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8(1); 2024 > Article
미래 사회 예측을 통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개발 연구

초록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가치 교육의 중요성을 다루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필요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탐색하여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사용된 핵심가치 개념어를 빈도분석하여 중요한 핵심가치 개념어를 도출하였다. 이후 각 정부 부처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헥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을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경향성을 확인하고, ChatGPT를 활용해 미래 사회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를 생성 후 STEEP에 따라 분류하였다. STEEP으로 분류한 미래 사회 예측 시나리오를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핵심가치 개념어와 매칭하여 사회와 개인 측면으로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존중’을 포함한 30가지 핵심가치 개념어가 도출되었고, 각 정부 부처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에서는 ‘산업, 확대, 추진’ 등이 중요하게 나타나. 정부 주요업무보고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면서도 각 부처의 특색이 나타나는 ‘교육, 문화, 해양’ 등의 단어도 상위 빈도에 포함되어 있어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으로 미래 시나리오 주제를 도출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hatGPT를 활용해 생성한 미래 사회 예측 시나리오는 10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를 STEEP에 따라 분류 후 사회와 개인 측면으로 나뉘어 총 30개로 구성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개발하였다.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는 초중등학교 핵심가치 교육 활성화⋅체계화에 기여하고 대학 수준의 교양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단초가 되리라 본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core value education requir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and to explore and develop a core value concept word system for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core value concept words us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were frequency analyzed to derive important core value concept words. Then, we analyzed the headlines of the hexagonal promotion tasks in the main work report documents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to identify trends, and generated scenarios for predicting the future society using ChatGPT and finally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STEEP. The future society prediction scenarios classified by STEEP were matched with the core value concept word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 and presented systematically in terms of society and individuals. As a result of the study, 30 core value concept words including ”respect” were derived fro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ndustry, expansion, and promotion” were important in the headlines of the key initiatives of each government ministry’s major work report. Words such as ”education, culture, and marine,”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s major work report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inistry, were also included in the high frequency range, confirming that it can be meaningful to derive future scenario topics from the headlines of the key initiatives of the government’s major work report. There were 10 future society prediction scenarios generated using ChatGPT, and after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TEEP, we developed a core value concept word system consisting of a total of 30 words divided into society and individual aspects. The core value conceptual language system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ore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will be the basis for connecting with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1. 서론

교육은 흔히 사람들에게 ‘지식, 기능, 가치’를 가르쳐 길러준다고 하며, 그 철학적 전통은 ‘진⋅선⋅미’로 요약된다. 일찍이 J. Herbart는 도덕적 인간 육성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았고, H. Spencer(1860)는 가장 가치 있는 과학적 근거를 가진 5가지 지식을 ‘지육, 덕육, 체육’으로 구분하여 강조하였다. Bloom 등(1956)도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교육목표를 구체화한 바 있다. 오늘날에도 교과의 구성이나 학생이 배울 것은 지식(knowledge), 기능(skill), 가치⋅태도(attitude) 등 KSA로 논하며, 세 가지 영역은 교육과정 체계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이에 학교 교육에서 ‘지식’ 교육은 인류가 축적한 문화유산을 전수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시험의 주요 내용이 되어 왔고, ‘기능’ 교육은 앎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실기 수업을 통한 다양한 ‘훈련’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가치교육은 교육의 목표를 세우고, 교육 내용과 활동 경험을 선정 및 조직하며, 가르칠 방도를 찾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는 측면에서 뚜렷한 모습을 확신하기 힘들어 가르치기 어렵다는 이유로 그동안 학교 교육에서 소홀히 여겨졌다. 즉, 많은 이들이 가치 교육이 중요한 줄은 알지만 교육의 체계 안에서 가르칠 뚜렷한 방도가 없다고 생각해 왔다(유지선, 2022).
먼저, 초중등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의 현황을 살피기 위해 학교교육의 모본(模本)이 되는 초중등학교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들여다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상대적으로 할 줄 아는 ‘기능’을 강조하였고, 이것을 Lanning(2012)은 ‘과정의 구조’로 나름 정리하였다. 최근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발전시킨 개념 기반 교육과정이 강조되었고, 이는 이전의 학문중심 교육과정, 그 이전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근원이 닿아있어 상대적으로 지식 중심 교육에 가까우며, 이를 Erickson et al(2017)은 ‘지식의 구조’로 정리한 바 있다. 그러나 ‘가치 교육과 가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활발히 논의되지 않고 있다. 다만,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정 방향 가치가 핵심역량과 내용 체계에 일부 반영되면서 가치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단계나 아직 적극적인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활발히 논의되지 않고 있다.
대학에서 가치교육은 주로 교양교육 영역에서 학생들이 인간 고유의 가치, 사회의 보편타당한 규범들을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소통하며 익히기 위한 교육목적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간 대학 교양교육은 고등학교 교육의 내용을 반복하거나 전공교육을 돕기 위한 ‘지식’과 ‘기능’을 익히기 위한 과목이 교양교육과정에 다수 편성⋅운영되면서 가치교육은 소외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김종호, 2023). 또한 전문대학의 교양교육은 2014년부터 개발⋅운영되고 있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초점이 맞춰진 교양과목 운영으로 교양교육의 방향과 목적에서 벗어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이 문제로 지적된다(유지선, 2022).
일각에서는 미래 사회는 다원주의 사회로 개인들이 저마다 상이한 가치관을 가지기 때문에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핵심가치를 가르쳐야 한다는 합의에 도달하기는 어렵고, 학교교육에서 가치교육을 실천하기는 수월하지 않다고 한다(Rickona, 1991)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미래 사회에 도래할 갖가지 심각한 도덕적⋅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합의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학교는 이러한 합의를 가능하게 만드는 공간이고, 모든 학교는 학생들의 지적 총명함과 더불어 도덕적 선함을 담당하는 기관이 된다. 따라서 학교가 가정과 사회를 대신하여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의 가치관, 인생관, 세계관을 맡아 가르치고 배우도록 해야 한다면, 학교는 핵심가치 교육을 충실히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핵심가치 교육에 대해 ”학생들이 인간 고유의 특징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 자신의 가치관⋅인생관⋅사회관⋅역사관 등을 올바른 방향으로 정립하고, 갈등과 딜레마 상황에서 공동체 구성원들과 토론과 협의하여 결론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학교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도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합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개발하여 초중고등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이 활성화되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합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개발하고자 이유는 교육과정(敎育課程)이 미래의 학교교육을 체계적⋅종합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안내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은 각종 교육활동의 기준과 계획으로서 학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의 과정을 인도하며, 교육의 결과에 대한 질을 담보하고 성과 평가의 기준이 된다. 또한 총론과 각론으로 나뉘어 총론에는 교육의 방향 및 목적, 교과들의 종합과 절충에 대한 기준을 포함하고 각론은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평가 등을 다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간상을 설정하고, 교육목적의 방향을 탐색하며, 교육내용을 통해 학생들의 전인적 교육방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가치 개념어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그 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동안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를 반영하는 인간상, 교육목표 등을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개발하는 일은 전통적 가치관이나 경제⋅사회 이데올로기와 이념을 토대로 연역적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상에 적합한 핵심가치 체계를 개발하는 것으로 미래 사회 예측을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미래 STEEP 기반 시나리오 작성 방법을 활용하여 미래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위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구안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문서에 나타난 핵심가치 개념어의 경향성은 어떠한가? 둘째, 우리나라 행정부서 주요업무보고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미래 사회 모습은 어떠한가? 셋째, 셋째, 교육에 반영가능한 미래지향적인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안은 어떠해야 하는가?

2. 이론적 배경

2.1. 교육에서 핵심가치 개념어 활용 실태

‘가치(價値)’의 뜻을 살펴보면, ‘가치’는 일반적으로 좋은 것, 값어치⋅유용(有用)⋅값을 뜻하는 것으로 ‘사물이 지닌 쓸모’를 언급하기도 하며, ‘인간이 마땅히 규범으로서 받아들여야 할 옳은 것이나 바람직한 것 그리고 개인이 좋아하거나 싫어함과 관계없이 인류가 보편으로 승인하는 것’을 뜻한다(국어대사전, 2022). 이처럼 ‘가치’의 뜻에는 사물의 쓸모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인간의 개인적인 선호(選好)⋅불호(不好)를 표현하는 의미가 포함되기도 하며, 때로는 사회적 측면에서 시비(是非)와 정오(正誤)를 가리기 위한 기준을 뜻하는 의미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에 ‘핵심가치 교육’의 정의는 좁게는 개인적 측면에서 일상적인 가치관, 인생관을 정립하도록 돕는 것부터 넓게는 사회를 이롭게 하는 방법에 대한 건국이념, 헌법, 사회규범 등을 익혀 가치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필수 교육영역으로 일컬을 수 있다. 즉, 핵심가치 교육은 학생들이 인간 고유의 특징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인생관⋅사회관⋅역사관 등을 올바른 방향으로 정립하고, 갈등과 딜레마 상황에서 공동체 구성원들과 토론과 협의하여 결론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유지선, 홍후조, 2022:24).

