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6(4); 2022 > Article
자기주도학습을 접목 한 심리학 교양수업의 개발 및 효과 분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하고 그 실행 효과를 분석하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 자기주도학습 요소를 반영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강좌의 수강생인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양수업의 실행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의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시도의 과정은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파악,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행착오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인지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가 발생되는 단계로 파악된다. 둘째,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의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깨달음의 과정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학습현상의 이해, 심리학과 학습과학의 연계를 통한 학습 관련 문제 해결,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도가 개입되는 단계로 파악된다. 셋째,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의 대학생의 학습을 통한 성장 과정은 삶의 가치 추구, 삶의 변화 지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단계로 파악된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주도학습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수업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서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교양수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수업은 교육의 시간, 공간, 교류, 신체의 요소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의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수업의 운영 과정에서 학습자의 의도성을 고려하여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이 요구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sychology liberal arts class incorporat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its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a psychology liberal arts class connected with the self-directed learning factors was developed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liberal arts clas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reflection journal writing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7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liberal arts class, the process of students attempting to learn was found to be of significant importance regarding the learning process itself, as well as the trial and error process based on past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alaxy model, this process is related to cognitive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subject, the intention of the learner is founded in education. Second, at the mid point of the liberal arts class, the process of realization among the students in regards to their learning was found to lie in an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henomenon based on psychology, solving problems related to learning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psychology and learning science, and the use of teaching media for effectiv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alaxy model, this process is related to educational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subject, the intention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are implemented in education. Third, at the end of the liberal arts class, the students’ growth process through learning was found to rest in the areas of their pursuit of value and their pursuit of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alaxy model, this process is related to existential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ducation subject, the intention of the learner becomes central in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us to develop a liberal arts class with self-directed capabilities that will be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ond, such classes need to reflect the learner’s inten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elements of time, space, exchange, and body elements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liberal arts class fo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ird, we need to discuss the appropriate role of the instructor in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liberal arts class that posses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1. 서론

최근 COVID-19로 인한 팬더믹(pandemic) 현상으로 미래 교육환경으로 언급되던 실시간 원격 수업의 적용을 10여 년 앞당기게 되었다(최은주, 이경화, 2021). 대면 강의에서 비대면 강의로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의 주체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조혜영, 최미순, 이희연, 2021). 비대면 교육 환경을 지향하는 대학교육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스스로 다양한 정보와 지식 및 기술을 획득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자기주도학습이 주목받고 있다(이상미, 문소연, 문유선, 김하예슬, 김남희, 2021). 하지만 현재 대학교육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 및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대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자기주도학습 역량 관련 수업은 주로 교양교육에서 한 두 강좌 정도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김혜진, 염명숙, 2014).
제 4차 산업혁명시대는 자기주도학습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하다(하오선, 정주원, 2021).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의 동기를 이끌어 지속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조혜영, 최미순, 이희연, 2021). 대학의 교양교육은 교양교육에 대한 학문적 필요와 시대정신, 사회적 수요, 대학의 이념과 환경, 학습자 요구 등을 조화롭게 균형적으로 추구하는 교육이다(김혜영 2013, 박일우, 2016 재인용). 시대의 변화는 대학의 교양교육이 전문분야의 지식을 폭넓고 깊이 있는 안목에서 조망하고 연결할 수 있는 ‘지적 연결지평’을 담당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손동현, 2009). 교양교육은 학문 분야를 막론하고 해당 전공분야를 넘어서 학제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교육으로, 지식에 접근하는 태도와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이 강조되어야 한다(김현주, 2011). 이를 위해서는 교양교육에서 추구하는 역량들을 기초로 교양과목 간에도 연계성이 검토되고 필요성이 서로 강조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교양교육에서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이 주로 이루어졌다면 이제 이런 역량들이 실제 지식 정보화 시대에 부합되는 형태로 유연하게 발휘되고 변화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도가 요구된다(김혜진, 염명숙, 2014).
지금까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관련된 연구는 교육환경, 교육방법, 교육과정의 영역에서 진행되었다.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온라인학습 환경(권금주, 2010; 김귀종, 2008; 김병선, 2021; 김성훈, 2015; 김영민, 2011; 유경애, 2020; 이상미, 문소연, 문유선, 김하예슬, 김남희, 2021; 전성주, 유효현, 2020; 주영주, 김나영, 조현국, 2008), 블렌디드 러닝 수업 환경(이정아, 김병만, 2016; 임미란, 조진현, 2015)에 대한 연구,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 활동(김경화, 2013; 김옥분, 정찬호, 장정아, 2015; 김은영, 김아람, 2013; 박성희, 2015), 문제중심학습 적용 수업(하오선, 정주원, 2021), 학습코칭 프로그램(임이랑, 2020; 조성진, 김병선, 2021)에 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진로 교육과정(황인섭, 조보람, 2021), 독서와 토론 수업(김혜진, 염명숙, 2014)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과 기존의 교양수업의 접목을 시도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대학에서 폭넓은 학문을 다양하고 깊이 있게 학습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다(유경애, 2020).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과의 연계한 교양수업을 개발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향상의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하고 그 실행 효과를 분석하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 자기주도학습 요소를 반영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강좌의 수강생인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중심의 심리학 교양수업의 실행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자기주도학습 개념

