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7(4); 2023 > Article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대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바탕으로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대학생의 현장실습 프로젝트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과 현장실습 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의 4년제 대학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 6명이다. 수업 운영은 15주간으로 문화예술교육현장 이해와 탐색, 현장실습 준비 및 계획, 현장실습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별면접과 포커스그룹면접(FGI)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자신감 향상이 확인되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인성 함양으로 발현이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각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진로와 취업 의사결정에 비전을 품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자신감 고취 및 인성을 함양하는 실천의 동기부여가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교양교육으로서의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문화예술교육 분야로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은 직무역량 교양과목을 운영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earning by analyzing program development plans and field practice effects through college students’ field practice project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the community based on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Fiel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t aims to elevat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students who took the liberal arts course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Class operation was conducted for 15 weeks, understanding and exploring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preparation and planning for field practice, and field practice project. As for the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confirmed that self-confid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programs for field practice and case analysis in cultural arts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rough cultural arts education field practice project activities,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found their identity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and developed character. Thir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imprint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helped them to have a vision for career and employment decision-making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llege students were motivated to practice cultivating their character and instilling confidenc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s programs. In addition, awareness of cultural arts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a liberal arts education has increased, and interest in career and employment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ultural arts education field’ in cultural arts edu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operating job competency liberal arts courses.

1. 서론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는 것으로 대변되는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새로운 삶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을 기반으로 지향하는 미적 감수성 함양과 창의성 육성, 정서 함양을 통해 모든 사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적 차원의 문화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황연주, 정연희, 2004)할 수 있다. 이는 예술교육을 수단으로 활용하여 문화 창조력 및 문화 향유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으로, 예술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반면, 뉴노멀 시대를 경험한 4차 산업혁명 속에서 대학은 지식을 넘어 역량과 교양에 주목하였고, 혁신적인 교육환경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손종현, 2022; 한국교육개발원, 2020).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문화예술교육이 삶의 중심적 가치로 확인하였고, 이에 따른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한 것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도입하게 된 문화예술교육사의 자격제도는 문화예술 전문성을 기반으로 우수한 인성과 자질을 갖춘 교육자를 배출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문화체육관광부, 2014)는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국민 행복실현,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전략과 핵심과제를 발표하면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추진하였다(이주연, 2012). 김인설 외(2014)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국가적으로 도입하게 된 배경에는 문화 복지의 실현, 예술인 일자리 창출, 효율적 문화예술교육 인력의 역량강화, 관리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김선아(2016)는 기존 예술 강사제도를 기반으로 국가자격 제도를 도입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인력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획득하며,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인력 양성기관을 확장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출발하여 직업으로서 문화예술 전문가의 양성을 추진하고자 한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자격요건을 보다 명확히 하여 사회적 신뢰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활동 근거와 위상을 재고하여 관련 인력의 자긍심과 자존감을 고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국제화, 다양화 시대를 맞아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기관을 다원화하는 데 있다(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고 보았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과정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공신력 확보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사의 현장실습을 이수해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운영방안 및 교육 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권남희 외, 2017). 현장실습은 교육과정 중에 습득한 이론과 원리 및 기술을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해보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 개선하여 내면화시킴으로 직업능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사가 되기 위한 종합적 체험 및 실험과정이라 할 수 있다(장덕삼 외, 2002).
이처럼 현장실습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들에게 교육과정을 통해 배운 이론과 실무를 현장에 적용해보고 자신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된다. 또한 이론과 현실의 차이를 확인하는 기회이자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현장경험으로 체험의 기회가 된다. 지역사회의 실습 기관은 실습생들을 관리하면서 제도에 대한 이해 및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으로의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관내 문화예술교육사 배치를 숙고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다(권남희 외, 2017, p. 57).
이상의 논의를 기반으로 요약하면 대학의 문화예술교육 양성과정은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의 교양 교과목에서 현장실습을 위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기능적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 이는 대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경험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봄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 할 수 있는 체험의 기회로 의미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문화예술교육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5)에서는 창의적 인재양성의 계획으로 예술교육을 강화하고 있고 공통으로 문화예술이 다른 일반 과목들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김종백(2010)은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 창의성의 제고를 들고 있으며, Gardner(1993)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누구에게나 있는 작은 창의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개발하게 함으로써 개개인이 만족한 삶을 누릴 수 있게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또한, 문화와 예술은 인간의 내면세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서적 안정을 가져오는 적절한 활동이 된다(강은영, 최미숙, 2014)는 것이다. 즉, 인간은 아름다운 음색과 그림에 관심을 보이며 여러 가지 음악이나 예술작품을 직접 몸으로 표현해 보는 등 음악, 미술, 동작 등과 같은 예술 활동을 통해 정서적 표현과 안정감을 갖는다. 따라서 예술은 모방에서 기능으로, 기능에서 내면의 정서를 표현하며 정화적 기능이 더해져 정서적 감수성을 길러 정서적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김명순, 조경자, 1998). 강은영과 최미숙(2014)은 예술의 창작과 향유, 예술을 통한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이해를 통해 문화예술을 즐기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는 문학, 미술, 음악, 연극, 신체표현, 영상, 사진 분야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 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영역 내 통합, 문화예술 영역 간 통합, 문화예술 영역과 사회, 과학 등과 같은 다른 영역과의 통합을 구성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을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실습에서 적용하는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대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경험 효과를 분석하여 직무역량 교양과목을 운영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교육과정

2.1.1.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도입배경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도입배경은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후,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이 확대되고 문화예술교육 인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사 도입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경로를 다양화하고 법령에 자격을 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인력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자 2012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개정을 통해 자격제도를 도입하였다.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제2조제5호)에서는 ”문화예술교육사란 문화예술교육 관련 교원 외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법에 따라 자격이 부여된 사람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문화예술교육사는 예술가로서의 전문성과 교육가로서의 역량 및 자질을 갖춘 전문인력을 의미하는 국가 자격이다.
이러한 배경은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자격요건을 더욱 명확히 하여 사회적 신뢰 기반을 구축한다. 이는 활동 근거와 위상을 재고하여 관련 인력의 자긍심과 자존감을 고취할 수 있는 것으로 국제화, 다양화 시대를 맞아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기관을 다원화(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하는 데 있다.

2.1.2.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운영

문화예술사 교육과정은 2011년 12월 30일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고 2012년 공포⋅시행된 후, 여러 개정과정을 통해 현재까지 시행 운영되었다. 문화예술사 자격제도 도입에 따라 2014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 개정되면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역량 및 자격 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을 보면 예술전공자로서 관리자 역량, 지역전문가 역량, 통합문화예술교육 역량, 네트워크 활용 역량, 행정 역량 등이 필요(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예술 강사가 하던 일에 전시, 행사 기획,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생 관리, 대외 마케팅 및 경영지원 업무가 추가된다(강성룡 외, 2012).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는 문화예술가로서 개인의 전공 예술 분야에만 국한하지 않고 예술교육 실천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로서 수행할 역량이 요구된다(최은아 외, 2022, p. 140).
문화예술교육사 2급 과정은 2016년부터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현장에 대한 이해와 연계성, 자격과정에 대한 홍보 및 타당성 검증 과정을 위해서, 현장실습 관련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예술교육은 기본적으로 예술적 기술과 교육에 대한 지식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문화예술교육사는 예술적 전문성과 교육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예술교육을 실행하는 전문가로서의 교수역량과 인성과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는 요구를 받게 된다(최은아 외, 2022, p. 140).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은 수강하려는 학생들의 배경, 수준과 관심 등을 고려하여 교과 내용과 교수 방법 등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질적 수준 확립의 기회를 갖게 된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이 전문성과 정체성을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들이 요구되는(조희선 외, 2018) 것이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의 직무역량 중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은 교육이론과 원리를 교육현장에 실제 적용해봄으로써 타당성 검증 및 개선, 내면화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것은 2016년부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과정으로 보완된 것으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실습과정이라 볼 수 있다(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의 개요와 목표는 <표 1>과 같다.
<표 1>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 개요와 목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개요 • 2급 문화예술교육사가 교육이론과 원리를 교육현장에서 실제 적용해보고 그 타당성 검증, 개선, 내면화시키는 데에 목적임
•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응하고 창의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종합적인 체험 및 실습 과정임
• 교육현장에 대한 조사, 분석의 과정을 통해 교육대상의 요구파악, 문화예술교육현장에 적절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선정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
• 자체평가서 작성과 자신의 교육 실천 반성과 개선하는 문화예술교육사의 태도를 형성함
목표 • 문화예술교육사 2급으로 현장에 배치 시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체험 및 실습을 목적으로 한다.
• 문화예술교육 이론을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 실천하는 능력을 기른다.
• 예비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로서 문화예술교육 영역에서의 교육활동을 경험한다.
•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적성과 능력에 대한 자기 성찰과 평가의 기회를 가진다.

