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H. W(2023).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E-books⋅Audio-books⋅Chat-books:Focusing on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49(2), 53-82.
[안현우. (2023). 전자책(e-book)⋅오디오북(audio-boook)⋅챗북(chat-book)의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 연구: 기대불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49(2), 53-82.].
Cho, Y, Lee, J, Min, J(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Focusing on Korean as general education,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259-284.
[조윤정, 이정숙, 민진영. (2019).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 동향 분석 : 교양 한국어를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10, 259-284.].
Embrain Trend Monitor. (2014). Tracking survey for e-book vs. paper book, Research Report 2014(1), 1-33.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2014). 전자책(e-book) VS. 종이책 관련 조사 (Tracking Survey). 리서치보고서, 2014(1), 1-33.].
Han, S(2010). Course design for teach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1(1), 225-248.
[한송화. (2010).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 -대학 입학 전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1(1), 225-248.].
Hwang, I(2015). A study on KFL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43:315-345.
[황인교. (2015).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재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3, 315-345.].
Kim, M(2021). A study on a needs analysis for foreign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media Korean languag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2(3), 33-54.
[김민경. (2021). 매체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외국인 유학생 요구 조사 연구. 한국어교육, 32(3), 33~54.].
Kim, M(2023). Change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Journal of Korean Culture 60:243-280.
[김민경. (2023).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의 변화 양상 및 발전 방향. Journal of Korean Culture, 60, 243-280.].
Kim, H, Ji, Y, &Lee, J(2013. January 30). A study on influence of feedback for tablet pc e-book :Similarities, concentration, and satisfaction of e-book and book, HCI Korea 2013, Gangwon, Korea.
[김효창, 지용구, 이주환. (2013. 1. 30). 태블릿 PC 의 사용자 피드백 방식에 따른 E-book과 책의 유사성, 몰입도,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HCI 2013 학술대회, 강원도, 대한민국.].
Kim, T(2022). Text analysis of Korean listen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Culture and Convergence 44(11), 41-56.
[김태연. (2022).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재의 텍스트 분석. 문화와융합, 44(11), 41-56.].
Lee, Y, Park, H, Lee, S, Jang, M, Ryu, S(2016). A basic study on textbook development of college writing course for foreign undergraduat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7(4), 155-188.
[이유경, 박현진, 이선영, 장미정, 류선숙. (2016).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교육, 27(4), 155-188.].
Oh, S(2023). Analysis of Uzbekistan learners'experiences and needs about edutech-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63:100-127.
[오선경. (2023). 에듀테크 기반 한국어교육에 대한 우즈베키스탄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 분석. Journal of Korean Culture, 63, 100-127.].
Park, S, Lee, C, Kim, M(2023). A plan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university liberal arts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18:1-20.
[박시균, 이창용, 김민정. (2023). 지방 소재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A대학의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연구, 18, 1-20.].
Ryu, S, Kim, J, Kim, M, Jung, M(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for the increase of academic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1(3), 125-155.
[류선숙, 김지혜, 김민경, 정미경. (2020). 외국인 학부생의 학업 능력 신장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 31(3), 125-155.].
Ryu, S, Kim, M, Jeon, H(2021).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Korean in universities,
Journal of Korean Culture 55:272-299.
[류선숙, 김민경, 전형길. (2021).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55, 272-299.].
Shin, M, Park, S(2017). Research on the effects of using audio-visual media on Korean writing skills, Journal of Liberal Arts Education Studies 2(1), 149-170.
[신민아, 박소희. (2017).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이 한국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학문 목적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교양교육연구, 2(1), 149-170.].
Song, K(2023, July 8). Changes in teaching method in Korea University's Korean Language Center, The 3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Korea.
[송금숙. (2023. 7. 8). 고려대학교 한국어센터의 교재 개편에 따른 교수법 변화. 제33차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서울, 대한민국.].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0, November 27).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Hawoo.
[문화체육관광부. (2020. 11. 27.).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하우].
National Institue of Korean Language. (2017). Applied research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eoul: National Institue of Korean Language.
[국립국어원. (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단계). 서울: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