2.1.1. 교육에서의 핵심가치 개념어 활용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가치는 시대별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한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정치학Politica」에서 사람은 본성, 습관, 이성에 의해 성장하는데 본성은 타고나는 것이며, 습관과 이성은 교육을 통해 ‘덕’으로 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다고 보았다(한용진 외, 2014). ‘덕’은 감정과 행위에 있어 올바르고 탁월한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인데, 이러한 ‘덕’은 성품적 덕(ēthikēaretē)과 지적인 덕(dianoetikēaretē)으로 나눈다. 습관에 의한 교육인 ‘성품적 덕’은 올바른 방식으로 감정을 함양하는 윤리적 실천 행위로 감정과 행동에 주로 관련된 ‘용기, 절제, 정의’에서의 중용을 통해 교육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지적인 덕’은 인지적인 것에 관여하는 것으로 학문적 인식에 그 바탕을 두고 이성적인 부분을 갈고 닦는 것으로 ‘실천적 지혜(숙고)와 철학적 지혜(관조)’가 있으며 주로 가르침에 의해 교육할 수 있다고 보았다(박용준, 2014; 김지윤, 2015). 이처럼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치교육으로 ‘덕’을 언급하며 개인의 ‘용기, 절제, 정의’와 같은 정의적 영역부터 ‘숙고와 관조’와 같은 개인과 공동체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의 과정까지를 포괄한다. 로버트(1998)는 「민주시민의 도덕」에서 민주시민 교육을 위한 가치 체계 12가지 덕목을 제안한 바 있다. 로버트는 초기 로마공화정의 12표법(민사소송, 채무, 가족, 상속, 재산, 부동산, 장례, 결혼, 불법행위, 범죄)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후기 그리스 공화정 분류를 참조하여 가치 체계를 개발하였다. 로버트는 ‘하나’ 되기 위한 가치는 공동체의 이익과 권한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정의, 평등, 권위, 참여, 진실, 애국주의’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수⋅다양화’를 위한 가치는 개인의 이익과 권리를 중시하는 것으로 ‘자유, 다양성, 사생활 보고, 적법절차, 재산권, 인권’을 포함하여 구분한다. 로버트 역시 가치 체계를 가치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가치를 구분하여 제시한다.
다음으로 국내 연구에서 박용현(2004)은 한국교육 흐름 분석을 위해 교육이념이 되는 가치교육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로 나눈 가치 체계를 구안하였다. 박용현은 민족주의 가치에 ‘공동성, 정체성, 주체성, 통합성’ 그리고 민주주의 가치에는 ‘인간존중, 자유⋅권리, 평등⋅정의, 박애, 절차존중’ 등의 가치 개념어를 포함하였다. 신창호 외(2022)는 미래 사회를 전망하면서 교육에 필요한 미래지향적인 한국적 가치를 ‘온고지신’의 정신에 근거한 ‘화(和)’의 가치와 원리를 토대로 재정립하였다. 가치 체계는 개인, 대인관계, 공동체 세 영역이며, 개인을 위한 핵심가치는 인(仁)을 토대로 한 성찰과 자존이며, 대인관계를 위한 핵심가치는 의(義)를 토대로 한 공감과 배려이고, 공동체를 위한 핵심가치는 이 둘을 모두 포함한 인(仁)+의(義)로 상생과 공존이 중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김정수 외(2021)는 인간의 심리와 덕성을 분류하기 위한 가치체계(VIA: Values in Action)를 고안하였다. VIA 분류체계는 세계의 주요 종교 및 철학에서 이야기하는 공통적인 덕목 200여 가지의 덕목 가치어를 찾아내어 10가지 기준에 근거하여 분류⋅선별하고 최종 6개의 덕목과 24개의 성격의 강점을 구분하였다. 6가지 덕목에는 지혜와 지식, 용기, 사랑과 인간애, 정의감, 절제력, 영성과 초월성이다.
이처럼 학자들은 개인과 사회 두 가지 큰 틀로 구분된 핵심가치 체계 구안를 구안하고 각 영역별 상이한 핵심가치 개념어를 학자별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2.1.2.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개념어 활용

공식적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 실천을 위한 방도는 국가수준 교육과정문서에 핵심가치 교육을 잘 녹여내는 것이다. 이에 핵심가치 교육이 OECD, IBO 등의 해외 교육과정과 국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녹아져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 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는 OECD의 ‘2030 학습 나침반(Learning Compass)’은 개인과 사회의 Well-being을 위해 학생 에이전시(student agency) 개념을 바탕으로 ‘변혁적 역량’을 강조한다. 변혁적 역량은 새로운 가치 창출하기, 긴장과 딜레마에 대처하기, 책임감 갖기 등 세 가지이며, 기대-실행-반성으로 연결되는 역량 개발 싸이클을 갖는다(OECD, 2017). 이러한 변혁적 역량 함양은 ‘지식(Knowledge), 기능(Skills), 가치⋅태도(values & attitude)’ 영역 안에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가치⋅태도’는 개인 수준, 지역 수준, 사회 수준, 글로벌 수준으로 나눈다. OECD 학습 나침판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치’는 특정 가치, 행동, 행위가 ‘좋다 또는 나쁘다’를 구분하거나 혹은 바람직함을 평가하는 기준이라고 본다. 여기에는 ‘평등, 자유, 정의, 존엄, 결속, 관용, 평화와 안전, 지속적인 발전’ 등의 핵심가치 개념어 8가지를 포함한다. 또한 ‘태도’는 가치보다는 개인적 영역의 범주로 특정 사항의 ‘좋아함’과 ‘좋아하지 않음’의 정도로 평가하는 개인의 심리적 경향으로 여겨, 대인관계, 관계 개발⋅강화, 과제 완수, 지적 참여, 정서 조절 5가지를 범주로 하고 하위요소들 안에 열정, 신뢰, 창의적 상상, 자신감과 같은 21가지의 핵심가치 개념어를 포함한다. 이처럼 OECD는 가치와 태도로 구분하여 핵심가치 개념어를 설정하고 학생들의 개인적 그리고 지역적, 사회적, 세계적 차원에서 가치 개념어가 교육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도록 설계하였다(OECD, 2016; 최수진 외, 2017:52-58, 윤종혁 외, 2016: 113).
다음으로 IBO의 PYP(Primary Years Program) 교육과정을 살펴본다. IBO(2018)는 IB PYP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학업 및 개인적 성공에 필요한 태도와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핵심가치를 내포한 10가지 학습자상(① 탐구하는 사람, ② 지식이 풍부한 사람, ③ 소통하는 사람, ④ 깊이있게 사고하는 사람, ⑤ 도전적 신념이 강한 사람, ⑥ 열린 마음을 지닌 사람, ⑦ 타인을 배려하는 사람, ⑧ 도전하는 사람, ⑨ 균형을 갖춘 사람, ⑩ 숙고하며 성찰할 줄 아는 사람)을 제시한다(조호제 외, 2021). 이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부터 세계적인 차원까지 인간 및 세상과 관련된 생각과 논점을 가지고 생각할 수 있는 인재상에 대한 방향성을 의미한다. IB PYP는 학습을 위한 필수 요소로 ‘지식, 개념, 기능, 태도, 행동’ 5가지로 구분한다. 이중 ‘태도’는 학생들이 핵심가치를 토대로 자신의 신념, 선호 등을 확인하고 익히는 과정에서 호기심, 공감, 자신감, 자립 등과 같은 태도를 형성하고, 이를 토대로 협력, 헌신, 참여, 관용을 토대로 행동을 수행하여 개인부터 사회수준까지 확장된 삶의 변화를 창출해 내는 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열린 소양을 가진 사람의 태도 형성에 기여하는 핵심가치 개념어에는 ① 감사, ② 헌신, ③ 자신감, ④ 협력, ⑤ 창의, ⑥ 호기심, ⑦ 공감, ⑧ 열정, ⑨ 자립, ⑩ 청렴, ⑪ 공경, ⑫ 관용 등 12가지가 있다(조호제 외, 2021; IBO, 2018).
우리나라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가치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단계로 국가의 핵심가치를 교육과정에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인구감소, 감염병 대응 등 삶의 양식을 둘러싼 시대 변화, 가치관 미래 변화 등을 반영하여 ‘주도성⋅책임감, 배려와 포용, 문제해결 융합, 창의⋅혁신’이라는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미래를 이끌어 갈 혁신적 포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수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교육부, 2021a). 또한 핵심가치는 인간상, 핵심역량 그리고 교과 교육목표에까지 변화를 주었다. 예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 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에서 ‘자주적인 사람 → 자기주도적인 사람’으로 수정되었으며, 6대 핵심역량인 ‘자기관리, 지식정보처리, 창의적사고, 심미적감성, 의사소통, 공동체역량’에서 ‘의사소통역량’이 새로운 핵심가치를 토대로 ‘협력적 소통 역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민주시민교육을 위해 공동체 가치 함양과 역량 강화를 위해 민주시민교육과 연계하여 평화, 인성교육, 인문학적 소양 교육 등 내실화 등이 강조된다(교육부, 2021a). 이외에도 교과 교육과정 문서 내용 체계표에서 일반화된 지식과 영역별 기능을 나열식으로 제시한 것에서 나아가 ‘가치⋅태도’ 영역을 별도의 내용 체계로 구성하여 ‘핵심가치’를 교과 내용 체계에 담겨지도록 하였다.
정리하면,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크게 개인과 사회(공동체)로 구분한다는 점이다. 개인을 강조하는 경우는 ‘호기심, 창의성, 자신감, 자립, 감사’ 등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개인이 함양해야 하는 태도 관련 개념어로 설정된 경우가 많았다. 반면, 사회를 강조하는 경우는 ‘협력, 정의, 평등, 박애, 존중, 권리’ 등 사회공동체 유지와 존속을 위해 타인과 협력하고 소통을 위한 가치 기준들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국가 이념으로 제시된 경우, 개인 측면의 자유와 이익을 중요시하는 민주주의가 강조되고,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시하면 민족주의를 강조한다. 다만, 이러한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정립이 어떤 방법과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는가를 명확히 알기 어렵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논의를 토대로 여러 학자들과 국내외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와 요소들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핵심가치 개념어 활용 실태
구분 출처 핵심가치명 핵심가치 개념어
교육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2010) (성품적 덕) 용기, 절제, 정의 (지적인 덕) 숙고, 관조

로버트 (1998) 민주시민 덕목 (개인) 정의, 평등, 권위, 참여, 진실, 애국주의 (다수) 자유, 다양성, 사생활 보고, 적법절차, 재산권, 인권

박용현 (2004) 교육이념 가치체계 (민족주의) 공동성, 정체성, 주체성, 통합성 (민주주의) 인간존중, 자유⋅권리, 평등⋅정의, 박애, 절차존중

