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홍규(2006). 팀웍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국방 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리더십전공.
고, 병면(2017). 교장⋅교감의 변혁적 리더십,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 교사 셀프리더십, 동학년 교사 팀웍, 학교조직효과 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교육학과 교육행정.
구, 동우, 이, 새미(2015). 호텔 조리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호텔 조리사의 팀워크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17(2), 103-127.
김, 경윤, 전, 애은(2019).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팀워크,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1(11), 343-361.
김, 명희(2017). 대학생의 문제해결자신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 치는 영향: 협업역량의 유형에 따른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인적자원개발 학과.
김, 영중, 전, 병길(2016). 외식업종사자의 서비스 수행에 대한 팀 신뢰 및 협력행동의 역할 - 팀워크 역량과 타부서 지원의 조절역할, 한국조리학회지 22(8), 1-16.
김, 유경(2018).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팀웍, 서비스회복성과, 이 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원의 조절효 과, 관광연구저널 32(12), 135-149.
김, 인규, 조, 수헌, 김, 호석(2014). 호텔레스토랑Chef의 진정성리 더십이 조직신뢰 및 팀웍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3(2), 143-161.
김, 지웅(2015). 호텔주방 Chef의 Servent Leadership이 조직신뢰 와 조직팀웍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리예술전공.
김, 진희(2008).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팀웍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HRD연구 10(3), 175-194.
김, 찬규(2011). A Benchmarking Tool to Assess the Role of the Construction Manager in terms of Project Teamwork Supports,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1(2), 200-207.
김, 희경(2011). 팀웍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팀 지향성 및 팀 협조 성의 매개효과 분석,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경영학과 경영컨설팅전공.
남, 해진, 이, 윤식(2016).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년 부장교사 의 리더십이 동학년 팀워크를 매개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34(1), 1-23.
남, 호희, 송, 현영, 이, 보람(2017).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평가를 위한 한국형 간호학생 팀워크 측정도구개발, 한국산학기 술학회논문지 18(3), 381-390.
노, 혜란, 최, 미나(2016). 대학생 학습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사고양 식에 따른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 분석, 교육방법연구 28(3), 539-560.
민, 혜영, 김, 지영(2020).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역 량과 팀활동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 705-716.
박, 경숙, 하, 미옥(2019). 간호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간호사의 팀워 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456-466.
박, 상섭(2012). 2010년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서 2인 구조자 의 팀워크 중심의 격려방법에 따른 가슴압박 질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1), 5169-5178.
박, 상완(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
박, 선영(2019). 항공객실승무원 조직에서 부팀장의 팔로워십이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항공경영전공.
박, 은진, 한, 지영(2018). 병원종사자의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8(2), 474-498.
박, 준기, 이, 세윤(2017). 프로젝트 팀의 팀워크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 적용, 산업혁신연구 33(1), 1-26.
박, 준기, 이, 혜정(2016). 스타트업 팀워크와 성과: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의 영향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2), 101-111.
박, 준태, 이, 종목(2015). 팀워크 중심 체육 프로그램(TOPPE)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정의적 변화 살펴보기, 한국초등교 육 26(3), 39-55.
배, 성아, 옥, 승용, 노, 수림(2019). 공과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문 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공학 교육연구 22(3), 32-40.
배, 현숙(2018). 항공사승무원의 감성지능이 팀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팀워크의 조절효과, 관광레저연구 30(11), 151-170.
백, 석기(2014). 경찰의 멘토링 기능이 경력몰입과 팀웍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3(1), 87-110.
서, 원석, 이, 창훈, 양, 나연(2013). 대학생들의 다학제 팀워크를 통한 적정기술 프로젝트 사례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86-109.
서, 현영(2018).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효 능감과 팀워크역량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8(1), 421-438.
송, 은일, 남, 길석, 이, 종호(2016). 프로 배구선수의 셀프리더십이 팀워크와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4(1), 55-64.
신, 승옥(2019). 시뮬레이션 수업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팀워크 역량, 인지된 상호작용의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 회논문지 13(8), 611-617.
신, 현정(2019).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 내 갈등, 팀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프랜차이즈경 영학과.
안, 정호, 임, 지영(2008). 종합설계과목의 협동학습에서 셀프 리더 십과 팀웍간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11(4), 109-114.
유, 병남(2012). 진료팀에 있어 팀워크의 중재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4(3), 291-298.
유, 지원, 류, 다현(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비교과활동 참여 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팀웍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 과학연구 47(2), 153-178.
윤, 숙희, 이, 태화, 박, 하영, 송, 연화(2018). 군 병원 간호사의 감성지 능, 조직내 의사소통이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 강간호학회지 27(1), 67-75.
윤, 지영(2011). 외식업체 관리자의 경쟁가치 리더십, 종사원 팀 워크 및 조직몰입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23(3), 107-131.
이, 건영(2017). 팀워크 능력 배양을 위한 팀 구성법, 공학교육연 구 20(1), 45-52.
이, 근모(2010). 남자 농구선수의 시합전략과 팀워크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3(4), 45-60.
