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명구, 김지현(2010). “한국 대학의 학사구조 변화와 기초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의 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1(2), 327-361.
권현용(2019). “대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 및 인식”, 교양학연구 6(1), 109-132.
김남희, 정미애(2018).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교양교육연구 12(6), 41-66.
김영숙, 이경옥(2008). “대학생들의 교양강좌에 대한 인식조사: 소비자교육 교양강좌 개설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4), 149-162.
김은주(2019).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대학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5), 247-258.
김은주, 성명희(2017).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보건업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121-145.
김현수, 이지선(2020). “‘좋은 교양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연구”, 교육논총 40(4), 171-188.
노혜란, 박선희(2021). “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교양과목 특성 및 만족도 탐색”, 교양교육실천연구 5(1), 47-68.
민웅기(2022). “불확실성 시대의 근대적 사고체계 부활과 대학교양교육의 재귀적 논의: 분열적 문화구조에 대한 해석”, 교양기초교육연구 3(2), 5-40.
박일우(2020). “교양기초교육의 성찰과 새로운 방향”, 교양기초교육연구 1(1), 21-50.
박주호, 유기웅(2014).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8(2), 43-82.
방극철(2019). “한국과 일본의 대학 교양교육에 관한 대조연구: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관한 인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일본어교육 88(2), 27-45.
배상훈, 박정하, 한송이, 황수정, 이규린(2017).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개발”, 교양교육연구 11(1), 407-442.
배상훈, 변수연, 이수정(2021). “학생 관점에서 살펴본 대학 교육의 가치와 교양교육이 나아갈 길”, 2022 한국교양교육학회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343-352.
백승수(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13-51.
백승수(2020a).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11-23.
백승수(2020b). “교양교육의 학문적 관계망 또는 학문적 지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양교육연구 14(6), 11-23.
백평구(2012).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6(1), 431-466.
서남수(2010).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4(2), 1-18.
손동현(2019). 대학교양교육론, 서울: 철학과현실사.
손동현, 박주호, 유기웅, 정종원(2012). “대학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종합적 분석 연구(Ⅱ)(RR2013-25-471)”, 서울: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송하석(2019). “기초학문 중심의 교양 교육: 교양을 교양답게”,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0-35.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2020).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A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217-231.
염철(2011). “대학 교양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경북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13-223.
윤우섭(2017). “교양교육 컨설팅의 성격: 그 취지와 내용”, 2017 상반기 대학교양교육 컨설팅 설명회 자료집, 1-12.
윤지원, 한진희(2020). “C대학교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인문사회21 11(6), 1001-1012.
이보경, 김은경, 이재성(2010).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문제연구 38, 1-23.
이상규(2018). “교원 정체성에 대한 교육현장의 조망”, 한국교원교육학회 제73차 연차학술대회, 153-167.
이수인(2017).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합신학 대학교를 중심으로”, ACTS신학저널(N/A) 31, 75-107.
이숙정, 이수정(2012).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79-394.
이운지(2020). “전문대학 교양교육 모델 제안을 위한 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교양학연구 12, 197-226.
이정옥(2017). “교양교육 운영체계의 실태와 개선방안: S대 교양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5), 481-517.
이하준(2021). “교양교육 이념, 목적, 가치에 관한 사유의 갈래들”, 2021 한국교양교육학회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70-85.
정선호(2016).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10(4), 283-310.
정인모(2016). “바람직한 교양교육 기관의 요건과 유형”, 교양교육연구 10(3), 211-225.
조남민, 손달임, 황미경(2022).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16(2), 31-48.
주현재(2013).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발전방향: 교양교육 운영 현황과 교수요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4), 315-342.
최문기(2016).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연구”, 교양교육연구 10(3), 325-348.
최화숙(2016). “핵심역량에 근거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 243-250.
하병학(2008). “교양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정과 과제: 가톨릭대학교의 사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5-63.
Hatch, J. A(2002).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Suny Press.
Kinzie, J, Magolda, P, Kezar, A, Kuh, G, Hinkle, S, Whitt, E(2007).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multi-investigator multi-institutional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54(3), 469-482.
Marcia, J. E(196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identity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551-558.
Merriam, J. B(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y-Bass.
Schwartz, S. J(2005). “A new identity for identity research”,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0(3), 293-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