신창호 외 (2022) 핵심가치 (개인역량) 仁: 孝, 弟, 慈 (대인관계역량) 義 : 直, 勤, 儉 (공동체역량) 仁+義 : 克己, 復禮

김정수 외 (2021) VIA (Values in Action) (지혜와 지식) 창의성, 호기심, 개방성, 학구열, 예견력 (용기) 용감성, 끈기, 정직성, 열정 (사랑과 인간애) 사랑, 친절, 사회성 (정의감) 시민의식, 공정성, 지도력 (절제력) 용서, 겸손, 신중성, 자기통제력 (영성과 초월성) 감상력(심미안), 감사, 낙관성(희망), 유머, 영성

교육 과정 OECD (2018) 가치 평등, 자유, 정의, 존엄, 결속, 관용, 평화와 안전, 지속적인 발전

태도 (대인관계) 사회적 접근법, 열정, 확신 (관계 심화) 동정심, 존중, 신뢰, 화합 (과제 완수) 자기훈련, 조직, 책임감, 목표 지향, 과제 착수 (지적 참여) 호기심, 창의적 상상, 심미적 관심, 자아성찰, 자율성 (정서 조절) 스트레스 내성, 자신감, 정서 조절, 자부심

IB PYP (2018) 학습자상 1. 탐구하는 사람
2. 지식이 풍부한 사람
3. 소통하는 사람
4. 깊이있게 사고하는 사람
5. 도전적 신념이 강한 사람
6. 열린 마음을 지닌 사람
7. 타인을 배려하는 사람
8. 도전하는 사람
9. 균형을 갖춘 사람
10. 숙고하며 성찰할 줄 아는 사람

태도 1. 감사 2. 헌신 3. 자신감
4. 협력 5. 창의 6. 호기심
7. 공감8. 열정 9. 자립
10. 청렴 11. 공경 12. 관용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방향 주도성⋅책임감, 배려와 포용, 문제해결 융합, 창의⋅혁신

가치⋅태도 총론에서 규정한 핵심가치는 없으나 교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에 기술

2.2. 핵심가치 개념어 탐색을 위한 미래 사회 예측 방법

핵심가치 교육에서 가치 개념어는 미래 사회 방향을 나타냄과 동시에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한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미래 사회 예측 방법은 주로 정부부처, 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불확실한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한 것으로 사회 요구 조사를 하거나 미래 예측 시나리오 작성 등의 방법들이 포함된다. 미래 예측 대상은 경제 및 금융의 주가⋅환율, 시장에서의 소비자 형태, 기술의 발전 혁신 동향, 기후 변화 및 에너지 소비, 교육 관련 참여자들의 의견 및 정부 교육정책 방향 추이 등 지표에서 집단의 의견까지 다양하게 포함된다.
교육 분야에서 미래 예측 분석 역시 유용하게 활용된다. 급변하는 사회 변화 속에 미래를 예측하여 앞으로 필요한 직업을 예측하여 인력을 공급하고, 산업에 필요한 기술 교육 체계를 개선하며, 미래 사회 구성원이 함양해야 하는 역량을 확인하는 일에 활용된다(김경애 외, 2016; 조대연 외, 2019). 미래 예측을 위한 대상도 교육학자⋅교과교육전문가 등의 교육전문가부터 지역사회 전문가⋅교원⋅정부관료 등의 교육실천가 그리고 그들이 생산한 학술논문, 보도자료, 업무보고서, 커뮤니티 게시글까지 분석 대상에 포함된다. 교육분야에서 미래 예측을 위한 요구 분석 대상 및 주요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교육에서 미래 예측을 위한 요구 분석 대상 및 주요 내용
요구분석 대상집단 요구분석의 주요 내용
교육 전문가 각 분야의 석학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 등 분야의 석학들은 각 분야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해안으로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여 제시하고 미래 사회의 요구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인간의 자질이나 능력 파악

교육학자 • 사회적 요구에 대한 교육의 유목적성, 적합성, 실현가능성 검토

교과교육전문가 • 사회적 요구의 교과 교육과정에 융해 가능성 검토

교육 실천가 각 분야의 실천가 • 각 분야의 석학들이 제시한 미래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현장 경험적 검토

지역사회 전문가 • 지역사회의 특성이 교육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요구에 대한 공통분모 추출

정부 관료 • 교육과 국가 발전의 상관관계 속에서 국가적 비전과 미션 제시

교원 • 교육과정의 실행과 평가적 측면의 요구분석

교육 향유자 학부모 • 교육 위탁권자의 요구 및 학생에 대한 간접 요구 분석

담론 교육 관련 커뮤니티 게시글 • 교육과 관련된 수요자의 사회적 요구 및 경향 분석

언론 분석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 공식 문서, 잡지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이슈를 확인하고 경향성을 분석

출처: 백경선, 홍후조(2006), 양성훈(2022) 내용 재구성.

미래 예측 방법은 미래 요구 분석 대상별로 다양하다. 미래 예측을 위해 연구 대상에 따른 연구 방법은 4가지로 [그림 1]처럼 구분할 수 있다(김신복, 2006). 첫째로 기초이론이 정립되고 과거와 현재의 경험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는 인과분석 등을 통한 계량적 기법을 사용하며, 둘째로 경험적 자료 활용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이론지도 작성법(Theory Mapping)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로 경험적 자료가 이용 불가능한 경우에는 델파이기법(Delphi)이 적절하며, 마지막으로 분석 대상 분야에 기초이론이 미정립된 상태에서 과거와 현재의 경험적 자료가 이용가능한 경우는 추세분석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림 1]
미래 예측 분석 연구 방법
kjge-2024-18-1-79-gf1.jpg
미래 예측을 위한 추세분석기법에는 다양한 연구 방법들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자연어 처리 방법, 머신러닝 방법, 연관 규칙 학습 방법 등 빅데이터 분석 방법이 중요한 연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방법들은 연구 주제 관련 단기⋅중기 경향성 파악에 유리하다(K Van der Heijden, 2005). 다만, 이러한 미래에 대한 경향성 분석만으로는 미래 사회상을 정교하게 설명하기 어렵고 깊이 있는 논의를 끌어내는데 제한이 있다(김시현, 양성훈, 2024). 이러한 추세분석기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분석한 자료를 STEEP에 따라 다시 재분류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모습을 좀 더 정교화하여 예측할 수 있다. STEEP은 Society(사회), Technology(기술), Economy(경제), Ecology(환경과 자원), Politic(정치)에 대한 미래 예측 분류 체계로 각 분야별 미래 사회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최항섭, 2012; 이도영 외, 2015; 조대연 외,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분석방법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를 토대로 STEEP에 따라 작성한 미래 사회 발전 방향을 예측하여, 미래 사회 발전에 필요한 핵심가치 개념어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절차 및 방법

연구를 위한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탐색을 위해 문헌연구 및 비교연구를 실시하여 학자별 그리고 국내외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가치 교육 개념어 활용 실태 및 구조를 확인한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빈도수가 높게 활용된 핵심가치 개념어를 확인 후 경향성을 파악한다. 셋째, 정부의 6개년(2018~2023) 업무보고문서를 핵심어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하여 국가⋅사회의 요구 경향성을 엿볼 수 있는 미래 시나리오 주제를 도출하고 STEEP을 활용해 분석함으로서 미래 사회 모습을 정교하게 예측한다. 넷째, STEEP을 활용해 예측한 미래 사회상을 토대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용가능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구안한다. 다섯째,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구안 결과에 대해 전문가 2인의 도움을 받아 수정⋅보완하여 최종안을 만든다.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연구 절차 및 방법
kjge-2024-18-1-79-gf2.jpg

3.2. 분석 대상 및 방법

연구 분석 대상은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교육과정 문서로 핵심가치 관련 개념어 경향성 파악을 위해 ① 총론 문서 전체, ② 각론의 학년별(초등학교 1학년~6학년, 중등학교 7학년~12학년), ③ 각론의 교과별(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로 분류해 핵심가치 교육 개념어를 선택하여 비정형 데이터들을 Excel형태로 저장하였다.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가치 교육 개념어 선별을 위해 선임연구자가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문서를 2회 이상 정독하여 정리한 파일들을 공동연구자가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행정부서 15곳의 주요업무보고 6개년(2018~2023) 문서를 빅데이터 방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미래 사회 모습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행정부서는 고용노동부, 과기부, 교육부, 국토부, 기재부, 농림축산식품부, 문체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통일부로 총 15곳이며, 중소벤처기업부는 2017년 7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외청이었던 중소기업청이 격상되었다는 점에서 분석 대상으로부터 제외하였고, 행안부는 업무의 성격이 종합적이라는 점에서 제외하였다. 그 외에 국방부의 업무보고는 본 연구의 목적인 핵심가치 교육(안)과는 동떨어진 결과물이라고 판단하여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의 비정형 데이터 수집 범위는 <표 3>과 같다.
<표 3>
비정형 데이터의 수집 범위 및 내용
구분 내용
수집 데이터 •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문서
• 우리나라 행정부서 주요업무보고 문서

데이터 수집 범위 •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문서(2022)
• 15개 행정부서 주요업무보고 문서(2018 ~ 2023)

데이터 수집 요소 • 2022 개정 총론(인간상, 교육목표, 핵심역량 등)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관련 개념어
• 2022 개정 각론 교육과정에서 각 교과별 [태도⋅가치]에 작성된 가치 개념어
• 15개 행정부서 업무보고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2018 ~ 2023)
본 연구에서 미래 사회 모습 예측을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문서와 정부부처가 생산한 업무보고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문서로 다음 교육과정 개정 전까지 우리나라 교육과정 전반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정부업무보고 문서는 대한민국 대통령에 대한 보고이자 국민에게 각 부처가 어떠한 비전을 가지고 부처의 일을 운영할 것인지 명확히 설명하고 있어, 부처별 국가 비전과 미션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정부부처의 업무보고서를 살펴보면, 각 부처별 미래 비전-핵심가치-핵심전략목표-핵심추진과제 순으로 정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3. 분석 방법 및 내용