2.2.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현장실습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의 현장실습은 현장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기관에 이루어지는 수업 참관 및 수업 실행 등의 실무경험으로 맞추어 진행된다. 교과목의 15주 교수 요목 내용은 문화예술교육현장 이해와 탐색의 사전교육, 현장실습 준비 및 계획, 현장실습 수행, 사후평가의 현장실습 및 성찰의 순으로 구성된다(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이에 황정옥(2017)은 문화예술교육사 2급 과정의 실습교과 운영에 대해 관찰과 분석을 핵심활동으로 하는 관찰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을 하는 수업실습 등에 두었으며, 교육기관은 지역사회 시설 현황을 고려한 적절한 방식을 택하여 실습과정을 운영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운영은 4주간으로 총 8시간 이상을 실시하며 1일 한 장소에서 2시간을 인정한다. 실습은 필수이며, 실습은 성적산출 및 학점부여 이전에 종료해야 한다. 실습 근무시간은 09:00~18:00 내에 진행하며 상황에 따라 야간 및 주말 시간이 가능하다. 실습기관은 공연장, 미술관, 도서관, 지역아동센터 및 기관형 교육기관 및 단체형 교육기관 외 민간 예술교육기관이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의 운영 및 실습기관은 <표 2>와 같다.
<표 2>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 운영 및 실습기관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실습 운영 ∎현장실습
• 최소 4주간(최소 4일, 총 8시간) 이상 실시
• 1일 한 장소에서 2시간 인정
• 실습은 필수조건
• 실습은 성적산출 및 학점부여 이전에 종료
• 통상적인 근무시간(9:00~18:00)내에 진행
• 상황에 따라 야간 및 주말 시간 가능
∎교육과정 수업 운영체계
1~5주차 6~9주차 10~13주차 14~15주차
문화예술교육
현장이해와 탐색
현장실습
준비 및 계획
현장실습
실행
현장실습
평가
실습기관 공연장, 미술관, 도서관, 문화의 집, 전수회관, 지역아동센터, 노인복지센터, 청소년기관, 어린이집 외 교육기관, 기관형 교육기관, 단체형 교육기관 등 그 외 민간문화예술교육 기관

2.3.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문화체육관광부(2018)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종합계획으로 지역 기반의 생태계 구축과 수요자 중심 교육의 다각화, 문화예술교육 기반 고도화, 추진과제 및 전략에 대해 제시하였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의 목적과 가치적 모호함으로 인해 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이 드러나게 되었다.
유아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적, 사회적으로 아직 개념화되지 않은 시기인 유아들에게 유아의 정서 및 표현력 발달, 전인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화된 유아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아 보육 기관에서는 단일교과와 영역으로 내용과 체계만 존재할 뿐, 종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체계적인 접근방식에 대한 방법이 부재한 실정이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은 방과 후에 지역아동센터 외 여러 문화센터 기관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마다 문화예술교육 행정 체계를 마련하고 지역별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예술교육 지원에 대해 다양한 방안을 내놓는 실정이다. 문화예술교육 전문기관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국 문화기반시설과 연계하여 문화예술교육 지원에 대한 다양한 지원 사업 추진(문화체육관광부, 2018)을 밝히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교육양성기관에서는 현장실습 학생에게 전문적 지식, 기술, 경험 등을 제시한다. 실습생은 자신의 전문성을 확인하여 적성과 자질을 살피고 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태도를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실습처 기관은 교육양성기관 협약에 따른 실습처 혹은 개별 섭외에 의해 선정할 수 있다. 현장성을 강조(권남희 외, 2017, pp. 62-63)한 연구자의 따르면 실습생, 교육양성기관, 현장실습기관 간의 협력과 책임에 의한 현장실습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에게 예술경험으로 유아의 정서 및 표현력 발달, 전인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문화예술교육을 유아기관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방안과 현장실습 경험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2.4.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습자의 능동적 탐구를 통해 심층적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듀이의 통찰에 기반하고 있다(박영주, 박진희, 2023, p. 228).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복합적이고 실제적인 질문과 과제에 집중된 탐구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게 하는 체계적인 교수방법이다(Blumenfeld et al., 1991, p. 369; DeFillippi, 2001, p. 5). 프로젝트 활동은 팀을 기반으로 구성원 간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수행하는 과정이므로 학습자들은 서로 협력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활성화한다(장경원, 2020, p. 778).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깊이 있는 개념의 이해, 지식 개념의 확장, 상호작용을 통한 인간관계와 사회성 및 창의성의 향상, 테크놀로지 활용 기술의 발달, 리더십 역량 함양, 글쓰기 기술의 향상, 발표를 통한 느낌 또는 의사 표현의 발전 등 핵심역량을 직간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박영주, 박진희, 2023, p. 228). 학습자들은 과제 수행을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학습하여 실천하기 때문에 지식습득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력, 협동학습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Barron et al., 1998, p. 273; Blumenfeld et al., 1994, p. 371). 이러한 학습의 과정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 자기주도적 실천의 중요성, 다양한 자원의 사용, 최종 보고서 발표 등의 역량을 내재화(Flores-Fuentes & Juárez-Ruiz, 2017, p. 79; Jone et al., 1997, p. 201)하게 되므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역량 강화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논의되고 있다. 대학교육에서도 교수학습의 질적 변화에 대한 높은 기대를 반영하듯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관련한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박영주, 박진희, 2023, p. 228).
이상을 근거로 프로젝트 활동은 팀을 기반으로 구성원 간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는 과정으로 상호작용을 통한 인간관계에서 ‘인성’은 실천하는 경험에서 의미가 크다. 즉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내면을 바르게 하고 타인⋅공동체와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교육부, 2020, p. 11) 것으로 핵심가치는 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이다. 핵심역량은 지식, 의사소통능력, 갈등 해결능력이 통합된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으로 문화예술교육 지식 개념의 확장, 상호작용을 통한 인간관계, 사회성 및 창의성 향상, 토의 및 발표, 의사 표현 발전 등을 제시한다. 학생들은 현장실습 프로젝트 과제 수행을 위해 스스로 계획과 연구의 필요성, 자기 주도적 실천의 중요성, 다양한 자원의 사용 등이 구성된다. 이에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협동능력 등을 골고루 겸비한 인재를 필요(강향숙, 2016b, p. 352)로 하는 역량은 직간접적으로 향상되는 과정을 발견할 것이다. 인성 함양은 인간관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의 인성 핵심가치를 반영하여 인성 함양의 실천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2.5.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국내⋅외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문헌 및 자료를 수집한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교사역할 등은 문헌의 공통된 요소를 추출하여 분류된 작업을 거쳐 의미를 도출한다.
프로그램개발 목표는 유아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일상에서 아름다움에 관심을 가지고(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예술 경험을 통해 사회적으로 서로 소통하고 나와 다른 사람의 예술표현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된다. 누리과정 목표는 첫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심미적 태도를 기른다. 둘째,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력을 기른다(강은영, 2013). 셋째,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문화예술 향유를 즐긴다.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내용으로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해 보는 경험을 다른 사람과 함께 즐기며 서로 소통하고 느낌을 공유하는 경험을 중심으로 한다. 예술 활동은 아름다움에 관심 가지기이며, 예술적 표현은 문학, 미술, 음악, 신체표현, 사진, 교구 활동 내용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직접 표현하고 그 과정을 즐긴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 원리로 자발성 통합, 흥미, 경험, 예술성, 소통의 원리이다. 교사와 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교수⋅학습의 질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 문화예술 영역 간의 통합은 문학과 미술, 음악과 신체표현, 음악과 미술이다. 교수-학습 단계는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문화예술적 기반으로 동기유발, 창의성 유도, 평가의 3단계 과정으로 구성한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실습기관 실습담당자의 프로그램 평가, 실습 학생평가 등이 있다. 실습 학생의 자기평가는 자신이 준비하고 실행한 수업이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평가한다. 문화예술 활동과정은 결과에 대한 관찰 및 면담, 작품,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정보로부터 유아의 발달과 흥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다음 활동의 자료와 방법을 계획하고 선정하기 위해 평가한다(강은영, 최미숙, 2014).
교사역할은 예비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교사이다. 현장실습 교사는 예비문화예술교육사로서 참여자이자, 관찰자, 프로그램 진행자이다. 예비문화예술교육사는 전문적인 예술역량을 갖고 자기 자신을 예술가로서 자각하는 일이 요구된다. 예비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교사는 유아와 함께 아름다움을 느끼며 예술적 경험을 하면서 함께 성장하는 역할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문화예술교육사의 예술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체계화(이주연, 2012)하여 학생들의 배경, 수준과 관심 등을 반영한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역량개발의 교육환경을 제공한다. 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서 대상 선정은 유아 만3~4세이다. 이 시기에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함께 어울리는 놀이가 가능해지고 상상력이 풍부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때 예술 경험은 유아가 자신의 친근한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 음악, 움직임 등이다. 유아는 음악을 즐겁게 경험하고, 경험한 것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기회를 통해(강향숙, 2016a, p. 4) 아름다움을 느끼고 탐색하며, 창의적인 표현을 즐기는 활동으로 문화예술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업전략은 프로그램명, 문화예술 구성요소, 누리과정 및 요소, 목표, 활동대상 및 활동시간, 회차별 주제와 준비물 등을 구성하여 진행한다. 팀 구성원으로서의 학생들은 문화예술 영역 내 통합을 중심으로 현장실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고 이를 현장실습에 적용한다.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S시 S지역의 4년제 대학이며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은 직무역량 교양강좌에서 개설하였다. 수업을 수강한 학생은 18명으로 현장실습은 한 팀당 6명으로 3개 팀이며, 그 중 1개 팀이 선정된 것으로 팀원 6명이 연구대상이다. 면담과 포커스그룹인터뷰(FGI)는 수업을 수강한 모든 학생에게 요청하였으며, 수업에서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에서 성실히 수행한 모든 학생에게 인터뷰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 중 인터뷰에 응한 1개 팀 6명을 대상으로 면담과 FGI를 진행하였다. 이전에 본 연구는 21년도의 실행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현장실습이 어렵게 된바, 23년 1학기에 코로나19로부터 안정권에 접어들면서 대면수업과 실습 기관에서의 현장실습이 가능하여 실행연구를 재착수하였다. 수업에서 학생들은 팀 구성원과 함께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 과정에서 전문가의 피드백 검증단계를 거쳐 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장실습 현장에서 어려움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수업마다 프로그램 개발 전 과정을 점검하였으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업에 반영하였다.

