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8(1); 2024 > Article
기후위기 시대의 융합교양교육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기후사를 주축으로

초록

라투르의 표현대로 기후는 인간의 모든 존재 양식을 관통하는 공통의 위기이기에, 오늘날 기후위기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후교양은 지식의 복수성에 기초한 융합교양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기후를 읽고 이해하는 것은 상당한 복잡계적 사고력을 요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기초문해력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여 기후과학을 토대 지식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기후위기를 인류세 위기의 전체적 맥락 속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지구시스템과학과 환경과학적 지식을 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지식은 이러한 포괄적인 문해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이고 야심찬 기후행동에 나서게 만들 실천적 지식이다. 이러한 최종적인 통섭적 판단에 의거한 실천 지식의 함양을 위해서는 인문사회적 성찰을 기후교양의 최종 수렴항으로 삼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는 기후교양의 양대 목표, 즉 기후문해력과 기후행동력 제고를 위한 도구적 지식으로서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인문사회학을 기후교양의 삼대 축으로 삼되, 개별 교과목의 세부 목적과 타겟 학생층에 따라서 각 지식 축의 위치, 비중, 관계를 다양하게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s Latour explicitly expressed it, climate acts across all of our modes of existence from the political to the moral. For this reason, the climate liberal education in our era of climate crisis should be a convergent liberal education based upon a pluralism of knowledge. Considering this special request of climate liberal education, this paper proposed to design a transdisciplinary course using climate science, earth system science/environmental science, and climate history as core modules. Each module can have a different weight, location, and rel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 and interests of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First of all, climate science is taken as a fundamental knowledge, because understanding climate requires both a deep level of holistic thinking and at least a basic level of climate literacy. Secondly, earth system science and environmental science as an extensive knowledge is requi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climate crisis in the more comprehensive context of the Anthropocene. Lastly, climate history is chosen as consilience knowledge in order to integrate climate science and earth system science/environmental science, and to encourage more ambitious climate action.

1. 서론: 기후교양의 조건과 융합교양으로서 기후교양

지난해 3월 발표된 IPCC의 6차 보고서에는 기후과학자들까지 경악하게 만든 수치들이 담겼지만, 이에 기반한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의 합의문은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다. IPCC 보고서 발표 주기가 6~7년인 것을 생각하면 이번 보고서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할 가능성이 남은 ‘최후의 시간’ 내 발표된 마지막 평가보고서였다. 그럼에도 기후총회 의장은 “화석연료 단계적 퇴출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발언으로 상식 수준 이하의 기후인식을 보이며 구설수에 올랐고, COP28 합의문은 당초 기대했던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 대신에 ‘전환’으로 후퇴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산유국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재생에너지 생산량 확충에 대한 명확한 목표도 제시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강력한 퇴출 의지를 명문화하는 데 실패한 것이다.
2023년도는 ‘기상 관측사상 가장 따뜻한’이란 수식어가 6월부터 시작되어 12월까지 내내 이어진, 기상학적으로 새로운 원년을 알린 경이로운 한 해였다. 기후재난 역시 기후과학자들이 주목해온 방글라데시나 태평양 도서 지역과 같은 취약 지역을 벗어나서 하와이, 북미 전체, 남유럽, 북아프리카 등, 그야말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약진 중에 있다. 이처럼 매해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기후위기 상황 덕분에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과 실천 의지가 높아질 것 같지만, 앞서 COP 28이 보여주었듯이 현실은 정반대이다. ‘컨버전스(Convergence)’라는 미래 기술과 삶에 관한 유명 팟캐스트 쇼는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 기후변화라는 긴급사태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갈 것인가의 문제를 2019년도에 다루었는데, “기후문제는 너무 우울해서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었다(Crist, 2019). 기후변화의 체감 수위가 달라진 요즘도 이런 분위기는 달라지지 않았다. 지난 여름, 영국의 레딩 대학교에서 만난 기상학자 울나우(Steve Woolnough) 교수도 지인들과의 모임에서 기후위기 이야기를 꺼내면 “짜증나게 한다(provoking)”는 반응을 듣기 일쑤라고 털어놓았다. 본인이 기후재난의 직접적인 피해자가 아닌 이상 기후변화는 다른 사람들 이야기이고 문제의 스케일이 너무 커서 일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는 무력감만 부추기는 불편한 주제가 되어버렸다.
바람직한 기후행동을 위한 교육은 더 어렵다. 일상적인 편의성을 희생하면서 자신의 생활방식을 바꾸거나 더 나아가서 생활 수준 하락으로 연결될 탈성장 담론을 받아들일 사람은 환경운동권을 제외하면 극소수일 것이다. 2022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클라우저(John Clouser)를 비롯해서 많은 과학자들이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데 앞장서고 있는 주된 이유도 IPCC 보고서와 활동이 세계경제를 위축시키는 정책과 선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이다. 제3세계는 물론이고 고령화에 시달리고 각종 사회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은 선진국에서도 성장 포기는 정치적으로 비현실적인 카드이다. 현재 모든 사람에게 거부감 없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탄소포집 및 저장(CCS)과 같은 기술적인 솔루션이다.
교양을 함양한다는 것은 전문지식이 아니라 범용적인 생애지식과 소양을 교육하는 일이기에 기본적으로 융합적 접근을 통할 수밖에 없지만,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남기 위한 기후교양교육은 더더욱 그렇다. 기후문제는 자연계의 객관적 현상을 뛰어넘는 우리 정치, 경제, 사회 모든 것과 연결된 문제이다. 그것은 인류세 개념이 웅변하듯이, 행성적 차원과 지구적 차원의 접속면(interface)의 문제이기에, 하나의 분과학문적 렌즈로는 절대로 접근할 수 없다. 이런 이유에서 프랑스 과학철학자 라투르(Bruno Latour)는 기후가 인간의 모든 존재 모드(정치, 경제, 과학, 생명, 기술, 픽션, 법, 도덕 등)를 관통하는 공통의 위기로서 ‘행동’하고 있는 인류문명의 현 단계를 아예 ‘신기후체제’로 명명하였다. 구기후체제와 달리 인간과 자신의 물적인 조건 사이의 이분법이 무의미해져버린 이 체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환원주의로는 역부족이며 지식의 복수성이 필수적이다(Muecke, 2022, pp. 7-11).
그렇다면 이처럼 뼛속까지 융합교양이어야 할 기후교양이 지향해야 할 지식의 복수성은 무엇이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들여와야 할 분과학문적 내용은 무엇일까? 본고는 라투르의 15개 존재론에 맞추어 지식을 재분류하기보다 교양교육적 차원에서 기후문해력과 기후행동을 위한 실천 지식을 기후교양의 목표이자 양대 근본 지식으로 삼는 단순한 설정을 따랐다. 본문 1장에서 재차 강조하겠지만 기후를 읽고 이해하는 것은 상당한 복잡계적 사고력을 요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기초문해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지식은 이러한 문해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이고 야심찬 기후행동에 나서게 만들 실천적 지식이다. 실천이란 통섭적인 판단에 의거한 의지의 최종 출력물에 해당하므로, 인문사회적 성찰을 기후교양의 최종 수렴항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양대 근본 지식의 함양을 위한 도구적 지식으로서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인문사회학을 기후교양의 삼대 축으로 삼되, 개별 교과목의 세부 목적과 타겟 학생층에 따라서 각 지식 축의 위치, 비중, 관계를 다양하게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기후가 커리큘럼을 관통하는 고리의 위치에 있기에 기후과학적 내용이 초급 수준에서라도 반드시 포함되어야겠지만, 이를 전문지식 전수 방식으로 다루는 것은 철저히 지양해야겠다. 또한 교양교육 차원에서 그 수준을 조절하는 것 역시 전적으로 교수자와 학생집단의 성격에 따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자연과학 전공생의 비중이 높거나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완전히 정착한 이후라면,1) 기후과학 비중을 좀 더 높여서 주축으로 삼고,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인문사회 콘텐츠를 동심원적으로 배치하며 보완하는 안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인문사회계열 학생을 타겟으로 한다면, 기후과학 비중을 과감히 축소하여 필요에 따라 들여오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인문사회 콘텐츠를 동심원의 가장 안쪽 원에 위치시키고 이것과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의 접속면을 통합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다. 역사전공자인 필자는 기후과학과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적 내용을 통합할 수 있는 인문사회적 프레임으로서 기후사를 선호한다. 그러나 사회과학계열 학생을 타겟으로 좀 더 현재적인 관점에서 기후논쟁, 해법, 행동을 다루면서 한층 역동적인 수업을 설계하고자 한다면 역사적 관점 대신에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을 종합 프레임으로 택하는 것도 바람직하겠다.
이어지는 본문의 첫 두 장에서는 기후과학과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의 축이 융합교양으로서의 기후교양에 내용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강조하며 왜 이들 축이 비중의 차이를 막론하고 반드시 기후교양에 포함되어야 하는지와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를 먼저 상론하고자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들 양축을 기후사적 틀을 통하여 최종 융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인문사회학을 기후교양의 삼대 축으로 제시하지만, 각 축을 주축으로 삼은 다양한 교과목 설계 방안까지 제시하는 방식으로 장을 구성하지는 않았다. 역사전공자인 필자가 수년 전부터 진행해오고 있는 기후사 전공교과목을 기후융합교양 교과목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기후과학과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적 내용을 검토하려는 관심에서 본고를 기획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기후교양교육을 고민하는 다양한 전공의 교수자들이 각자의 여건에 맞게 다양한 색채와 강조점을 통하여 구상, 설계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참조점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2. 기후교양의 토대 지식: 기후과학