연구 수행을 위한 자료 분석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된 핵심가치 관련 핵심어를 별도로 발췌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통적 저널리즘 연구에서 헤드라인은 기사본문의 내용과 일체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해볼 때(김병홍, 2016), 정부업무보고 문서는 정부부처들이 지향하는 업무내용이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고 보아 [그림 3]처럼 이 부분을 별도로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그림 4]처럼 비정형 데이터들을 Excel형태로 저장하고, Pandas 라이브러리를 통해 Python 3.6으로 불러와 텍스트 전처리, 토큰화, 벡터화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전처리된 결과를 텍스트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결과는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로 제시하였다.
[그림 3]
2023 교육부 주요업무보고 핵심 추진과제
kjge-2024-18-1-79-gf3.jpg
[그림 4]
excel 형태 저장 예시
kjge-2024-18-1-79-gf4.jpg
둘째, 연구 결과의 명료성을 높이기 위해 단어를 불용어 처리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의 핵심가치 관련 개념어는 데이터에서 ‘가치, 태도, 대한’ 등의 조사는 자주 등장하여 불용어 처리하여 삭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행정부서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헤드라인에서 자주 사용되는 ‘년도, 강화, 지원, 적극, 조성, 확충’ 등 단어 및 ‘대한, 통해’와 같은 단어 등에 조합된 ‘조사’를 불용어 처리하고, ‘취약’, ‘계층’은 취약계층으로, ‘미적’은 ‘심미적’으로, ‘지속’과 ‘가능’은 ‘지속가능’ 등의 합성어로 출력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하였다. 한편, ‘기반’, ‘중심’, ‘제공’ 등의 단어는 정부의 역할을 잘 보여주는 단어로 판단하여 불용어 처리하지 않았다.
셋째, 정부 업무보고 문서의 경향성을 토픽모델링을 통해 제시하였다. 토픽모델링은 구조화되지 않은 방대한 문헌 집단에서 주제를 찾아내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맥락과관련된 단서들을 이용하여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클러스터링하는 방식으로 주제를 추론하는 모델이다(Blei, 2012; Steyvers & Griffiths, 2007). 본 연구에서는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문서 내에 잠재되어있는 주제를 추론할 수 있다는 장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장점을 부각하기 위해 [그림 5]의 정합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합점수가 0.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10개의 토픽을 선정하였다.
[그림 5]
토픽 수 선정을 위한 정합성 분석 결과
kjge-2024-18-1-79-gf5.jpg
도출된 각 토픽은 생성형 AI인 ChatGPT4.0을 활용해 토픽명과 시나리오 주제를 생성하였다. 김경동(2023)은 ChatGPT를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가치판단과 편향성’ 그리고 ‘의사결정의 개입과 왜곡 가능성’ 문제를 언급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경동이 제기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미래를 실재적으로 만드는 흥미와 재미(Park et al. 2007)가 있는 토픽명과 시나리오 주제를 생성하기 위한 토픽모델링 결과 200건에 대한 ChatGPT 산출 결과를 검토 및 분석해서 시나리오 주제를 추출하고, 연구진의 합의를 통해 10가지의 토픽별로 1가지의 좋은 시나리오 주제를 선별하였다. ChatGPT를 활용해 토픽 주제별로 도출한 시나리오 주제를 STEEP에 따라 분류하여 미래 사회 모습을 예측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핵심가치 개념어 30개를 미래 사회를 예측하는 모습에 따라 필요한 개념어로 분류하고 관련 전문가 2인의 검토를 받았다.

4. 연구 결과

4.1.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교육 관련 개념어 빈도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전체와 각론을 교과별, 학제별로 나누어 세분화된 분석을 하였다. <표 4>에 따르면, 총론에서 나타난 핵심가치 개념어의 특징은 존중, 공동체, 협력, 문제해결 등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방식과 관련이 깊다. 각론에서 교과별로 봤을 때, 국어에서는 참여, 도덕과 사회에서는 존중, 수학에서는 유용성, 과학에서는 심미적⋅유용성, 기술⋅가정에서는 존중, 체육에서는 개방성⋅참여, 음악과 미술에서는 존중, 영어에서는 공감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핵심가치 개념어에서 존중은 9개의 교과목 중 6개의 교과목에서 가장 높인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회 교과 항목에서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어 사회 과목이 핵심가치로 두고 있는 ‘존중’의 의미가 무엇인지 해석하고 교육에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과학 교과 항목의 경우, 초중고등학교 급에서 동일한 7가지의 핵심가치 개념어를 제시한다. 이는 수학이나 과학 같은 실증적 학문에 토대를 둔 교과들은 다양한 핵심가치 개념어를 활용한 핵심가치 교육이 어려울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표 4>
총론과 교과별 핵심가치 개념어 빈도수
총론 순위 1 3 5 6 10
word 존중 공동체 협력 문제해결 창의성 참여 배려 성찰 소통 다양성
freq. 7 7 6 6 5 4 4 4 4 3
국어 순위 1 2 3 4 5 6
word 참여 성찰 소통 흥미 책임 관심 효능감 즐거움 윤리성 인식
freq. 16 15 8 7 6 3 3 3 3 3
도덕 순위 1 2 3 4 10
word 존중 책임 참여 사랑 공감 정의 문제해결 자유 수용 윤리성
freq, 13 7 5 4 4 4 4 4 4 3
사회 순위 1 2 3 4 5 6 8
word 존중 실천 참여 문제해결 성찰 공감 관심 이해 협력 책임
freq. 41 19 18 14 13 10 10 8 8 8
수학 순위 1 2 3 4 7 8 10
word 유용성 흥미 합리성 도전 의사결정 관심 비판 문제해결 끈기 논리
freq. 17 9 8 4 4 4 3 2 2 1
과학 순위 1
word 심미적 유용성 과학감수성 창의성 윤리성 개방성 즐거움
freq. 24 24 24 24 24 24 24
기술 가정 순위 1 2 3 4 5 6 7 9
word 존중 문제해결 흥미 협력 관심 도전 수용 창의성 실천 자신감
freq. 18 17 12 11 10 9 7 7 6 6
체육 순위 1 6
word 개방성 참여 공감 침착 유능감 긍정 관심 실천 자신감 준수
freq. 2 2 2 2 2 1 1 1 1 1
음악 순위 1 2 3 8
word 존중 참여 흥미 공감 다양성 실천 즐거움 관심 자신감 협력
freq. 4 3 2 2 2 2 2 1 1 1
미술 순위 1 2 4 6
word 존중 비판 수용 참여 공감 흥미 관심 성찰 공동체 공유
freq. 7 4 4 3 3 2 2 2 2 2
영어 순위 1 2 5 6 8
word 공감 자신감 존중 포용 흥미 다양성 실천 협력 배려 자발
freq. 15 10 10 10 9 8 8 4 4 4
학교급별로 핵심가치 개념어를 빈도 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초등교육에서는 흥미, 중등교육에서는 존중이 가장 높은 빈도순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육에서는 흥미와 관심처럼 학생들의 태도와 관련된 단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중등교육에서는 존중, 참여처럼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대응 방식과 관련된 단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표 5>
학교급별 핵심가치 개념어 빈도수
초등 교육 순위 1 2 3 4 5 7
word 흥미 관심 존중 즐거움 윤리성 참여 유용성 실천 창의성 개방성
freq. 22 17 13 9 8 8 6 6 6 6
중등 교육 순위 1 2 3 4 6 7 8 10
word 존중 참여 문제해결 성찰 유용성 공감 실천 창의성 흥미 협력
freq. 83 46 40 37 37 35 34 31 26 26

* 초등교육 학제의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은 제외하였음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각론 전체에서 도출된 결과는 <표 6>과 [그림 6]의 워드클라우드로 핵심가치 중에서도 ‘존중’이 가장 중요시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존중 다음으로는 참여, 흥미, 유용성⋅문제해결, 성찰 등의 단어 순으로 높은 빈도순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 흥미, 유용성, 성찰은 학생들의 태도와 관련이 있고, 존중, 참여와 문제해결은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삶을 살아가는 가치판단과 관련이 있다. 즉, 학생들은 교과에 흥미를 갖고, 성찰을 통해 자기 인식을 높이며, 존중하는 자세로 문제해결에 참여하여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내적 성장과 외부 세계와의 상호작용 능력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6>
국가수준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전체 핵심가치 개념어 빈도수
순위 1 2 3 4 6 7 9 10
word 존중 참여 흥미 유용성 문제해결 성찰 공감 실천 창의성 관심

freq. 96 54 48 43 43 42 40 40 37 35

순위 11 12 13 15 16 18 19

word 즐거움 윤리성 개방성 협력 수용 심미적 과학 감수성 다양성 소통 책임

freq. 32 30 29 29 25 24 24 21 20 20

순위 21 22 24 25 26 27 30

word 자신감 배려 비판 이해 도전 포용 안전 공유 합리성 주도성

freq. 19 16 16 15 14 13 8 8 8 7
[그림 6]
교육과정 문서(전체) 워드클라우드 분석결과
kjge-2024-18-1-79-gf6.jpg

