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희(2013). “대학 교양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한 교양 교과목 강의평가 분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35-148.
김남희, 정미애(2018).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교양교육연구 12(6), 한국교양교육학회, 41-66.
김동심, 이영주, 류다현, 김은경, 박정하(2021). “교양교육 학생성과 평가도구 (ESOGE)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 48(1), 61-88.
김두환, 김문조, 이왕원(2013). “학업성취 관련요인들이 STEAM (융합인재교육) 교과목 흥미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3(3), 한국교육사회학회, 31-58.
김무영, 김민영(2020).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 A 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1), 한국교양교육학회, 193-218.
김영아, 현일선(2021). “글로벌 역량 제고를 위한 글로벌역량-교양영어 융합수업 운영의 효과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한국교양교육학회, 135-148.
김완섭(2012).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이용한 컴퓨터 교양교육 성과의 요인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6(3), 한국교양교육학회, 743-767.
김재경(2018). “융합형 교수법 연구 = 코칭형 플립드러닝이 교양 영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2(3), 한국교양교육학회, 303-323.
김춘이(2019).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행복도가 사회적 회피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독교 대학의 기독교교양 과목 수강생들을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22(2), 동양사회사상학회, 387-413.
김혜진, 염명숙(2014). “독서와 토론 교양 수업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양교육연구 8(4), 한국교양교육학회, 513-540.
노혜란, 최미나(2017). “대학생 학습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사고양식에 따른 만족도,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 분석”, 敎育方法硏究 28(3), 한국교육방법학회, 539-560.
문정순(2021). “마음챙김 명상수업이 주의자각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6),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683-1695.
박두찬, 송진웅(2009). “학생들은 어떤 과학수업에 호응하는가?: 학교 과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가치 인식과 호응 양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한국과학교육학회, 593-610.
박은솔, 이현우(2013). “대학 토론 수업에서 Facebook 활용 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과 교수자의 피드백이 성취도와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20),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9-251.
박주호, 유기웅(2014).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 교양교육연구 8(2), 한국교양교육학회, 43-82.
배덕현, 김방희, 김진수(2014). “스마트교육 기반의 교량모형만들기 STEAM 프로그램이 흥미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한국과학교육학회, 158-176.
배상훈, 라은종, 한송이(2017).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대학생의 학습과정과 교양기초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1(3), 한국교양교육학회, 263-302.
배상훈, 장환영, 송혜덕, 전수빈, 김혜정(2012).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연구(Ⅱ) [RR 2013-20-466호],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백평구(2012).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교양교육연구 6(1), 한국교양교육학회, 431-466.
서수진(2018).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웰빙지향행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0), 한국디지털정책학회, 537-544.
송영명(2020). “수업개선보고서(CQI) 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교육혁신연구 30(3),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77-301.
송해덕, 배상훈, 김연경(2015).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분석 연구(Ⅴ) [RR-2015-14-609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송홍락, 유원용(2014). “교양체육 수업의 재미요인이 행복감과 사회적 체형불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한국디지털정책학회, 645-653.
양재영(2020). “대학교양체육활동에서 학생들이 지각한 자기조절동기와 자기효능감이 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한국스포츠학회, 239-248.
유현숙, 김은영, 서영인, 이정미, 최정윤, 김민희, 이길재, 변현정, 최보금, 허은, 윤송희(2015). 대학의 교수⋅학습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Ⅲ) [RR2015-10], 한국교육개발원.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311-325.
윤유진, 이연주(2018).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교양교육연구 12(2), 한국교양교육학회, 259-286.
이보경, 김은경, 이재성(2010).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문제연구 38,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23.
이숙재, 이정화(2008). “ARG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이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7(3), 한국체육학회, 423-437.
이은경, 이기원, 정남호(2016). “과학기술시대의 교양과학 교육”, 교양교육연구 10(3), 한국교양교육학회, 297-324.
이은준(2017).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교양교육연구 11(6), 한국교양교육학회, 63-91.
이지연, 이영주(2018).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 요인 탐색”, 교양교육연구 12(6), 한국교양교육학회, 67-93.
이현우(2012). “과제기반 협력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집단자기조절, 소집단 성과 및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4(1), 한국교육방법학회, 171-183.
임선애, 지현배, 김지용, 강성배, 서민규(2016).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양교육 성과진단 연구 [RR-2016-23-642호],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장지영, 문지영, 유호숙, 최경희, Joseph Krajcik, 김성원(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한국과학교육학회, 1124-1139.
정태석(2006). “베버와 알뛰세에게 있어서 과학과 가치의 관계”, 지역사회학 7(2), 지역사회학회, 131-159.
조명실, 김재현, 김향숙, 이현지, 허선호(2016). 대학 인성교육 학습성과 진단방안 개발: 개인, 조직, 환경 차원을 중심으로 [RR-2016-18-637호],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주소영, 정연재(2019). “대학 신입생의 대학몰입과 학습참여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5(5),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307-323.
지희진(2019). “대학 교양 골프 수강생의 심리적 행복감이 자기조절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13(4), 한국골프학회, 169-176.
최미나, 노혜란(2020). “대학 PBL에서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이 지속수강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32(2), 한국교육방법학회, 163-183.
최종후, 한상태, 강현철, 김은석(1998). (AnswerTree를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의삭결정나무분석, SPSS아카데미.
탁정숙, 유미현(2018). “가상현실 제작 플랫폼 활용 창의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21세기 학습자 역량 및 사회과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實科敎育硏究 24(4),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73-101.
하석영, 박주연, 배윤주, 이정민(2021). “온라인 SW교양교육에서 자기조절, 교수실재감, 학습몰입이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3), 한국정보교육학회, 579-590.
홍경남(2009). “과학 탐구에서 가치의 지위와 그 평가”, 倫理硏究 74, 한국윤리학회, 351-376.
홍성기, 김형규, 박승설, 박정하, 송하석, 신종호(2016). 교양교육 평가방안 연구: 교양교육내용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RR-2016-24-643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홍후조, 김대영, 김동중, 김종승, 민부자, 박혜림, 장소영, 지성길, 최준곤, 이준열(2016). 교양과학교육영역 성과진단 방안 연구 [RR-2016-19-638호],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홍훈기, 박은이(2011).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韓國英才學會, 163-174.
Cocanougher, A. B, Ivancevich, J. M(1978). “'Bars'performance rating for sales force personnel:How can you improve sales force performance if you don't know what behavior produces what results?”,
Journal of Marketing 42(3), 87-95.
DiDonato, N. C(2013). “Effective self-and co-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An analysis of how students regulate problem solving of authentic interdisciplinary tasks”,
Instructional Science 41(1), 25-47.
Garg, D, Garg, A. K(2008). “General education courses at the university of Botswana:Applicat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in measuring course outcomes”,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56(3/4), 252-277.
Lyubomirsky, S, Lepper, H. S(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Paris, S. G, Paris, A. H(2001). “Classroom applications of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36(2), 89-101.
Pintrich, P. R,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Shmueli, G, Patel, N. R, Bruce, P. C(2010). Data mining for business intelligence: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in Microsoft Office Excel with XLMiner, 2nd ed. NJ: John Wiley and Sons.
Zimmerman, B. J, Martinez-Pons, M(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