3.2. 자료수집

3.2.1.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설계

본 연구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설계는 문화예술교육현장 이해와 탐색, 현장실습준비 및 계획, 현장실습 및 성찰의 3단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와 황정옥(2017)의 관찰과 분석의 관찰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의 수업실습 등을 반영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의견수렴을 반영하여 본 연구자가 현장실습 프로젝트에 맞게 수업 설계를 재구성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 설계는 <표 3>과 같다.
<표 3>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수업 설계
주차 핵심 영역 수업내용
1 문화예술교육 현장이해 및 프로그램 기획-설계 강의소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실습


2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현장실습 기관 모색 1 / 팀 구성


3 학교문화예술교육 현장 사례연구 및 분석 현장실습 기관 모색 2 / 팀 프로젝트 구성


4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 사례연구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이해와 이론 접근 현장실습 기관 모색 3 / 현장실습 프로그램 기획


5 현장실습 프로그램 설계 현장실습 기관 확정

6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 0 현장실습기관-사전방문


7 현장실습 프로그램 실행 피드백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ㅣ


8 현장실습 프로그램 실행 피드백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II


9 현장실습 프로그램 실행 피드백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III


10 현장실습 프로그램 실행 피드백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IV

11 현장실습 성과보고 및 평가 현장실습 프로그램 평가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Ⅴ 현장실습기관-사후방문


12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성과보고 종합발표


13 문화예술교육 분야 진로 및 취업 특강


14 문화예술교육 개별상담


15 기말평가

3.2.2. 현장실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실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 팀 구성원은 6명의 예비문화예술교육사이다. 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구성은 프로그램명, 문화예술 구성요소, 누리과정 및 요소, 목표, 활동대상, 활동주제, 활동시간, 준비물 등이다. 회차는 1회차~4회차, 대상은 만 3~4세이며, 문화예술 영역 내 통합은 미술, 음악, 동작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은 팀원들과의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거치면서 반복적 수정⋅보완으로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학생들은 현장 전문가와 프로그램 교육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본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이 제작한 현장실습을 위한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안 예시는 <표 4>와 같다.
<표 4>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안 예시
프로그램명 리듬타 컵타! 함께 올라타!
대상 만3~4세 문화예술 구성요소 미술, 음악, 동작
누리과정연계 환경과 생활 누리과정요소 예술경험, 사회관계, 신체운동
목표 • 재활용 컵타를 만들어 탐색해 본다.
• 컵타악기를 만들어 리듬치기를 즐긴다.
• 소리에 관심을 가진다.
• 공연예술을 통해 예술경험을 즐긴다.
1 회차 컵아, 나랑 친해질래? 준비물 플라스틱재활용컵, 라벨지, 유성색상펜
2 회차 컵타리듬놀이, 함께하면 어렵지 않아! PPT자료, 컴퓨터, 스피커엠프, 직접꾸민컵
3 회차 컵타리듬놀이 내 마음대로 해볼까? PPT자료, 컴퓨터, 스피커엠프, 동요
4 회차 컵타리듬합주 함께 해보자! 즐거움을 나누자! 공연발표, 포스터제작, 리플렛, 리듬합주, 스피커엠프, 감상카드

3.2.3. 현장실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적용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은 S시 S지역의 국공립 어린이집 A기관이다. 학생들은 현장실습을 위해 팀 구성원들과 함께 직접 연구하여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습기관에 적용하였다. 활동한 기간은 총 4회로 2023년 04월 14일~05월 02일까지이며 2시간씩 총 8시간으로 구성하였다. 6명에게 주어진 역할 담당을 성실히 수행한 결과 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학생들이 제작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현장 전문가와 교육전문가의 검증을 받아 현장실습에 적용하였다. 1회차~4회차 중 4회차를 선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생의 4회차 프로그램 교수-학습안 예시는 <표 5>와 같다.