4.2. 핵심가치 가치어 탐색을 위한 미래 예측 분석

4.2.1.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 핵심추진과제 헤드 라인 빈도분석

다음으로는 2018~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을 부처별로 나눈 후에 <표 7>과 같이 분석하였다. 15개의 부처 주요업무보고 문서에서 모두 각 부처의 역할과 활동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도출되었으며, 핵심추진과제의 헤드라인을 발췌해 분석했음에도 각 정부부처가 지향하는 업무내용이 드러나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자리, 디지털, 교육, 교통, 재정⋅경제, 농촌 등의 단어가 각 부처의 역할과 활동을 뚜렷하게 나타낸다면 산업, 국민, 혁신, 전략, 추진, 기반, 구축 등의 단어는 대부분의 정부부처에서 공통되게 나타나는 것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국민관심도가 높은 관리과제를 반영하여 가시적인 성과창출이 필요한 핵심 관리과제를 선정하고 집중 추진하는 것이 정부 주요업무보고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표 7>
2018 ~ 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 빈도분석(부처별)
고용 노동부 순위 1 2 3 4 5 7 9
word 일자리 고용 일터 해소 노동시장 국민 산업 혁신 보험 취약계층
freq. 16 14 12 10 9 9 8 8 6 6
과기부 순위 1 2 3 4 5 8 10
word 디지털 기술 혁신 국가 산업 과학기술 확보 국민 전략 환경
freq. 31 24 19 13 12 12 12 11 11 10
교육부 순위 1 2 4 5 7 8 10
word 교육 혁신 대학 인재 미래 양성 역량 사회 학교 추진
freq. 93 36 36 26 25 25 22 19 19 17
국토부 순위 1 2 3 5 6 7 8 9
word 산업 교통 혁신 지역 주거 안전 기반 구축 건설 개선
freq. 39 32 25 25 24 22 21 20 19 19
기재부 순위 1 2 3 4 5 7 8
word 혁신 대응 추진 안정 재정 경제 규제 확대 산업 기업
freq. 30 27 22 19 18 18 14 13 13 13
농림축산 식품부 순위 1 3 4 8
word 농촌 농업 확대 산업 안정 스마트 수출 일자리 육성 확산
freq. 14 14 11 6 6 6 6 5 5 5
문체부 순위 1 2 3 4 5 6 9 10
word 문화 관광 콘텐츠 산업 확대 예술 스포츠 체육 지역 기반
freq. 73 25 23 19 17 16 16 16 15 13
법무부 순위 1 2 3 4 5 6 8 9
word 인권 추진 국민 사회 제도 범죄 보호 검찰 정책 형사
freq. 29 27 25 23 22 21 21 20 19 19
보건 복지부 순위 1 2 3 4 6 7 8 9
word 의료 서비스 확대 건강 체계 사회 보장 아동 관리 구축
freq. 66 36 34 31 31 26 24 23 22 22
산업통상 자원부 순위 1 2 3 4 5 6 7 10
word 산업 에너지 수출 전환 혁신 통상 경제 추진 확대 협력
freq. 42 31 23 18 17 15 14 14 14 11
여성 가족부 순위 1 2 4 5 7 9 10
word 청소년 가족 확대 사회 평등 여성 아동 서비스 정책 피해자
freq 38 21 21 16 13 13 11 11 10 9
외교부 순위 1 2 3 4 5 6 7 10
word 외교 협력 추진 국민 기반 발전 전략 평화 경제 글로벌
freq 42 33 27 19 13 12 11 11 11 10
해양 수산부 순위 1 2 3 4 5 6 7 8 9 10
word 해양 항만 산업 관리 구축 안전 물류 스마트 해운 추진
freq 71 40 38 36 30 25 24 23 22 21
환경부 순위 1 2 3 4 6
word 환경 녹색 산업 국민 관리 체계 확대 미세먼지 대응 탄소
freq 20 19 16 10 10 8 8 8 8 8
통일부 순위 1 2 3 4 5 6 7 8 9 10
word 통일 협력 추진 남북 평화 대화 국제 기반 북한 비무장지대
freq 26 24 20 16 14 12 10 10 10 8
다음으로는 2018~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을 년도별로 나누어 <표 8>과 같이 분석하였다. 2018년에 교육, 2019년에 해양이 높은 빈도수로 나타난 것을 제외하면 대체로 산업, 구축, 확대, 추진, 혁신, 기반 등 특정 부처의 업무 특징보다는 정부 주요업무보고로서 특징이 잘 드러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8>
2018~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 빈도분석(년도별)
2018 순위 1 2 3 4 5 6 7 8 9 10
word 교육 산업 구축 확대 추진 혁신 기반 문화 체계 국민
freq 41 29 29 26 24 23 22 21 20 19
2019 순위 1 2 3 5 6 7 8 10
word 산업 해양 혁신 확대 관리 구축 문화 체계 기반 지역
freq 34 31 26 26 23 22 20 17 17 16
2020 순위 1 2 3 4 5 7 8 9 10
word 추진 관리 산업 혁신 확대 기반 협력 해양 국민 체계
freq 43 38 36 31 29 29 28 26 25 24
2021 순위 1 3 4 5 6 7 9
word 혁신 확대 국민 사회 산업 추진 구축 서비스 기반 관리
freq 35 35 34 32 30 29 27 27 24 24
2022 순위 1 2 3 4 6 10
word 구축 체계 확대 관리 지역 기반 산업 대응 추진 혁신
freq 38 32 30 28 28 26 26 26 26 25
2023 순위 1 2 3 4 5 6 7 8 9
word 산업 확대 수출 추진 혁신 지역 대응 체계 전략 기반
freq 47 45 44 43 31 30 29 27 25 25
2018~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 전체를 빈도 분석한 결과는 <표 9>로, 상위 10개의 단어(산업, 확대, 추진, 혁신, 구축, 기반, 체계, 관리, 지역, 국민)가 모두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특징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부처의 특색이 나타나는 ‘교육, 문화, 해양’ 등 이 상위 빈도에 포함되어 있어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으로 미래 시나리오 주제를 도출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림 6]과 [그림 7]은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를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한 결과이다.
<표 9>
2018 ~ 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 빈도분석(전체)
순위 1 2 3 4 5 6 7 8 9 10
word 산업 확대 추진 혁신 구축 기반 체계 관리 지역 국민

freq. 202 191 180 171 157 145 140 134 126 121

순위 11 12 15 16 17 19 20

word 사회 교육 협력 대응 문화 서비스 개선 해양 안전 정책

freq. 109 107 107 107 99 93 91 91 89 84

순위 21 23 24 26 27 30

word 육성 환경 마련 미래 기술 제도 역량 경제 의료 인프라

freq. 83 83 81 79 79 70 69 69 69 67
[그림 7]
2018 ~ 2023 정부 주요업무보고 워드클라우드 분석결과
kjge-2024-18-1-79-gf7.jpg

4.2.2. 미래예측을 위한 토픽모델링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는 <표 10>과 같다. 보통 LDA분석이 제시하는 토픽(토픽n)의 이름은 연구자가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토픽모델링 결과 200건에 대한 값을 ChatGPT의 명령프롬프트에서 ”(토픽 n에 할당된 단어)들을 조합하여 토픽들의 주제를 생성하라”고 입력한 후 주제를 산출하였다. 그 후 산출 결과를 검토 및 분석하여 연구진의 합의를 통해 토픽별 주제를 <표 11>과 같이 선정하였다.
<표 10>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토픽1 토픽2 토픽3 토픽4 토픽5 토픽6 토픽7 토픽8 토픽9 토픽10
의료 (0.026) 제도 (0.019) 해양 (0.041) 산업 (0.029) 추진 (0.019) 추진 (0.018) 교육 (0.048) 산업 (0.027) 통일 (0.043) 문화 (0.036)

확대 (0.022) 사법 (0.019) 산업 (0.028) 수출 (0.023) 대응 (0.017) 범죄 (0.018) 대학 (0.018) 혁신 (0.024) 남북 (0.017) 협력 (0.024)

서비스 (0.019) 인권 (0.017) 항만 (0.018) 녹색 (0.017) 안정 (0.017) 정책 (0.017) 혁신 (0.018) 지역 (0.021) 협력 (0.015) 외교 (0.021)

사회 (0.017) 형사 (0.016) 관리 (0.017) 환경 (0.016) 경제 (0.016) 보호 (0.014) 인재 (0.014) 안전 (0.018) 대화 (0.013) 추진 (0.018)

청소년 (0.015) 국민 (0.014) 구축 (0.016) 에너지 (0.014) 제도 (0.015) 사회 (0.014) 양성 (0.013) 교통 (0.017) 북한 (0.012) 국민 (0.017)

체계 (0.014) 추진 (0.013) 추진 (0.012) 경제 (0.013) 국민 (0.013) 인권 (0.014) 추진 (0.013) 구축 (0.015) 추진 (0.012) 기반 (0.014)

아동 (0.014) 사회 (0.012) 수산 (0.012) 확대 (0.013) 사회 (0.011) 검찰 (0.011) 역량 (0.012) 기반 (0.015) 이행 (0.011) 관광 (0.013)

건강 (0.013) 관리 (0.010) 안전 (0.012) 관리 (0.012) 제정 (0.011) 국민 (0.010) 확대 (0.012) 개선 (0.013) 체계 (0.010) 확대 (0.012)

구축 (0.012) 행정 (0.010) 확대 (0.012) 탄소 (0.011) 혁신 (0.010) 확대 (0.009) 대응 (0.012) 주거 (0.012) 미래 (0.007) 콘텐츠 (0.011)

관리 (0.010) 개선 (0.010) 육성 (0.012) 전환 (0.011) 개선 (0.010) 체계 (0.008) 사회 (0.011) 시장 (0.012) 정상화 (0.007) 산업 (0.008)

※ 괄호는 토픽에 대한 단어의 확률분포

<표 11>
ChatGPT를 활용한 토픽모델링 기반 미래 시나리오 주제 10가지
최종 선정한 토픽명 최종 선정한 시나리오 주제
토픽1 의료 및 사회 복지 서비스 확장 • 의료 서비스 및 사회적 복지의 확장을 통한 청소년과 아동의 건강 및 복지 증진

토픽2 사법 제도의 혁신과 인권 증진 • 사법 체계의 개선과 인권 보호를 통한 공정한 사회적 정의의 실현

토픽3 해양 산업의 발전 및 안전 관리 • 해양 산업 및 항만 관리의 혁신을 통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해양 개발 전략

토픽4 녹색 경제와 환경 친화적 산업 발전 • 환경 보호와 녹색 에너지 활용을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전략

토픽5 경제 안정과 혁신적 제도 개선 • 경제 안정화와 제도 혁신을 통한 사회적 번영과 국민 복지 증진

토픽6 범죄 예방과 사회적 보호 정책 강화 • 범죄 예방 및 사회적 보호 메커니즘 강화를 통한 안전한 사회 구축

토픽7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 • 미래 지향적 교육 혁신을 통한 인재 양성 및 사회적 역량 강화

토픽8 지역 산업 발전과 안전한 인프라 구축 • 지역 산업의 발전과 안전한 교통 및 주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

