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순부, 이용균, 최부용, 이문식, 김홍태(2016).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사관학교 1차 선발 수학시험의 문항분석”, 군사과학논집 67(1), 공군사관학교, 113-128.
강민수, 소미현(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4), 한국산학기술학회, 236-247.
교육부 보도자료(2015. 9. 23).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교육부(2015a). “별책5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권순구(2020). “혁신교육과정 기반 핵심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29-152.
권희경, 김주아, 박경호, 안해정, 최인희, 김명섭(2020). 2020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동심, 이영주(2020). 교양교육에서의 학생 성과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김동심, 이영주, 류다현, 김은경, 박정하(2021). “교양교육 학생성과 평가도구(ESOGE)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 48(1), 한국교육개발원, 61-88.
김영채(2020). “학교 창의력을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 사고개발 16(1), 대한사고개발학회, 1-21.
김윤영, 윤지영(2021). “공학계열 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공학교육연구 24(4), 한국공학교육학회, 3-20.
김은경, 한윤영(2019).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창의, 융합역량 학습성과 루브릭 개발”, 교양교육연구 13(6), 한국교양교육학회, 497-519.
김지원, 박영신, 양길석, 김경이(2021).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2),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47-472.
김화영, 이성원, 정은선(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H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3-151.
남궁지영, 김양분, 박경호, 최인희, 박현정(2016). 2016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박수정, 송영수(2016). “대학 특성화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9(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9-107.
박영신, 안현아, 장미숙, 양길석, 김경이(2017).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9(4), 한국교육방법학회, 567-595.
박준호 외(2013). 비판적 사고, 신아출판사.
방선희(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61-83.
손원숙, 유신복, 신이나, 노현종, 박상현, 김동욱, 박민애, 김난옥, 이빛나, 신은진, 박정(2021). “초등 예비교사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요인 분석 및 Rasch 모형의 적용”, 교사교육연구 60(4),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683-698.
손유미, 송창용, 민숙원, 오혁제, 김민석(2019).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1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손유미, 임언, 민주홍, 윤혜준, 한애리(2017). 대학생 핵심역량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성태제(2019a).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성태제(2019b). 문항반응이론 입문, 학지사.
신윤선, 이유경(2021). “창의적 사고역량과 학업적 자아개념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35(4), 한국교육심리학회, 663-686.
양미석, 김정겸, 이상선, 김기덕(2018). “중⋅고등학생 창의핵심 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5-124.
우수명(2019). 마우스로 잡는 26.0 SPSS, 양서원.
윤지영, 유영림(2018).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C대학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353-373.
이미라, 김누리(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M대학교를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4(5), 해양환경안전학회, 576-582.
이선경, 이희영(2020). “고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한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 47(1), 한국교육개발원, 167-196.
정혜진, 지은림(2020). “국어 교과 ‘비판적⋅창의적 사고역량’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평가연구 33(2), 한국교육평가학회, 511-532.
조연순, 최경희, 채제숙, 성진숙, 서예원(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학의 내용지식, 과정지식, 창의적 사고기능의 융합”, 초등교육연구 13(2), 한국초등교육학회, 5-28.
차혜경, 전요한(2021).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S대학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문화연구 27(6), 인하대학교교육연구소, 295-321.
천호준, 신민(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W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정보문화연구 4(3),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61-271.
최선일, 최선영(2021). “A전문대학 학생들을 위한 핵심역량 진단척도 고도화”, 인문사회21 12(6), 1325-1340.
최훈(2010). “김영정 교수의 비판적 사고론”, 논리연구 13(2), 한국논리학회, 1-26.
홍경남, 서민규(2010). “대학 「비판적 사고」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4(1), 한국교양교육학회, 41-71.
홍성연, 김인수, 이진희, 임현정(2016). 교양교육 영역별 성과진단 방안 연구: 교양교육 전반영역,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Richard, P, Linda, E(2006). Critical Thinking Tools for Taking Charge of your Learning and Your Life, Pearson/Prentice Hall.
Congelosi, J. S(1990). Designing Test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Lo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