이, 영민(2006). 웹기반 팀 학습환경에서 성격유형에 의한 팀 구성방식이 팀 과제수행력, 팀워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2(3), 1-21.
이, 청아, 홍, 아정(2014).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팀워크역량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6(2), 119-144.
장, 명진, 김, 면(2016). 창업동아리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원 의 기술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팀웍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885-908.
정, 민정(2017). 팀 프로젝트 활동에서 팀워크 역량이 팀 성과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학교육협동과정.
정, 하보, 이, 정열(2012). 교사의 셀프리더십, 팀웍, 교수효과성, 업 무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51-276.
진, 재옥(2017).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비 판적사고 성향과 팀워크가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간호관리학전공.
최, 문경(2012). 스포츠교육모형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흥미, 팀워크, 역할학습 탐색,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교육학과.
최, 환영(2008). 팀워크 중심 체육프로그램(TOPEP) 적용 현장개 선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체육학과.
최, 민지, 김, 선미, 김, 재경(2016). 예술기반 팀 프로젝트가 팀워크 형성과 신뢰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C대학 교양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403-430.
표, 윤희, 박, 은혜, 이, 숙향(2010). 지체장애 학교에서의 협력적 팀워크 중재에 참여한 팀 구성원들의 인식, 지체.중복.건강 장애연구 53(4), 233-263.
한, 지영, 방, 재현(2011a).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 구성요소 개발, 공학교육연구 14(5), 14-25.
한, 지영, 방, 재현(2011b).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 구성요소 의 가중치 산출에 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8-37.
한, 지영, 방, 재현(2015).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 연구, 공학교육연구 18(2), 43-51.
한, 지혜(2019).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 팀 심리적 안전감과 환자안전 역량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현, 종환, 김, 덕진(2019). 청소년 무도선수들의 마인드셋과 성취목 표성향, 팀워크 간의 구조적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21(2), 91-104.
홍, 아정, 이, 경미(2017). A대학 대학생의 생애학습경험에서의 팀워크 인식에 관한 사례연구, 평생교육⋅HRD연구 13(4), 1-34.
황, 순희(2014). 스피치 수업에서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 양상과 수업 참여 관계 분석, 수사학 2(1), 247-279.
황, 순희(2017). 공과대학생의 팀워크 역량과 사고양식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20(2), 39-49.
황, 지인, 김, 성완, 신, 호준(2019). “Patient Participation in Patient Safe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Nurses'Patient-Centered Care Competency, Teamwork, and Safety Climate”,
Asian Nursing Research 13(2), 130-136.
Chatman, J. A, Flynn, F. J(2001).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heterogeneity on the emergence and consequences of cooperative norms in work tea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5), 956-974.
Crowl, T. K(1996). Fundamentals of educational research, McGraw-Hill Humanities, Social Sciences &World Languages.
Hatcher, L, Ross, T. L(1991). “From individual incentives to an organization wide gainsharing plan:Effects on teamwork and product qualit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2(3), 169-183.
Heeks, R, Bailur, S(2007). “Analyzing e-government research:Perspectives, philosophies,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4(2), 243-265.
Hoegl, M, Gemuenden, H. G(2001). “Teamwork quality and the success of innovative projects:A theoretical concept and empirical evidence”,
Organization science 12(4), 435-449.
Hsieh, H, Shannon, S. E(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Hughes, R. L, Jones, S. K(2011). “Developing and assessing college student teamwork skills”,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2011 149:53-64.
Knight, D. W, Carlson, L. E, Sullivan, J. F(2003). “Staying in engineering:Impact of a hands-on, team-based, first-year projects course on student retention”, Age 8:1.
Leggat, S. G(2007). “Effective healthcare teams require effective team members:defining teamwork competencie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7(1), 17.
Marks, M. A, Mathieu, J. E, Zaccaro, S. J(2001). “A temporally based framework and taxonomy of team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3), 356-376.
Michaelsen, L. K, Watson, W. E, Black, R. H(1989). “A realistic test of individual versus group consensus decision mak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5), 834.
Michaelsen L. K, Knight A. B, Fink L. D(2002). Team-based learning: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Greenwood publishing group.
Pascarella, E. T, Terenzini, P. T, Feldman, K. A(2005).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2.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CA: Sage Publications, Inc.
Pun, K. F, Yam, R. C, Sun, H(2003). “Teaching new product development in universities:an action learning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8(3), 339-352.
Rasmussen, T .H, Jeppesen, H. J(2006). “Teamwork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A review”,
Work &Stress 20(2), 105-128.
Salas, E, Sims, D. E, Burke, C. S(2005). “Is there a “Big Five“in teamwork?”,
Small group research 36(5), 555-599.
Salas, E, Cooke, N. J, Rosen, M. A(2008). “On teams, teamwork, and team performance:Discoveries and developments”,
Human Factors:Th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50(3), 540-547.
Sternberg, R. J(1988). “Mental self-government: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4), 197-224.
Sternberg, R. J(1994). “Allowing for think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52(3), 36-40.
Sternberg, R. J(1999). Thinking sty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vens, M. J, Campion, M. A(1994). “The knowledge, skill, an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20(2), 503-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