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희, 정미애(2018).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교양교육연구 12(6), 한국교양교육학회, 41-66.
김민정, 최동연(2017). “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척도 개발 및 교육에서의 시사점”,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54.
김법연, 권헌영, 김미량(2021). “인공지능 시대 디지털 시민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제도의 개선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67-88.
김아미, 이지영, 주주자, 이윤주, 양소은(2019). “디지털 시민성 개념 및 교육 방안 연구”, 경기도: 경기도교육연구원.
김윤정(2022).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의사소통 연구: 유튜브 채널의 크리에이터 화법 분석을 기반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99-422.
김진화(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서울: 학지사.
남미영(2021). “초등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및 영향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기범(2014).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 탐색”, 한국초등교육 25(4), 서울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33-46.
박기범(2019).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에 시민의 자질”, 사회과교육 58(4),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1-11.
박보람, 최윤정, 정나나, 조상연, 추병완(2019). “초⋅중학교 디지털 시민성 교육과정 개발”, 초등도덕교육 66,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43-277.
박유현(2022). DQ 디지털 지능, 김영사.
박주호, 유기웅(2014).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8(2), 한국교양교육학회, 43-82.
백평구(2012).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6(1), 한국교양교육학회, 431-466.
서봉언(2022). 청소년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SNS 활동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상호작용 효과, 중등교육연구 70(3),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307-334.
서진희, 박선미(2022).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1), 한국산학기술학회, 738-747.
안정임, 박은희(2022).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비판적 탐색: 시민성의 계승과 디지털의 확장”, 미디어융합연구 33, 39-75.
안정임, 최진호(2020).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57,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33-177.
윤미정(2021).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가정과 학교사회자본의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성혜(2017).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교양교육연구 11(3), 35-62.
윤승준, 권준원, 김수연, 김지영, 주현재, 최예정(2019). “대학교양교육 현황 조사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윤지원, 제남주, 박미라(2022). “대학생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교육요구도 분석”, 인문사회21 13(2), 인문사회21, 1133-1142.
이서윤(2020).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델파이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다희(2018).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에 관한 연구: 측정 도구 개발, 교육요구도 분석, 수업 실제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준, 유숙경, 이윤옥(2020).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및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교원교육 36(4),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23-144.
이준, 유숙경, 이윤옥(2021a). “디지털 시민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9(1),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24.
이준, 유숙경, 이윤옥(2021b). “초⋅중학생용 디지털 시민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원교육 37(4),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15-240.
이준, 유숙경, 이윤옥(2022).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요구도 및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20(3), 한국디지털정책학회, 93-103.
임영식, 정경은(2019). “청소년 디지털 시민성 척도 개발”, 청소년학연구 26(9), 한국청소년학회, 495-522.
정영식(2022).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는 학교 수준의 디지털 역량 교육과정”, 2022년 제5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토론회 발표자료.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65-187.
최문선, 박형준(2015).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 타당화 연구”, 시민교육연구 47(4),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73-297.
최문선, 박형준(2019). “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시민성 교육에의 함의”, 시민교육연구 51(1),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75-310.
최지혜, 이영선, 정소영(2022). “디지털 시민성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8(5),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75-199.
한국교양기초교육원(2022). “2022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2).
“포스트 코로나시대 디지털 대전환과 사회변화 전망”,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GDX REPORT.
교육부(2022.12.22.). “2022 개정 초⋅중등학교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확정⋅발표”, 보도자료.
교육부(2023.1.5.). “교육개혁, 대한민국 재도약의 시작-2023년 교육부 연두 업무보고-”, 보도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8. 30.). “제8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현장 간담회”, 보도자료.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Choi, M, Glassman, M, Cristol, D(2017). “What it means to be a citizen in the internet age: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valid digital citizenship scale”,
Computers &Education 107:100-112.
Common Sense Media. (2009). Digital Literacy and Citizenship in the 21st Century, A Common Sense Media White Paper, Common Sense Media.
Kim, M, Choi, D(2018). “Development of Youth Digital Citizenship Scale and Implication for Educational Setting”, Educational Technology &Society 21(1), 155-171.
Mink, O. G, Shultz, J. M, Mink, B. P(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Austin, TX, USA.
OECD. (2019).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Paris: OECD.
OECD. (2021). 21st-Century readers developing literacy skills in a digital world, Paris: OECD.
Ribble, M. S, Bailey, G. D, Ross, T. W(2004). “Digital Citizenship:Addressing Appropriate Technology Behavior”, Learning &Leading with Technology 32(1), 6-12.
Schwab, K(2016).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Swanson, R. A, Holton, E. F(2001). Founda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