3.3. 자료분석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경험 효과에 대한 자료수집은 학생들의 면담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면담은 참여자 학생들과 반구조화 또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가지고 대화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참여자 학생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질문하는 것에 자유롭게 표현을 하였다. FGI(Focus Group Interview)는 참여자 스스로 자신과 다른 관점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 장점으로 소수의 응답자와 공통된 경험주제를 갖고 상호작용으로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정진원 외, 2013, p. 89; Vaughn, et al., 1996). 또한 FGI는 수치화된 정량적 방법과는 다르게 대화를 통해 심리적 상태를 알 수 있는 정성적 방법으로 장점이 된다.
본연구에서는 래포(rapport)가 형성되어 있는 연구자가 진행하여 연구참여자의 심리적인 차원을 이해할 수 있었고, 공통된 경험주제를 갖고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장점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FGI 질문 영역은 프로그램 적용사례,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에서의 인성함양,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진로취업에 대한 비전 등 3개 영역으로 하위 세부 영역에는 완성도, 구체성 및 관련성을 알 수 있도록 세부 문항을 구성하였다.
자료수집 과정은 연구참여자로서의 학생들에게 연구의 목적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안내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 동의함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현장실습 경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면담과 FGI의 전 과정은 녹취 후, 전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제와 단어들을 도출하는 개방코딩 관련 범주화 작업을 거쳐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범주화 개방 코딩은 연구 질문의 답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정하게 되는(Merriam & Tisdell, 2015) 것으로 하였다. 문항에서 1~3번은 현장실습에서 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 질문이다. 문항 4~7번은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에서 나타난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인성 함양 실천에 대해 체험한 질문이다. 문항 8번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변화의 중요성 및 진로와 취업에 관한 질문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 대한 요인 분석 및 해석에 관한 타당성을 위해 외부전문가 2인의 공동 분석을 근거로 하였으며, 검토자 3인의 의견을 수정⋅보완하여 결과물을 채택하였다. FGI 인터뷰 문항 내용은 <표 6>과 같다.

4. 연구결과

4.1.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사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은 총 4회로 2023년 04월 14일~05월 02일까지 2시간씩 총 8시간으로 현장실습이 진행되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전후 비교 결과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4.1.1. 현장실습에서 프로그램을 적용한 첫 경험

예비문화예술교육사 학생들의 팀 구성원 6명은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과정을 성실히 습득해 나갔다. 프로그램개발 과정은 프로그램의 이론적 접근과 현장실습 사례 관련 연구논문과 프로그램 사례집, 동영상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현장 전문가와 교육프로그램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보완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받아 프로그램 개발을 완성하였다. 팀 구성원이 직접 개발한 현장실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역사회 국공립 어린이집 A 기관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첫 경험은 실습생 스스로에게 경험 효과에 대해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의 떨림, 프로그램의 자신감, 프로그램 활동의 뿌듯함, 프로그램의 자부심, 창의성 증진, 잠재력 발견 등으로 긍정적인 경험 효과로 언급되었다. 학생들이 제작한 프로그램 적용의 첫 경험은 <표 7>과 같다.
<표 5>
학생의 프로그램 교수-학습안 예시
활동일시 2023년 5월 2일, 날씨: 맑음 대 상 만 3~4세
프로그램명 리듬타! 컵타! 함께 올라타! 회 차 4회차 / 총 4 회차
문화예술 구성요소 미술+음악+동작 총소요 시간 10:00~12:00 (120분) 활동전후 준비진행
학습주제 컵타 리듬합주 함께 해보자! 즐거움을 나누자! 활동 시간 (40) 분
학습목표 공연발표의 컵타리듬합주와 동요부르기를 통해 자신감을 기를 수 있다.
준비물 교사 컴퓨터(노트북), 컵, 스피커엠프, 카메라, 초대장 샘플
학생 직접 꾸민 컵
교수⋅학습 방법
활동절차 활동계획 및 실행 창의 유의점
인성
도입 ▸반가움으로 함께 인사하기
-T: 여러분 안녕하세요~오늘 아침에 해가 참 밝죠?
▸인사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경험을 얘기하며 유대감을 기른다.
-T: 오늘 드디어 발표회를 하는 날이예요!
▸발표회를 언급하며 공연에 대한 의지를 심어준다.
예절 긴장감을 피한다.
활동시간: (5분)
준비활동-문제발견
학습동기 유발
전개 [활동1] 컵타리듬합주 발표를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갖기
-T: 여러분 발표회를 하기전에 리허설을 할께요.
▸자신감을 갖고 연습을 통해 긴장감을 완화시킨다.
-T: 선생님과 함께 컵타리듬합주 공연발표를 시작해요.
▸유아들이 자신감을 갖고 공연발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T: 연주하는 장면을 한번 찍어볼께요! 준비됐나요?
▸촬영으로 효율성을 증진하고 발표회를 통해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 [활동2] 감상카드 만들면서 미적 감각 기르기
-T: 여러분 너무 고생 많았어요. 연주를 너무 잘 했어요. 너무 대단한걸요?
▸칭찬으로 음악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준다.
-T: 우리가 이렇게 잘하는 것을 엄마아빠께 보여주고 싶지 않나요? 오늘 발표할 때 찍은 영상을 엄마 아빠가 보시도록 감상카드를 만들어 볼거예요.
▸감상카드를 만들며 미적감각을 기르고, 부모님께 오늘 발표한 컵타리듬합주를 보여준다는 기대감을 준다.
협동 연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활동시간: (25분)
중심활동 (창의성 증진) 자신감
활동심화 (인성함양)
정리 ▸즐거운 활동 마무리하기
-T: 여러분, 그동안 잘 해줘서 너무 즐거웠어요~
▸컵타리듬 노력을 인정해주면서 성취감을 심어준다.
-T: 선생님이랑 함께 한 컵타리듬합주 발표 즐거웠나요? 자심감 있게 멋지게 잘 연주 했어요~
▸마무리 인사 밝게 함으로써 아이들이 헤어짐의 감정을 슬프지 않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정리 정돈
활동시간: (10분)
정리활동 문제해결
활동보완
활동 후 평가 학습자 컵타리듬합주 공연발표를 통해 아이들의 자신감이 향상되었는가?
향상된 아이들이 자신있게 컵타 연주를 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고, 그 자세가 매우 적극적으로 보였다. 컵타 연주를 보이며 선생님께 자랑하는 모습도 많이 볼 수 있었다. 여러 긍정적인 태도 등을 통하여 유아들이 컵타연주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진행자 활동 전체에 걸쳐 마무리가 잘 되었는가?
마무리가 잘 되었다. 아이들이 많이 아쉬워했으나 최대한 섭섭하지 않게 잘 달래주었으며, 4주간 걸쳐 진행된 활동이 좋은 추억과 성장의 발걸음이 되도록 긍정적인 인식을 많이 심어주었다. 또한 함께 했던 활동들이 앞으로도 음악적 활동이 있을 때 도움이 많이 되도록 잘 격려하며 마무리가 되었다.
<표 6>
FGI 인터뷰 문항 내용
영역 문항 하위 세부 영역
프로그램 적용 사례 1 현장실습에서 프로그램을 적용한 첫 경험

2 현장실습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문제점

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완성도의 자신감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에서의 인성함양 4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경청’ 체험

