고, 학업 동기 및 대학 교육 만족도 수준에 따라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 포함된 온라인 교양수업을 교수학습방법에 따라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고, 따라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차이를 포함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교과목 시스템상에 S러닝, B러닝, C러닝, K-MOOC 등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분류된 자료를 포함하였으나, 실제적으로 코로나19를 맞아 갑작스럽게 온라인 수업으로 변경된 교양수업은 모두 C러닝으로 임의 구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세부 분석은 포함되지 못했다. 향후 온라인 교양수업 개발 시에는 사전 계획에 따라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이 채택되어야 하겠고, 각 교수학습방법 및 기초교양, 균형교양, 일반교양 영역별로 학습자 만족도 및 인식에 대한 세부적인 조사와 대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온라인 교양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확증하기 위해서는 향후 온라인 전공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와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교양수업의 경우, 전공수업에 비해 학습 동기 및 노력 투여 정도가 낮을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 및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에는 교양과목의 특수성과 학습자의 수요 특성이 온라인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온라인 교양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Notes

1) 대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전국 규모의 조사로, 대학생들이 재학 중 경험하는 교수⋅학습과정 전반에 대한 실태 및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 및 국가 차원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 수집⋅축적⋅활용을 통해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을 모색하고자 실시됨.

참고문헌

Baek, Y. A(2020 Study on college students'perception of online classes:An analysis based on students of Japanese elective courses, The Korea Journal Japanese Education 52:59-74. https://doi.org/http://dx.doi.org/10.21808/KJJE.52.04.
crossref
[백이연. (2020).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교양 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일본어교육연구, 52, 59-74. https://doi.org/http://dx.doi.org/10.21808/KJJE.52.04].

Beak, C, Kim, W(2020 A qualitative case study on learning process for 'golf'as a liberal arts and sports in university using online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34(4), 53-84.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0.12.34.4.53.
crossref
[백채영, 김원정. (2020).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LMS)을 활용한 대학 교양 체육 ‘골프’ 수업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4(4), 53-84.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0.12.34.4.53].

Cho, S. (2017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al liberal arts education using online, Journal of the Korean Music and Education, 44:215-23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40765

[조석연. (2017). 온라인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교육. 국악교육, 44(호), 215-23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40765]

Hong, S(2020 Teaching reflection on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in non face-to-face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6), 283-298.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0.14.6.283.
crossref
[홍성연. (2020). 코로나19 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교육연구, 14(6), 283-298.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0.14.6.283].

Hong, S. M(2022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ignificance of liberal education, and the need to reform its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6(2), 65-79.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2.16.2.65.
crossref
[홍석민. (2022). 4 차 산업혁명과 교양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교양교육과정의 개혁 필요성. 교양교육연구, 16(2), 65-79.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2.16.2.65] .

Huh, H. Y, Kim, M. J(2023 Analysis of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on the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focusing on C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7(1), 197-210.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3.17.1.197.
crossref
[허혜연, 김미정. (2023). 교양 교육과정 현황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7(1), 197-210.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3.17.1.197] .

Jin, S(2021. November). Online fipped learning practices for enhancing 3C skills in core general education Classes, In Proceedings of the 2021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Conference 295-303.

[진성희. (2021, 11). 핵심교양 교육학수업에서3C 증진을 위한 온라인 플립러닝 운영 사례. 2021년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 295-303), http://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6871583]

Kim, G(2022 Learning related-variables according to online classroom types that influence the general english speaking classroo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6(4), 101-120. 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2.16.4.101.
crossref pdf
[김경회. (2022).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양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변인연구. 교양교육연구, 16(4), 101-120. 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2.16.4.101] .

Kim, S(2022 A study on native English instructors'experience with onlin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class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6(3), 117-134.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2.16.3.117.
crossref
[김소정. (2022). 온라인 비실시간, 실시간 교양 영어 수업에 관한 원어민 교수자의 경험 연구. 교양교육연구, 16(3), 117-134.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2.16.3.117].

Lee, N(2021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ies using online classes and online feedback in the COVID-19 era,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1), 259-272.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1.15.1.259.
crossref
[이난. (2021).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59-272.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1.15.1.259].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0 2020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1. 3. 10),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99&mPid=74&pageIndex=&bbsSeqNo=79&nttSeqNo=3173382&searchOpt=ALL&searchTxt=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3. 10).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99&mPid=74&pageIndex=&bbsSeqNo=79&nttSeqNo=3173382&searchOpt=ALL&searchTx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1 2020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2. 3. 24)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81623&bcIdx=24287&parentSeq=24287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2021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3. 24)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81623&bcIdx=24287&parentSeq=24287]

Oh, S, Lee, A, Yu, M, Park, J, Jang, M(2021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reign students'perceptions regard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es in a liberal arts writing cours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5(4), 137-150.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1.15.4.137.
crossref
[오선경, 이아름, 유민애, 박정은, 장미정. (2021).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온라인 실시간 방식과 비실시간 방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인식 비교. 교양교육연구, 15(4), 137-150.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1.15.4.137].

Park, E. (2020 Perception of learner anxiety towards online college English classes during COVID-19,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20-338. http://journal.kamall.or.kr/wp-content/uploads/2020/8/Park_23_3_s05.pdf

[박은경. (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320-338. http://journal.kamall.or.kr/wp-content/uploads/2020/8/Park_23_3_s05.pdf]

Park, J. H, Ryu, K. (2014 The analyses of the concepts, contents, satisfaction and future deeds for college gener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2), 43-82. http://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74289

[박주호, 유기웅. (2014).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8(2), 43-82. http://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7674289]

Schwab, K(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lony/ Geneva: World economic forum, Edited by Song K, Megastudy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6).

[클라우스 슈밥. (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송경진, 역). 메가스터디북스. (원서출판 2016)].

Shin, C. K, Byun, H. Y, Eo, S. M, Kim, S. M(2020 Analysis of students and faculty member liberal arts curriculum perception and needs - University A's case-based,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3), 217-231. https://doi.org/10.46392/kjge.2020.14.3.217.
crossref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 (2020).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 - A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217-231. https://doi.org/10.46392/kjge.2020.14.3.217].

Woo, C, Kim, H(2023 Instructors'response to the online/offline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the COVID 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7(1), 245-259.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3.17.1.245.
crossref
[우채영, 김향숙. (2023). COVID 19 팬데믹 이후 온⋅오프라인 교육환경에 대한 교수자의 반응. 교양교육연구, 17(1), 245-259.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ge.2023.17.1.245].

Yoon, E(2020 A study on status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2), 311-325.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ks.2020.14.2.311.
crossref
[윤유진. (2020). 4 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311-325. https://doi.org/https://doi.org/10.46392/kjks.2020.14.2.311].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