우선, 교양교과목인데 기후과학 내용을 굳이 다룰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 수 있다. 실제로 필자가 2021년도 2학기부터 2023년도 2월까지 대학 안팎에서 4차례 기후사를 전공/교양교과목으로 교수한 경험으로 볼 때, 기후과학은 인문계열 학생들에게 융합적 사고의 발판이기보다는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교수 결과의 복기 과정에서 문제는 기후과학 자체가 아니라, 교수자의 기후과학 이해 수준에 있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즉 역사전공자로서 지구과학을 독학하며 강의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여과 없이 전달한 것에 가장 큰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교수자가 흥미롭게 생각하더라도 지나치게 전문지식으로 진입하는 것은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오히려 학생들이 기후과학적 지식에 매몰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교수자가 맡아야 하고 일방적인 기후과학 지식전수자가 아니라 선도적 학습자(lead learner)로서 기후과학적 기초지식의 방법적 의미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기후과학적 기초지식에 대한 통제력을 갖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절대적인 시간 투자가 불가피하다.
2023년 여름, 세계적으로 기후과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영국 레딩대학의 기상학과를 방문하여 가졌던 기후과학자들과의 면담은 필자가 갖고 있던 기후과학적 내용에 대한 교수법적 회의감에 종지부를 찍고 긍정적인 방향전환을 모색하게 해주었다. 특히 “기초적인 수준에서라도 기후과학적인 배경 지식이 있어야 기후변화의 현상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고 지구온난화에 대한 수많은 논쟁 속에서 자신만의 판단력을 쌓을 수 있다. 무엇보다 기후과학은 적절히 활용되기만 한다면, 기후위기를 가장 ‘직설적으로(straightforward)’ 가르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울나우 기상학 교수의 조언이 그러했다. 2023년도 6월 말 ‘퀀텀 코리아’ 행사에 참석한 2022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클라우저가 IPCC와 이회성 회장을 강도 높게 저격하는 발언으로 전 세계적으로 물의를 빚은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기에 그의 조언은 더욱 경청할만했다.
세계적인 양자물리학자로서 무시할 수 없는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지성인의 발언이어서 충격적이었지만, 사실 클라우저의 사례는 2010년대에 들어와 잠잠해지는 듯 보였던 지구온난화 부정론이 결코 사그라들지 않았고 오히려 과학자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주었다. 네덜란드에 본부를 둔 세계기후지성인연합(일명 Clintel: World Climate Intelligence Group)은 2021년에 “기후 비상사태는 없다(There Is No Climate Emergency)”라는 세계기후선언(World Climate Declaration)을 발표했는데, 현재까지 전 세계 과학자 및 관련 학자 1,824여 명이 서명했다. 클라우저 외에도 1998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로플린(Robert Laughlin) 교수와 세계적인 대기물리학자 리처드 린젠(Richard Lindzen) MIT 교수도 서명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
이처럼 전문과학자들과 결탁하여 지구온난화 부정론이 진화하고 있는 것은 분명 우려스운 현상이지만, 기후재앙론과 지구종말론적 어조로 일관하는 기후 저널리스트들이나 일부 환경사학자들의 과장된 내리막 서사(declensionist narrative) 역시 바람직하지 않기는 매한가지이다(Steinberg, 2004, pp. 260-266). 교육 현장에서만큼은 정계, 학계, 저널리즘을 가로질러 과열되고 있는 도덕적, 이념적 책임 공방과 윤리논쟁에서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기후시스템의 과학적 사실관계에 대한 기초교양을 함양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그래야 논리의 과장성, 편협성, 선동성을 의심하고 사실 확인을 중시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다. 전 인류적 차원의 단합된 기후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이야기가 발휘할 수 있는 힘은 분명히 강력하다. 그러나 사안이 시급하고 위중할수록 누군가 만들어낸 이야기를 바탕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자신만의 판단력을 가질 수 있도록 단단한 기후 문해력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기후 문해력의 핵심은 전체론적인(holistic) 사고력의 함양에 있다. 기후문제는 일찍이 독일의 환경사학자 라드카우(Joachim Radkau)가 김나지움용 환경사 교과서에서 지적했듯이 여타 환경문제와는 그 규모와 복잡성의 정도가 다른 까다로운 주제이다(Radkau, 2006, p. 154). 예를 들어, 코로나 팬데믹, 방사능 오염수 혹은 각종 환경 오염물질을 입구로 삼아 환경교육을 진행하는 경우, 바이러스, 방사능, 플라스틱을 문제의 허브로 삼아서 자연 생태계와 인간사회 사이의 피드백 관계를 학습하는 모델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후시스템을 대상으로 삼을 경우, 학습자는 처음부터 최소한의 환원주의적 사다리도 없이 곧바로 복잡계 시스템 자체와 씨름해야하는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즉 기후교양에서 특정 지역의 기후재난 사례를 다룰 수 있지만, 그것이 논의의 확장적 출발점으로서 쓰임새를 갖기는 어렵다. 개별 사례는 거대한 시스템 속의 다양한 인자가 맞물려 만화경처럼 전개될 수 있는 장면의 한 예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올여름 가장 충격적인 기후재난으로 꼽을 수 있는 사례는 단연 하와이 산불사태일텐데, 여기서 하와이도 산불도 기후시스템을 이해하는데 충분한 출발점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하와이 산불사태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불 자체가 아니라 이러한 현상을 연출한 긴 피드백 과정에 개입해있는 해수면 온도, 허리케인, 엘니뇨 등과 같은 여러 동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구온난화 부정론자들의 주장들은 오히려 전체론적 사고 훈련을 위한 훌륭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들은 거의 예외 없이 기후시스템의 복잡계적인 성격을 무시하고, 단일 기후요인으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려는 논리적 오류를 범하기 때문이다. 양자물리학 석학인 클라우저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그는 “지구 하늘 절반 이상을 덮고 있는 구름이 기온을 자율 조절하고 있다”고 주장하는데, 지구 하늘의 60~70% 정도를 항상 덮고 있는 구름의 변동에 따라 기온도 변동하기 때문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가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역시 구름의 거대한 자연적인 순환에 휩쓸려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3) 그는 IPCC보고서와 기후 시뮬레이션이 이러한 구름의 자동조절장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과장된 예측을 내놓는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구름이 태양빛을 반사시켜 기온 증가를 막는다는 것은 낮게 떠 있는 구름에 해당하는 이야기이고, 불순물이 적고 작은 얼음 알갱이가 주를 이루는 성긴 구성의 높은 구름은 오히려 그 반대 작용, 즉 태양열을 대부분 투과시켜서 해수면과 지표면에 도달하는 복사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중요한 것은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높은 구름 자체가 아니라 해수면과 지표면 온도 증가로 점차 구름이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변화 자체에 있다는 사실이다. 통상 태평양과 같은 대양에서는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는 적운층이 발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진전으로 이러한 적운의 규모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Norris et al., 2016). 구름은 분명 기후시스템의 핵심적인 인자가 맞지만, 중요한 것은 구름이라는 단일 요인의 영향이 아니라 그것이 지표면/해수면 온도 및 해양생태계와 함께 요동치는 피드백 관계에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후시스템의 이러한 복잡계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후과학의 기초적인 수준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할까? 기후란 “지표면의 특정 장소에서 매년 비슷한 시기에 출현하는 평균적이며 종합적인 대기의 상태”를 말한다(이승호 2018, p. 29). 따라서 기초적인 수준의 기후과학적 토대지식의 핵심은 한편으로 기후를 구성하는 기후요소와 다른 한편으로 기후요소를 변화시켜서 기후의 지역차를 유발하는 기후인자 간의 상호작용에 있다. 기온, 습도, 강수, 바람, 구름과 같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물리량이 전자에 해당한다면, 위도, 수륙분포, 격해도, 지형, 해발고도, 해류, 기단, 전선과 같이 기후요소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후자에 해당한다(이광호 2004, p. 8). 오늘날 기후과학 연구의 대세를 이루는 기후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은 바로 이러한 기후요소와 기후인자 사이의 균형관계를 찾는 것을 기본으로 삼는다. 즉 수학과 물리학적인 계산을 통해서 양자 사이의 균형값을 계산하여 기후모델을 만들고 수퍼컴퓨터를 사용하여 수백 년에서 수천 년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기후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다.
기후요소와 기후인자와 같은 기후과학적인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과 함께 기후교양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은 기후과학 자체에 대한 이해이다. 기후과학의 핵심 관심과 아젠다는 무엇이고, 그 방법론은 무엇이며 그것이 현재 직면해있는 가장 큰 도전과 문제점은 무엇인지까지 이해한다면 비판적인 기후문해력을 갖추는 것은 물론이고 각종 매체에서 쏟아지는 기후(과학) 관련 뉴스와 콘텐츠에 대해 자기만의 판단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며 일반인들의 경제상식과 합리적인 금융투자의식이 높아진 것처럼 21세기 기후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세대로서 갖추어야 할 기후교양은 지구온난화 부정론을 단순히 음모론으로 낙인찍고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문해력을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태도와 습관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기후과학의 1970/80년대 급성장을 견인해온 주된 동력은 홀로세 말기의 이상 기온변화의 원인 탐구에 있었다. IPCC 보고서의 역사가 보여주듯이, 기후과학자들은 처음부터 이러한 이상 기온변화의 배후로 인위개변적(anthro-pogenic) 인자를 주목하지 않았고, 현재까지도 자연적 요인과 인위개변적 요인 간의 관계는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어느 쪽 요인을 더 중시하든, 기후과학 연구의 초미의 관심은 단 하나, 바로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고기후학 연구 관심 역시 기후시스템의 장기적인 역사를 통해 기후변화의 동학을 이해하고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미래 기후예측을 위한 각종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가장 큰 난제는 바로 “불확실성(uncertainties)”에 있다.
이 불확실성은 기후과학의 일차자료에 해당하는 관측 데이터에서부터 시작된다. 1999년의 만(Michael Man)의 유명한 하키스틱 그래프도 북미지역 침엽수의 나이테 데이터에 대한 과중한 의존도와 그래프의 정확도에 대한 비판을 피해 가지 못했다.4) 더욱이 현대 기후과학 연구는 더욱 통합적 수준의 모델링으로 나아가면서 실측 데이터로부터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다. 기후위기론과 IPCC 보고서를 공격하는 과학자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파고드는 곳도 바로 이 불확실성의 영역이다. 기후과학자들이 만들어내는 각종 그래프와 예측 수치를 별다른 검토 없이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쉽게 인과관계를 설정하던 기후사학자들조차 기후과학적 불확실성을 좀 더 엄격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을 정도이다(Degroot et al., 2021). 이제 기후과학에서 불확실성은 사실상 하나의 상수가 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판적인 이해와 검토는 기후교양에서도 필수적이다.