토픽9 남북 통일과 협력 증진 • 남북 대화 및 협력을 통한 평화와 통일을 향한 구체적 이행 전략

토픽10 문화 외교 및 국제 협력 증진 • 문화 외교를 통한 국제적 협력 강화 및 문화 콘텐츠의 글로벌 확장

4.3. 미래 사회 예측을 통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가치 개념어 도출

최근 들어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 방식의 분석 결과 자체만으로도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이나 경향성 파악을 넘어 담론에 이를 수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 (김현수⋅이재창, 2022; 서경숙 외, 2023), 아직 토픽모델링 분석 방법을 활용한 연구 결과는 미래 예측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로 확장하는 데 제한이 있다(김시현, 양성훈, 2024). 이러한 이유로 텍스트마이닝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미래 사회 예측을 정교하게 하고 논의를 확장하고자 조대연 외(2019)가 개발한 ‘STEEP 기반 미래 사회 예측 동인’을 활용하여 토픽별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조대연 외(2019)는 미래 사회 예측 동인 탐색을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 총 228편의 논문을 확인해 최종적으로 미래 사회 예측 동인을 언급하는 17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 변화 동인 17가지를 STEEP 구조에 따라 유형화하고 타당화 과정을 거쳐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를 완성하였다. 연구에서는 조대연 외(2019)가 개발한 ‘STEEP 기반 미래 사회 예측 동인’ 구조와 각 동인별 세부 근거를 분석하여 <표 12>와 같이 토픽별 시나리오 주제를 STEEP에 따라 분류하였다.
<표 12>
STEEP 기반 미래 사회 예측 동인을 기준으로 분류한 토픽별 시나리오
STEEP 미래 사회 예측 동인(세부 근거) 토픽별 시나리오 주제
Society •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정경희 외, 2017) [토픽1] 의료 및 사회 복지 서비스 확장

• 비인간화, 개인화(성태제, 2017) [토픽2] 사법 제도의 혁신과 인권 증진

•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유승호, 2005) [토픽6] 범죄 예방과 사회적 보호 정책 강화

• 세계화, 글로벌화, 네트워크화(김지은, 2006) [토픽10] 문화 외교 및 국제 협력 증진

Tech • 과학기술발달(장주희 외, 2013) [토픽3] 해양 산업의 발전 및 안전 관리

• 기술의 융복합화(이중만, 임명환, 2013) [토픽8] 지역 산업 발전과 안전한 인프라 구축

Economy • 사회 경제적 양극화(정수열, 2015; 남인숙, 2011) [토픽5] 경제 안정과 혁신적 제도 개선

• 노동시장 변화(이규용, 김용현, 2003) [토픽7]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

Ecology • 환경오염 기후변화, 자연재해(김형중, 2014) [토픽4] 녹색 경제와 환경 친화적 산업 발전

Politic • 북한의 급격한 변화(박남기, 2017) [토픽9] 남북 통일과 협력 증진
STEEP에 따라 분류한 미래 상황 시나리오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대연 외(2019)의 Society에 해당하는 미래 예측 동인은 ‘삶의 질 관심 증대, 비인간화⋅개인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세계화⋅글로벌화⋅네트워크화’ 등 7가지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토픽1의 ‘의료 및 사회 복지 서비스 확장’은 정경희 외(2017)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에서 언급하는 미래 사회의 모습으로 예측할 수 있다. 미래 사회에는 개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만족감과 신체적⋅정신적 안녕 등의 의료와 복지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을 담고 있다. 토픽2의 ‘사법 제도의 혁신과 인권 증진’과 토픽6의 ‘범죄 예방과 사회적 보호 정책 강화’는 미래 사회 발전 방향이 컴퓨터와 로봇이 중심이 되어 인간의 감성, 영감, 공감 등 인간의 고유한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인간의 도덕성과 윤리성 문제에 대비를 위한 사회의 법과 제도 정비가 필요할 것이라는 성태제(2017)의 ‘비인간화⋅인간화’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미래 사회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토픽10의 ‘문화 외교 및 국제 협력 증진’은 세계화⋅글로벌화⋅네트워크화 속에서 미래 사회에는 문화, 경제, 산업 등에서 더욱 초대륙적 사회적 상호작용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는 김지은(2006)의 전망을 토대로 미래 사회 모습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조대연 외(2019)의 Tech에 해당하는 미래 예측 동인은 ‘과학기술발달,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기술의 융복합화’ 3가지이다. 토픽3은 ‘해양 산업의 발전 및 안전 관리’로 IT(정보통신기술), BT(생명공학), NT(나노기술), ST(우주항공기술), OT(해양산업기술)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기술변화가 가속화되어 미래에는 이러한 기술들의 융복합화로 인공지능, 바이오신약, 로봇 등 첨단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장주희 외(2013)의 ‘과학기술의 발달’로 미래 사회 과학 분야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다. 토픽8은 ‘지역 산업 발전과 안전한 인프라 구축’으로 기존 산업의 이질적인 요소들이 연결⋅혼합⋅변형⋅재구성됨으로써 산업과 기술의 효율과 성능이 개선되어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되고 안착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 이중만, 임명환(2013)의 주장으로 미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조대연 외(2019)의 Economy에 해당하는 미래 예측 동인은 ‘사회경제적 양극화, 노동시장 변화, 민주주의 위험 증가, 탈분화’ 5가지이다. 토픽5의 ‘경제 안정과 혁신적 제도 개선’은 정수열(2015)과 남인숙(2011)이 언급한 ‘기술의 융복합화’로 이해할 수 있따. 미래에는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인해 사회계층간 격차가 커져지는 양극화 현상과 사회이동이 현저히 제약되어 계층구조가 고정화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 혁신적인 경제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이를 통한 경제 안정을 추구해야 한다는 전망을 담고 있다. 또한 토픽7의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은 세계화 가속 및 기술발전, 정보화 등으로 산업구조와 취업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임시⋅일용직 근로자 증가와 평생직장 개념 쇠퇴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미래 사회 노동시장 구조에 맞는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미래 사회 모습을 예측할 수 있다(이규용, 김용현, 2003).
넷째, 조대연 외(2019)의 Ecology에 해당하는 미래 예측 동인은 ‘환경오염 기후변화⋅자연재해’ 1가지이다. 토픽4의 ‘녹색 경제와 환경친화적 산업 발전’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의 기후변화는 폭설과 한파, 가뭄과 폭우, 폭서 등 전세계적으로 기상피해와 자연재해 발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에 환경친화적인 산업 발전과 녹색 경제로 지속가능한 미래가 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김형중(2014)의 전망을 통해 미래 사회 모습을 그릴 수 있다.
다섯째, 조대연 외(2019)의 Politic에 해당하는 미래 예측 동인은 ‘북한의 급격한 변화’ 1가지이다. 토픽9의 ‘남북통일과 협력 증진’은 남북통일 혹은 북한과의 교류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박남기(2017)의 ‘북한의 급격한 변화’로 미래 사회의 남과 북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미래 사회 모습을 정교하게 예측한 사회, 기술, 경제, 환경, 정치 각 영역별 시나리오를 토대로 각 영역의 미래 비전, 방향성 그리고 필요한 가치 개념어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최다빈도 핵심가치 개념어 30가지 중에서 선별하여 매칭하였다.
사회(Society) 영역에서 예견되는 미래 시나리오는 의료, 복지 등 국가의 복지 정책에 대한 요구사항 증대, AI 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의 도덕성과 윤리성 관련 문제의 등장, 초대륙적인 사회 상호작용의 급격한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미래 상황에서는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올바른 윤리 의식을 토대로 다양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해결하기 위한 실천력을 가지고 미래 사회를 대비해야 한다고 보아 ‘이해, 참여, 실천, 배려, 다양성, 윤리성’을 핵심가치로 설정하였다. 기술(Technology) 영역에서 예견되는 미래 시나리오는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른 첨단산업의 성장, 산업과 기술의 효율과 성능의 개선에 따른 신서비스 창출 및 정착화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미래 상황에서는 도전정신을 가지고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세가 필요하며 더불어 인간 안정과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확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아 ‘문제해결, 도전, 안전’을 핵심가치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경제(Economy) 영역에서 예견되는 시나리오는 양극화 현상의 심화와 계층구조의 고착화를 대비를 위한 혁신적 경제 제도 개선, 미래 사회 노동시장 구조에 적합한 교육 혁신 도모 및 인재 양성⋅발굴의 필요성 증대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미래 상황에서는 계층구조 고착을 막고 새로운 노동시장을 개척하며 미래를 살아갈 인재 양성을 위해서 ‘합리성, 개방성, 유용성’이라는 핵심가치 개념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환경과 자원(Ecology) 영역에서 예견되는 시나리오의 주제는 환경친화적인 산업 발전과 녹색 경제로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미래 상황에서는 지구 기후 변화에 책무성을 느껴 환경친화적인 산업 발전과 녹색 경제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아 ‘존중, 책임, 공유’를 핵심가치 개념어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Politic) 영역에서 예견되는 시나리오의 주제는 북한과의 교류가 확대될 것으로 보아 이러한 미래 상황에서는 ‘포용, 소통, 협력’의 핵심가치 개념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처럼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비전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미래 사회 예측 시나리오의 사회, 기술, 경제, 환경, 정치 영역별 주제와 부합하는 핵심가치 개념어는 18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 예측 시나리오와 부합하지 않는 12개의 핵심가치 개념어는 개인(태도)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표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 측면의 가치는 개인적 영역의 특정 사항의 선호(選好)⋅불호(不好) 정도를 나타낸다. 이에 개인 측면의 핵심가치는 ”개인이 자기성찰을 토대로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비판적인 생각을 통해 학업과 진로를 찾고 자신감과 주도성을 가지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가치”로 정의하고 ‘성찰, 흥미, 관심, 즐거움, 주도성, 자신감, 비판, 창의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안은 <표 13>과 같다.
<표 13>
핵심가치 교육을 위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구분 내용
사회 • (Society) 이해, 참여, 실천, 배려, 다양성, 윤리성 6 18

