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선숙(2022). “메타버스(Metaverse) 기반의 한국어 교과목 설계에 관한 가능성 탐색 연구”,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289-305.
류선숙, 김민경, 전형길(2021).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55,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71-299.
박지혜(2021).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 차세대 콘텐츠 산업의 방향과 시사점”, KIET, 21-30.
박진철(2021).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언어문화학 18(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7-146.
심은지, 유훈식(2019). “가상현실 매체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97-515.
양은별, 류지헌(2019).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와 교사 아바타가 학습실재감과 시각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29-1653.
유갑상, 전긍(2021). “메타버스 기반의 게임형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377-1386.
윤헌준(2021). “메타버스 시대로의 원격수업: 새로운 상호 작용 및 소통을 향하여”, 기계저널 61(8), 대한기계학회, 49-54.
이승환⋅한상열(2021). “메타버스 비긴즈: 5대 이슈와 전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슈리포트 116.
이현정(2021). “AI시대, 메타버스를 아우르는 새로운 공감개념 필요성에 대한 담론”,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1(3), 한국게임학회, 79-90.
임선희, 홍세훈(2021).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과제가치와 실재감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87-397.
장지영(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연구 : 게더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32(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9-301.
정희정(2021). “교사의 관점에서 영어교육과 증강현실 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실증연구: PPM 이론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4(2),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06-129.
주월랑, 강병헌(2022).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한국어능력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31-246.
천승미(2021). “혼합영어학습모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언어과학연구 99, 언어과학회, 145-167.
황경화, 정주연, 권오병(2021). “메타버스 지속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충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경영정보학회, 43-46.
황요한(2021). “메타버스로의 초대, 새로운 교육공간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에 관한 고찰”, 언어교육 37(3), 언어교육학회, 377-389.
홍희경(2021).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 융합 43(9), 한국문화융합학회,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