3. 기후교양의 확장 지식: 지구시스템과학과 환경과학

2000년도 국제지질생명권프로그램(IGBP) 과학분과회의에서 기후화학자 크루첸이 발의한 인류세 논의가 이후 폭발적인 속도로 확산하면서 지구온난화 현상에만 집중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인식도 함께 높아졌다. 역사학자 차크라바티(Dipesh Chakrabarty)는 현재의 지구온난화를 과거의 지구온난화와 구분하면서, 인류세 위기의 본질이 결국 생명의 역사에 있음에 주목한다. 즉 인류세의 지질적 현상인 현 단계의 지구온난화가 진정으로 “위협하는 것은 지질학적 행성 그 자체가 아니라 인간종뿐만 아니라 생명의 다른 형식들의 생존이 그에 의존하는 생물학적이고 지질학적인 조건”이라는 것이다(차크라바티 2023, p. 64). 그럼에도 작금의 인류세 논의는, 인도의 환경운동가이자 생태학자인 렐레(Sharachchandra Lele)가 비판적으로 지적한대로, 하나의 가치(미래세대의 지속), 하나의 문제(기후변화), 하나의 목표(탄소배출 감소), 하나의 해법(재생에너지)을 중심으로 지나치게 축소지향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종종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Lele, 2020, pp. 41-63).
지구온난화나 탄소순환에만 집중하는 기후과학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문제의식은 새로운 것이 전혀 아니고, 1980년대부터 줄곧 기후과학의 학문적 외연 확장을 견인해온 현재진행형의 의제이다. 탄소순환이 기후위기와 같은 지질적 규모의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중요한 열쇠이긴 하지만, 대기권, 지질권, 생물권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지구시스템의 ‘생지화학적 순환(biogeochemical cycle)’5)에서 볼 때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탄소 열쇠만으로 인간 생명의 존재 조건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애초에 대기과학의 일부로 출발한 기상학(meteorology)이 좀 더 포괄적인 기후과학으로 거듭난 이후에도 융합적인 변신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나, 1980년대 이래로 대기권, 생명권, 지질권을 유기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인식 하에 ‘지구시스템과학’이라는 아예 새로운 융합학문이 탄생한(Steffen et al. 2020) 것은 모두가 필연적인 귀결이었다.
그러면, 기후교양적 차원에서 어떻게 기후과학을 효과적으로 지구시스템 속에 위치시켜서 좀 더 전체론적인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을까? 이공계열 학생을 주된 타겟층으로 삼고 기후과학을 주축으로 설정한 기후교양 교과목이라 하더라도 한 학기 동안 기후시스템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지구시스템까지 충분히 다루기는 시간적으로 부담스럽다. 스톡홀름 회복력 센터의 록스트룀(Johan Rockström)과 호주국립대학의 스테픈(Will Steffen)이 이끈 지구시스템 연구팀에서 2009년도에 개발하고 2015년에 업데이트한 지구위험한계선(planetary boundaries) 모델을 활용한다면, 지구시스템의 핵심과 윤곽을 한눈에 파악하고 전체적인 피드백 관계를 압축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인류 문명의 발전을 가능케 한 홀로세 지구시스템의 회복력을 9개 지표(기후시스템, 오존층, 해양, 생물다양성, 토지, 담수, 영양소, 신물질, 에어로졸)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글로벌 청지기 활동의 활성화를 목표로 고안되었다. 이들 한계선 가운데 4개는 이미 무너진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과학자들이 가장 우려스러운 붕괴로 꼽는 것은 생물다양성이다(록스트룀 & 가프니, 2022, pp. 138-139).
기후시스템을 지구시스템의 맥락 속에서 다룰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2006년 이래 발표되고 있는 ‘글로벌탄소결산(Global Carbon Budget: 이하 GCB로 통칭)’을 사용하여 기후문제의 핵심으로 회자되는 탄소순환 자체를 지구시스템 속에서 읽는 문해력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탄소순환은 분명 생지화학적 순환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탄소는 기후시스템의 변화뿐 아니라 생명과정(life processes)을 추적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지표이다. 따라서 GCB가 제공하는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면 탄소순환에 관여하는 대기, 토지, 해양 그리고 인간 활동, 즉 지구시스템 전체의 피드백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6) 한 해 탄소순환의 결산은 재정 결산과 같은 방식, 즉 일정 기간의 수입과 지출을 마감하여 계산하는데, 화석연료 연소와 토지 사용에 따른 CO2 배출량을 수입항(input)으로, 대기, 바다, 토지에 의한 CO2 흡수량을 지출항(output)으로 삼는다. 이 가운데 가장 까다로운 결산은 매년 식생과 토양에 의한 흡수량(일명 land sink)을 전 지구적으로 계산하는 일이다. 식물 성장에 미치는 대기 중 CO2 농도의 비료 효과와 질소 퇴적물, 기후 효과가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결합되는 토지에서는 이 모든 것들이 탄소 흡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Canadell & Carlson, 2017, pp. 35-36). 작년 말에 출간된 2023년도 탄소결산에서 탄소배출이 2022년 대비 1.1% 늘었지만 지난 ‘10년간의 정체’ 추세는 유지되었다고 보고된 내용은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결산보고서는 파리기후협정에서 결정된 1.5도 상승 목표치 달성에 필요한 탄소예산은 이미 다년간 넘어선 상태이며 7년 후에 기온이 1.5도 넘게 상승할 가능성이 50%라고 추정하였다(Friedlingstein et al., 2023).
지구시스템과학적 시각이 기후시스템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인간 생명 조건의 불안정이라는 인류세 위기의 본질을 행성적이고 지질적 규모로 확장하여 해석하는 문해력을 함양하는 데 필수적이라면, 지구시스템과 인간사회의 새로운 관계를 탐색하는 방향으로 확장하는 데에는 환경과학적 고찰이 적합하다. 환경(Environment)이란 개념 자체가 인간을 중심에 두고 그를 둘러싼 주변 조건을 의미하기에 1970년대 생태주의자들의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인간과 사회의 행위성이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인류세의 상황을 생각한다면 환경이 품고 있는 인간중심주의의 내용에 대해서도 한층 정교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근래에 라투르의 ‘물질적 전환’ 테제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토대로 탈인간중심주의가 널리 회자되지만, 정작 라투르는 자연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인간중심주의를 포기해야 하는지 아니면 역으로 인간이 중심에 남아있어야 하는지의 결정을 두고” 다투는 소모적 논쟁에 비판적이다. 그는 “신기후체제가 문제 삼는 것은 인간의 중심적 위치가 아니라 그 구성, 존재, 형체, 한마디로 운명이다. 이런 것들을 수정하려면, 인간의 관심사에 대한 정의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라투르, 2021, pp. 122-123).”
기후교양의 차원에서 볼 때, 문제는 상호의존적 존재로서의 인간 이해이지 인간중심주의가 아니라는 라투르의 지적은 문제의 본질에 집중하도록 돕는다. 라투르가 ‘중심’이란 표현을 문제 삼는 것은 “마치 외부가 있는 것처럼!”(라투르, 2021, p. 123) 중심의 경계를 설정하여 나머지를 밖에다 둠으로써 문제의 본질에 해당하는 모든 존재의 상호의존성을 가려버릴 수 있는 위험 때문이다. 인간 존재의 상호의존적 정체성을 전제하는 한 양자는 결코 이항대립적 관계에 있지 않다. 그가 파스칼을 인용하며 “중심은 아무데나 다 있고 둘레는 어디에도 없구나”를 외치면서도, “인간들과 그들의 이권을 위한 정치 외에 다른 정치는 없다!”고 잘라 말하는 이유이다(라투르, 2021, pp. 122-123). 차크라바티는 아예 지질적 행위자로서의 인류의 ‘중심적’ 역할(차크라바티, 2023, p. 58)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관한 인식은 환경과학적 이해방식을 통해 학생들에게 좀 더 공고하게 함양될 수 있다. 환경과학은 고기후학, 고생태학, 인문지리, 자연지리, 환경화학, 미생물학, 수리학(hydrology) 등 매우 이종적인 분과학문을 아우르는 대표적인 융합학문이지만, 인간과 사회를 주된 매개변수로 삼는다. 따라서 환경과학에서는 지리학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인간 공동체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지표면 과정, 대기권, 수자원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주제를 구성한다. 지구시스템과학과 마찬가지로 환경과학은 기후교양 교과목에서 확장자의 역할을 담당할 콘텐츠이기에, 환경과학의 내용 자체를 별도로 다루기보다는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환경과학 연구프로젝트의 사례들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토론 주제로 삼는 것이 효율적이겠다.
주목할만한 사례로는 영국 레딩대학의 지리환경과학과에서 진행하고 있는 ‘기후회복력과 페루 식량생산(Climate Resilience and Food Production: 일명 CROPP)’프로젝트7)를 꼽을 수 있다. CROPP 프로젝트는 환경과학적 시각의 특징뿐 아니라, 인간과 환경 간의 관계에 관해 다각적으로 토론해 볼 수 있는 좋은 소재를 제공해준다. CROPP 프로젝트는 페루 안데스 산맥 일대의 복합지형과 글로벌 기후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지만, 주된 연구 목적을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의 삶의 수준을 질적으로 향상하고 리마와 같은 인근 대도시로 몰리는 인구 이동의 흐름을 완화하여 해당 지역의 토지와 생태계가 파괴되지 않고 인간과 생태계가 균형을 이루는 지역발전을 돕는 데 두고 있다. 이 지역 농촌이 붕괴되고 인구 이반이 가속화되면 일견 야생 그대로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지만, 사실은 정반대이다. 인간의 정착지 역시 생태계의 일부이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서 긍정의 피드백 관계를 창출하는 것이 생태계를 지키는 진정한 솔루션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CROPP 프로젝트는 이 일대에서 딸기와 블루베리와 같은 경성 작물을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특화 추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서 단종재배(monoculture)의 위험을 이야기하기보다 가계소득을 늘리고 농촌 인구의 이반을 막을 수 있는 합리적인 솔루션이라는 입장을 견지한다.8)
여기서 잘 엿볼 수 있는 것은 인간중심적 시각에서 멀리 벗어나 대체로 행성중심적인 기후과학적 관심과 달리 인간 공동체를 중핵으로 삼고 있는 환경과학의 기본 관심이다. 기후위기 시대에 행성, 인류세, 지구시스템, 탄소를 강력한 행위성(agency)으로 전면에 거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과 인간 공동체의 관계야말로 더 중요한 의제이다. CROPP 프로젝트가 보여주듯이 양 의제 간의 간극을 융합하여 인류세 시대의 지속가능한 인간과 환경 간의 관계를 새로이 논의하는 것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관해 학생들이 열띤 토론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교수자가 적절한 프로젝트 사례들을 발굴한다면 기후교양의 확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장에서는 이제까지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후교양의 최종 목표인 기후행동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인문사회적 콘텐츠 설계를 다루고자 한다.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인문사회적 콘텐츠는 학생들의 통섭적인 판단력 제고를 위한 종합지식의 특징을 갖는 만큼, 교수자의 전공과 기획 의도에 따라서 역사,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초점을 갖고 변주될 수 있겠다. 역사 전공자인 필자의 경우에 기후사를 선택하여 기후과학과 지구시스템과학 및 환경과학적 내용을 인류사와 융합한 교수학습안을 설계해보고자 한다.

