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은아(2011). “쓰기 교육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 청람어문교육 44, 297-330.
*가지혜(2021).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세현(2012). “반성적 쓰기 활동을 통한 쓰기-상위인지 능력 신장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희성(2022).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과 쓰기 상위인지 전략 사용 양상 연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곽수범(2018). “쓰기 신념, 동기, 불안이 상위 인지를 매개로 논증적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어교육연구 42, 35-61.
*김명옥, 강현석(2012).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과 수업 목표 분석”, 교육과정연구 30(1), 27-58.
*김보영(2020).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성취도 및 상위인지전략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아(2010). “읽기 활동을 통합한 자기조절 쓰기전략 교수가 읽기, 쓰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현(2010). “상위인지를 활용한 쓰기 자기평가 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희(2006). “온라인 영어쓰기 학습에서 학습자 개인차 변인과 몰입, 언어학습전략,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은숙(2014). “상위인지 자기 조정 전략을 활용한 영어 쓰기 교육의 효과: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혜(2017). “반복듣기 학습상황에서 전략일지 작성이 대학생들의 학문적 영어듣기능력 및 상위인지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홍(2009). “메타인지적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동세성(2019).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비교 연구: TOPIK 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광진(2011). “중학생의 쓰기 상위인지 검사도구 개발 연구”, 작문연구 13, 321-352.
*문다혜(2009). “영어쓰기 전략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병상(2011). “쓰기 지식, 쓰기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쓰기 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24(1), 1-19.
박상완(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
*박선아(2018). “쓰기 상위인지와 쓰기 효능감이 쓰기 과제 유형별 중학생의 글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박수진(2017). “평가 지시문 유형과 쓰기 목적이 고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쓰기 수행과 태도 및 상위담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승호(2013). “자기조절학습의 현재와 미래 과제”, 교육심리연구 27(3), 629-646.
*박예현(2018).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피드백의 종류별 수용 양상과 효과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2021). “L2 Learners' Motivation Beliefs and Writing by Self-regulatory Summarizing”, 교원교육 37(2), 123-143.
*박찬미(2015). “촉진적 피드백이 고등학생의 논설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찬흥(2013). “쓰기지식 유형의 교과서 학습목표 반영 양상분석 -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18, 127-153.
*박형례(2005). “자기교시 및 자기조절 훈련이 초등학생의 작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림(2020).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백재파(2018). “한국어 교육에서 상위인지 전략 교수의 효과: 메타분석을 통한 체계적 고찰”, 동남어문논집 1(45), 325-349.
*서주영(2016). “자기 교수 전략 지도가 중학생의 설명문 쓰기 능력 및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석태호(2004). “메타인지(mata-cognitive) 과정의 적용과 생활문 쓰기 능력 신장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경오(2014). “미국의 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227-250.
*송의련(2006). “쓰기 전(前) 과정 전략 지도가 쓰기 능력 수준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보미(2012).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수진(2022). “분할노트와 돌봄교수를 활용한 메타인지학습기반 고등학교 수학수업의 효과”,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윤경, 방혜숙, 성지연(2015).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대학생의 쓰기 상위인지 전략사용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2(3), 25-50.
신재현, 정평강(2017). “쓰기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 및 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중재 문헌분석”, 학습장애연구 14(1), 75-98.
*신의정(2002). “외국어학습전략훈련이 학습전략활용, 학업성취도 및 학습신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현숙(2005). “쓰기에 대한 메타인지 지식과 쓰기수행의 관계: 쓰기신념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43(4), 81-109.
*심유나(2017). “초등 필자의 쓰기 과정에 나타난 자기조절 전략에 대한 연구”, 작문연구 35, 39-71.
*양은영(2016). “자기조절적 쓰기 훈련을 통한 한국어 쓰기 과제수행의 향상도 연구: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은경, 최미, 최한나(2016). “국내 다문화 상담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 논문 분석(1993~2016. 7)”, 상담학연구 17(5), 223-242.