5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존중’ 체험

6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배려’ 체험

7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협력’ 체험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진로⋅취업에 대한 비전제시 8 문화예술교육 중요성 인식 및 진로⋅취업 방향
<표 7>
학생들이 제작한 프로그램 적용의 첫 경험
영역 인터뷰 내용
프로그램 적용의 떨림 우리팀이 만든 프로그램으로 만3~4세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 컵타실습은 첫 수업에서 아이들의 열정과 호기심에 감동하였어요. 처음엔 아이들과 함께 저도 떨렸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감이 생기고 참여도가 높아졌어요. (K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의 자신감 유아들이 자신만의 컵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인상적이었어요. 우리가 만든 프로그램으로 첫 진행을 하면서 컵타리듬 놀이경험을 통해 프로그램에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배웠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 활동의 뿌듯함 프로그램 활동에서 유아들의 풍부한 창의력과 상상력을 경험하고 작은 손가락으로 컵을 꾸미는 과정에서 손놀림과 섬세함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프로그램을 만든 것의 뿌듯함을 가지게 되었어요. (L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의 자부심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서로 도와가며 문제를 해결하고 작품을 완성하며 즐거움을 느끼는 것을 보았어요.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자부심과 만족감을 느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어요. (J 실습생 인터뷰)

창의성 증진 전반적으로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어요. 우리의 프로그램 활동이 문화예술교육으로 유아들의 발달성장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어요. (Y 실습생 인터뷰)

잠재력 발견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아이들이 예술의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는 기회를 가진 것 같아 보람찼고 자신감을 갖게 되었어요. 전반적으로 매우 유익하고 즐거운 경험이었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4.1.2. 현장실습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문제점

예비문화예술교육사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가운데 유아들의 반응에 따라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조율하여야 한다. 특히 유아들은 발달단계에 따라 놀이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부분의 해결방안으로 학생들은 팀원들과의 수정⋅보완과 실습기관 담당교사 및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여 프로그램 전략을 재구성하였다.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것으로 실습생에게는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경험 효과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었다. 리듬 활동의 어려움, 프로그램의 난관 극복, 프로그램의 문제점 모색, 실습 진행의 예민함, 문제 해결 방안논의, 피드백과 조언으로 문제점 해결 등으로 프로그램 적용 후 문제점에 대해 해결방안 모색이 있었음을 언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문제점은 <표 8>과 같다.
<표 8>
프로그램 적용 후 문제점
영역 인터뷰 내용
리듬활동의 어려움 각 팀원들이 맡은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분담하여 일정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어요. 팀원들의 노력 덕분에 이는 잘 실천될 수 있었지만, 유아들의 반응은 프로그램의 리듬활동이 어려워 보였어요. (Y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의 난관 극복 프로그램 진행 중 발생한 문제나 난관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공유하고 협업하였어요. 문제 해결을 위해 좋은 아이디어를 내고 본인이 가지고 있는 물건이나 도구들도 적극 활용하여 실습이 더욱 완성도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의 문제점 모색 일정과 목표에 따라 업무를 우선순위에 맞게 처리하고, 진척 상황을 주기적으로 공유하여 팀원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우선순위에 맞지 않게 처리가 될 경우 잠시 일시정지하고 팀원들과 사실을 공유하며 다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모색하였어요.(K 실습생 인터뷰)

실습진행의 예민함 팀원간의 소통과 의견 조율을 통해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공유하고 팀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였어요. 하지만 실습을 진행하면서 컨디션 난조와 급한 일정으로 모두들 쉽게 예민해질 수 있는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부드럽게 분위기를 풀어주고 문제점을 찾고자 서로가 배려하였어요. (J 실습생 인터뷰)

문제해결 방안논의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숙지하기 위해 팀원이 맡은 역할을 알고 자기계발과 스스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서로 의지를 가지도록 격려하였어요. (L 실습생 인터뷰)

피드백 조언으로 문제점 해결 실습 진행 후 팀원들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각도로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였어요. 지도교수님의 피드백과 실습기관 담당자의 조언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해 나갈 수 있었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4.1.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완성도의 자신감

예비문화예술교육사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과 문제점을 발견하면서 팀원들과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실습기관 담당교사와 교육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완성도 있는 프로그램전략을 재구성하였다. 실습생들은 과제 수행을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연구하는 실천을 통해 지식습득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력, 협동학습 능력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미지화 인터뷰 내용에서 실습생에게는 경험 효과에 대해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목 목표 달성의 자신감, 소통과 협동 활동을 통한 벅찬 감동, 팀 구성원들의 고마운 마음, 협력을 통한 서로에게 존중, 프로그램 활동으로 유아들의 성장발전, 프로그램 종료 후 함께 격려의 감사함 등으로 프로그램 활동에 대해 자신감 향상이 있었음을 답하였다. 프로그램 이미지화 인터뷰는 <표 9>와 같다.
<표 9>
프로그램 이미지화 인터뷰
영역 이미지화 인터뷰 내용
프로그램목표달성의 자신감 kjge-2023-17-4-201-gf1.jpg 맨 처음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을 때 아이들이 충분히 해낼 수 있을거라는 생각으로 난이도를 설정하여 컵타 프로그램을 구성했어요. 하지만 진행을 하면서 만3~4세에게 적합하기 위해서는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어요. 지금 아이들의 반응을 보니 뿌듯하고 앞으로도 계속 아이들이 생각날 것 같아요. (Y 실습생 인터뷰)

소통과 협동활동을 통한 벅찬감동 kjge-2023-17-4-201-gf2.jpg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아이들이 집중해줄 때 너무 고마운 마음이 들었고, 놀이를 통해 미적 감각과 집중력을 보며 만 3~4세임을 고려하였을 때 참 놀라웠어요. 유아들이 마지막 시간에 우리 팀원들을 한번씩 다 안아줄 때 감동받았고 항상 행복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팀구성원들의 고마운 마음 kjge-2023-17-4-201-gf3.jpg 서로 다른 역할을 맡아 협력하며 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데, 문제 없이 실습이 잘 끝났다는 점이 놀랍고, 그만큼 노력해준 팀원들에게 너무 고마운 마음이 들었어요. 또한 아이들에게도 참 고마웠어요. (K 실습생 인터뷰)

협력을 통한 서로에게 존중 kjge-2023-17-4-201-gf4.jpg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대처하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 및 조합하며 문제를 해결하면서 이것이 협력이구나 라는 점을 깨달았어요. 또한 프로그램에서 인성함양을 강조하였는데 아이들을 직접 마주하며 아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존중해주는 것이 서로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어요. (L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활동으로 유아들의 성장발전 kjge-2023-17-4-201-gf5.jpg 프로그램 활동으로 아이들과 함께 한 이 시간들이 아이들의 성장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 들었고, 앞으로도 이런 실습 기회가 생기면 더욱 열심히 노력하고 아쉬운 점들을 보완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어요. (J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 종료 후 함께 격려의 감사함 kjge-2023-17-4-201-gf6.jpg 프로그램이 끝난 후 서로의 역할과 기여를 공유하며 팀원들끼리도 성과를 축하하고 기운을 북돋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함께 고생하고 성과도 이룬 팀원들에게 너무 감사한 마음이 들었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4.2.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의 인성함양

