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희(2020).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서의 시각적 사고의 역할 - 대학생 대상 디자인씽킹 실습 중심으로 - ”, 한국디자인포럼 25(2),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9-58.
김성원, 윤정진(2016). “영화를 활용한 플립러닝 기반의 학제간 융합 창의성 교양수업 효과”, 교양교육연구 10(4), 한국교양교육학회, 457-486.
김연희(2008). “탐구로서의 예술경험과 교육적 함의 -존 듀이의 질적 사유를 중심으로”, 교육철학 41, 한국교육철학학회, 63-91.
김정희(2020). “미술교육에서 실천적 배움의 의미와 과정”, 미술교육연구논총 62,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63-85.
나건, 박준홍(2013).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는 창의적 발상에 관한 연구 -창의 워크숍을 중심으로”, 산업디자인학연구 7(4),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31-38.
나건, 전수정(2015). “디자인 사고 기반의 창의적 프로세스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 9(4),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63-72.
박주희(2016). “미적 경험의 예술교육적 가치”, 한국교육학연구 22(3), 안암교육학회, 149-167.
박진희, 임홍남, 윤정진(2022). “칼 로저스의 감정에 대한 이해가 창의⋅인성교육에 주는 함의”, 인문사회 21 13(2). 인문사회 21, 1651-1666.
박철홍(2011).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이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작용”, 교육철학연구 33(1), 한국교육철학학회, 79-104.
변연계(2021).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서울: 학지사.
우영진, 이재호(2018).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창의정보문화연구 4(1),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35-43.
윤재홍(2000). “대화적 세계관의 인식론적 토대와 그 교육학적 의미”, 연세교육연구 13(1),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171-190.
윤정진, 김병만, 김성원, 김정주, 김형재, 엄세진(2017).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경기: 공동체.
이상범(2015). “실존의 고통으로서의 마음의 병과 삶에 대한 니체의 실존적 사랑”, 니체연구 27, 한국니체학회, 41-87.
이종원, 이경진(2016). “통합교육과정에 있어서 탈근대적 예술지식의 의미와 역할”, 통합교육과정연구 10(4),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47-172.
이현림, 홍상욱, 채선화, 이지민, 김순옥, 천영희, 최미선, 이순기, 이향숙, 전건이, 정수인(2015). 청소년 비행과 상담(2판), 서울: 교육과학사.
정수연, 정도성(2014). “특성화 고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귀납적 사고 모형과 스캠퍼를 적용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 8(1),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31-40.
정옥희(2019). “예술 체험을 통한 인문학적 배움의 가능성”, 미술교육연구논총 56,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24.
정진원, 오지향, 정은경(2013). “음악교과에서의 역량⋅인성교육 요인에 관한 교사인식 FGI 연구”, 예술교육연구 11(3), 한국예술교육학회, 83-106.
조연순(2012). “‘학생 창의성’의 개념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 한국초등교육학회, 1-26.
최숙기(2007).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작문연구 5, 한국작문학회, 205-239.
최진, 곽덕주(2015). “감정교육으로서의 예술교육: 예술경험의 교육적 가치 탐색”, 교육철학연구 37(1), 한국교육철학학회, 117-137.
최혜진(2016). “창의융합을 위한 대학의 체험교육 방법 연구 - 교양교육과정 설계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38(5), 한국문화융합학회, 3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