4. 기후교양의 종합 지식: 기후사

역사학 전공자로서의 편견일 수도 있지만, 전 학과의 전 학년생을 위한 단 하나의 기후교양 교과목이 개설된다면 기후사를 수렴항으로 삼아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 환경과학의 요소를 들여오는 융합 방식이 가장 바람직해 보인다. 지구과학적 기초가 약한 인문계열 학생들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이지만, 종합적 성격이 강한 역사 콘테츠를 활용하면 특정 가치판단이나 윤리적 요청을 크게 동원하지 않고도 기후변화에 대한 인류의 창의적이고 연대적 대응의 필요성을 호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후행동을 위해 동원되고 있는 이론, 가치, 정책의 효력을 검증하고 따져볼 수 있는 최종 판단은 결국에 사회적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일찍이 환경사학자 캐리(Mark Carey)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의 성패 여부를 좌우하는 것은 기후과학이 아니라 “사회관계, 권력의 동학, 가능한 기술, 신념, 종교, 과거와 미래에 관한 이야기”라고 단언한 바 있다(Carey, 2012, p. 242). 즉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데 진짜 필요한 지식은 행성적, 지질적 규모의 전문지식이 아니라 좀 더 삶과 밀착된 지식, 즉 사람들이 기후변화와 씨름해온 생생한 경험, 기후에 대한 다양한 이해와 신념,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거나 방해가 되는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대한 지식이라는 것이다. 또 다른 환경사학자 그리피스(Tom Griffiths)는 좀 더 직설적으로 “과학자들은 지식의 부족을 극복할 필요성을 역설하지만 우리는 왜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행동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인간 이해를 위한 인문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Griffith, 2007). 결국, 이 두 학자의 눈으로 보자면, 기후위기 시대에 가장 필요한 지식은 지구행성이나 기후시스템이 아니라 인간 자신에 관한 지식이다.
본장에서는 인간과 그 사회 경험을 최종 수렴항으로 삼되, 지구시스템과 인류사회 간의 긴 호흡의 피드백 관계를 충분히 검토하기 위해서 신석기 혁명기, 청동기 시대, 축의 시대, 소빙하기라는 크게 네 개의 시간 축에 따라 기후교양 교과내용을 배열,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대구분은 미국 환경사학자 브룩(John L. Brooke)의 틀을 따라 구성한 것이다(Brooke, 2014). 브룩은 인류사 발전을 인간사회의 내재적 동인으로만 설명해온 역사학의 오랜 전통을 깨고 고고학, 인류학, 지질학, 진화생물학, 기후과학을 동원하여 기후와 전염병 같은 사회 외재적 동인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조명할 것을 과감하게 제안하였다. 충분히 예견할 수 있듯이, 브룩의 이 같은 빅히스토리적 시도는 문서사료에 주로 의존해온 전통적인 역사학계에서 환영받지 못했다(Fleming, 2015, p. 965).
그러나 필자의 소견으로 브룩 연구의 강점은 증거력이 아니라 새로운 추론 방식에 있다. 인류사 전체를 지구시스템과의 관계 속에 이해하는 것이 필수가 되어버린 21세기에 우리는 이제까지와 다른 관점과 방식으로 인류사를 들여다보며 미래를 모색하는 다양한 사고실험이 절실하다. 후생생물학의 ‘단속적 평형(punctuated equilibrium)’ 이론9)을 들여와 슘페터(Joseph Schumpeter)의 ‘창조적 파괴자’ 컨셉과 접목한 브룩의 시도는 기후결정론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인간사회와 기후시스템 간의 복잡한 피드백 관계를 논의할 수 있는 새로운 창을 열어주었다고 평가할만하다. 기후를 외재적 동인으로 파악하면서도, 기후의 일방적인 개입이 아니라 인간과 문명의 ‘단속적’ 진화의 추동력으로서의 기후를 말하기 때문이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기후와 같은 지구시스템의 힘이 인간사회에 거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인류사에서 기후의 역사적 행위성을 복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제까지 인간이 남긴 기록에만 의존해서 역사 해석을 해온 것이야말로 증거 불충분한 오독이었다고 할만하다. 브룩의 연구에서 선사시대의 비중이 높고 자연과학 연구성과와 기존 역사학 연구가 이론적으로 결합하면서 추정조의 서술이 많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오히려 학생들의 창의적 추론 및 검증능력을 자극할 질문들을 발굴할 좋은 광맥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인류사 최대 혁신이라 할만한 신석기 혁명이 B.C. 7000~ 6000년에 가능했던 배후 조건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는 것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고기후과학 연구의 진척으로 영거드라이아스기(10500~9600년 전)나 8.2ka(8200년 전)과 같은 홀로세 초기의 극단적인 단기 냉각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자들은 홀로세에 들어와 안정된 기후조건이 아니라, 바로 이 시기의 기후변동을 지렛대로 삼아서 신석기 혁명을 ‘궁지 이론’적으로 더 잘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Brooke, 2014, p. 276). 본래 “에너지 수익 대비 에너지 투입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농경이 “하나의 기회로서가 아니라 다른 어떤 대안도 가능하지 않게 되었을 때 마지막 방법으로서 시작”되었다고 본 덴마크 경제학자 보세럽의 추정에서 출발한 궁지 이론은 증거 부족으로 인하여 누더기 상태에 있었다(스콧, 전경훈 역, 2020, p. 107, 136). 그런 궁지 이론이 최근의 고기후학 연구성과를 등에 업고 화려하게 부활한 셈이다.