• (Technology) 문제해결, 도전, 안전 3

• (Economy) 유용성, 개방성, 합리성 3

• (Ecology) 존중, 책임, 공유 3

• (Politic) 포용, 소통, 협력 3

개인 • (태도) 성찰, 흥미, 관심, 즐거움, 자신감, 주도성, 비판, 창의성, 심미적, 과학 감수성, 공감, 수용 12 12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 예측을 통해 학교 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 실천을 돕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용가능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합한 핵심가치 개념어가 필요하다고 보아 미래 사회 예측을 통한 귀납적 방법으로 핵심가치 체계를 구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핵심가치 개념어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 조사연구를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문서에서 핵심가치 개념어 빈도수를 분석하였으며, 6개년의 정부 각 부처 주요업무보고 문서의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을 발췌해 핵심어를 빈도분석하고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래 사회 모습을 정교하게 예측하기 위해 조대연 외(2019)에서 개발한 STEEP 기반 미래 사회 변화 동인과 선행연구 결과를 정리한 핵심가치 활용 실태를 토대로 토픽모델링 결과를 해석하여 시나리오로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 사회 예측 시나리오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핵심가치 개념어를 매칭함으로써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어떠한 핵심가치 개념어가 활용되는지 분석하였다. 핵심가치에 대한 명칭은 교육에서 ‘덕, 민주시민 덕목, 교육이념체계, VIA(Values In Action)’ 등으로 사용되으며, 교육과정에서는 ‘태도, 학습자상, 개정 방향, 가치⋅태도’ 등으로 명명되었다. 핵심가치 체계 특징은 개인과 사회(공동체, 국가) 두 영역으로 크게 나뉘었으며, 개인을 강조하는 경우는 ‘호기심, 창의성, 자신감, 자립, 감사’ 등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개인이 함양해야 하는 태도 관련 핵심가치 개념어가 포함되었다. 사회(공동체, 국가)를 강조하는 경우는 ‘협력, 정의, 평등, 박애, 존중, 권리’ 등 사회공동체 유지와 존속을 위해 타인과 협력하고 소통을 위한 핵심가치 개념어가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에서 중요시하는 핵심가치 개념어에서 ‘존중’은 총론과 각론의 9개의 교과목 중 6개의 교과목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회 교과 항목에서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어 사회 과목이 핵심가치로 두고 있는 ‘존중’의 의미가 무엇인지 해석하고 교육에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과학 교과 항목의 경우, 초중고등학교급에서 동일한 7가지의 핵심가치 개념어를 제시한다. 이는 수학이나 과학 같은 실증적 학문에 토대를 둔 교과들은 핵심가치 교육 실천에 다소 어려운 점이 예측된다.
셋째, 미래 사회 예측을 위해 2018~2023 정부 업무보고 핵심추진과제 헤드라인의 핵심어를 빈도분석한 결과 상위 10개의 단어(산업, 확대, 추진, 혁신, 구축, 기반, 체계, 관리, 지역, 국민)가 모두 정부 업무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부처의 특색이 나타나는 ‘교육, 문화, 해양’ 등 상위 빈도 개념어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미래 시나리오 주제를 도출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기법으로 분석 후 ChatGPT를 활용하여 토픽명과 미래 시나리오 주제를 생성하였다. 다만, 토픽모델링으로만 미래 사회 모습을 정교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조대연 외(2019)에서 개발한 ‘STEEP 기반 미래 사회 예측 동인’을 활용하여 최종 토픽명과 시나리오 주제를 STEEP에 따라 분류하여 미래 상황을 정교하게 예측하고자 하였다. STEEP 기반 미래 사회 예측 결과, 사회 영역은 ‘의료 및 사회 복지 서비스 확장’, ‘사법 제도의 혁신과 인권 증진’, ‘범죄 예방과 사회적 보호 정책 강화’, ‘문화 외교 및 국제 협력 증진’으로 나타났다. 기술 영역은 ‘해양 산업의 발전 및 안전 관리’, ‘지역 산업 발전과 안전한 인프라 구축’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 노동시장 변화, 민주주의 위험 증가, 탈분화’, ‘경제 안정과 혁신적 제도 개선’, ‘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은 경제적 영역으로 나타났고 ‘녹색 경제와 환경친화적 산업 발전’은 환경과 자원적 영역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북통일과 협력 증진’은 정치적 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STEEP을 기반으로 분류한 미래 예측 시나리오에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핵심가치 개념어 30가지를 매칭한 후 전문가 2인에게 검토를 받아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수정⋅보완하였다. 사회적 측면은 STEEP의 분류에 따라 5개 영역에 총 18개의 핵심가치 개념어가 포함되었으며, 포함되지 않는 핵심가치 개념어는 <표 1>에서 정리한 선행연구 내용을 토대로 개인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총 12가지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가치 교육에 대해 ‘학생들이 인간 고유의 특징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인생관⋅사회관⋅역사관 등을 올바른 방향으로 정립하고, 갈등과 딜레마 상황에서 공동체 구성원들과 토론과 협의하여 결론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으로 정의하고 학교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용가능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 최종안은 초중등교육뿐 아니라 고등교육에까지 활용될 수 있으며,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학교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을 체계적⋅종합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의 과정을 인도하며, 교육의 결과에 대한 질을 담보하고 성과 평가를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이에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를 예측하여 교육을 통해 길러내고자 하는 인간상,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 배워야 하는 교육목표 등의 방향을 알려주는 핵심가치를 개발하여 교육과정에 녹여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미래 사회 예측을 통해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적합한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연구에서 구안한 핵심가치 체계의 사회 측면의 가치 개념어는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핵심역량, 교육목표’에 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개인 측면의 가치 개념어는 각론의 ‘교과역량, 교육목표, 내용체계의 가치⋅태도’ 등에 반영하여 교과 학습 내용을 통해 학생 자신들의 태도, 의지,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범교과 학습영역으로 분류된 세계시민교육이나 환경교육의 교육방향과 교육내용 등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핵심가치 교육은 대학 교양교육의 발전을 돕는 대안교육이 될 수 있다. 대학 교양교육은 전인교육 혹은 인간교육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교육목적은 학생들의 정신적 도야와 인격적 성숙 그리고 사회적 지혜와 통찰력 고양을 돕고, 주체성을 가지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도록 도우며, 종국에는 자신의 가치를 내재화하여 인간적인 인품을 쌓는 데 있다(허영식, 2005; 강창동, 2012). 그러나 현재 대학의 교양교육은 고등학교 지식위주의 교육을 반복하거나 지식정보사회 대비를 위한 외국어⋅컴퓨터 등 사설학원에서 수강가능한 도구적 성격의 과목들이 주로 개설되고 있어 자유인 양성이라는 교양교육의 방향과 목표와는 유리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최연주, 2007; 조준범, 권미은, 2015; 김종호, 2023).
대학 교양교육에 핵심가치 교육을 편성⋅운영함으로써 교양교육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초중등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은 인간상이나 교육목표에 영향을 주지만 실제 학습자 측면에서는 교과 활동의 결과로 정의적 영역이 향상되는데 도움을 주는 정도로 인식되거나 범교과활동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도구교육으로 개인의 올바른 태도와 가치관을 성찰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대학 교양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학생 개인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관, 국가관 정립에 도움이 되어 진정한 교양교육 목표를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유지선(2022)은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핵심가치 기반 사회문제해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그 성과를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핵심가치를 토대로 개인과 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탐구하였다. 학생 프로젝트 활동 결과, 학생들은 ‘존중, 사랑, 끈기’를 토대로 자존감 높이기, ‘인권, 공감’을 토대로 과학과 인간 간의 올바른 관계 정립하기, ‘생명존중, 배려, 책임감’을 토대로 동물학대 예방하기, ‘참여, 실천’을 통해 환경오염 예방 및 환경보호 실천하기, ‘안정, 정의’을 토대로 경제 양극화 해소하기 등 개인⋅사회가 가진 문제의 해결방안을 도출한 바 있다. 이처럼 핵심가치 교육이 교양교육에 접목된다면 학생들은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및 딜레마 문제를 가치판단 기준에 따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핵심가치 개념어 체계는 초중등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을 통해 개인적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대학 교양교육에서 핵심가치 교육은 인간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사회관, 국가관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어 교양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인공지능, 자동화, 사물인터넷 등 혁신적인 기술들이 인간 고유한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감성, 인성 등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인간의 고유한 특징들을 유지, 개발, 성장시키기 위해서 미래 지향적 핵심가치 교육은 학교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국가와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길러내는데 기여할 것이다.

참고문헌

Cheon Byeong-heeAristoteles. (2010). Politica.

[아리스토텔레스. (2010). 정치학. (천병희 역). 경기: 숲.].

Baek, K. S, Hong, H. J(2006). A study on social needs assessment for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2(2), 5-30.

[백경선, 홍후조. (2006).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분석 방법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2(2), 5-30.].

Blei, D. M(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77-84.
crossref
Bloom Benjamin Samuel. (1956).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In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The Blue House. (2023). The republic of Korea revisited:A look at president Yoon Seok-yeol's national policy philosophy through the 2023 work report.

[청와대. (2023). 다시 대한민국 2023년 업무보고로 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철학.].

Cho, D. Y, Jung, H. I, Kang, H. J, Lee, J. M, Jang, E. H, Choi, J. S, Park, S. M(2019). Prediction of future education direc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using scenario technique, Journal of Humanware 2(1), 81-105.

[조대연, 정홍인, 강현주, 이종민, 장은하, 최지수, 박선민. (2019).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4 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교육 방향 예측. 휴먼웨어 연구, 2(1), 81-105.].

Cho, H. J, Kim, J. Y, Kim, J. Y, Kim, H. J, Noh, S. I, Moon, H. S, Park, E. H, Ahn, H. S, Lee, K. M, Choi, S. Y, Choi, E. Ah(2021). Theory and practice of concept-based curriculum and assessment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eoul: Pakyoungsa Story.