4.2.1.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경청’ 체험

예비문화예술교육사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팀원들과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인간관계에서의 중요한 ‘경청’ 인성역량이 확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로 간의 인성함양을 실천해 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성장해 가는 자신의 모습을 통해 인성체험을 경험할 수 있었다. 실습생에게는 스스로에게 직접 체험한 것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토의에서 경청실천, 경청함양으로 도움주기, 의견제시에서 경청경험, 서로에게 경청존중, 다양한 의견경청, 프로그램 활동에서 의견경청 등으로 경청에 대한 인성 함양의 실천이 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호작용의 ‘경청’ 체험은 <표 10>과 같다.
<표 10>
상호작용의 ‘경청’ 체험
영역 인터뷰 내용
토의에서 경청실천 토의 내용에서 핵심적인 내용들을 잘 메모해두었다가 문서에 정리를 깔끔하게 잘 해주었으며 실습기관을 알아보면서 다양한 의견으로 경청을 실천하였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경청함양으로 도움주기 토의하면서 나오는 의견들을 서로 경청하며 문서파일에 기입하였으며, 전체적인 정리와 실습기관 컨택하는데 팀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어요. (J 실습생 인터뷰)

의견제시에서 경청경험 토의에 잘 참여하였으며 가능한 실습기관을 함께 알아보면서 실습기관을정하는 데 다양한 의견으로 경청을 경험하였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서로에게 경청존중 서로 경청을 존중하며 전체적인 가이드 방향을 잘 잡아주었으고, 실습기관에 전화를 많이 돌리면서 실습기관 확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어요. (L 실습생 인터뷰)

다양한 의견경청 실습기관을 같이 알아보면서 실습기관의 종류를 많이 알려주어서 도움을 주었고 다양한 의견으로 경청을 경험하였어요. (K 실습생 인터뷰)

프로그램 활동에서 의견경청 프로그램 기획의 주제를 제공하면서 의견으로 경청하며 개요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실습기관 확정에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 (Y 실습생 인터뷰)

4.2.2.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존중’ 체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팀원들과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존중’의 인성역량이 함양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로간의 인성함양을 실천해 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인성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이 실습생에게는 스스로에게 직접 체험한 것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존중받는다는 느낌, 상호 간의 존중하는 자세, 존중함양의 실천, 존댓말 사용으로 존중함양, 팀원들의 상호 존중 실천, 유아들에게 존중하는 마음 갖기 등으로 ‘존중’ 체험을 통해서 심신의 조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답하였다. 상호작용의 ‘존중’ 체험은 <표 11>과 같다.
<표 11>
상호작용의 ‘존중’ 체험
영역 인터뷰 내용
존중 받는다는 느낌 현장실습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름에 선생님을 붙여서 부르고, 존댓말을 쓰는 등의 방식을 통하여 팀원들 한 명 한 명에게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었고, 존중을 실천함으로써 나 또한 존중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었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상호간의 존중하는 자세 실습을 준비하며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학습자 만큼이나 교수자의 입장에서도 많은 협동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어요. 팀원간의 반복적인 회의를 통하여 결정된 각자의 위치에서도 최선을 다하였던 점과 더불어 상호간의 존중의 자세가 실습지에서 잘 드러났다고 생각되는데 특히나 각자의 신념과 배경지식을 결합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기억에 남아요. 서로에게 존중의 자세를 꾸준히 상기시키며 임해야 겠다고 결론 짓게 되었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존중함양의 실천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에 아이들은 예상하지 못할 답변들을 많이 비춰주었어요.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그 답변 또한 진지한 대답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진중하게 들어주었으며 존중해주었어요. (L 실습생 인터뷰)

존댓말 사용으로 존중함양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조원 간의 존중이 잘 이루어졌다고 생각해요. 1주차 수업 준비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활발하게 피드백을 제시하였어요. 의견을 자신있게 낼 수 있게 존중해준 팀원들이 있기에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 것 같아요. 실습 과정에서도 기본적으로 존댓말을 사용하며 서로를 존중하였어요. (K 실습생 인터뷰)

팀원들의 상호 존중 실천 1회차 활동에서 우리 팀은 상호 존중을 실천하였어요. 실습 전 준비과정에서부터 소통을 활발히 하여 수업을 원활하게 준비할 수 있었어요. 실습 도중 어려운 부분이 있어도 서로 존중하는 마음으로 잘 헤쳐나갈 수 있었어요. (J 실습생 인터뷰)

유아들에게 존중하는 마음갖기 팀원들과도 학습자들과도 존중이 베이스가 되어야 한다는 점도 다시금 깨달았어요. 특히 수업의 대상인 학습자들에게 존중을 갖추어 수업에 임하는 것을 노력했구요. 학습자들의 발달 특징을 상기하며 학습자들의 눈높이에서 생각한 후 대화를 이어가려고 노력하였어요. (Y 실습생 인터뷰)

4.2.3.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배려’ 체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팀원들과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서로간의 상호작용으로 ‘배려’의 인성역량이 확장해 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팀원 간의 인성함양을 실천해 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인성함양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이 실습생에게는 스스로에게 직접 체험한 것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팀원들 배려의 소중한 고마움, 배려함양 실천으로 더 즐거움, 팀원들의 최선을 다하는 배려, 서로에게 도움주는 배려의 실천, 실습 진행의 의견제시 배려덕분, 배려함양 실천으로 수월한 진행 등으로 상호작용의 ‘배려’ 체험을 통해 서로에게 긍정적인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답하였다. 상호작용의 ‘배려’ 체험은 <표 12>와 같다.
<표 12>
상호작용의 ‘배려’ 체험
영역 인터뷰 내용
팀원들 배려의 소중한 고마움 실습을 하면서 전체적인 수업의 진도를 살피며 팀원들이 활동을 적절하게 진행하고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조정하였어요. 만들기를 할 때 도움이 필요한 유아들을 살피고 다른 활동을 제시하거나, 만들기 과정에서 부가적인 활동을 함께하며 도움으로써 배려를 실천하였어요. 이번 활동을 통해 저 또한 팀원들의 배려를 받으며 고마움을 느끼게 되면서 팀의 소중함을 되돌아 볼 수 있었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배려함양 실천으로 더 즐거움 바라는 결과에 대한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설정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팀원간의 철저한 전략 설정 과정을 거치고 실습에 임하였기에 회차를 거듭할 수록 수정과 보완 과정의 중요성을 많이 깨우칠 수 있었어요. 또한 팀원간 개인이 지향하는 방향성을 결합하여 상호간의 배려와 존중의 과정을 직접 실천하는 것 또한 무척 즐거웠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팀원들의 최선을 다하는 배려 실습을 할 때 서로 각자 맡은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며 아이들을 함께 살펴보았어요. 어떤 팀원 하나 대충하는 사람 없이 최선을 다했으며 유아들에게 실습내용을 알려주었고 배려를 실천하며 아이들의 말을 귀를 기울였어요. (J 실습생 인터뷰).

서로에게 도움주는 배려의 실천 실습을 진행하며 각자 맡은 악기와 아이들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였어요. 팀원들끼리 서로 담당하는 유아들과 악기를 제작할 때 필요한 부분을 수업을 진행하며 도와주는 방향으로 배려를 하였고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K 실습생 인터뷰).

실습진행의 의견제시 배려덕분 실습이 진행되면서 팀 내에서는 자연스레 보다 많은 대화가 이루어졌어요. 하나의 결과로 가는 과정에서 의견충돌이 있을 법도 한데 팀원들께서 배려를 많이 해주신 덕분에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L 실습생 인터뷰).

배려함양 실천으로 수월한 진행 팀원들이 서로 배려하며 교구 제작을 준비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힘이 들었지만, 6명의 팀원들이 서로 도와가며 진행하니 준비와 수업 진행이 수월하게 끝났어요. (Y 실습생 인터뷰).