자기주도학습의 개념은 자기주도학습의 관점인 교육의 목표로 보는 관점(Brookfield, 1985), 학습의 과정으로 보는 관점(Knowles, 1975), 교육의 목표이면서 학습의 과정으로 보는 관점(Candy, 1991), 교육의 방법으로 보는 관점(교육개혁위원회, 1998)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할 수 있다. 교육의 목표로서 자기주도학습은 자아실현을 도모하는 과정에 있는 학습자의 특징적 학습방식으로 학습과정의 결과로서 기대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나 학습자 내부적 의식변화이다(Brookfield, 1985). 학습의 과정으로서 자기주도학습은 타인의 조력 여부와 상관없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그 학습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전략을 선택해서 실행하고, 자신이 성취한 학습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 주도권을 갖는 과정이다(Knowles, 1975). 교육의 목표이면서 학습의 과정으로서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계획하고 실천하는 선택, 결정 등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자기관리능력의 향상과 이러한 능력의 향상을 위한 시도로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주도권을 부여함에 따라 훈련될 수 있는 과정이다(Candy, 1991). 교육의 방법으로서 자기주도학습은 교사와 교과서 중심의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탈피하여 학생이 중심이 되는 토론학습, 탐구학습, 실험 및 실습학습,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등의 교육방법을 의미한다(교육개혁위원회, 1998).
교육은 일상을 구성하는 다양한 삶의 형식들 가운데 하나이며, ‘일상’은 시간과 공간, 관계, 신체 등이 특정한 방식의 작동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세계이다(조용환, 2000). 자기주도학습은 다양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특정한 교육 시간과 자유로운 학습 시간이 혼재된 시간 속에서 교류를 통해 학습 행위를 자신의 신체에 새기는 활동을 의미한다(조용환, 1997). 자기주도학습은 교육적 속성의 과정성, 의도성과 관련이 있다(조용환, 1997). 자기주도학습은 문제 해결의 수단을 강구하는 과정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묻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전현욱, 2012). 즉, 자기주도학습은 부단히 완성을 지향하는 과정성으로서, 마디 또는 매듭은 있을지언정 종결은 있을 수 없다(조용환, 1997). 또한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의 주체적 자율성에 의해서 스스로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김성길, 2010). 즉, 자기주도학습은 교수자와 학습자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쪽이라도 교육에 대한 의도가 있어야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조용환, 1997).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의 과정의 관점에서 타인의 도움 없이 자기 스스로가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며, 학습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자기주도학습의 특징은 교육적 속성의 과정성과 의도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2.2.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은 자신에 의한 학습이라는 핵심 개념과 자기주도학습의 분야를 대표하는 통합적, 실존적, 교육적, 사회적, 인지적 개념으로 구성된다. Carré(1992)는 자기주도학습 분야에 대한 메타연구를 통하여 자기주도학습을 독학, 개별화된 교육, 초인지적 관점에서 학습에 대한 학습, 경험에 의한 학습, 조직에서의 학습, 학습에 대한 통제의 실행, 평생교육 측면의 일곱 개의 개념으로 정의하였다(Carré, 1992). 이후 Carré(1995)는 자기주도학습의 일곱 개의 개념을 바탕으로 자신에 의한 학습이라는 핵을 중심으로 도는 다섯 개의 행성으로 구성된 갤럭시 모형을 개발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은 자신에 의한 학습이라는 핵심 개념을 기반으로 학습 주체의 자율성을 강조한다(구영미, 2006).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의 다섯 개념의 주변에는 자기주도학습의 목적이나 도구, 그것을 돕는 위성들이 위치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에서 주체에 대해 공통적으로 이끌리는 것에 의해서 연결된 각각의 행성들은 서로 보다 멀리 또는 보다 근접하고 있으며, 보다 적게 또는 보다 더 부합되기도 하며 모순적이기도 하다(Carré, 1995).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은 자기주도학습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포괄적 인식을 갖도록 해주며 각 분야에서의 활용되는 주요한 방법들을 제시한다(구영미, 2006).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은 교육시스템 밖 학습의 관점에서 통합적 자기주도학습, 존재에 대한 학습의 관점에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 사회적 집단에서의 학습의 관점에서 사회적 자기주도학습, 학습하는 것에 대한 학습의 관점에서 인지적 자기주도학습, 열린 학습 환경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을 제시한다(Carré et al., 1997). 학습자의 능동적 주체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의미는 교육적 또는 인지적 측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개발을 목적으로 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과 사회적 관계 중심의 협력적 교육으로서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구영미, 2006).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기주도학습의 갤럭시 모형은 자신에 의한 학습이라는 핵심 개념과 자기주도학습의 분야를 대표하는 통합적, 실존적, 교육적, 사회적, 인지적 개념으로 구성된다.

2.3. 교양교육과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

OECD의 DeSeCo(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프로젝트에서는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지식, 기능, 태도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전은화, 2021). OECD에서는 도구의 지적활용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다(조헌국, 2017).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평생학습 시대의 필수적 능력이자 21세기에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역량이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는 지식을 단순히 축적하는 것에서 벗어나 지식을 창조적으로 생산하는 ‘지식생산자’로서의 역량을 갖춘 사람이다(손종현, 조용개, 2014).
대학의 교양교육이 추구해야 하는 목표인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하여 교양교육에서는 미래사회의 변화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융합적 사고를 증진할 수 있는 심도 깊은 수업을 개발해야 한다(조헌국, 2017). 교양교육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 이원화되어 운영되었던 강좌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더욱 유기적으로 교양수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김혜진, 염명숙, 2014). 수업 설계 과정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요인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 방법, 학습 내용, 학습 환경 등의 수업의 조건에 반영되어야 한다. 수업의 조건은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전략, 방법, 요소, 또는 환경(시간과 자원)을 의미한다(양용칠, 허소현, 2017).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동기 부여를 지지하는 촉진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이 요구된다(Rothwell, 1999).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교육을 통해 후천적으로 발달하고 그 완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볼 때 교수자는 학생의 학습을 가까이서 살펴보고 점검, 확인하며 도와주는 최상의 공동 학습자라고 할 수 있다(정현숙, 2021).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양교육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 이원화되어 운영되었던 강좌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더욱 유기적으로 교양수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3. 연구 방법

3.1. 자기주도학습을 접목 한 심리학 교양수업의 개발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을 접목 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양수업은 사회와 가치 영역의 이론 3학점의 심리학 수업이다. 심리학은 자기주도학습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학문으로 판단되어 자기주도학습의 연계 교양수업으로 선정하였다. 심리학은 자신 및 타인에 대한 이해, 즉 인간의 행동 및 정신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윤가현, 권석만, 김경일, 김신우, 2019).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의 자율적인 판단과 의지로 수행되는 학습이므로 일반학습에 비해 학습자의 심리와 정서가 더 중요하다(임병노, 2011). 학습자의 심리와 정서 요인이 자기주도학습을 이끄는 원동력이 된다(유지원, 김보경, 강명희, 2014).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양수업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초지식(정서, 동기, 기억, 학습과 주의, 유전 및 환경, 성과 문화적 다양성, 정보처리, 그리고 행동의 기저가 되는 생물학적 지식)인 심리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또한 심리학의 개념 및 원리와 대학교육의 학습과정과의 연계를 통한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양수업은 <표 1>과 같이 교육 내용과 교육 원리를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자기주도학습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는 그것이 요구되는 교육 내용과 교육 원리 안에서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김신일, 2015). 교양수업의 교육 내용은 심리학 기초 지식, 자기주도학습의 요인, 자기주도학습의 요인과 연계한 심리학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심리학 기초 지식은 심리학의 개념과 관점, 학습 심리, 기억, 동기, 정서, 성격, 스트레스, 사회적 행동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의 요인은 Knowles (1975)의 자기주도학습 요소인 학습분위기 조성,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계획 구상, 학습활동 실행, 학습결과 평가 등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교양수업의 교육 원리는 배움, 성찰, 실천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양수업의 교육 원리는 수업 방법과 수업 유형(대면, 비대면) 선정에 반영되었다. 교양수업의 수업 방법은 배움을 위한 강의법, 성찰을 위한 토의법, 실천을 위한 체험학습의 수업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배움의 단계는 SNS를 활용하여 심리학 관련 개념 정의 활동, 심리학 관련 기사 찾기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배움 단계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학습전략의 가치를 강조한다(양용칠 2015). 성찰의 단계는 조별 주제 발표 활동과 토의를 통한 문제해결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성찰 단계에서 토의 활동은 학습자에게 공동조절의 기회를 제공한다. 공동조절은 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과제수행이나 결과의 점검이나 조절에 대한 도움을 받는 과정이다(Lee & Yang, 2014). 실천의 단계는 대학교육의 학습과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통한 자기주도학습의 적용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실천의 단계에서 학습자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한 후에 자신의 수행과정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고 점검한다(양용칠 2015). 교양수업의 수업 유형은 1차시 배움 단계는 줌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 2-3차시 성찰, 실천 단계는 강의실의 대면 수업의 블렌디드 수업으로 구성한다.
<표 1>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 수업의 교육 내용 및 교육 원리
교육 내용 교육 원리

