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훈(2011).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대학체제 개편안”, 문화과학 67, 171-190.
강명구, 김지현(2010). “한국 대학의 학사구조 변화와 기초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의 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1(2), 327-361.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2007). 대한민국교육 40년, 서울: 한스미디어.
고부응(2012). “근대 대학의 형성: 칸트의 이성의 대학에서 훔볼트의 학문의 자유 대학으로”, 비평과이론 17(2), 5-39.
김대중, 김소영(2017).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연구 2(1), 23-45.
김병주, 임기병, 최한석, 최손환, 오예린, 이미라(2016). 국립대학종합 발전방안 연구, 경북: 고등교육정책연구소.
김성우, 최종덕(2009).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시대와 철학 20(1), 11-42.
더불어민주당(2017).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더불어민주당.
류장수(2019). 대학과 청년, 신지니.
민교협 편(2015). 입시 사교육 없는 대학체제-대학개혁의 방향과 쟁점, 경기: 한울.
민춘기, 김순임(201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예비 고찰”, 교양교육연구 6(1), 395-429.
박병철(2018). “리버럴아츠칼리지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미래”, 교양교육연구 12(1), 99-121.
박병철(2019). “리버럴아츠 교육과 한국의 교양교육”, 교양교육연구 13(1), 163-180.
박일우(2015). “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인문학과 대학 되살리기”, 교양교육연구 9(3), 97-126.
백승수(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13-51.
백승수(2018).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교양교육연구 12(5), 231-250.
백승수(2019). “교양교육의 명칭 재정립을 통한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교양교육연구 13(1), 141-161.
서경식, 가토 슈이치, 노마 필드(2007). 교양, 모든 것의 시작, 노마드북스.
서남수(2010).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4(2), 21-18.
손동현(2007).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교양교육연구 1(1), 107-123.
손동현(2009b).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5-22.
손동현(2009a).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3(1), 21-32.
손동현(2016). “리버럴아츠 교육, 한국 대학교육의 새 지평?”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77-591.
손동현(2019). “교양의 고전적 의미와 교양교육의 현대적 의의”, 한국기독교교양학회 학술대회집 6, 한국기독교교양학회, 7-19.
손승남(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 (K-LAC) 의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13-37.
손승남(2017). “리버럴아츠 교육모델 혁신 사례-Yale-NUS College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구 문화교류연구) 6(3), 123-142.
심광현(2015). 입시폐지-국립교양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교육혁명의 마스터플랜 개요, 민교협 엮음. 입시, 사교육 없는 대학체제, 한울.
안현효, 강남훈, 김인재, 박도영, 이건범(2013). 통합고등기초대학 운영 방안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청.
안현효(2016). “교양교육을 통한 인문학 살리기 - 학사구조의 문제”, 교양교육연구 10(2), 131-155.
안현효(2018). “[토론문]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백승수) 에 대한 논평”, 한국교양교육학회학술대회 자료집, 213-215.
안현효, 전용숙(2018). “‘대학연합’을 통해 고등교육혁신을 어떻게 완성할 것인가?-학부과정에서 리버럴아츠 교육의 중요성”, 대학과 정책 2(1), 79-101.
오길영(2013). “대학의 몰락과 교양교육”, 안과밖 34, 177-197.
이승호, 박대권(2016).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 129-158.
이주호(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55(1), 89-102.
이하준(2021). “교양교육 이념, 목적, 가치에 관한 사유의 갈래들”,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70-85.
임재홍, 강남훈, 박거용, 홍성학, 김용련, 김학경(2016). 초, 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학체제 개편방안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자크 데리다(2021). 조건 없는 대학, 문학동네.
정병오, 윤지희, 이공훈, 남기석, 김하수(2007).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교육 공약 평가 토론회 자료집”, 교육대통령을 위한 국민의 선택.
정승원, 장현수, 김세준(2020).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표준모델을 적용한 4년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교양교육연구 14(5), 83-95.
정진상(2005).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입시 지옥과 학벌 사회를 넘어, 책 세상.
최미리(2001).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비교, 양서원.
최병문, 백승수, 손승남, 안현효, 원준식, 김영선(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교양기초연구원.
최종철(2007).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1970 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 209-232.
홍성욱(2009). 지식의 융합, 과거로부터 배운다, 김광웅 엮음. 우리는 미래에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생각의 나무.
EBS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제작팀 지음(2015).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해냄.
Casssirer, E.(1923). Wesen und Wirkungen des Simbolbegriffs, 오향미 역(2002). 이문학의 구조 내에서 상징형식 개념 외, 책세상.
Humboldt, Wilhelm von(1960). Ueber die innere und äussere Organisation der höheren wissenschaftlichen Anstalten in Berlin[1810]. In A. Flitner/ K. Giel(Hrsg.), Wilhelm von Humboldt. Werke in fünf Bänden, 255-266. Bd.4. Darmstadt.
Jones, E. A, Ratcliff, J. L(1991). “Whic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better:core curriculum or the distributional requirement?”,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40:69-101.
Kant, I(1798). The Conflict of the Faculties, Trans. May J. Gregor 1992, Lincoln: U of Nebraska P.
Kaplan, J(2015). Humans Need not Apply, New Haven and London:Yale University Press, 신동숙 역 2017, 인간은 필요 없다, 서울: 한스미디어.
Krueger, D, Kumar, K. B(2004). “Skill-specific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A reason for US-Europe growth differences?”,
Journal of Economic Growth 9(2), 167-207.
Ritter, J(1974). Philosophisches Wörterbuch, Band 3, Münster.
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