4.2.4. 인간관계에서 상호작용의 ‘협력’ 체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팀원들과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협력’의 인성역량이 확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로 간의 인성함양을 실천해 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인성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이 실습생에게는 스스로에게 직접 체험한 것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리허설에서 팀원들의 적극적인 협력 활동, 전공역할에서 협력의 중요성 발견, 진행의 어려움에서 서로 협력, 합주 연주에서 협력 하모니, 팀원 모두 만족하는 협력 활동, 팀 구성원들의 협력적 토의로 문제해결 모색 등으로 상호작용의 ‘협력’ 체험을 통해 서로에게 협력적 관계 맺기의 중요성을 답하였다. 상호작용의 ‘협력’ 체험은 <표 13>과 같다.
<표 13>
상호작용의 ‘협력’ 체험
영역 인터뷰 내용
리허설에서 팀원들의 적극적인 협력 활동 연주회 리허설을 진행하면서 공연 자리 선정과 연습 과정에서 유아들이 어려워하고 헷갈려 하는 부분이 생각보다 많았어요. 그러한 부분에서 팀원들이 좋은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진행에 있어 큰 도움이 되었고, 저 또한 이에 맞추어 리허설을 진행하여 더 좋은 연주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협력 활동을 진행하였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전공역할에서 협력의 중요성 발견 4주차 활동에서 저희 팀은 각자의 전공을 살려 유아들과 함께 공연발표를 함께 참여하였으며, 협력을 중요시하여 실습을 진행하였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진행의 어려움에서 서로 협력 리허설을 진행할 때 유아들이 혼동이 왔었는데 팀원들이 파트별로 서로 협력하면서 원할하게 리허설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어요. (J 실습생 인터뷰).

합주연주에서 협력 하모니 4주차에는 직접 만든 악기로 다 같이 합주하는 활동을 하였는데 우리 팀원들은 각자의 전공을 살려 유아들과 컵타리듬합주를 하여 협력하였어요. 또한 마무리 정리까지 진행하였어요. (K 실습생 인터뷰).

팀원모두 만족하는 협력 활동 4회차 실습에서 아이들과 교육자인 팀원들이 함께 합주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그 과정에서 협력활동이 필요하였고, 준비과정에서 부터 팀원들 모두가 합심하여 이타적인 자세로 임하다 보니 만족스러운 합주가 되었다고 생각해요. (L 실습생 인터뷰).

팀구성원들의 협력적 토의로 문제해결 모색 마지막 회차인 4회차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팀원들과 합주 수업을 준비하며 가지게 된 고민들을 함께 나누며 해결함으로써 협력적으로 회의를 진행하였어요. (Y 실습생 인터뷰).

4.3.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진로⋅취업에 대한 비전제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을 마치고 나서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진로⋅취업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양성교육기관의 대학교일자리센터와 협력하여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진로취업 특강을 실시하였다. 진로⋅취업에 대한 상담을 희망하는 학생으로 기존 6명의 학생과 면담을 원하는 학생 3명의 동의함을 받아 추가하여 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이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진로⋅취업 특강 경험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학생 스스로에게 의미 경험으로 자유롭게 대화를 할 수 있었다. 나의 진로 탐색으로 직업 찾기의 의사결정,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인식변화, 현장실습 경험의 중요성 발견과 진로 고민 방향모색, 문화에술교육 분야의 다양한 직종발견, 다양한 진로⋅취업 확인으로 미래구상 모색, 나의 진로 방향준비와 취업사이트 적극 검색,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개발자 도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으로 직업선택, 취업 다양성 발견과 전공융합 활용방안 등의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의견들을 답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진로⋅취업에 대한 비전은 <표 14>와 같다.
<표 14>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진로⋅취업 비전
영역 인터뷰 내용
나의진로 탐색으로 직업찾기의 의사결정 진로 및 취업특강을 통해 취업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들을 수 있었어요. 아트모아 외에도 많은 곳에서 예술분야의 직업을 많이 찾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어요. 다른 수업에서 들었던 진로특강보다 상당히 도움이 되었어요. 취업특강에서 들은 내용들을 바탕으로 나의 진로를 잘 탐색하고 결정하고 싶어요 (J 실습생 인터뷰)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인식변화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많은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또 다양한 분야로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그리고 조금 더 깊게 고민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문화예술로 필요한 자격과 경력을 더 알아보고 우대조건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면서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K 실습생 인터뷰)

현장실습 경험의 중요성 발견과 진로고민 방향모색 진로 및 취업 특강을 들으면서 현장에서의 경험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닫게 되었어요. 또한 학교에 현장 실습 학기제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직무 경험을 해보고 싶거나 인턴을 해보고 싶으면 활용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좀 더 고민해봐야겠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어요. (L 실습생 인터뷰)

문화에술교육 분야의 다양한 직종발견 진로 및 취업특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다양한 직종들과 사이트들을 알게 되어 이와 관련하여 제가 관심이 가는 분야를 찾는 것의 큰 도움이 되었구요. 특강에서 알려주신 아트 모어,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등의 사이트에 들어가 어떤 구인 글이 있는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모색하여 보았어요. (Y 실습생 인터뷰)

다양한 진로⋅취업 확인으로 미래구상 모색 진로 및 취업특강을 들으면서 문화예술 관련으로 다양한 진로를 알게 되어서 좋았고, 학교 수업을 통해 준비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따고 난 후 나의 방향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어요. 현재 4학년 1학기를 재학 중이라 취업시기가 멀지 않아서 더 유익한 강의가 되었던 것 같고 나의 미래를 구상해보기도 하는 시간이었어요. (P1 실습생 인터뷰)

나의진로 방향준비와 취업사이트 적극 검색 진로 및 취업특강을 들으며 이전엔 나의 진로에 대해 길이 좁다고 생각하였고, 여러 가지의 방향이 없어 취업과 관련하여 관심이 많이 가지 않았었는데, 이번 특강을 통해 새로운 직업들과 취업 공지들을 훑어보며 다양한 기관과 기업에 취직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또한 취업을 하기 위해 어떠한 부분을 다져야 하고 준비하여야 하는지 등도 세밀하게 알 수 있어 좋은 강의였던 것 같아요. 저는 취업특강을 통해 다양한 취업 사이트 등을 알게 되었고, 실제로 교육청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다양한 공고들을 모색하였어요. (H1 실습생 인터뷰)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개발자 도전 문화예술교육분야 진로 및 취업특강을 통하여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을 어떤 방식으로 할 수 있는지, 이번 실습과 같은 방법 외에 다른 방법으로 동시에 또 다른 지위로 문화예술에 대하여 교육을 시킬 수 있는지 알게 되는 시간이었어요. 동시에 좀 더 색다른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에 프로그램을 새로 개발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드는 유익한 시간이였어요. (H2 실습생 인터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으로 직업선택 문화예술교육분야 진로 및 취업특강을 듣게 되었을 때는 지금껏 알지 못하는 직업들이 생각보다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문화예술교육사라는 자격증으로 다양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다가왔어요. (P2 실습생 인터뷰)