심리학 내용 자기주도학습 요인 연계 내용 수업방법 수업유형
1 강좌소개
2 심리학의 정의
심리학의 관점
학습과학의 정의
학습과학의 관점
심리학과 학습의 관계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3 심리학의 분야
심리학의 연구 영역
자기주도학습의 정의
자기주도학습의 관점
심리학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4 학습심리의 정의
학습심리 이론
학습심리의 정의
학습심리 이론
대학교육에서의 학습심리 요소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5 학습 관련 심리 현상 자기주도학습의 절차 대학교육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요소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6 기억의 개념 학습계획 구상 학습활동
실행 학습결과 평가
학습과정에서 기억의 영향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7 동기의 개념 학습분위기 조성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과정에서 동기의 영향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8 중간고사
9 동기 관련 이론 학습분위기 조성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과정에서 동기이론의 적용방안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10 정서의 개념
정서 관련 이론
학습분위기 조성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과정에서 정서의 영향
학습과정에서 정서 이론의 적용방안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11 성격의 개념
성격의 결정 요인
성격검사의 종류
학습계획 구상 학습활동 실행 학습결과 평가 학습과정에서 성격의 영향
학습과정에서 성격이론의 적용방안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12 지능의 개념
지능의 특징
지능검사의 종류
학습계획 구상 학습활동 실행 학습결과 평가 학습과정에서 지능의 영향
학습과정에서 지능이론의 적용방안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13 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와 심리
학습계획 구상 학습활동 실행 학습결과 평가 학습과정에서 스트레스의 영향
학습과정에서 스트레스 해소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14 사회적 행동의 원인
사회적 영향
학습계획 구상 학습활동 실행 학습결과 평가 학습과정에서 기대의 영향
학습과정에서 편견 해소
배움: 강의법
성찰: 토의법
실천: 체험학습
배움: 비대면
성찰, 실천: 대면
15 기말고사

3.2. 자기주도학습을 접목 한 심리학 교양수업의 실행

3.2.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표 2>와 같이 2021학년도 2학기 A 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개설한 교양강좌의 수강생 17명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교양강좌의 수강생 총 56명 중에서 자발적인 참여 의지를 보인 학생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표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구분 이름 성별 학년 단과대학 학과
1 연구참여자1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2 연구참여자2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3 연구참여자3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4 연구참여자4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5 연구참여자5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6 연구참여자6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7 연구참여자7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8 연구참여자8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9 연구참여자9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10 연구참여자10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11 연구참여자11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12 연구참여자12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13 연구참여자13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14 연구참여자14 1 경영학부 회계세무학전공
15 연구참여자15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16 연구참여자16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17 연구참여자17 1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3.2.2.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하기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찰일지 작성하기는 매 주 수업 활동, 중간고사 과제, 기말고사 과제를 통해 실시되었다. 매 주 수업활동의 주제는 수업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질문으로 제시하였다. 중간고사 과제의 주제는 수업시간에 학습과 관련해 느낀 점을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했다. 기말고사 과제의 주제는 한 학기 동안 수업을 통해 느낀 점을 학습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성찰일지의 자료를 보충하였다. 2021년 12월 21일 부터 12월 31까지 10일 동안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성찰일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충하였다. 심층면담의 질문은 성찰일지만으로 의미파악이 어려운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가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심층면담의 과정에서 연구자는 성찰일지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에게 구체적인 설명과 예시를 요청하였다. 시간적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각 면담은 대체로 30-40분 전후로 진행되었다.

3.2.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Spradley(1980)가 제안한 주제 분석과 유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반복하여 읽으면서 주제를 도출하였고 유목화 과정을 거쳐 자료 분석과정을 완성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성찰일지를 반복하여 읽으면서 자기주도학습의 관점에서 연구 참여자의 교양수업에서의 경험은 어떠한 공통적인 특징을 보였는지 탐색하였다. 1차적으로는 수집된 성찰일지를 읽어가면서 자기주도학습의 특징이 나타난 의미 있는 대화나 내용에 밑줄을 긋고 표시하였다. 2차적으로는 자료를 반복하여 읽어가면서 표시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자료를 요약정리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발견되는 패턴과 소주제를 찾아 기록하였다. 3차적으로 발견된 3개의 소주제를 확정하고 7가지 하위개념 범주에 따라 유목화 하였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패턴과 소주제를 바탕으로 갤럭시 모형과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갤럭시 모형에서 제시하는 자기주도학습의 통합적, 실존적, 교육적, 사회적, 인지적 개념을 고려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의 의도성과 관련된 교육의 시간, 공간, 관계, 신체의 요소를 고려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는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사실적 가치(true value), 적용가능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의 네 가지 신뢰성 준거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수업 활동 기록, 중간고사 과제, 기말고사 과제, 심층면담 등을 통해 다양하게 자료를 수집하였고 분석 주제와 자료는 교육공학 전공 전문가 2인으로부터 조언을 받고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했다. 둘째, 신뢰성이 높은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2021년 12월 2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충분한 기간 동안 연구 참여자들을 심층면담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연구자의 분석과 해석에 대해서 연구 참여자들의 확인 및 평가 작업을 거쳐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 점검을 위해 성찰 일지를 작성한 17명의 연구 참여자 중 5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질적 자료 분석 내용이 본인들의 생각과 부합하는지, 수정하거나 첨가할 내용은 없는지 등 피드백을 요청하였다. 이와 같이 17명의 연구 참여자 중 5명의 확인 및 평가 작업을 거쳐 질적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4. 연구 결과

4.1.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시도 과정

본 연구에서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은 학습에 대한 시도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시도 과정은 대학교육에서 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파악,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행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인지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다. 인지적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자신이 의도적으로 조절하는 정신적 과정을 의미한다(Long, 1991). 인지적 자기주도학습은 자율적 학습현상을 인지적 과정으로 파악하는 관점으로 이러한 과정에는 학습자의 학습능력 계발의 인지적 요소와 자율적 학습 실행의 심리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구영미, 2006).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가 발생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가운데 어느 한 쪽이라도 교육에 대한 의도가 있어야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조용환, 1997).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의 가르침과 배움 과정에서 학습자의 의도 발생에 의해 교육이 시작된다. 이러한 과정은 교육의 요소인 시간, 공간, 신체와 관련이 있다. 대학생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에 입학해서 대학교육 공간인 강의실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파악하게 된다. 대학생은 대학교육의 시간과 공간을 토대로 시행착오의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을 시도하게 된다.

4.1.1. 대학교육에서 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파악

첫째, 대학생은 대학교육의 학습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은 대학교육에서 고등학교와는 다른 교육환경에서의 경험하는 괴리감, 대학교육에서 경험하는 심리적인 스트레스에 대해 언급했다. 대학생은 중등학교 시기까지 학교에서 계획한 시간표에 따라 학습하는 데 익숙해 있어서 대학교육의 학습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최경민, 2019).
솔직히 내가 경험한 대학은 고등학교시절 기대했던 대학의 모습과는 괴리감이 있었다. 고등학교 시절에 상상한 대학은 강의실에서 끊임없이 질문하는 교수님과 열성적으로 토론하는 학생들의 모습이었다(연구참여자1).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율성이라고 생각한다. 고등학교는 수업시간, 쉬는 시간, 급식시간 등 모든 게 정해져 있었다. 고등학교에서는 수업 종소리를 듣고 수업 시간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학교에서는 내가 모든 것을 결정해야 한다(연구참여자7).
나는 고등학교 시절 공부를 잘하는 편은 아니었다. 하지만 나는 꿈을 이루기 위해 내가 원하는 학과를 선택해서 대학에 입학했다. 나의 선택에 대한 책임감으로 대학에서의 공부는 나에게 스트레스가 된다(연구참여자14).
둘째, 대학생은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자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은 대학교육의 학습과정에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 학습 습관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대학생은 대학 생활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학습과 진로를 위해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업을 수행해야 한다(김애경, 2017).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의 수행은 졸업 후 성공적인 진로를 이룰 수 있는 개인의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Koen et al., 2012).
나는 복학하기 전에 걱정을 많이 했는데 나름대로 수업도 재미있고 다시 학교에 오길 잘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공부를 안 한지 너무 오래되어서 친구들은 쉽게 이해하는 문제들을 학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앞으로 더욱 노력해야겠다(연구참여자3).
나의 문제점은 시험기간에만 공부를 한다는 것이다. 평소에 수업을 듣고 복습을 해야 하는데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많다 보니 복습을 잘 하지 않게 되었다. 게다가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면서 더욱 더 복습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서 현재 학업에 대한 만족감이 매우 떨어진 상태이다. 이번 기회에 복습하는 습관을 길러 학업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싶다(연구참여자11).
연구 결과,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파악은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경험,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인지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다. 인지적 자기주도학습 과정에서 대학생은 자신의 학습을 심화, 관리, 조절, 개선하려는 인지적 노력을 하게 된다(Corno & Mandinach, 1983). 즉, 대학생은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인지, 행동, 정의적 특성을 가동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Schunk & Zimmerman, 1994).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 발생과 관련이 있다. 대학생 시기는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상태로 고등학교 시기와는 다르게 부모에게서 독립하여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설계하고 구체적인 진로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이다(윤정선, 2020).