[조호제, 김자영, 김정윤, 김현정, 노선임, 문향숙, 박은하, 안희숙, 이경미, 최성이, 최은아. (2021).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개념 기반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박영사스토리.].

Choi, H. S, Kang, H. Y, Jang, J. I, Eum, S. Y(2005). Study on future scenario methodology, Seoul: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최항섭, 강홍렬, 장종인, 음수연. (2005). 미래 시나리오 방법론 연구.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Choi, H. S(2012). Theory and methodology of futures study, Korean Society 13(1), 197-230.

[최항섭. (2012). 미래연구의 이론과 방법. 한국사회, 13(1), 197-230.].

Choi, S. J, Lee, J. D, Kim, E. Y, Kim, H. J, Baek, N. J, Kim, J. M, Park, J. H(2017). OECD education 2030 participation study:Validity analysis of the competency framework and explor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for competency development (Research Report, RR 2017-18),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최수진, 이재덕, 김은영, 김혜진, 백남진, 김정민, 박주현. (2017).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 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연구보고 RR 2017-18). 한국교육개발원.].

Erickson, H, Lanning, L, Fench, R(2017).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ousand Oaks, CA: Corwin.

Han, Y. J, Kim, J. J(2014).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in britain in the 19th century,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6(1), 1-27.
crossref
[한용진, 김자중. (2014). 19세기 영국에서의 ‘삼육’ 개념의 형성과 전개. 교육철학연구, 36(1), 1-27.].

IBO. (2018 The learner:Primary year programme, https://www.plkis.edu.hk/wp-content/uploads/2019/10/The-Learner.pdf

Jang, J. I(2007). Future research methodology:A look at scenario methodology through cas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Policy 19(9), 1-19.

[장종인. (2007). 미래연구 방법론: 사례를 통해 살펴본 시나리오 방법론. 정보통신정책, 19(9), 1-19.].

Kim, B. H(2016). An investigation into methods of newspaper headline analysis, Urimal 45:185-211.

[김병홍. (2016). 신문 헤드라인의 분석 방법 모색. 우리말연구, (45), 185-211.].

Kim, H. S, Lee, J. C(2022). Media discourse analysis in small schools using text min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23), 505-528.
crossref
[김현수, 이재창. (2022).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소규모학교 언론 담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 505-528.].

Kim, J. S, Yu, P, Moon, H. K(2021). Positive psychology and self-understanding, Seoul: Dongmunsa.

[김정수, 유평, 문호경. (2021). 긍정심리와 자기이해. 서울: 동문사].

Kim, J. W(2008). The mutual link of a person's human nature and his or her sense of value,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05:127-147.

[김정수, 유평, 문호경. (2021). 긍정심리와 자기이해. 서울: 동문사].

Kim, J. Y. (2015 Why is virtue again an issue in moral philosophy:Focusing on the virtue ethics of Aristotle and macIntyr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http://www.riss.kr/link?id=T2057993

[김지윤. (2015).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다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2057993].

Kim, K. D(2023).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Chat GPT, Corruption, Korean Corruption Studies Review 28(2), 85-105.
crossref
[김경동. (2023). 인공지능 (AI) 과 Chat GPT, 부패에 관한 소고. 한국부패학회보, 28(2), 85-105.].

Kim, K. E, Kim, J. H, Lee, M. J, Kim, J. H, Park, S. H, Ryu, B. R(2018). Future education scenarios:Focused 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3), 1-29.
crossref
[김경애, 김지하, 이명진, 김진희, 박성호, 류방란. (2018). 2035 미래 교육 시나리오: 초중등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9(3), 1-29.].

Kim, S. B(2006). Development planning theory, Youngsa Park.

[김신복. (2006). 발전기획론. 박영사.].

Kim, S. H, Yang, S. H(2023). Analysis of domestic press coverage on ChatGPT using text network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3(4), 303-328.

[김시현, 양성훈. (2023). ChatGPT 관련 국내 언론보도 기사 분석: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교육혁신연구, 33(4), 303-328.].

Kwak, B. S, Gu, J. A, Kim, K. S, Kim, A. S, Kim, B. Y, Kim, W. G, Kim, J. H, Ryu, J. T, Bu, S. H, Seo, J. C, Shin, S. H, Yoon, H. J(1993).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The task of Korean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 qualities (Research Report RR93-1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곽병선, 구자억, 김경숙, 김애송, 김복영, 김왕근, 김정호, 류재택, 부성희, 서재천, 신세호, 윤현진. (1993). 민주시민교육: 민주 시민 자질 함양을 위한 한국교육의 과제(연구보고 RR93-12). 한국교육개발원.].

Lanning, L(2012). Designing a concept-based curriculum for English language arts, Thousand Oaks, CA: sage.

Lee, D. Y, Lee, J. S, Kwon, D. N, Choi, L. M, Kim, D. H(2015). The future of college of education by adapting future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3), 757-769.
crossref
[이도영, 이진숙, 권다남, 최류미, 김대현. (2015). 미래예측기법을 활용한 사범대학의 미래. 수산해양교육연구, 27(3), 757-769.].

Lee, S. J, Lee, Y. J, Hong, J. I(2008). Exploration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future research methodology, Policy Research 1-299.

[이세준, 이윤준, 홍정임. (2008). 통합적 미래 연구 방법론의 탐색 및 적용. 정책연구, 1-299.].

Lee, S. M(2021). Exploring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secure the link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urriculum competencie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31(2), 297-321.

[이승미. (2021).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연계 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31(2), 297-321.].

Ministry of Education. (2021a). Announcement of the main issu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part':A better future, education for all. Final. Press Release, Ministry of Education, November 24, 2021.

[교육부. (2021a).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발표: 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 2021.11.24. 교육부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2021b). Main Issues of the general par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raft) (November 24, 2021).

[교육부. (2021b).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2021년 11월 24일.].

Ministry of Education. (2021c). Comparison table of the old and new main issues of the general par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November 24, 2021).

[교육부. (2021c).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의 신구 대비표. 2021년 11월 24일.].

Ministry of Education. (2022).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ethics,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practical arts (Technology, home economics),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english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22-33 [Appendix 5-14].

[교육부. (2022). 2022 개정 국어과, 도덕과, 사회과, 수학과, 과학과, 실과(기술⋅가정)과, 체육과, 음악과, 미술과,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별책 5-14).].

Ministry of Science and ICT, Employment and Labor, Education,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conomy and Finance,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Culture, Sports and Tourism, Justice, Health and Welfare, Trade, Industry and Energy, Gender Equality and Family, Foreign Affairs, Unification, Environment, &Oceans and Fisheries. (2018-2023). Major Business Promotion Plan.

[과기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국토부, 기재부, 농림축산식품부, 문체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통일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2018-2023). 주요업무 추진계획.].

OECD. (2016). Progress report on the draft OECD Education 2030 conceptual framework(2016) (제 3차 비공식 작업반 회의자료:EDU/EDPC(2016)6).

OECD. (2017). Education 2030:Curriculum analysis:Content curriculum mapping (CCM) part 1 pilot exercise -preliminary findings. (제 6차 비공식 작업반 회의자료:EDU/EDPC(2017)29).

OECD, Education 2030 중간보고서. Preliminary findings from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Park, Y. J. (2014 The emotional foundation of Aristotle's political ethics:Focusing on the concept of Thymo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http://www.riss.kr/link?id=T57937

[박용준. (2014).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윤리학의 감정론적 기반: thymos 개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57937].

Park, Y. S, Jerome, Glenn, Ted, Gordon(2007). Future research methodology, Seoul: Kyobo.

[박영숙, 글렌 제롬, 고든 테드. (2007). 전략적 사고를 위한 미래예측. 서울: 교보].

Reische, D. L(1987). Citizienship, goal of education, arlington, virginia,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Robert, F. Butts(2007). The mor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Kim Hae-sung(Original work published 1998).

[Robert F. Butts. (2007). 민주시민의 도덕 (김해성 역). 경기: 나남. (원저출판 1998)].

Seo, K. S, Kim, L. H, Lee, D. K, Lee, S. B(2023). An analysis of issues in media reports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olicy using text mining,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6(3), 1-27.
crossref pdf
[서경숙, 김이현, 이득기, 이선복. (2023).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의 쟁점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6(3), 1-27.].

Steyvers, M, Griffiths, T(2007). Probabilistic topic models, Handbook of Latent Semantic Analysis 42(7(7)), 424-440.
crossref
Spencer, H(1860). Education: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New York: D. Appleton and Co.

Taguma, M(2017). Preliminary findings from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OECD.

William, M, Jacob, L(2004). Moral development:An instroduction, Moon Yong-lin(Original work published 1995).

[William, M., & Jacob, L. (2004).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문용린 역). 서울: 학지사. (원저출판 1995)].

Yang, S. H. (2022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interests posted on the university online community:Focused on text mining of a university's online bulletin board during COVID-19 perio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http://www.riss.kr/link?id=T256735

[양성훈. (2022).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된 대학생의 관심사 분석: 코로나-19시기 A대학교 온라인 게시판 텍스트 마이닝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256735].

Yoon, J. H, Kim, E. Y, Choi, S. J, Kim, K. J, Hwang, K, Ho, (2016). Current status analysis and future tasks for OECD 'Education 2030: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Issue Report OR 2016-10).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윤종혁, 김은영, 최수진, 김경자, 황규호. (2016).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 분석과 향후 과제(현안보고 OR 2016-10). 한국교육개발원.].

You, J. S, Hong, H. J(2022. 6. 30). Discussing core values in contrast to core concepts and core functions. [Conference presentation], In 2022 Proceedings of the monthly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24-55. Seoul, Korea.

[유지선, 홍후조. (2022. 6. 30). 핵심개념과 핵심기능을 대비한 핵심가치를 논함. [학술대회 발표]. 2022 한국교육과정학회 월례학술대회, 24-55. 서울, 대한민국.].

You, J. S(202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vore values curriculum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in the post-COVID era, Journal of Art Education Research 20(4), 97-120.

[유지선. (202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핵심가치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예술교육연구, 20(4), 97-120.].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