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I. J, Lee, J. J, Jo, S. T, Jang, Y. A, Heo, J. N(2018). A sustainable operation plan for school gardens - Based on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garden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 36-48.
[최이진, 이재정, 조상태, 장윤아, 허주녕. (2018). 학교 텃밭의 지속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의 학교 텃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6(4), 36-48.].
Choi, Y. A(2003). Horticulture therapy Hak Ji Sa.
[최영애. (2003), 원예치료. 학지사.].
Chun, H. S(2011). Ecological transition of modern civilization - Crossing of ecology &civilization:Super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alism &pluralism,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1:241-288.
[전홍석. (2011). 현대 문명의 생태학적 전환 - 생태와 문명의 교차점: 보편주의와 다원주의의 회통. 동서철학연구, 61, 241-288.].
Hong, T. H(2021). Transition to ecological civilization and theological perspective:Focus on organic philosophy and thomas berry, Theology and Philosophy 38:147-173.
[홍태희. (2021).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과 신학적 전망: 화이트 헤드의 유기체 철학과 토마스 베리의 지구학을 중심으로. 신학과 철학, 38, 147-173.].
Jang, D. H(2007). Study on farming status and continuation possibility of urban agri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Jeonju-city,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5(4), 79-102.
[장동헌. (2007). 도시농업의 영농실태와 존속 가능성 모색 - 전주시를 사례로. 지역사회연구, 15(4), 79-102.].
Kim, B. K(2023). The formation and theoretic basis of the ecological discourses of the green review,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58:10-44.
[김보경. (2023). 1990대 녹색평론의 생태 담론의 형성과 이론적 기반. 여성문학연구, 58, 10-44.].
Kim, H. R, Lee, E. A, Yang, M. S(2016). A case study on practical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 value of “sharing”- Focusing on <Share Leadership>curriculu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415-446.
[김혜령, 이은아, 양민석. (2016). ‘나눔’ 가치에 기반한 실천형 인성교육 사례 연구 - 이화여대 <나눔리더십>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3), 415-446.].
Kim, H. S, Song, H. S(2013). Analysis of attitude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toward work through school garden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19(4), 103-127.
[김희정, 송현순. (2013). 학교 텃밭 체험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일에 대한 태도 변화 분석. 실과교육연구, 19(4), 103-127.].
Kim, J. C(2019). From modern civilization to ecological civilization, Greenreview 168:2-21.
[김종철. (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녹색평론, 168, 2-21.].
Kim, O. K, Kim, T. J, Kim, H. B(2011). A study on the conditions and suggestions of the gardening education - Questionnaire survey to the citizen and professional participa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3), 37-47.
[김오경, 김태진, 김학범. (2011). 국내 가드닝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민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3), 37-47.].
Lee, E. A(2015). General education and social imagin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63-91.
[이은아. (2015). 교양교육의 방향과 사회적 상상력: 이화여대 <나눔리더십>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학 연구, 2, 63-91.].
Lee, H. Y(2012). Development status of the convergent subject in general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 direc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4), 263-292.
[이희용. (2012). 한국대학의 교양교과목 개발의 실태와 방향성 고찰. 교양교육연구, 6(4), 263-292.].
Lee, J. S(2008). Culture ecology of openness and communication, Keimyung University Press.
[이재성. (2008). 열림과 소통의 문화생태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Leopold, A(2020). A sand county almanac, Danam.
[알도 레오폴드(2020). 모래 군의 열두 달 그리고 이곳 저곳의 스케치. 따남.].
Lerner, G(2004). The creation of patriarchy, Dangdae.
[거다 러너. (2004). 가부장제의 창조. 당대.].
Park, E. Y, Kwon, J. E(2021). A case study on linking an extracurricular program with a liberal arts curriculum through the work-oriented and ecolog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2), 141-158.
[박은영, 권정언. (2021). 노작⋅생태 교양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사례 분석 - J대학 <키움과 나눔>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9(2), 141-158.].
Rousseau, J. J(2012).
Emile complete edition, Yook Moon Sa.
[장 자크 루소. (2012). 에밀 완역판. 육문사.].
Seo, D. S(1997). Korean mythology, Jip Moom Dang.
[서대석. (1997). 한국의 신화. 집문당.].
[서울시 도시농업과. (2019. 6. 12.). 서울시, 대학 ‘도시농업’ 정규 교양과목 개설 지원사격. https://news.seoul.go.kr/economy/archives/502954]
Yoon, G. B(1998). No weeds, Bori.
[윤구병. (1998). 잡초는 없다. 보리].
Yoon, I. J(2012). Ethnic education, civic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injok Yeonku 50:4-22.
[윤인진. (2012). 민족교육, 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민족연구, 50,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