그럼에도 관련 논쟁이 완전히 종결될 것은 아닌 만큼, 학생들이 산업혁명과 달리 지구 곳곳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된 신석기 혁명에 대해 궁지 이론을 적용할 수 있을지 최근의 고기후과학 성과를 이용하여 직접 검토하고 판단하는 사고실험을 해 볼 수 있는 여지도 크다. 아울러 고기후학자 러디먼(William F. Ruddiman)의 유명한 ‘조기 인류세 테제’(러디먼, 2017)를 함께 다룬다면, 기후과학적, 환경과학적, 역사적 관점에서 인류세 논쟁까지 연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좀 더 큰 창을 학생들에게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러디먼 테제는 제기되었을 당시부터 인구 규모의 문제로 인해 기후과학계 안팎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의 테제를 지지하는 고고학자와 생태학 연구결과가 늘면서 재주목받고 있다(Stephens et al., 2019; Vavrus et al., 2018; Erb et al., 2018). 이들 후속 연구결과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기후과학을 넘어서 생태학과 환경과학적 관점에서도 신석기 혁명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사에 청동기 국가로 불리는 초기국가가 등장하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의 혁신 역시 일명 ‘홀로세 중기 위기(Mid-Holocene Transition)’의 기후변동과 상관관계에서 살펴볼 수 있다. 4.2ka(4200년 전)로도 불리는 B.C. 4000~ B.C. 3000년 경의 기후변동은 앞서 언급한 8.2ka의 강도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8.2ka보다 두 배나 더 오래 지속되었다. 4.2ka 기후변동기의 주된 양상은 북아프리카, 중동, 인더스 지역, 중국 북부, 페루에 걸쳐 광범하게 나타난 급격한 건조 현상이었다. 그로 인해 레반트, 아나톨리아, 메소포타미아, 이란 등 지역의 농경민들이 큰 타격을 입었고, 비옥한 강계곡 지역으로의 급격한 인구 이동이 일어났다(박정재, 2021, pp. 207-216). 세계 최초의 도시국가와 수메르, 하라파와 같은 제국이 이러한 맥락 속에서 부상하였으며, 사하라의 기후 난민들이 나일강 계곡으로 이동하여 사회적 계층화와 농업 전문화에 기여한 이집트 문명도 그 중 하나였다.(White, 2012, p. 397). 뉴욕대학교의 동양학자 요피(Norman Yoffee)의 저서를 비롯한 최근 연구들은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달리 도시와 국가의 부상이 장기적인 느린 과정의 산물이 아니라 초신성의 출현처럼 단기에 폭발적으로 이루어진 사실을 반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Yoffee, 2005, p. 230, 214; Anderson, 2003). 요피는 기후적 요인을 염두에 두지 않았지만, 최근의 고고학 연구는 청동기 국가와 문명의 부상을 4.2ka 기후변동과 연결할 수 있는 훌륭한 교량을 제공해주고 있다.
세 번째 시대 구간에 해당하는 축의 시대는 브룩이 전고전 시대 위기(Preclassical Crisis)로 표현한 B.C. 1300~ B.C. 700년의 기후변동기와 긴밀한 상관관계에서 재조명될 수 있다. B.C. 800~B.C. 200년에 달하는 축의 시대는 잘 알려진대로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야스퍼스(Karl Jaspers)가 『역사의 기원과 목표』(1949)에서 인류 정신문명의 기초가 놓인 시기라는 뜻에서 처음 사용한 개념이다. 영국 작가인 암스트롱(Karen Armstrong)은 세계 4대 종교의 태동 배후로서 이들 발상지에서 일어난 도시화의 급진전, 인구 증가, 사회경제적 급변, 숱한 정복 전쟁의 결과로 폭력과 무질서가 난무했던 것을 꼽았다. 과거 관습이나 희생제가 무효해지자 사람들이 이때부터 신화의 세계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여 인간 존재에 집중하면서 개인의 자아, 도덕, 윤리를 화두로 삼은 세계종교의 태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암스트롱, 2010).
이러한 세계문명사적인 동시성은 오랫동안 인류사의 수수께끼로 여겨져왔는데, 이것을 B.C. 1300~B.C. 700년 경의 혹한기에 대한 대응으로 볼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세 번째 시대 구간의 구심점으로 삼을 수 있다. 이러한 연관성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홀로세 중기 이래로 태양 흑점 주기와 연동되어 나타났던 ‘시베리아 고기압 천년 현상(millennial Siberian Highs)’10)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관련 기후과학적 사실들을 학습하고 이를 다시 축의 시대 사건과 연결, 추론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축의 시대와 같이 역사학계에서 많이 논의되어온 주제를 전혀 다른 관점에서 재방문하면서 기후위기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역사적 의미를 함께 도출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룰 주제는 13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빙하기이다. 역사적 시대구분 상으로 근세에 해당하는 소빙하기는 유럽의 근대를 추동한 가장 직접적인 지질학적 동인으로서 근래 기후사학계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연구 주제이다. 기후과학적으로도 소빙하기는 각별한 관심의 대상인데, 특히 소빙하기 최악의 구간으로 꼽히는 17세기의 기후변동이 그러하다. 17세기의 큰 기온 변동폭이 현재 기후과학계에서 미래 기후예측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연구 아젠다로 꼽히는 기후민감도(Climate sensitivity)11)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Frank et al., 2010, pp. 507-516). 학생들은 소빙하기와 현재의 기후변화를 기후민감도 외에 추동인과 양상 등 다각도에서 비교해볼 수 있다.
소빙하기는 인류가 실제 경험한 가장 최근의 기후위기인 만큼 양 기후변화를 비교함으로써 학생들의 삶과 밀착된 기후 인식을 자극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소빙하기 역사가 알려주는 진짜 중요한 사실은 기후변화의 사회적 결과이다. 소빙하기는 중세온난기 대비 지구 연평균기온이 약 0.1~0.2도 하락하고 가장 추웠던 겨울철에 1~2도 하락하는 정도의 기온변화를 보였다(러디먼, 김홍옥 역, 2017, p. 213, 252). 소빙하기의 최대 특징이 기온 하락폭이 아니라 변동폭에 있었다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사회문화적 변수의 개입이라는 항을 넣지 않고서는 0.1~0.2도의 지구 평균기온의 하락이 17세기 위기로 불리는 전 지구적 전쟁상태와 유라시아 인구 1/3 감소로 이어진 나비효과의 과정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렵다. 이러한 소빙하기의 교훈이 우리 시대의 기후위기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는 학생들의 다양한 논의를 증폭시킬 좋은 문제제기로 사료된다. 다만, 학생들의 추론과 토론이 지나치게 기후위기와 17세기의 파국적 양상의 조응관계에만 매몰되어 비관적 전망으로 기울지 않도록 소빙하기와 17세기 위기에 대한 인간사회의 대응과 효과를 함께 고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기후교양의 최종 목적은 6차 IPCC 보고서가 역설한 ‘긴급한’ 기후행동과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의 확대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생들과 함께 스웨덴의 청년 환경운동가 툰베리(Greta Thunberg)의 화제작 『기후책(Klima-Buch)』 (2023)을 라드카우의 『생태의 시대』(2011)와 나란히 읽으며 현명한 중도를 모색하는 것은 좋은 마무리가 될 것이다.

