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희(2020).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20(20), 한국콘텐츠학회, 35-44.
강선보(2006).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개혁의 이념”, 교육문제연구 24,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49-71.
강창동(2012).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8(2), 한국교양교육학회, 83-107.
구유영, 박돈하, 김정재, 박영희, 고철기, 이보경(2019). “대학생 전공-교양 교과목 이수 특성에 나타난 교육과정 구조와 이수체계의 문제”, 교양교육연구 13(2),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69-396.
권현용(2019). “대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 및 인식”, 교양학연구 6(1),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09-132.
김남희, 정미애(2018).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교양교육연구 12(6), 한구교양교육학회, 41-66.
김선주(2018). “협업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2(3), 한국교양교육학회, 11-37.
김성원(2012). “교양교육의 실용성 문제에 관한 재고”, 교양교육연구 6(2), 한국교양교육학회, 43-77.
김현숙, 김현미(2022). “MZ 세대인 대학생들의 수강신청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인문사회21 13(4), 인문사회21, 2329-2341.
노지예(2019). “대학 교양교육에서 학습자특성에 따른 수강신청 기준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83-497.
목영해(2004). “대학 수업에 적합한 수업기법 연구”, 대학교육 130, 한국대학교육협의회, 54-64.
박주호, 유기웅(2014).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8(2), 한국교양교육학회, 43-82.
박병철(2019). “리버럴아츠 교육과 한국의 교양교육”, 교양교육연구 13(1), 한국교양교육학회, 163-180.
백승수(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13-51.
백평구(2012).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A 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6(1), 한국교양교육학회, 431-466.
손동현(2009).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한국교양교육학회, 5-22.
손동현(2010).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과 수렴에 관해”, 교양교육연구 4(2), 한국교양교육학회, 19-27.
손종현(2018).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교양교육연구 2(6), 한국교양교육학회, 11-39.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2020).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분석”,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217-231.
안현용, 박지희, 고장완(2021). “대학평생교육 성과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인식 분석”, 성인계속교육연구 12(1),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9-48.
유기웅, 신원석(2012).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 45,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1-54.
유재천, 김기순, 송승철, 김용선, 양일모, 오수창, 반죽식, 전상인, 이종완, 김대영, 김점근(2002). “국제화⋅정보화시대의 교양교육 실행 및 평가 프로그램 연구”, 한국연구재단.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311-325.
이보경, 김은경, 이재성(2010). “대학생의 교양교육의 인식”, 교육문제연구 38, 고려대학교교육문제연구소, 1-23.
이숙정, 이수정(2012).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6(2), 한국교양교육학회, 11-42.
이은화(2007).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3(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91-118.
이은화, 강이화(2022). “대학간 교양교육 공유 협력 현황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81-93.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2014).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30(2), 한국교육공학회, 163-191.
이청민, 정체영, 양민석(2020).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109-121.
이혜정(2020). “대학생들의 대학교육의 의미에 대한 인식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47-1076.
이혜주(2021). “Q 방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2),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3-113.
이효진, 윤가영, 박인우(2017).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에 따른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3(4), 한국교양교육학회, 79-99.
임이랑(2021). “대학에서의 K-MOOC 강좌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교수자 인식을 중심으로”, 미래교육학연구 34(1),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79-102.
장유진, 남교민, 박현지, 송지훈(2022).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분석”, 교양교육연구 16(5), 한구교양교육학회, 333-347.
정혜진, 김경원(2016). “AHP를 활용한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23-745.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53-89.
최문기(2016).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교양교육연구 10(3), 한국교양교육학회, 325-348.
최영준(2013).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 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16(3), 한국성인교육학회, 61-83.
최예정, 김지영, 윤승준(2020). “강사제도 시행이 대학 교양교육 환경에 미친 영향-교원 구성과 개설 강좌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1), 한국교양교육학회, 35-37.
홍석민(2022). “4차 산업혁명과 교양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교양교육과정의 개혁 필요성”,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65-79.
Witkin, B. R. Altschuld. J. W., & Altschuld, J.(1995).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CA: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