*유슬기(2017).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노트 개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철우(2016). “대만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동료 피드백 및 자기 평가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금준(2016). “반성적 쓰기를 활용한 상위인지 강화가 논술쓰기 능력 및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금준(2020).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상위인지 기반의 쓰기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윤미선(2018). “수학노트를 활용한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수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미(2010). “쓰기과업에서 동료평가가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빈(2015). “쓰기 동기, 쓰기 상위인지, 교류적 쓰기 신념의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 논술문 쓰기 수행의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영, 이성은(2012).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쓰기메타인지, 가정환경의 상관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4), 961-980.
이민혜(2022). “초등학생 대상 자기조절학습 중재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초등교육연구논총 38(1), 61-73.
이보영(2015). “상위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법에 기초한 인성그림책 활동이 유아의 인성발달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149-171.
*이빛나(2020). “쓰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효능감, 읽기 상위인지, 읽기 능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159-179.
*이소영(2013). “쓰기에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상위인지전략, 쓰기능력 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용준(2013). “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자기조절적 쓰기 활동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용춘(2012). “쓰기 동기, 쓰기 상위인지 수준 및 성별에 따른 쓰기 수행의 차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영(2016). “상위인지 전략 훈련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경(2021). “자기조절전략으로서 실행의도가 학습자의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의 지속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영(2016). “온라인 다문서를 활용한 글쓰기 과제에서 나타난 읽기⋅쓰기 전략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지은(2015). “수학일지쓰기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현(2017). “개념도를 활용한 글쓰기 전략이 중학생들의 글쓰기 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하리(2015).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별 자기조절적 쓰기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재(2021). “자기조절학습 중재 프로그램이 쓰기 오류 빈도 및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천택(2016).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쓰기 과제 해결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새국어교육 109, 255-280.
*임헌정(2016). “텍스트 질에 영향을 미치는 쓰기 요인에 대한 연구: 쓰기 불안, 쓰기 효능감, 쓰기 수행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형길(2014).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정에서 상위인지 작용 연구”, 이중언어학 56, 341-373.
*정덕현(2015). “상위인지 조정과 힘글쓰기 전략을 활용한 교육연구”, 인문학연구 52(2), 423-467.
정미경(1999).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미경(2012). “자기 평가 전략을 활용한 수정하기가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미혜(2022). “문단 쓰기 프로그램을 통한 논설문 쓰기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수현(2020).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상위인지 질문 분석: 언어 기능 영역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용균(2020). “자기조절학습 전략 기반 영어 수업모형의 효과성 연구”,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진미영(2011). “장애 및 장애 위험군 학생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의 연구 동향분석”, 특수교육 10(1), 103-126.
*진용성(2016). “상위인지의 개념과 대학 작문 교육의 방법”, 리터러시 연구 18, 273-302.
*천해주(2018). “학생 필자의 쓰기 과제 인식과 쓰기 수행 양상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민준(2019). “자기조절학습능력 정도와 쓰기 불안이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보미(2011). “자기 조정 전략이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과정-장르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이스라(2019). “드로잉 일기쓰기를 통한 자기성찰지능 신장방안: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성희(2016). “영어독서 후 성찰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소영(2011). “STOP & DARE 전략 지도가 설득적 글쓰기 능력 및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수정(2008). “고등학생의 설득하는 글 고쳐쓰기에 드러난 자기 조정 전략 활용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순희(2006). “자기조절학습전략 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황순희(2019). “대학 신입생의 쓰기 불안과 상관 요인 탐색: 심리적 안녕감, 메타인지, 글쓰기 과제 점수, 평균 학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7), 449-475.
황순희(2022). “공과대학 신입생의 실시간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서 스캐폴딩이 쓰기 불안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5(1), 33-45.
Azevedo, R, Hadwin, A. F(2005). “Scaffolding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tacognition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omputer based scaffolds”,
Instructional Science 33(5), 367-379.