5. 결론: 기후교양의 힘

본고는 복잡계적 특성을 보이는 기후시스템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기후문해력을 갖추는 한편, 이것이 기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천적 지식을 강화하는 것을 기후교양의 목표이자 양대 근본 지식의 범주로 제시하였다. 21세기 기후위기 시대에 이 두 가지 목표 가운데 절박한 것은 단연 후자이다. 인류세 담론의 확산과 함께 우리는 인간중심주의의 극복과 복수의 행위성을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이야기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지질적 힘으로 등극한 인류의 집단적 행위성의 힘에 대한 성찰과 책임이다.
필자는 후자의 실천 지식 함양으로 귀결될 수 있는 기후교양 교과목 설계를 위해서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 인문사회과학적 내용을 모듈식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수자의 전공과 기획 관심 그리고 타겟 학생집단의 성격에 따라서 세 개의 모듈 간의 관계를 달리 설정할 것도 아울러 제안하였다. 이러한 융합적 성격의 환경 교양교육은 1990년대 말부터 서구권 대학에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환경인문학(Environmental Humanities)’이 증언하듯이 이미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환경인문학은 산업사회가 만들어낸 딜레마를 이해, 해결할 수 있는 생태적 시민성(ecological citizenship)의 함양을 목표로 인문예술과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초학제적 운동으로서, 늦어도 2010년까지는 미국 대학 커리큘럼 속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Emmett & Nye, 2017, pp. 4-8). 본문 3장에서 언급한 환경과학 역시 매우 융합적인 특성을 자랑하지만, 환경인문학은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즉 환경과학이 과학적 사실 기반에 충실한 사회적 솔루션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면, 환경인문학은 역사, 문학, 젠더연구, 인류학, 예술, 디자인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인간사회와 환경의 새로운 관계에 대한 좀 더 과감하고 창의적인 해석과 해법을 추구한다.
본고에서 기후과학, 지구시스템과학/환경과학적 지식을 통섭적으로 수렴할 모듈로 제시한 기후사 역시 큰 틀에서 환경인문학의 일환에 있다. 그러나 본고는 환경인문학을 지배하고 있는 포스트식민주의, 페미니즘, 생태제국주의와 같은 인식 패러다임과는 의도적으로 거리를 두고 내용을 구성, 제안하였다. 역사적 고찰이 발휘할 수 있는 강점을 충분히 살려서 도덕적 강박, 윤리적 요청, 이데올로기적 편향을 떠나서 장기지속적인 관점과 역동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본고에서 제시된 기후교양 기획안이 인문사회과학보다 과학 비중을 크게 설정한 가분수형 모델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무엇보다 기후과학을 토대 지식으로 강조하는 관점이 교양교과목 설계에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가능할 것이다. 역사 전공자임에도 과학적 문해력을 포기할 수 없는 필수 요소로 설정한 것은 적어도 기후위기를 비롯한 인류세의 총체적 환경위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만큼은 과학지식과 과학적 판단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지난 9월, 환경운동단체 ‘지구의 벗 유럽’ 소속의 한 활동가가 2023 제3차 생태전환도시포럼에 참석해서 두 달 전 유럽의회에서 통과된 자연복원법 소식을 전해주었는데, 그 과정은 반전극 자체였다. 유럽 농업계의 막강한 로비력에 가로막혀 유럽의회의 농어업위원회와 환경위원회에서 연이어 과반 지지 확보에 실패했음에도 끝내 이들의 극심한 반대를 뚫고, 2050년까지 유럽 전체 생태계의 100% 복원을 목표로 한 자연복원법이 불과 36표 차이로 통과되었기 때문이다. 이 활동가는 EU 자연복원법 통과의 공을 EU 집행부와 유럽의회가 아니라 다양한 방면의 전문가, 활동가, 일반 시민에게 돌렸다. 무엇보다도 식량안보의 위협이라는 거부하기 힘든 현실 논리에 맞서서 자연복원을 택할 수 있었던 것은 환경단체와 과학자들의 긴밀한 연대 덕분이었는데, 과학자 6000명이 자연복원법을 지지하는 공개서한에 연서하고 시민사회가 법 제정과정에서 과학적 사실을 우선시하기를 촉구해왔던 것이 주효했다는 것이다.12) 이 사건에서도 보듯이 일반 시민의 과학교양에 기반한 행동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현재까지 인류세가 요청하는 지질적 규모의 사명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라투르는 생전의 한 강의에서 인류세 시대의 인간을 그리스 신화의 아틀라스와 비교하며 인류세 인간의 각성을 촉구한 적이 있다. 신화 속 아틀라스는 오랫동안 지구를 어깨에 짊어지고도 그 무게를 버텨낼 수 있는 거인의 표상이었지만, 16세기에 최초의 지도책으로 아틀라스가 출간되었을 때, 지구 전체를 지배하고 통제한 것은 인간이었다. 그러나 거인 아틀라스에 필적할 듯 보였던 인간의 실상은 인류세의 결과로 보듯이 감당 불가한 지구의 무게에 짓눌려 부서지기 일보 직전으로 드러났다(Latour, 2013).
기후교양은 과연 기후위기 시대에 지구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인가? 현재 수준에서 이것은 당위와 희망의 질문에 더 가깝지만, 불가능한 일도 결코 아니다. 기후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는 사실들 가운데 가장 주목할만한 발견은 미래 기온이나 빙하량 변화는 기후과학적으로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반면에, 그 사회적 결과의 예측은 매우 불확실하다는 것이다(Degroot et al., 2021, p. 547). 인류의 집단적 행위성은 양날의 검과 같다. 지질적 괴력에 이르게 된 인간사회의 힘은 기후위기와 인류세의 위기를 해결할 가능성을 이미 충분히 갖고 있다. 중요한 것은 시민 각자가 올바른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후교양으로 무장하는 것이고 이것이 공고해질 때 기후교양의 힘은 기후의 힘을 충분히 능가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Notes

