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명숙(2002). “미군정기 대학 단일화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29(2), 한국교육개발원, 433-453.
강명숙(2002). “미군정기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교육사학 24(1), 한국교육사학회, 87-104.
강명숙(2003). “미군정기 고등교육 개혁의 특징과 성격”, 교육비평 13. 교육비평사, 250-267.
고석규(1989). “대학의 한국사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역사비평 1989년 봄호, 역사비평사, 24-30.
김기봉(2009). 역사들이 속삭인다, 프로네시스.
김기봉(2019). “인공지능 시대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인간⋅환경⋅미래 22,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63-88.
김기봉(2020a). “미래를 위한 ‘역사학 선언’과 빅히스토리”, 서양사론 144, 서양사학회, 226-255.
김기봉(2020b). “포스트코로나 문명전환과 컴퓨터역사학”, 한국사학사학보 42, 한국사학사학회, 239-262.
김기봉(2021). “AI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사림 76, 수선사학회, 1-29.
김종철(2019).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녹색평론사.
김지형(2015). “대학 교양 ‘한국사’의 역사와 현실 - 시기별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4), 한국교양교육학회, 371-399.
김한종(2011). “대학 교양 역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양 논총 4,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1-15.
김현진, 정병설, 임호준, 이석재, 신혜경, 박훈, 김현진, 이영목 (2018). 인문학의 성찰과 전망, 사회평론.
나인호(2016). “국사를 넘어선 교육”, 대구사학 124, 대구사학회, 243-270.
다니엘 벨(1994). 교양교육의 개혁, 송미섭 역, 민음사.
마코비츠 대니얼(2019). 엘리트 세습, 서정아 역, 세종, 160-340.
문재경(2016).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민족정체성 교육 문제”, 역사와교육 14, 역사교육연구소, 9-22.
박정하(2020). “기초학문과 대학교육”, 제4회 리베르타스 교양교육 심포지움.
박혜정(2017). “대학 세계사 교양교육을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 역사교육논집 64, 역사교육학회, 3-26.
박혜정(2020). “21세기 교양교육의 융합학문적 지도 그리기 -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을 통하여”, 교양교육연구 14(6), 교양교육학회, 25-37.
백승수(2012).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형성 과정 분석”, 교양교육연구 6(4), 한국교양교육학회, 321-352.
백승수(2018).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교양교육연구 12(5), 한국교양교육학회, 231-250.
백승철(1990).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사교육”, 역사와현실 4, 한국역사연구회, 127-148.
서스킨드 대니얼(2020).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김정아 역, 와이즈베리, 44-64.
손승남(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한국교양교육학회, 13-37.
서정혁(2020). “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 철학적 성찰 - 헤겔의 법철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149-160.
신주백(2010). “대학에서 교양 역사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한국근현대사연구 53, 한국근현대사학회, 176-209.
신주백(2021), 한국역사학의 전환, 휴머니스트, 281-430.
아벤트 라이언(2018). 노동의 미래, 안진환 역, 민음사, 164-198.
안병우(1996). “대학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현실 20, 한국역사연구회, 68-87.
안홍선(2017). 식민지 중등교육체제 형성과 실업교육, 교육과학사.
양재혁(2020), “과거의 재현에서 시뮬레이션으로”,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148-177.
오종록(2004). “대학 한국사 교양교육의 실태와 개혁방안”, 역사와현실 52, 한국역사연구회, 51-88.
요시다 아야(2020). “일본의 교양교육: 70년간의 모색”, 교양교육학회 제2회 창파강좌 발표문.
우석훈(2014). 솔로계급의 경제학, 한울, 131-153.
유지아(2011).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5(1), 한국교양교육학회, 195-228.
이상동, 박충식(2020). “From Data to Agents - 한국 디지털역사학의 현주소와 AI시대의 역사학”,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178-202.
이영달(2021). 메리토크라시, 행복한북클럽.
이정옥(2015).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교양교육연구 9(3), 한국교양교육학회, 11-37.
자카리아 파리드(2015).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강주헌 역, 사회평론, 11-41.
최상훈(2009). “대학 역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연구 15, 서원대 인문과학연구소, 27-39.
최용규, 이광원(2011). “초등학교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안 탐색”, 사회과교육연구 18(1), 사회과교육연구회, 65-80.
최종철(2007).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 한국교양교육학회, 209-232.
최형욱(2021).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 한스미디어.
칸트 임마누엘(2012). 학부들의 논쟁, 오진역 역, 도서출판 비.
크리스천 데이비드, 베인 밥(2013). 빅 히스토리, 조지형 역, 해나무.
하경수(2020).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지형도 변화와 초등학교 현대사 교육”, HOMO MIGRANS 22,이주사학회, 284-318.
허준(2020). 대학의 과거와 미래,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70-85.
Ivan, Jablonka(2018). 歷史は現代文學である, 眞野倫平譯, 名古屋大學出版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