4.1.2. 과거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실행

첫째, 대학생은 과거 성공의 경험을 기반으로 실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은 과거 시연을 통한 성공의 경험, 반복 연습을 통한 성공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실행에 대해 언급했다. 현대 사회에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는 더 많은 지식을 소유하는 것보다 쏟아지는 지식에 대해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하는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가진 학습자를 의미한다(백경숙, 2011; 한순미, 2006).
현재 대학 학습과정에서 내가 주로 사용 하는 방법은 충분한 시연이다. 나는 선생님이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을 적용해서 혼자 설명을 하며 공부를 한다. 이런 방법으로 현재 내가 알고 있는 부분과 잘 모르는 부분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대학교 1학년 1학기에 만점에 가까운 학점인 4.4를 받았다. 현재 2학기에도 시연을 활용해 공부하고 있다(연구참여자14).
현재 나의 학습방법은 반복 연습이다. 대학 공부는 처음 나오는 내용이 많기 때문에 반복하지 않으면 기억에서 쉽게 사라진다. 나는 반복해서 공부하면서 중요 개념이 나오면 그 예를 나의 상황에 적용해 본다. 1학기 성적이 나름 좋게 나왔기 때문에 나는 매우 만족한다(연구참여자10).
둘째, 대학생은 배움에 대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실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교육에서 배움에 대한 관심과 즐거움을 기반으로 한 시도, 대학생들은 대학교육에서 자신의 미래와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한 시도에 대해 언급했다. 자기주도적 학습자는 학습 목표를 지속적으로 계획하고 조절하고, 적절한 학습 관리를 함으로써 지적 호기심을 높이는 동시에 과제에 대한 집착력을 갖게 된다(최은주, 이경화, 2021).
현재 대학을 다니며 전공 분야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우고 있다. 나는 어릴 때부터 경영학 분야에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현재 학습과정이 조금 어렵더라도 배우는 것이 즐겁다. 교양 수업에서도 심리와 같은 평소에 잘 배우지 못하는 것들을 배우고 일상생활에 적용도 하고 생각도 해보며 많은 경험을 하였기 때문에 만족한다(연구참여자6).
나는 대학에서 무언가 보상을 기대하고 공부를 시작하였다. 내가 생각한 보상은 기숙사 합격이었고 그 결과 기숙사 합격에 성공하였다. 기숙사 합격을 위해 공부를 열심히 하니 배움에 대한 즐거움이 생겼다. 또한 경영학을 배우는 학생으로 마케팅에 대한 공부를 하고 싶어서 광고홍보과의 마케팅 수업을 열정적으로 재미있게 듣고 있다(연구참여자5).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대학교육에서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실행은 과거 성공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실행, 배움에 대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한 실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인지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지적 자기주도학습 과정은 학습자의 초인지, 인지, 행동 및 동기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박승호, 2004; 양명희, 황정규, 2002; Hoper et al., 1998; Pintrich & DeGroot, 1990). 특히,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과정은 성공의 경험, 배움에 대한 관심, 즐거움과 같은 동기의 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 발생과 관련이 있다.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인 학습태도에서 벗어나 자신의 학습을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이 필요하다(윤정선, 2020).

4.2.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깨달음의 과정

본 연구에서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은 학습에 대한 깨달음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깨달음의 과정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학습현상의 이해, 심리학과 학습과학의 연계를 통한 학습 관련 문제 해결,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다. 교육적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중심교육, 조력자로서 교수자에 의한 동반의 역할 등을 의미한다. 교육적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중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Albero, 2000, 구영미, 2006 재인용). 학습자중심교육은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태도와 자발적인 학습을 강조한다(Hewitt-Taylor, 2001, 조혜영, 최미순, 이희연, 2021 재인용).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은 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도가 개입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간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교육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도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최유선, 손은령, 2017). 하지만 교수자가 먼저 나서서 학습자를 끌고 가는 경우에는 본질에 충실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전현욱, 2012). 이러한 과정은 교육의 요소인 신체, 교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학생은 이론 중심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으로의 변화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교류를 통해 자기주도학습의 원리를 깨닫게 된다.

4.2.1.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학습 현상에 대한 이해

첫째, 대학생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학습 현상에 대해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심리학 개념의 학습과정에 적용, 심리학 목적의 학습과정에 적용에 대해 언급했다. 자기주도학습과정은 학습자가 처한 학습 환경이나 상황적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김경화, 2013). 특히, 학습자의 정서적 특성이나 학습 환경은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다(강정찬, 2010).
나는 심리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수업에서 나의 정서, 감정 등을 이해하고 학습방법을 적용하면서 공부를 하고 있다. 실제로 나는 심리학을 배우면서 나에게 맞는 학습방법을 찾아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삶의 질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가 스스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연구참여자10).
심리학이란 인간을 이해하고 개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악과 예측, 통제의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나는 위에서 언급한 3단계 과정을 유용하게 사용한 경험이 있다. 2학기에 들어 학생생활상담센터에서 진행한 멘토멘티 프로그램에 멘티로 참여하게 되었다. 나는 친밀해진 관계에서는 종종 약속 늦게 되는 안 좋은 습관이 있다. 하지만 나의 이러한 태도로 멘토가 겪게 될 상황을 평소의 경험으로 파악함으로써 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하였고 결국 나의 이러한 잘못된 습관을 통제할 수 있었다(학생1).
둘째, 대학생은 심리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현상에 대해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심리학의 학습이론의 학습과정의 적용, 심리학의 동기이론의 학습과정의 적용에 대해 언급했다. 대학교육에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는 스스로 학습을 관리해 나가며 자기지향적인 피드백과 다양한 학습전략들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의도한 학업성취를 이루어 낼 수 있다(Montalvo & Torres, 2004).
나의 학습방법은 정보처리이론을 이용하는 것인데, 정보처리이론이란 인간의 인지를 정보처리과정으로 보고 이를 컴퓨터에 비유하여 객관적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나는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연습과 정보의 조직, 기억술을 이용하여 기억을 하며, 발췌와 도식화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있다. 또한 정교화를 이용해 나만의 예시를 추가하여 쉽게 기억하고 최종적으로 조직화와 인지적 감지로 공부의 최종 점검을 하고 있다(연구참여자5).
나의 대학에 입학한 동기는 좀 더 한 분야에 깊이 공부하고 싶어서이다. 메슬로우의 위계이론 중 지적욕구라는 것이 있는데 지적 욕구는 가장 상위에 있는 욕구 중 한 가지이다. 나는 지적 욕구가 강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연구참여자4).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학습 현상에 대한 이해는 심리학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이해, 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이해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자신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자기 스스로 혹은 학습조력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의 계획과 실행, 평가 등 일련의 학습상황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학습 방법을 의미한다(정용우, 양성관, 2016). 학습자는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육과정을 통해 심리학과 연계하여 자기주도학습을 이해함으로써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적 역량인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도의 개입과 관련이 있다. 학습자중심수업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지식을 구성하고,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김진숙, 2015; 박준범, 2017).