1) 필자는 2022년도 2학기에 역사교육과의 융합교육 교과목을 통하여 문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입학한 첫 세대 학생들을 대면할 수 있었다. 현행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은 극히 형식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실질적 통합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평가가 압도적이다. 그럼에도 해당 교과목 수강생 가운데 지구과학을 수능선택과목으로 치르고 입학한 학생들의 기후과학 내용에 대한 이해도나 관심은 다른 학생들과 유의미하게 차별적이었다. 따라서 통합형 교과과정이 좀 더 자리 잡을 경우, 학생들의 평균적인 과학이해도와 관심이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2) 클린텔과 세계기후선언 내용에 대해서는 https://clintel.org/nobel-prize-winner-dr-john-f-clauser-signs-the-clintel-world-climate-declaration/(2024년 2월 12일자 확인)

3) 클라우저의 기후학 비판 내용에 대해서는 https://www.theepochtimes.com/us/exclusive-we-are-totally-awash-in-pseudoscience-nobel-prize-winning-physicist-on-climate-agenda-5430650(2024년 2월 12일자 확인)

4) 만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비판 논문으로는 McIntyre & McKitrick 2003을 꼽을 수 있고, 하키 스틱 그래프 논쟁에 대해서는 https://www.encyclopedia.com/environment/energy-government-and-defense-magazines/hockey-stick-controversy(2024년 2월 12일자 확인)을 참고할 수 있다.

5) 브리태니커 사전에 의하면, 모든 생체(living matter)의 본질적 요소들이 순환되는 자연적 경로가 있는데, 생지화학적 순환이란 각 순환의 생물적, 지질적, 화학적 측면을 가리키는 축약형 표현이다. 각각의 생지화학적 순환은 크게 두 개의 풀을 갖는데, 하나는 크고 천천히 움직이는 비생물적인 영양분의 저장 풀이고 다른 하나는 생태시스템의 생물적 측면과 비생물적 측면 간의 빠른 교환과 관련된 작지만 훨씬 활발한 순환 풀이다. https://www.britannica.com/science/biogeochemical-cycle (2024년 2월 12일자 확인)

6) GCB의 결과물은 일차적으로는 정책 입안이나 환경운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각종 공공조직 및 국제단체에 배포되지만, 교육자나 일반인들도 자료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학술지인 Earth System Science Data를 통해서 전문가용 GCB가 출간되고 있으며, GCB의 공식페이지를 통해서 GCB의 풀버전 PPT 파일과 더불어 요약본 PDF 파일도 친절하게 제공되고 있기에 누구나 필요에 따라 GCB를 사용할 수 있다. The Global Carbon Budget: https://www.globalcarbonproject.org/carbonbudget/22/presentation.htm(2024년 2월 12일자 확인)

7) CROPP 프로젝트에 관한 상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https://uordg.maps.arcgis.com/apps/MapJournal/index.html?appid=1da4ce696b0e49e899463cf8098d9e91(2024년 2월 12일자 확인)

8) 본 내용은 필자가 지난 해 여름 영국의 레딩 대학교를 방문하여 가졌던 지리환경과학과의 웨이드 교수와의 학술면담에서 접한 CROPP 프로젝트 내용이다.

9) 다윈의 점진적 진화론에 도전한 고생물학자 굴드(Stephen J. Gould)의 ‘단속 평형론’은 종의 출현이 한 종이 조금씩 진화해서 다른 종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대부분 변화가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은, 오랜 평형상태가 지속되다가 드물지만 거대한 지질적 규모의 사건과 변화를 겪으면서 하나의 종이 둘로 분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설명한 진화생물학 이론이다(Eldredge & Gould, 1972).

10) 태양 흑점 수의 변화가 홀로세 기후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은 현재까지도 고기후학계에서 지배적이다. 태양 활동에 따른 복사에너지 변화가 대기, 해양, 식생과의 피드백 과정 속에서 증폭되어 지구 생태계와 인간사회에 미쳤다는 것이다(박정재, 2021, pp. 204-205). 태양 활동의 변화는 기본적으로 11년 주기를 갖지만 길이, 양상, 정도 면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11년 주기로 장기적인 태양 흑점 변화의 한도(parameter)를 연구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후학자들은 방사성동위원소 분석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장기 주기를 산출하고 있다. 특히 시베리아 고기압 천년 현상의 2500년 주기와 할슈타트 2400년 주기가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양 주기는 상호 일치하는 양상을 보이며 홀로세 기후변화를 설명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Biswas et al., 2023).

11) 기후민감도란 기후시스템에서 특정 요인이 작용했을 때 기후가 얼마나, 어떻게 변화할지 보여주는 척도를 말한다. 현재 대기 중의 CO2 농도는 400ppm을 넘어서 있는데, 우리가 CO2 농도에 이처럼 민감한 이유도 이것이 기후민감도를 좌우하는 가장 큰 인위개변적 요인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갈수록 인위개변적 요인의 영향이 커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기후과학적인 예측이 용이해지지는 않는다. 현재 기후조건이 단숨에 다른 차원의 불가역적인 임계점으로 전환하게 된다면 그것은 한가지 주된 요인의 영향력으로 인해서가 아니라 이것과 다른 경계 조건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이기 때문이다.

12) 서울환경연합, EU 자연복원법은 무엇일까? 유럽 활동가에게 듣다: https://blog.naver.com/seoulkfem/223234669315(2024년 2월 12일자 확인)

참고문헌

Anderson, G(2003). The athenian experiment:Building an imagined political community in ancient Attica, 508-490. B.C.,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Armstrong, K(2010). The great transformation, Jeong YGyoyangin.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카렌 암스트롱. (2010). 축의 시대 (정영목 역). 교양인. (원서출판 2005)].

Biswas, A, Karak, B, Usoskin, I, Weisshaar, E(2023 Long-Term modulation of solar cycles, Space Science Reviews 219(19), https://doi.org/10.1007/s11214-023-00968-w.
crossref
Brooke, J(2014). Climate change and the course of global hist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nadell, J, Carlson, D. (2017 The annual global carbon budget,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Bulletin, 66(1), 34-37. https://library.wmo.int/viewer/46039?medianame=66(1)_en_000036&q=2017#page=107&viewer=picture&o=download&n=0&q=2017

Carey, M. (2012 Climate and history:A critical review of historical climatology and climate change historiography,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Climate Change, 3(3), 233-249.
crossref pdf
Chakrabarty, D(2023). The climate history in a planetary age, Lee SEco-Livres (Original work published 2021).

[디페시 차크라바티. (2023). 행성시대 역사의 기후 (이신철 역). 에코리브르. (원서출판 2021)].

Crist, M. (2019, April 9). Down to earth. Why is the story of climate catastrophe so hard to tell? The New Republic, https://newrepublic.com/article/153505/case-climate-alarmism-nathaniel-rich-david-wallace-wells-review

Degroot, D, Kevin, A, Martin, B, Jakob, B, Fred, C, Jianxin, C, Kathryn de, L, Piotr, G, George, H, Heli, H, Adam, I, Katrin, K, Emma, M, Naresh, N, Timothy, N, Qing, P, Elena, X, Natale, Z(2021). Towards a rigorous understanding of societ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Nature 591:539-550.
crossref pmid pdf
Eldredge, N, Gould, S(1972). Punctuated equilibria:An alternative to phyletic gradualism, Edited by Schopf T, Models in paleobiology, 82-115. San Francisco: Freeman, Cooper and Co.