Bandura, ANational Inst of Mental Health.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Bandura, A(2001). “Social cognitive theory:An agentic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1-26.
Crowl, T. K(1996). Fundamentals of educational research, McGraw-Hill Humanities, Social Sciences &World Languages.
De La Paz, S, Butler, C(2018). “Promoting motivated writers:Suggestions for teaching and conducting research wi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ruggling learners”,
Learning Disabilities:A Multidisciplinary Journal 23(2), 56-69.
De La Paz, S, Graham, S(2002). “Explicitly teaching strategies, skills, and knowledge:Writing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classroom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4), 687-698.
Dembo, M. H, Eaton, M. J(2000). “Self-regulation of academic learning in middle-level school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0(5), 473-490.
Flower, L(1994). The construction of negotiated meaning:A social cognitive theory of writing, SIU Press.
Flower, L, Hayes, J. R(1981). “A cognitive process theory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2(4), 365-387.
Graham, S, Harris, K. R(1989). “Components analysis of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Effects on learning disabled students'compositions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353-361.
Graham, S, Perin, D(2007). “A meta-analysis of writing instruction for adolescent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3), 445.
Harris, K. R, Graham, S(1992).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A part of the writing process”, Edited by Pressley M, Harris K. R, Guthrie J. T, Promoting academic competence and literacy in school, 277-309. Academic Press.
Harris, K. R, Graham, S(1996). Making the writing process work:Strategies for composition and self-regulation, 2nd Ed. Cambridge, MA: Brookline.
Harris, K. R, Graham, S(1999). “Programmatic intervention research:Illustrations from the evolution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2(4), 251-262.
Harris, K. R, Graham, S, Mason, L. H, Saddler, B(2002). “Developing self-regulated writers”,
Theory into Practice 41(2), 110-115.
Harris, K. R, Graham, S, Mason, L. H(2006). “Improving the writing, knowledge, and motivation of struggling young writers: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with and without peer suppor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3(2), 295-340.
Hattie, J, Timperley, H(2007). “The power of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1), 81-112.
Heeks, R, Bailur, S(2007). “Analyzing e-government research:Perspectives, philosophies,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4(2), 243-265.
Hsieh, H. F, Shannon, S. E(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Mason, L. H, Graham, S(2008). “Writing instruction for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Programs of intervention research”,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Practice 23(2), 103-112.
Mason, L. H, Harris, K. R, Graham, S(2011).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writing difficulties”,
Theory into Practice 50(1), 20-27.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CA: Sage Publications, Inc.
Sawyer, R. J, Graham, S, Harris, K. R(1992). “Direct teaching, strategy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with explicit self-regulation:Effects on the composition skills and self- efficac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340-352.
Schunk, D. H, Zimmerman, B. J(1997). “Social origins of self-regulatory competence”,
Educational Psychologist 32(4), 195-208.
Sexton, M, Harris, K. R, Graham, S(1998).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and the writing process:Effects on essay writing and attributions”,
Exceptional Children 64(3), 295-311.
Troia, G. A, Graham, S(2002). “The effectiveness of a highly explicit, teacher-directed strategy instruction routine:Chang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5(4), 290-305.
Zimmerman, B. J(1986).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4), 307-313.
Zimmerman, B. J(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329-339.
Zimmerman, B. J(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Zimmerman, B. J(1998). “Developing self-fulfilling cycles of academic regulation:An analysis of exemplary instructional models”, Edited by Schunk D. H,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1-19. Guilford Publications.
Zimmerman, B. J(2000). “Attaining self-regulation: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Edited by Boekaerts M, Pintrich P. R, Zeidner M, Handbook of self-regulation, 13-39. San Diego, CA: Academic Press.
Zimmerman, B. J, Pons, M. M(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614-628.
Zimmerman, B. J, Schunk, D. H(2011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formance:An introduction and an overview”,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15-26. Routledge..
*분석 대상 논문의 일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