4.2.2. 심리학과 학습과학의 연계를 통한 학습 관련 문제의 해결

첫째, 대학생은 학습의 전략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자신의 기억의 문제, 자신의 암기방법의 문제의 개선을 통한 학습전략의 개선 계획에 대해 언급했다. 자기주도적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유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자신의 교수학습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함으로써 좋은 학습결과를 성취 또는 유지할 수 있다(Zimmerman & Martinez-Ponz, 1988, 윤정선, 2020 재인용).
나는 공부를 하더라도 쉽게 잊어버리고 기억을 잘 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아마 정보가 장기기억으로 이어지지 않아서 인거 같다. 앞으로는 정보가 장기기억에 저장될 수 있도록 기억하기 쉬운 이미지나 단어로 정리를 하며 외울 것이다. 또한 꼭 반복적인 학습을 할 것이다(연구참여자11).
수업을 듣고 앞으로의 학습방법을 개선해 보기로 했다. 우선 암기를 할 때 무작정 보고 외우는 것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중요한 부분을 복습할 때 누군가에게 설명을 하듯이 말을 하며 암기해야겠다(연구참여자17).
둘째, 대학생은 학습의 정서와 관련된 문제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부정적 정서, 자아존중감 부족, 학습동기 부재의 문제 개선을 통한 정서와 관련된 문제 개선 계획에 대해 언급했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자아효능감, 몰입, 끈기와 같은 학습자의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특성(이정미, 이길재, 2017; Alghamdi, 2021) 뿐만 아니라, 멘토의 피드백이나 사회적 실재감과 같은 사회적, 상황적 요인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심현, 2017; 이의길, 2013).
나는 학습을 하기 전의 나의 심리상태가 문제라고 생각한다. 나는 시험기간이 되면 학점에 대한 압박감과 불안감이 생기고 그러한 정서들이 스트레스로 변질된다. 수업에서 스트레스의 해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학습과정에서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인 정서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연구참여자10).
현재 대학교에서 나의 문제점은 나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부족해서 자신을 과소평가한다는 것이다.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일 필요가 있다.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변 사람들의 격려와 칭찬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스스로에게 칭찬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연구참여자14).
나는 학습과정에서 자신에게 보상은 거의 주지 않았다. 나는 벌을 받는 것이 공부에 있어 훨씬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오늘 해야 할 일을 시간부족으로 끝내지 못했다며 그 벌로 새벽까지 공부를 하고 해야 할 일을 끝내고 자도록 스스로를 몰아 붙였다. 물론 해야 할 일을 다 끝내고 잔다면 그 다음날의 일이 밀리지 않을 수 있지만 체력적 그리고 정신적으로 힘들어졌다. 나는 수업에서 보상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연구참여자16).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심리학과 학습의 연계를 통한 학습 관련 문제 해결은 학습의 전략과 관련된 문제 해결, 학습의 정서와 관련된 문제 해결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타인의 도움 없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에 대한 책임은 학습자에게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Garrison, 1997; Knowles, 1975; Zimmerman, 1986). 학습자중심수업은 다양한 지식의 경험을 통한 실제적인 상황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학생 스스로가 지식을 발견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협동학습, 네트워크 형성, 토의 토론, 과제선택의 자유, 독립적이고 주도적인 학습활동이 허용되는 수업 경험을 제공한다(한윤영, 김은경, 2019).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도가 개입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중심수업은 학습자의 자율권과 함께 책임과 책무성 부여, 자율적인 수업 환경 조성과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 또는 의사소통을 강조한다(이현아, 2020).

4.2.3.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

첫째, 대학생은 사이버 공간을 활용하여 학습에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사이버 공간에서의 효과적 학습,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중의 어려움에 대해 언급했다. 면대면 수업과 온라인 학습을 상호보완적으로 연계한 혼합형 학습은 면대면 수업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교육의 장을 확대하고 멀티미디어와 같은 자료를 통하여 학습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사이버 학습 공간은 강의실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개별학습, 의사소통과 협력학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구영미, 2006).
코로나 19로 인해 대부분의 수업이 온라인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나는 처음 온라인 강의는 그냥 듣고 두 번째 들을 때는 PPT 내용을 모두 적어 필기하며 반복학습을 한다. 필기과정에서 주요단어 키워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서 교수님께서 강조하는 부분은 표시를 해 둔다. 마지막으로 과제와 수업 내용을 정리하여 시험기간에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연구참여자15).
나는 경영학부에서 경영학, 경영통계,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고 현재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고 있다. 전염병으로 인해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지만 대면 수업보다 집중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어 어려움이 있다(연구참여자17).
둘째, 대학생은 첨단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에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영상매체, 핸드폰의 심리검사 결과를 활용한 학습과정에 대해 언급했다. 대학교육에서 스마트 교육환경이 도입되므로 수업방식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최은주, 이경화, 2021).
나의 학습 개선 계획은 수업시간에 시청한 의대생의 공부 방법을 적용하려고 한다. 나는 의대생의 영상에서 보았듯이 도식화를 중심으로 공부할 것이다. 도식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사진을 찍듯이 내용을 기억해 학습 효율을 높이려고 한다(연구참여자14).
나는 수업활동 중 핸드폰을 활용해 스트레스 지주를 확인해 볼 수 있는 활동을 했을 때 남들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수치가 나와서 당황했던 적이 있다. 아마 나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지 못해 그런 거 같다. 이번 종강 때 한번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볼 계획이다(연구참여자7).
나는 수업시간에 핸드폰으로 시행한 성격검사 결과에서 나의 특성을 알게 되었다. 나는 폭넓은 대인 관계, 신속, 비약적으로 일 처리, 사람과 관계에 무관심, 상황에 따라 일정 변경하며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성격이다. 나의 MBTI유형을 이해하고 보니 공부법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연구참여자5).
본 연구에서 대학수업에서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은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학습에 접근, 첨단매체를 활용한 학습에 접근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적 자기주도학습은 교수자, 자원인사, 동료, 교재 및 각종 정보매체 등 다양한 형태의 인적⋅물적 자원으로 구성된 학습조력자와의 협력 하에 학습자 스스로 학습욕구를 진단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필요한 학습자원과 내용 및 방법을 선정하여 학습상황을 통제 관리하면서 학습해 나가며 또한 학습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는 학습을 의미한다(정주영, 2017). 학습자중심수업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지식을 구성하고,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김진숙, 2015; 박준범, 2017).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도의 개입과 관련이 있다. 최근 대학교육은 학습자 중심 체제, 학습 커뮤니티의 활성화, 지식 창출 및 공유 활동과 같은 새로운 교육 환경을 조성하여 전달 방식의 교육으로부터 탈피하고 있다(구영미, 2006).

