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진숙, 신미숙, 권명순(2016). “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플립러닝 수업 모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셀프리더십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8(5), 1478-1491.
강원석, 김지영, 김우철(2021). “리더십과 업무몰입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최근 10년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HRD연구 23(1), 57-85.
강윤정, 김문섭(2019).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3), 171-176.
강정란, 유미현(2016).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과학영재교육 8(1), 1-13.
고광혁(2018). “중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4(4), 567-588.
김광수(2003). 대학생과 리더십, 서울: 학지사.
김군홍, 김정훈(2014). “셀프리더십 연구동향과 과제”, 리더십연구 6(1), 77-98.
김남희, 이혜순(20115).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211-220.
김미경(2012). “셀프리더십 척도와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 HRD연구 7(3), 21-43.
김미종, 김선환(2017).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Program on Self-Leadership and Career Locus of control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1), 399-408.
김선녀, 방미선, 신해윤, 손수경(2020). “간호학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3), 225-237.
김선미, 서명희, 정석희, 김희선, 김윤이(2019). “국내 병원 간호사의 리더십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5(5), 404-423.
김연정, 노병수(2012). “창업교육이 셀프리더십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0(6), 23-31.
김영진, 정명규(2021). “태권도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전공분야의 조절효과”, 무예연구 15(1), 133-153.
김용준, 윤천성(2016).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7(4), 425-453.
김은주(2014).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 동기, 자기주도 학습,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2), 303-326.
김진영(2013). “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직업교육연구 32(6), 43-56.
김혜경(2019).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1195-1208.
박명신, 김상길(2017). “성인학습자의 생애핵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셀프리더십, 자기결정성의 구조적 분석”,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20(3), 101-123.
박순명(2020). “국내 학술지의 리더십 연구 동향(1976~2019)”, 리더십연구 11(4), 3-33.
박철용(2015). “셀프리더십과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0, 105-115.
방설영, 제남주(2021).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플립러닝을 활용한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9(3), 13-24.
谢黎黎, 吕君, 주철안(2016). “한국 대학생 리더십 연구동향 분석”, 교육혁신연구 26(2), 25-46.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2009). “셀프리더십 척도(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6(3), 377-393.
양수진, 신다혜(2015). “대학생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H대 대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HRD연구 17(2), 241-266.
유경희, 박현영, 장금성(2018). “국내 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관련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4(5), 410-422.
유효현(2020). “의예과 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유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4), 639-647.
이경자, 유정민, 정연재, 주소영(2020). “대학생 셀프 리더십 교과목 개발을 위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I 대학의 셀프리더십 진단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4), 37-52.
이근일(2017). “예⋅체능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465-477.
이미순(2019). “소외계층 영재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연구: 도시재생 프로젝트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7(2), 221-247.
이병관, 김태연(2019).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두 전략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청소년 문화포럼 60, 91-116.
이성숙, 김진강(2018). “셀프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82, 1147-1169.
이수연, 이희진(2019). “청소년 해외봉사단 활동이 봉사단원 개인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WFK IT봉사단과 일반대학생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30(1), 39-65.
이용건, 석부길(2017). “체육계열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의 서번트 리더십과 셀프리더십, 창의성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2), 377-392.
이유정, 정기수(2018).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과 대학생활 만족도가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1), 391-410.
이인희, 김민정, 정정희(2013).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773-795.
이정선, 김경아(2012).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9-39.
이정희, 유형숙(2015). “한일 관광관련 학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교연구”, 일본근대학연구 47, 323-338.
이종찬, 홍아정(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HRD연구 15(3), 215-245.
이현정(2019). “무용전공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셀프리더십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8 (3), 305-316.
장경애(2015).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6), 35-42.
정대용, 김인건(2009). “성인학습자의 규칙적 운동이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HRD연구 5(4), 195-218.
정대용, 서장덕(2016). “중소기업 기업가의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사회적 자본 확보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31(5), 305-328.
정은이(2013).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및 셀프리더십과 전공몰입의 관계에 대한 진로적응의 매개 효과”, 교육문제연구 26(3), 161-187.
정준호, 송영수(2011). “기업에서 요구되는 셀프리더십 역량에 대한 대기업 종사자와 대학생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분석”, 산업교육연구 23, 53-75.
정태희(2005). “셀프 리더십 교육이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과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 32(1), 223-248.
조명희, 정인자, 박미경(2020). “국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관련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3), 213-224.
차현진, 고영미(2016).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21.
최동희, 이신동(2020). “특목고 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 1213-1231.
최원설(2020). “간략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ASLQ: Abbreviated Self Leadership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국내 제조업 대기업 팀원을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2(2), 149-177.
한영석, 김명소(2010). “셀프리더십의 성별차이 및 대학생활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215-233.
홍미경(2015). “대학생들의 학습몰입에 셀프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9(6), 1-23.
Binkely, M, Erstad, O, Herman, J, Raizen, S, Ripley, M, Miller-Ricci, M, Rumble, M. (2011 “Defining twenty- first century skills”, Griffin P, McGaw B, Care 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17-66.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Available online:
http://dx.doi.org/10.1007/978-94-007-2324-5_2accessednd on 2 July 2021.
Crowl, T. K(1996). Fundamentals of educational research, McGraw-Hill Humanities, Social Sciences &World Languages.
DiLiello, T. C, Houghton, J. D(2006).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Toward a model of self-leadership, innova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319-337.
Heeks, R, Bailur, S(2007). “Analyzing e-government research:Perspectives, philosophies,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4(2), 243-265.
Houghton, J. D, Neck, C. P.(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Lent, R. W, Brown, S. D, Hackett, G(2013).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D Brown and prospe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7(1), 36-49.
Manz, C. C(1986). “Self-leadership: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Manz, C. C, Neck, C. P(1999). Mastering self-leadership: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Manz, C. C, Sims, H. P Jr(1980).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A social learning theory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3), 361-367.
Manz, C. C, Sims, H. P Jr(1986). “Leading self-managed groups:A conceptual analysis of a paradox”,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7(2), 141-165.
Manz, C. C, Sims, H. P(2001). The new superleadership: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Neck, C. P, Houghton, J. D(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270-295.
Neck, C. P, Manz, C. C(1996). “Thought self-leadership: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7(5), 445-467.
Neck, C. P, Manz, C. C(1999). “In search of the self-led soldier:Army leadership in the twenty-first century”, Hunt J. G. (J.), Dodge G. E, Wong LOut-of-the-box leadership:Transforming the twenty-first-century army and other top-performing organizations 153-176. Elsevier Science/JAI Press.
Neck, C. P, Stewart, G. L, Manz, C. C(1995).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3), 278-302.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2005 Paris: OECD, Available online:
https://www.oecd.org/pisa/35070367.pdfaccessed on 2 July 2021.
Prussia, G. E, Anderson, J. S, Manz, C. C(1998).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5), 523-538.
Yukl, G(2013). Leadership in organizations, Pearson, 강정애, 이상욱, 이상호, 이호선, 차동욱 (역),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서울: 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