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희(2013). “대학 교양교육 만족도 제고를 위한 교양 교과목 강의평가 분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35-148.
권성호, 강경희(2008).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교양교육연구 2(2), 한국교양교육학회, 7-24.
김은주(2019).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E대학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5), 인문사회기술과학융합학회, 247-258.
김성우, 최종덕(2009).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시대와 철학 20(1), 11-42.
김정수, 김소영, 정익재, 노종호(2011). “학부교육 선진화 사업 성과지표에 대한 메타평가연구”, 한국교육 38(1), 135-161.
김성훈, 이승남, 남근우, 우제선, 박진희, 양홍석, 이승철, 김선웅, 장환영, 정민호(2015). “교양교육과정 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 동국대학교.
김혜경(2015). “교과기반평가를 위한 성과중심 교과목 평가설계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8(6), 한국공학교육학회, 24-31.
다치바나 다카시(2015).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서울: 청어람미디어.
배상훈(2012).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백승수(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13-51.
백승수(2019). “4차 대학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교양교육연구 13(3), 한국교양교육학회, 11-29.
백승수(2020).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11-23.
손동현(2015). “교육구조의 개혁과 교양교육의 새 위상”, 21세기 한국사회의 변화와 교양교육: 2015년 한국교양교육학회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10-18.
송유진(2009). “대학발전의 미래가치로서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육철학 39, 한국교육철학회, 131-158.
신주연, 김진선, 정윤경(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I 대학교 학부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39-54.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2020). “학생⋅ 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A 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217-231.
오길영(2013). “대학의 몰락과 교양교육 - 미국대학의 교양교육 현황”, 안과밖 34, 177-199.
이민정, 김수동(2019). “역량기반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CQI시스템 연구 - 한국의 D대학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1(3), 한국문화융합학회, 35-48.
이은화(2007).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체제 사례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8(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91-118.
이지연, 이영주(2018).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교양강좌 강의평가 결정요인 탐색”, 교양교육연구 12(6), 한국교양교육학회, 67-93.
이형욱, 최정동, 강명곤, 소위영(2019). “한국교통대학교 2018 정책연구보고서 - 교육과정 체계구축과 환류강화”, 한국교통대학교.
임선애(2018). “대학 교양교육 목표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91, 한국사상연구원, 243-273.
장영희(2019). “남서울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편 현황과 전망”, 문화와 융합 41(3), 한국문화융합학회, 165-720.
정제영, 김성기, 김무영, 이윤희, 선미숙, 이아진(2015).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교원의 요구도 분석: 현장중심 학교폭력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1), 한국교원교육학회, 231-250.
정제영(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제도 개선 방안: 개인별 학습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4(3), 한국교육정치학회, 53-72.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65-187.
지성구, 송윤희(2013). “대학 저학년생의 직업 지향성, 경력 초점, 전공 만족도 및 취업 준비도 분석”, 경영교육연구 28(5), 한국경영교육학회, 573-598.
차제순, 이재현(2014). “자유교육의 전통과 하버드 교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385-392.
차하순(2007). “전환기에서의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교양교육연구 1(2), 한국교양교육학회, 149-163.
하오선, 정민호(2014). “강의평가 응답분석을 통한 강의평가도구 개선방안 -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2(3), 한국열린교육학회, 273-294.
홍병선(2008). “대학, 교양교육 그리고 사회적 요구”, 외국학연구 12(1),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171-187.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SAGE Publications, 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