4.3. 대학생의 학습을 통한 성장 과정

본 연구에서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은 학습을 통한 성장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학습을 통한 성장 과정은 삶의 가치 추구, 삶의 변화 지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 관점에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실존적 자기주도학습은 존재에 대한 학습과 관련이 있는 개념으로 자신에 의한, 자신에 대한 학습을 의미한다. 실존적 자기주도학습은 인간이라는 존재로서 자기개발을 이루어가는 삶의 과정에서의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Pineau, 1983, 구영미, 2006 재인용).
교육의 주체의 관점에서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간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교육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도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최유선, 손은령, 2017).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의 가르침과 배움 과정에서는 학습자가 목표한 것을 달성해 내고자 하는 학습자의 의도가 중심이 된다(최유선, 손은령, 2017). 교수자가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학습자를 가르친다고 하더라도, 결국 그것을 자신의 삶에 통합시키는 것은 오직 학습자 자신의 의도이다(전현욱, 2012). 이러한 과정은 교육의 요소인 시간, 공간, 신체, 교류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시간의 관점에서 특정한 교육시간과 자유로운 교육시간의 공존, 공간의 관점에서 대학교육기관에서 교육기관 밖으로의 공간의 확대, 신체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 교류의 관점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관계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행위는 단순히 스스로의 의도에 의해 어떤 지식을 배우고 익히는 데 참여하는 것을 넘어 학습하는 존재로 자신의 존재를 변화시킨다.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행위는 학습자의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을 통한 습관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습관의 형성은 진정 의미의 파악을 의미한다(Merleau-Ponty, 2002).

4.3.1. 삶의 가치 추구

첫째, 대학생은 대학생활에서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생활에서 자신에 대한 이해, 관계성을 통한 삶의 질적 향상 추구에 대해 언급했다. 자기주도학습은 자기이해로부터 미래지향적 사고의 발달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 과정에서 현실에 대한 질문과 대안을 생각하기 보다는 미래에 대한 질문을 통해 미래에 대한 대안과 역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김남중, 2018).
나는 이번 심리학의 이해 수업을 들으며 나에 대해 알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나는 대학생활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를 단순히 코로나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수업을 들으며 나 자신의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에는 막연한 불안감이 있었는데 자신을 이해하고 나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수업을 듣지 않았다면 나에 대해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었을 것이다(연구참여자5).
나는 1학년 2학기에 처음으로 심리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심리학의 목적은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다. 친구와의 관계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친구를 이해하면서 친구와 우정을 회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나의 삶의 질이 향상할 수 있었다(연구참여자17).
심리학의 정의는 인간의 감정이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나의 삶의 질 향상은 대학생활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다. 나는 대학을 다니면서 좋은 친구 선배를 만나고 내가 듣고 싶은 강의를 선택하여 듣고 선택하여 들은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도 하고 동아리 활동도 재미있게 하고 있다. 좋은 친구와 선배와 놀거나 함께 있을 때는 정적 정서인 행복이라는 정서가 나에게 작용된다. 동아리 원, 팀원 간의 불화에서는 성격에 개인차가 있어서 성격의 다름을 인정하거나 이해하면 어른으로 성장해 나가는 것 같아 이 부분 또한 나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고 느끼는 부분이다(연구참여자14).
둘째, 대학생은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자신의 성장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성찰을 통한 자신의 성장 추구에 대해 언급했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행동과 사고를 조절하는 과정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며, 변화상황에서도 자신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수용하며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한다(정지은, 정철영, 2015).
심리학은 발생한 어떤 행동이나 정신과정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수업 시간에 나의 행동을 되돌아보면서 점차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던 거 같다. 또 행동이나 정신과정을 어떻게 통제할 수 있는가도 스스로 터득하기 위해 공부중일 때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는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두어서 1년 동안 대학생활의 패턴을 습관화 시킨 거 같다(연구참여자9).
자아존중감을 키우기 위해서 자신의 성향을 터득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수업시간을 통해 알게 된 나의 MBTI유형과 연결해서 나의 성격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 난 뒤 도전해 보고 싶었던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동기를 형성해 성취하려고 노력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점차 자아실현의 욕구로 발전해서 앞으로 더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연구참여자9).
본 연구에서 삶의 가치 추구는 대학생활에서 삶의 질적 향상 추구와 대학교육에서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한 자신의 성장 추구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실존적 자기주도학습의 과정에서 삶은 곧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 내기 위해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교육적 경험의 현장이다(Papazisis et al., 1996, 구영미, 2006 재인용). 대학생활은 중고등학교 시기보다 자신의 생활과 학업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해야 하는 자기주도성을 필요로 한다. 대학생활에서 학업을 자기주도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은 개인의 성장에도 중요하지만(박진영, 2004), 학업의 성공으로 인한 보상이나 삶에 대한 만족의 원천이 된다(Salmela-Aro & Tynkkynen, 2010).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 강화와 관련이 있다. 대학생활에서 삶의 질적 향상 추구는 자기주도학습에서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의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현재보다 더 나은 것을 지향하는 ‘되기’의 과정으로 현재의 모습을 탈출하여 새로운 모습을 향하고자 하는 실존의 과정이고 늘 변화하고자 노력하는 삶이다(전현욱, 2012).

