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우, 정진원, 손누리(2018).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국민태도 결정요인”, 한국사회연구 52(2), 115-158.
김영환, 김선영, 정지언(2012).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와 개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교사교육연구 51(3), 423-439.
김영환, 손미, 김선영, 이승진(2014). “예비교사의 공적개발원조와 개발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교사교육연구 53(1), 47-63.
김은주, 이환성(2019). “공적개발원조(ODA) 국별평가의 메타평가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1), 81-113.
김정숙, 조혜영, 이덕난, 이태주(2014). 청소년 국제개발협력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김정숙, 조혜영(2015). “청소년의 국제개발협력 인식 및 참여 실태”, 미래청소년연구 12(2), 89-109.
김진희(2015).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시민교육연구 47(1), 59-88.
김진희(2017). 글로벌시대의 세계시민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박영 story.
이경선, 김주현, 한성민(2016). “인천광역시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인천지역 대학생 인식조사”, IDI도시연구 (10), 231-267.
이숙정(2017). “고등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와 개선방안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연구 7(10), 433-443.
이양수(2014). “지구촌개발협력의 이해와 실천 교양과목이 대학생들의 공적개발원조(ODA)태도에 미치는 영향: 준실험설계를 통한 평가”, 한국지방자치연구 20(2), 181-202.
임형백(2014). “한국공적개발원조(ODA)의 전개와 과제”, 한국정책연구 14(1), 73-102.
정슬기(2018). “대학생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교양교육연구 12(2), 89-107.
정우진(2010). “한국 개발 협력 모델”, 국제개발협력연구 5(1), 69-91.
지희진(2013). “대학 교양 인성 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 탐색”, 교양교육연구 7(5), 433-466.
콩도르세, 마르퀴 드(2019). 인간 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 서울: 책세상.
황원규(2019).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향후 과제와 전략”, OECD DAC 가입 10년, 성과와 전망, 25-38.
Collier, P. (2007). The Bottom Billion, Oxford University Press.
Conover, ., Pamela J, ., & Virginia Sapiro, . (1993). “Gender, Feminist Consciousness, and War”.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7:1079-1099.
Nelly P, Stromquist., Karen, ., & Monkman, . (2000). “Defining Globalization and Assessing its Implications for Knowledge and Education, Revisited”. Nelly Stromquist, Karen MonkmanGlobalization and Education:Integration and Contestation across Cultures, 1-19.
Rowman &Little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