취업 다양성 발견과 전공융합 활용방안 특강을 통해 미처 알지 못하였던 취업의 다양성과 목표설정을 위한 준비과정,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서 알 수 있었어요. 이를 통해 작성자 본인은 개인의 특성과 전공을 함께 융합시켜 살릴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취업 사이트에서 소개된 양식을 확인해보고 현재의 준비단계를 점검해볼 수 있었어요. (C 실습생 인터뷰)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2급 현행 교육과정으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현장 이해와 탐색, 현장실습 준비 및 계획, 현장실습 프로젝트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실습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과제수행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현장실습 효과 분석은 개별면접과 포커스그룹면접(FGI) 자료를 통해 이루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에서 현장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인성이 함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금의 대학 교양교육에서 이론이나 일반활동 과정에서 인성 함양을 해 왔다면, 향후에는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각인하게 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 분야로의 진로와 취업 의사결정에 다시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 경험 효과를 통해 진로취업 방향에 대해서도 대학생 스스로 자신의 역량을 높이는데 동기부여가 되었다. 이에 지역사회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실습을 통한 효과를 기반으로 진로와 취업까지 연계된 교과목 개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면담 및 FGI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시사점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것과 프로그램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 인성개발 및 역량개발에 동기부여가 된 점이다. 또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교육가로서 진로와 취업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주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실습의 경험 효과 분석과 같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양과목은 현장실습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인성함양과 진로 및 취업과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교과목이 설계 되어 실습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겠다.
향후,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에 대한 현장실습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협력적 교양교육 학습 환경 조성,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구성원들 간의 공감대 형성 및 문화예술교육 현장실습에 대한 직무역량 교양교육의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Barron, B. J. S, Schwartz, D. L, Vye, N. J, Moore, A, Petrosino, A, Zech, L, Bransford, J. DThe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1998). Doing with understanding:Lessons from research on problem-and project-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3), 271-311.
crossref
Blumenfeld, P. C, Soloway, E, Marx, R. W, Krajcik, J. S, Guzdial, M, Palincsar, A(1991). Motivating project- based learning: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369-398.
crossref
Choi, E. A, Lim, E. J, Yang, S. Y, Kim, J. H, Park, C. U(2022). Explor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blended culture and art education history curriculum for expanding universal accessibility:Focused on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eld', Music Education Research 51(1), 137-157.

[최은아, 임은정, 양소영, 김지현, 박천욱. (2022). 보편적 접근성 확대를 위한 블렌디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발방향 탐상: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51(1), 137-157.].

DeFillippi, R. J(2001). Introduction:Project-based learning, reflective practices and learning outcomes, Management Learning 32(1), 5-10.
crossref pdf
Flores-Fuentes, G, Juárez-Ruiz, E(2017).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in high school, REDIE 19(3), 71-91.
crossref pdf
Gardner, H(1993). Seven creators of the modern era, Edited by Brockman J, Creativity, Simon &Schuster.

Hwang, J. O(2017). A guide to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practice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Cultural Arts Educator Curriculum Seminar Materials 43-70.

[황정옥. (2017).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운영 가이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세미나 자료집, 43-70.].

Hwang, Y. J, Jeong, Y. H(2004). Analysis and prospec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Journal of Art Education 18(3), 1-28.

[황연주, 정연희. (2004).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분석과 전망. 미술교육논총, 18(3), 1-28.].

Jang, D. S, Lee, S. K, Son, C. K, Kim, G. S, Kim, H. S(2002). Educational practice and teacher ethics, Hyungseul Publishing Company.

[장덕삼, 이상기, 손충기, 김귀성, 김현수. (2002). 교육실습과 교사의 윤리. 형설출판사.].

Jang, K. W(2020). A case study of project learning in non-face- to-face distance education situations:Focusing on learners'learning experienc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3), 775-804.

[장경원. (2020).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프로젝트학습 사례연구-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6(3), 775-804.].

Jeong, J. W, Oh, J. H, Jeong, E. K(2013). Teacher perception FGI study on factors of competence and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subject, Art Education Research 11(3), 83-106.

[정진원, 오지향, 정은경. (2013). 음악교과에서의 역량⋅인성교육 요인에 관한 교사인식 FGI 연구. 예술교육연구, 11(3), 83-106.].

Jo, H. S, Kwon, N. H, Choi, J. Y(2018). A study on the operational system of field practice in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13(5), 87-108.

[조희선, 권남희, 최재영. (2018).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실습운영 체계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3(5), 87-108.].

Jones, N. F, Rasmussen, C. M, Mott, M. C(1997). Real-life problem solving:A collaborative approach to interdisciplinary learn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oo, S. H(2017). Cultural arts education history level 2 curriculum (For instructors),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gency.

[주성혜. (2017).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교수자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Kang, E. Y, Choi, M. S(2014). Development and effect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1(2), 157-181.

[강은영, 최미숙. (2014).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157-181.].

Kang, H. S(2016a). Exploring the meaning of musical instrument playing activities using music fairy tales of pre-school teachers, Music Education Research 45(3), 1-20.

[강향숙. (2016a). 예비유아교사의 음악동화를 활용한 악기연주 활동의 의미 탐색. 음악교육연구, 45(3), 1-20.].

Kang, H. S(2016b). A case study of traditional music classes for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Proceedings of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International Conference, 351-359.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강향숙. (2016b). 소통과 배려를 위한 전통음악 수업 사례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pp. 351-359). 한국음악교육학회.].

Kang, S. R, Lee, K. H(2013). Capacity and creativity in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Research 12(3), 5-27.

[강성룡, 이경화. (2013).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과 창의성. 창의력교육연구, 12(3), 5-27.].

Kim, I. S, Park, C. S, Jo, H. J(2014). Artist or educator?: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identity of applicants for a national qualification in the history of cultural arts education, Cultural Economy Research 17(2), 185-216.

[김인설, 박칠순, 조효정. (2014).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문화예술교육사 국가 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화경제연구, 17(2), 185-216.].

Kim, J. B(2010). Comprehensiveness and accessibilit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2010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lloquium Series), Korea Arts &Cculture Education Service, 37-54.

[김종백. (2010). 문화예술교육의 포괄성과 접근성 (2010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시리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pp. 37-54.].

Kim, M. S, Cho, K. J(1998). Theory and practice of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Next Generation.

[김명순. 조경자. (1998).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세대.].

Kim, S. A(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tails of the second level curriculum in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port KACES-1632-R002),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Research 19-25.

[김선아. (2016).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세부내용 개선연구 (연구보고서 KACES-1632-R00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pp. 19-25.].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2015). A study on mid- to long-term industrial strategy for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학교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산업전략 연구.].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2015). Cultural arts education history level 2 curriculum (KACES-1570-C001), Korean Cultural Arts Education Promotion Agency.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 (KACES-1570-C00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2016).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qualifications for cultural arts educators.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활용 실태조사.].

Kwon, N. H, Cho, H. S, Choi, J. Y(2017). A study on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field practice in the curriculum of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Focusing on the field of art,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search 12(5), 55-82.

[권남희, 조희선, 최재영. (2017).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중 현장실습 참여자의 체험연구- 미술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2(5), 55-82.].

Lee, J. Y(2012). Systematization of programs to settle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Focusing on art and design, Journal of Art Education Research 41:57-81.

[이주연. (2012).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착을 위한 프로그램 체계화 방안- 미술 및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41, 57-81.].

Merriam, S. B, Tisdell, E. J(2015). Qualitative research: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hn Wiley &Sons.

Ministry of Education. (2020). The 2nd 5-year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2021-2025).

[교육부. (2020). 제2차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21~202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uri course for 4 years old.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만4세 누리과정.].

Ministry of Educ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20, February 7). 2021 basic competency diagnosis manual for colleges:General universities.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0. 2. 7.).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편람: 일반대학.].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2012). Culture and arts education history system information session materials.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설명회 자료.].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Agency. (2014). Spread your wings in the histor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Searching for new career paths and jobs,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문화예술교육사 날개를 펼쳐라: 새로운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Mid- to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cultural arts education.

[문화체육관광부. (201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Comprehensive pla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문화체육관광부. (2018).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Park, Y. J, Park, J. H(2023). Observational study on college student experiences in project learning, General Education Research 17(1), 227-243.

[박영주, 박진희. (2023).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교양교육연구, 17(1), 227-243.].

Son, J. H(2022). Critique of educational validity of competency- based liberal arts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16(2), 11-30.

[손종현. (2022).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교육적 타당성 비판. 교양교육연구, 16(2), 11-30..

Vaughn, S. R, Schumm, J. S, Sinagub, J. M(1996). Focused group interview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SAGE Publication.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