4.3.2. 삶의 변화 지향

첫째, 대학생은 정서적인 안정을 위한 계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관리, 자신감 향상, 학습동기 향상을 통한 학습에서 정서적 안정을 위한 계획에 대해 언급했다. 학습자가 가진 정서적 상태는 학습의 결과, 즉 학습에 대한 성과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습자가 가지는 부정적인 정서 상태는 불안과 스트레스로 대체로 사람이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보이는 상태 불안이 높을수록 학습 만족도 및 성과가 낮아진다(송윤희, 2012).
나는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 것이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일단 학습 도중에 원인이 생겼는지 다른 문제로 원인이 생겼는지 알아 볼 것이다. 만약 과목 내용이 어려워서 이해가 되지 않아 스트레스가 생겼다면 쉬운 과목을 먼저 공부할 것이다. 그리고 적절한 휴식으로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 계획이다(연구참여자17).
나의 문제점은 자신감이 부족한 것이다. 어느 순간부터 발표가 꺼려지는 시기가 왔는데 계속해 피하다 보니 발표를 더욱 기피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하면 언젠가는 부딪혀야 되는 상황이 올 거라는 것을 알고 있다. 도전의 경험을 통해 성장한 내가 될 거라는 걸 알기에 나는 자신감 상승을 위해 더 노력할 것이다(연구참여자13).
나는 앞으로 대학생활에서 나만의 학습동기를 만들 것이다. 그래서 이제는 나만의 동기를 꼭 만들고 싶다. 나의 내년 목표는 성적장학금을 받는 것이다. 1학년 때 성적보다도 더 높은 성적을 받고 싶다. 이 목표를 가지고 계획을 세우고 노력하면 꼭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연구참여자11).
둘째, 대학생은 학습 전략의 개선을 위한 계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수업에서 시각 자료 활용, 노트 정리, 반복 학습을 통한 학습전략의 개선 계획에 대해 언급했다.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학습자 자신이 학습한 과정이나 학습한 결과에 대해 판단을 내릴 수 있고 자신의 부진한 학습의 원인을 찾아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실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한상훈, 2006, 윤정선, 2020 재인용).
한 학기 동안 심리학의 이해 과목을 배우면서 현재 대학에서 나의 학습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문제점은 시각적 심상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공부 할 때에 관련 자료를 찾아보니 편이다. 영상 자료보다는 논문이나 서적 등과 같은 자료를 활용해서 공부해왔다. 나는 앞으로 공부할 때 시청각자료나 시각자료를 좀 더 활용할 계획이다(연구참여자16).
강의를 들을 때 그냥 가만히 보고 듣기만 하는 거보다 메모해 필기를 할 계획이다. 그리고 필기한 내용을 도식화해서 알기 쉽게 정리 해 볼 것이다. 그러면 수업이 끝난 후에도 정리한 정보를 통해 이해와 암기를 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학 문제처럼 여러 번 풀어봐야 쉬워지는 과목은 인지주의 학습 방법인 연습을 통해 여러 번 풀어 볼 것이다. 전공 과목 중에 통계를 구하는 과목이 있는데 좋은 방법일 것 같다(연구참여자17).
이번 학기에는 시험 때마다 머릿속이 백지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업시간이 끝나면 집에 가서 그날 했던 것을 용지를 준비해 적어 보는 시간을 만들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당일 학습했던 내용을 비교해보면서 것을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해서 그날 바로 짚고 넘어가는 습관을 기를 것이다(연구참여자13).
셋째, 대학생은 대학생활의 개선을 위한 계획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대학생활에서 학우와의 관계성 형성, 다양한 프로그램의 참여 계획을 통한 개선을 위한 계획에 대해 언급했다. 제 4차 산업혁명시대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므로 학교에서 배운 교육만으로는 미래사회의 다양한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가 힘들어지게 되었다(안종배, 2017). 학습과정이 교수과정으로부터 분리된 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습의 수행을 위해서는 학습 통제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Miller, 1998).
이번 학기 나는 지속적인 통찰과 가끔의 보상이론을 사용해 학습효능을 극대화 할 예정이다. 보상은 자그마한 것, 너무 큰 것이 아닌 여러 번 보상하며 스스로를 발전시키고 싶다. 또한 시험기간 때는 거울을 보거나 누군가에게 수업을 하듯 가르쳐 볼 예정이다. 또한 친구들과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배운 내용을 밝은 분위기에서 설명하면 좋을 것 같다. 적극적인 행동과 과장된 몸짓은 상대방을 비롯해 나에게도 깊게 기억에 남을 것이며 이러한 것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부를 하고 싶다(연구참여자1).
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업을 통해 나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려면 작은 일부터 성취감을 조금씩 높이는 것이 좋다는 정도 알았다. 그래서 다음 학기에서는 어려운 활동이나 학습을 무조건 피하려고만 하지 않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져서 도전할 것이다. 이번 학기에는 비교과 프로그램도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 볼 것이다.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그만큼 성취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연구참여자17).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삶의 변화 지향은 정서적 안정을 위한 계획, 학습 전략의 개선을 위한 계획, 대학생활의 개선을 위한 계획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실존적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의 주체에게 현실과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한 성찰적 경험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개인적, 집단적 경험을 통해 자신을 형성해 나가는 경험적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구영미, 2006).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경험은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 강화와 관련이 있다. 대학생활에서 삶의 변화 지향은 자기주도학습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자의 노력의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현재 나의 삶이 처한 상황을 성찰하고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지 스스로 묻고 대답하며 찾아가는 과정이다(전현욱, 2012).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하고 그 실행 효과를 분석하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 자기주도학습 요소를 반영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강좌의 수강생인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양수업의 실행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기 초반의 교양수업의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시도의 과정은 대학교육에서 학습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파악,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시행착오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인지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가 발생되는 단계로 파악된다.
둘째, 학기 중반의 교양수업의 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깨달음의 과정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학습현상의 이해, 심리학과 학습과학의 연계를 통한 학습 관련 문제 해결,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교육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의도가 개입되는 단계로 파악된다.
셋째, 학기 후반의 교양수업의 대학생의 학습을 통한 성장 과정은 삶의 가치 추구, 삶의 변화 지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은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실존적 자기주도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교육에서 학습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단계로 파악된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수업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해서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교양수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 갤럭시 모형의 관점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통한 학습과정은 인지적 자기주도학습, 교육적 자기주도학습, 실존적 자기주도 학습의 관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의 새로운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은 한 분야에 국한된 개념이 아니라 확대, 확장이 가능한 개념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통한 제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의 새로운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수업은 교육의 시간, 공간, 교류, 신체의 요소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의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통한 학습과정은 교육의 시간, 공간, 교류, 신체의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 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수업의 설계 과정에서 공간과 시간 측면에서 사이버 공간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의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학습자 중심 교육 원리와 융복합 교육 내용을 반영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교수자와 교수자의 교류와 학습자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교육의 교양강좌의 운영 과정에서 학습자의 의도성을 고려하여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 교육의 주체 관점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통한 학습과정은 학습자의 의도 발생,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도 개입, 학습자의 의도 강화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교육 주체의 변화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교양수업을 개발하고 대학생의 대학수업의 경험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교양수업 개발 및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탐색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교양수업 개발 및 실행 과정에서의 교수자의 경험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을 접목한 심리학 교양수업을 개발하고 성찰일지와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교양수업의 실행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교양수업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정에서 대학교육 환경이 미치는 영향은 파악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학교육 환경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성찰일지 작성하기를 통해 대학생의 대학수업의 경험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양수업을 좀 더 심층적으로 탐색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참여 관찰 등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강정찬(2010). “비계설정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6(4), 한국공학교육학회, 49-85.

권금주(2010).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learning 사회복지 교과목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3), 한국자료분석학회, 1717-1728.

교육개혁위원회(1998). 21세기 한국교육의 발전지표, 서울: 교육개혁위원회.

구영미(2006).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 실존적,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 교육공학연구 22(1), 한국공학교육학회, 161-193.

김경화(2013).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20(12), 한국청소년학회, 315-335.

김귀종(2008). “e-Learning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17,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1-98.

김남중(2018).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매개효과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4),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55-361.

김남희, 정미애(2018).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교양교육연구 12(6), 한국교양교육학회, 41-66.

김병선(2021). “비대면 온라인 교양 영어 수업에서 대학생들의 영화 활용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어교과교육 20(1), 61-85.

김성길(2010). “의학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원리를 통한 배움의 용기 고찰”, 의학교육논단 12(2), 연세대학교의과대학, 5-11.

김성훈(2015). “대학생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습동기, 자아인식, 학습전략, 학습상황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5(2),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71-93.

김신일(2015).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김영민(2011). “e-learning 유통물류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몰입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2(2), 국제e-비즈니스학회, 27-47.

김애경(2017). “전문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5(2),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9-160.

김옥분, 정찬호, 장정아(2015).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대학생의 의사소통, 학습몰입,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 탐색”, 대학교수-학습 연구: 제7회 연구과제공모논문집, 99-118.

김은영, 김아람(2013). “대학생 학습공동체 활동의 교육적 의미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1-119.

김현주(2011).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교양교육연구 5(1), 한국교양교육학회, 229-261.

김혜영(2013).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한국교양교육학회, 11-38.

김혜진, 염명숙(2014). “독서와 토론 교양 수업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양교육연구 8(4), 한국교양교육학회, 513-540.

김진숙(2015). “대형 강의의 다 전공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교수법과 좋은 수업의 특성”, 청소년학연구 22(12), 703-726.

박성희(2015).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과 협동능력에 대한 영향”, 평생학습사회 11(4),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115-136.

박승호(2004). “자기조절학습과 동기: 초동기와 의지통제의 교육적 함의”, 교육방법연구 16(1), 한국교육방법학회, 95-114.