Emmett, R, Nye, D(2017). The environmental humanities:A critical introduction, Cambridge, MA: MIT Press.

Erb, K.-H, Karl-Heinz, E, Thomas, K, Christoph, P, Anna Liza, S. B, Nuno, C, Tamara, F, Simone, G, Helmut, H, Christian, L, Maria, N, Julia, P, Martin, T, Sebastiaan, L(2018). Unexpectedly large impact of forest management and grazing on global vegetation biomass, Nature 553:73-76.
crossref pdf
Fleming, J(2015). John L. Brooke. Climate change and the course of global history:A rough journey (Studies in environment and histor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American Historical Review, 120(3), 965.

Frank, D, Esper, J, Zorita, E, Wilson, R(2010). A noodle, hockey stick, and spaghetti plate:A perspective on high-resolution paleoclimatology,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Climate Change 1(4), 507-516.
crossref pdf
Friedlingstein, P, O'Sullivan, M, Jones, M, Andrew, R, Bakker, D, Hauck, J, Landschützer, P, Quéré, C, Luijkx, I, Peters, G, Peters, W, Pongratz, J, Schwingshackl, C, Sitch, S, Canadell, J, Ciais, P, Jackson, R, Alin, S, Anthoni, P, Barbero, L, Bates, N, Becker, M, Bellouin, N, Decharme, B, Bopp, L, Brasika, I, Cadule, P, Chamberlain, M, Chandra, N, Chau, T, Chevallier, F, Chini, L, Cronin, M, Dou, X, Enyo, K, Evans, W, Falk, S, Feely, R, Feng, L, Ford, D, Gasser, T, Ghattas, J, Gkritzalis, T, Grassi, G, Gregor, L, Gruber, N, Gürses, Ö, Harris, I, Hefner, M, Heinke, J, Houghton, R, Hurtt, G, Iida, Y, Ilyina, T, Jacobson, A, Jain, A, Jarníková, T, Jersild, A, Jiang, F, Jin, Z, Joos, F, Kato, E, Keeling, R, Kennedy, D, Goldewijk, K, Knauer, J, Korsbakken, J, Körtzinger, A, Lan, X, Lefèvre, N, Li, H, Liu, J, Liu, Z, Ma, L, Marland, G, Mayot, N, McGuire, P, McKinley, G, Meyer, G, Morgan, E, Munro, D, Nakaoka, S, Niwa, Y, O'Brien, K, Olsen, A, Omar, A, Ono, T, Paulsen, M, Pierrot, D, Pocock, K, Poulter, B, Powis, C, Rehder, G, Resplandy, L, Robertson, E, Rödenbeck, C, Rosan, T, Schwinger, J, Séférian, R, Smallman, T, Smith, S, Sospedra-Alfonso, R, Sun, Q, Sutton, A, Seeney, C, Takao, S, Tans, P, Tian, H, Tilbrook, B, Tsujino, H, Tubiello, F, van der Werf, G, van Ooijen, E, Wanninkhof, R, Watanabe, M, Wimart-Rousseau, C, Yang, D, Yang, X, Yuan, W, Yue, X, Zaehle, S, Zeng, J, Zheng, B(2023). Global carbon budget 2023, Earth System Science Data 15(12), 5301-5369.

Griffiths, T. (2007 The humanities and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ustralia, Australian Humanities Review, 43.https://australianhumanitiesreview.org/2007/03/01/the-humanities-and-an-environmentally-sustainable-australia/

Latour, B. (2013 Facing gaia. Six lectures on the political theology of nature. Being the gifford lectures on natural religion, The University of Edinburgh, https://www.earthboundpeople.com/wp-content/uploads/2015/02/Bruno-Latour-Gifford-Lectures-Facing-Gaia-in-the-Anthropocene-2013.pdf

Latour, B(2021). Ou atterrir? Park BEum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2017).

[브루노 라투르. (2021).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신기후체제의 정치 (박범순 역). 이음. (원서출판 2017)].

Lee, G(2004). Humans and climate environment, Sigma Press.

[이광호. (2004). 인간과 기후환경. 시스마프레스].

Lee, S(2018). Climatology, Purungil Book.

[이승호. (2018). 기후학. 푸른길].

Lele, S(2020). Environment and well-being:A perspective from the global south, New Left Review 123:41-63.

McIntyre, S, McKitrick, R(2003). Corrections to the Mann et. al. (1988). Proxy data base and northern hemispheric average temperature series, Energy and Environment 14(6), 751-771.

Muecke, S. (2022, October 28). The generous philosopher, Aeon, https://aeon.co/essays/bruno-latour-showed-us-how-to-think-with-the-things-of-the-world

Neukom, R, Nathan, S, Juan Jose, G.-N, Jianghao, W, Johannes, P(2019). No evidence for globally coherent warm and cold periods over the preindustrial common era, Nature 571:550-554.
crossref pmid pdf
Nobel Prize winner Dr. John F. Clauser signs the Clintel World Climate Declaration, https://clintel.org/nobel-prize-winner-dr-john-f-clauser-signs-the-clintel-world-climate-declaration/

Norris, J, Allen, R, Evan, A, Zelinka, M, O'Dell, C, Klein, S(2016). Evidence for climate change in satelite cloud record, Nature 536:72-75.
crossref pmid pdf
Park, J(2021). The power of climate, Badabooks.

[박정재. (2021). 기후의 힘. 바다출판사].

Radkau, J(2006). Mensch und Natur in der Geschichte, Leipzig: Ernst Klett Schulbuchverlag.

Radkau, J(2022). Die Ära der Ökologie, Kim HOpen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crossref
[요아킴 라드카우. (2022). 생태의 시대 (김희상 역). 열린책들. (원서출판 2011)].

Rockström, J, Gaffney, O(2022). Breaking boundaries, Jeon BScience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21).

[요한 록스트룀, 오웬 가프니. (2022). 브레이킹 바운더리즈 (전병옥 역). 사이언스북스. (원서출판 2021)].

Ruddiman, W(2017). Plows, plagues, and petroleum Kim HEco-Livres.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윌리엄 F. 러디먼. (2017). 인류는 어떻게 기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가 (김홍옥 역). 에코리브르. (원서출판 2005)].

Scott, J. C(2019). Against the grain, Jeon GCum Libro. (Original work published 2017).
crossref
[제임스 C. 스콧. (2019). 농경의 배신 (전경훈 역). 책과함께. (원서출판 2017)].

Seoul Environment Union. (2023 What is EU nature restoration law?Informed by an European activist, https://blog.naver.com/seoulkfem/223234669315

[서울환경연합. (2023). EU 자연복원법은 무엇일까? 유럽 활동가에게 듣다. https://blog.naver.com/seoulkfem/223234669315]

Steffen, W, Katherine, R, Johan, R, Sarah, E. C, Ingo, F, Elena, M. B, Reinette, B, Stephen, R. C(2015 Planetary boundaries:Guiding human development on a changing planet, Science 347:6223.https://doi.org/10.1126/science.1259855.
crossref pmid
Steinberg, T(2004). Down, down, down, no more:Environmental history moves beyond declension, Journal of the Early Republic 24(2), 260-266.

Stephens, L, Dorian, F, Nicloe, B, Torben, R, Nicolas, G, Andrea, K, Ben, M, Chelsey, G. A, Michael, B. C(2019 Archaeological assessment reveals earth's early transformation through land use, Science 365.https://doi.org/10.1126/science.aax1192.
crossref
Thunberg, G(2023). The climate book:The facts and solutions, Lee SGimmyoung. (Original work published 2023).

[그레타 툰베리. (2023). 기후 책 (이순희 역). 김영사. (원서출판 2023)].

Vavrus, S, He, F, Kutzbach, J, Ruddiman, W, Tzedakis, P(2018 Glacial inception in marine isotope stage 19:An orbital analog for a natural holocene climate, Scientific Reports 8:10213.https://doi.org/10.1038/s41598-018-28419-5.
crossref pmid pmc
White, S(2012). Climate change in global environmental history, Edited by McNeill J, Mauldin E, A companion to global environmental history, 394-410. Hoboken, NJ: Backwell Publishing.
crossref pdf
Yoffee, N(2005). Myths of the archaic state:Evolution of the earliest cities, states, and civiliza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