박일우(2016).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교양교육연구 10(1), 한국교양교육학회, 349-378.

박진영(2004).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분석”, 교육학연구 42(2), 한국교육학회, 247-269.

박준범(2017). “학습자중심 모듈형 의사소통교육의 수업 모형과 실제”, 대학작문 22, 대학작문학회, 51-84.

백경숙(2011).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32(1),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77-95.

손동현(2009).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3(1), 한국교양교육학회, 21-32.

손종현, 조용개(2014). 스토리텔링 기반의 자기주도학습전략,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송윤희(2012). “대학 교양수학 수업에서의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불안 및 학습성과와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16(4),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1001-1020.

심현(2017).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멘토의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5(1), 한국열린교육학회, 169-189.

안종배(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7(1), 한국교육방송공사, 21-34.

양명희, 황정규(2002). “LISREL을 이용한 자기조절학습의 개념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6(2), 한국교육심리학회, 259-290.

양용칠(2015). “자기조절학습의 능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사고개발 11(3), 대한사고개발학회, 55-79.

양용칠, 허소현(2017). “창의력 개발을 위한 수업의 조건”, 사고개발 13(4), 대한사고개발학회, 1-15.

유경애(2020). “온라인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분석”, 교양학연구 13,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33-58.

유지원, 김보경, 강명희(2014).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5-70.

윤가현, 권석만, 김경일, 김신우(2019). 심리학의 이해 (5판), 학지사.

윤정선(2020).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현실치료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8.

이상미, 문소연, 문유선, 김하예슬, 김남희(2021).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따른 학습 만족도 및 성과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 16(1),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69-199. -199.

이의길(2013). “온라인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수준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학연구 19(4), 한국평생교육학회, 27-50.

이정미, 이길재(2017).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5(3), 한국교육행정학회, 133-153.

이정아, 김병만(2016). “블렌디드 수업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역량 효과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6(2),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361-370.

이현아(2020). “대학에서의 학습자중심수업 활성활 방안 연구: ‘강의모델 다양화’ 사업의 효과 분석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93-916.

임미란, 조진현(2015). “블렌디드 러닝이 대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6(4), 사단법인아시아문화학술원, 1033-1050.

임병노(2011).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4), 한국교육방법학회, 827-853.

임이랑(2020).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향상 학업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297-309.

전성주, 유효현(2020).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8), 한국콘텐츠학회, 65-74.

전은화(2021).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기초교육연구 2(1),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105-127.

전현욱(2012). “자기주도학습’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73-392.

정용우, 양성관(2016). “수업컨설팅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26(1), 한국교육행정학회, 315-341.

정주영(2017). “플립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5-235.

정지은, 정철영(2015).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 47(1), 한국농산업교육학회, 79-96.

정현숙(2021). “학습자 중심 교육 수업의 운영 사례 분석 -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환경의 전략적 설계”, 융합교양연구 8(2),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75-96.

조성진, 김병선(2021). “셀프 코칭을 적용한 한국 대학생들의 영어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15(5), 한국교양교육학회, 199-214.

조용환(1997). 사회화와 교육, 경기: 교육과학사.

조용환(2000). “교실붕괴의 교육인류학적 분석: 학교문화와 청소년문화의 갈등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3(2), 한국교육인류학회, 43-66.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53-89.

조혜영, 최미순, 이희연(2021). “대학생 자기주도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S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89-310.

주영주, 김나영, 조현국(2008).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1), 한국정보교육학회, 109-120.

최경민(2019). “사범대 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99-1120.

최유선, 손은령(2017). “자기주도학습의 의미 이해를 통한 실천적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55-374.

최은주, 이경화(2021).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이 창의적 학교 환경을 매개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1(1), 숭실대학교영재교육연구소, 121-142.

하오선, 정주원(2021). “PBL(문제중심학습)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열린교육연구 29(5), 한국열린교육학회, 73-93.

한상훈(2006).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73-488.

한순미(2006).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7(3),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30.

한윤영, 김은경(2019).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381-397.

황인섭, 조보람(2021). “K-star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흥미,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93-608.

Albero, B(2000). L'autoformation en contexte insititutionnel, du paradigme de l'instruction au paradigme del'automomie, Paris: L'Harmattan.

Alghamdi, A(2021 “COVID-19 mandated self-directed distance learning:Experiences of Saudi female postgraduate students”, Journal of University Teaching &Learning Practice 18(3), https://doi.org/10.53761/1.18.3.14.
crossref
Brookfield, S. D(1985). “A critical definition of adult education”, Adult Education Quarterly 36(1), 44-49.
crossref pdf
Candy, P. C(1991). “Reframing research into self-direction in adult education:A Constructivist Perspectiv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rré, Ph(1992). L'autoformation dans la formation professionnelle, Paris: La documentation française.

Carré, Ph(1995). “Cinq propositions, pour faire avancer le sujet”, Educations 2:40-41.

Carré, Ph, Moissan, A, Poisson, D(1997). L'autoformation, Paris: PUF.

Corno, L, Mandinach, E. B(1983).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8(2), 88-108.
crossref
Garrison, D. R(1997). “Computer conferencing:The post-industrial age of distance education”, Open Learning 12(2), 3-11.
crossref
Hewitt-Taylor, J(2001). “Self-directed learning:Views of teachers and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4), 496-504.
crossref pmid
Hoper, B. K, Yu, S. L, Pintrich, P. R(1998). “Teaching college students to be self-regulatedlearners”, Edited by Schunk D. H,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Knowles, M. S(1975). Self-directed learning: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NY: Association Press.

Koen, J, Klehe, U. C, Van Vianen, A, E. M(2012). “Training career adaptability to facilitate a successful school-to-work transi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1(3), 395-408.
crossref
Lee, D-Y, Yang, Y-C(2014). “The effect of co-regulat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5(2), 49-69.

Lincoln, Y. S,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Inc.
crossref
Long, H(1991). Challenges in the study and practice of self- directed learning, University of Oklahoma.

Merleau-Ponty, M(1945).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Paris:ÉditionsGallimard, 류의근 역(2002), 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Miller, G(1998). “Predictors of student achievement in agriculture courses on videotape”, In Proceeding of the Central Region Research Conference in Agricultural Education, 46-54. St Louis: MO.

Montalvo, F, Torres, M(2004). “Self-regulated learning: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Electronic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2(1), 1-34.

Papazisis, G, Nicolaou, P, Tsiga, E, Christoforou, T, Pineau, G(1996). Les chantiers de l'autoformation. Pratiques d'autoformation et d'aide àl'autoformation, CUEEP.

Pintrich, P. R,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the self as agent in intergrating will and skill”, Educational Psychology 25(1), 51-69.

Pineau, G(1983). Produire sa vie:autoformation et autobiographie, Paris: Edilig et Montréal:Albert SaintMartin.

Rothwell, W.J(1999). “Trainer's Role in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Sourcebook For Self-Directed Learning, HRD Press.

Salmela-Aro, K, Tynkkynen, L(2010).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Across the Transition to Post-Compulsory Education:Do Adolescents Follow Different Pathway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8), 870-881.
crossref pmid pdf
Schunk, D. H, Zimmerman, B. J(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Hillsdale, NJ: Erlbaum.

Spradley, J. P(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Zimmerman, B. J(1986).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Which are the key sub 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6(3), 307-313.

Zimmerman, B. J, Matinez-Pons, M(1988). “Construct validation of strategy model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284-290.
crossref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