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General Edu Search

CLOSE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6(4); 2022 > Article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양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변인연구

Abstract

대학 교양교육에서 수업유형에 따른 다양한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는 수업의 효과성을 위해 폭넓게 연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전반적인 온라인 비대면 수업 상황 안에서 15주 동안 한국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형식에 따라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변인별 상관관계,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Zoom vs. 동영상녹화)에 따른 한국 성인 학습자의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등 학습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및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설문을 통해 살펴봄으로서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 수업유형별 학습변인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의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관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연구 결과 1)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업 성취도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학업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였다. 2) 실시간 Zoom수업과 비실시간 동영상 녹화수업 유형에 따른 결과는 수업 만족도를 제외한 상호작용(교수-학습자, 학습자간),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업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변인을 살펴본 결과,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예측변수는 없었으며, 학업성취도의 54.4%가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발적인 출력과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온라인 영어 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학습변인을 고려하여 온라인 교양 영어회화 수업의 교육효과를 최대로 이끄는 것이 제안되는 바이다.

Abstract

The influence between the diverse learning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ccording to class types should be studied extensivel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online general English classroom. Therefore, within the overall online non face-to-face class situation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for 15 weeks 80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general English classes according to the non face-to-face class form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rner interactions (student-to-student vs. student-to-instructor), thei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vels, and their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lecture types (real-time Zoom classes vs. video-recorded classes). In addition, learning variables which can affect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a survey. By studying these variables, which have been insufficient so far, the intention was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online class operation for the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room.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tudent-to-student and student-to-instructor interactio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to-student interaction and their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Second, significantly different lecture types had an impact on student interactions,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but not on their level of satisfaction. Third,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course satisfaction, and student-to-instructor and student-to-student interac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54.4% of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is explained through student-to-instructor and student- to-student interactions.
Therefore, lecturers should take into regard the students’ diverse learning related-variables, which can affect the online English speaking class, and try to enhance the students’ satisfaction, motivation, and interaction levels. By doing so, we hop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online English speaking classes.

1.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대학의 온라인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을 온라인 동영상 녹화강의와 실시간 Zoom 수업으로 진행한 A대학 학생들의 수업유형에 따른 영어 회화 관련 학습변인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실시간 Zoom수업과 비실시간 동영상 녹화강의의 연계를 통한 비대면 온라인 교양 영어 회화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함에 있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은 시간, 공간적 제약을 뛰어넘는 어느 시간 어느 공간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연성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수준과 환경의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를 충족하고 여러 종류의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학습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수업 유형과 학습관련 변인들 간의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학습변인들 간에 관계를 조사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Anderson & Elloumi, 2004; Ellis, 1994; Hodges et al., 2020; Long, 1996; Moore, 1993).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이러한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최대한으로 이끌어 교사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말하기 출력(output)이 중요한 외국어 영어 학습 과목에 대한 실제 현장에서의 다양한 사례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 유형에 따른 영어 회화 수업에서 다양한 학습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한편 온라인 수업 효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가 보고된 바 있다(김미은 외 2020; 신소영, 권성연, 2013; 주영주, 유나연, 설현남, 2012). 김미은 외(2020)에서는 학습자의 수업만족도를 높이고 교사와 학생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식 및 수업자료가 개발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 불안감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나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교양영어 과목 중에서도 학습자의 발화 참여가 학업 성취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영어회화 과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영어회화 과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분석은 온라인 교양 영어회화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불안감을 파악하여 그들의 학습동기를 저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를 저해하는 원인 파악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온라인 비대면 환경에서의 수업진행을 위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김수연, 신나민, 2019; 권순직, 정구인, 2014).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 영어회화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심도 있게 연구하는 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의 온라인 비대면 영어회화 수업에서 상호작용, 수업 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에 대한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2) 대학의 온라인 비대면 영어회화 수업에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는 수업 방식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3) 대학의 온라인 비대면 영어회화 수업에서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개념

비대면 교육 환경은 교사와 학습자가 동시성(Synchronicity)을 갖고 실시간 수업을 참여하는 것으로 Zoom이나 웨비나(Webinar; 웹세미나)와 같은 동시적 환경과 동영상 녹화강의, 학습 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과 같은 비동시적(Asynchronous) 환경으로 분류된다. 실시간 화상 강의와 같은 동시적으로 진행되는 강의는 정해진 시간에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교육이기 때문에 시, 공간적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간적 한계를 벗어나 실시간 면대면 교육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간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이 가능하고 학습자와 교수자간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 질 수 있다(한형종, 2020). 또한 실시간 원격 수업은 학습을 위한 시간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이영희, 2015), “활발한 정보와 의견의 교환이 실시간으로 일어나 비대면 강의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회적 실재감을 얻을 수 있다”(임철일, 김혜경, 김동호, 2012:68). 무엇보다 실시간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은 동영상 녹화수업과는 달리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활발한 수업 참여를 이끌어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간 온라인 강의는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과 같이 많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영어 말하기 출력(output)이 필수적인 영어회화 수업을 위해 수업 내용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와 교수법을 개발하도록 연구되어야 한다(이윤주, 이충현, 2006).
그러나 이러한 실시간 원격 수업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코로나로 인해 최근 시행되고 있는 실시간 Zoom 화상강의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Zoom 수업과 같은 온라인 수업 참여를 위한 제반 환경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한계를 가진다(최은지, 한하림, 서정민, 2018:184). 또한 실시간 수업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학습자의 수업 집중도를 꼽을 수 있다. 실시간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한 공간에서 수업이 이루어 지지 않고 학습자의 개인 공간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수자가 학습자의 지속적인 수업 집중도를 확인할 수 없고, 교실밖에 학습자의 집중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방해 요인들이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은영과 강혜경(2014)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본인의 스케줄에 맞게 업로드 된 강의를 개별적으로 학습을 하는 환경으로서 자기주도적인 학습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적용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영어회화와 같은 외국어 수업에서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이 중요한 목표인데,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이끄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동기유발과 더불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요인을 고려한 교수법이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전지현, 정주영, 2004).
따라서 코로나로 인한 전반적인 온라인 수업 안에서 다양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를 연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비실시간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형태에 따라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수업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의 발화 출력(output)과 상호작용(interaction)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이 시행된 현장에서 특히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수강하는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의 수업유형에 따른 학습변인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2.2. 온라인 비대면 외국어 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외국어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의 역할은 “사회 구성원들 간의 지식은 문화적인 형태 안에서 존재하는 사회적 산물이기에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이현주, 2012: 6)고 언급하였다. 즉, 외국어 학습은 개인적 능력을 넘어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더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영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의미협상(negotiation of meaning)을 돕게 되는데 Long(1996)은 이러한 의미협상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 인지와 이해를 돕는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협상은 학습 내용의 전달과 이해에 도움이 되고,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이해증진을 도울 수 있는 것이다(Foster & Ohta, 2004; 이현주, 2012). 또한,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탐색적 대화(exploratory talk)를 이끌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ercer, 1995).
이렇듯 외국어 수업에서는 학습자간 또는 교수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 효과를 다르게 기대할 수 있다. 즉, 수업 중 발생하는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같은 다른 학습 변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수자 및 다른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부족이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에 부정적인 결과를 이끌었다는 실험 결과가 있었다(Joe, 2020). 한편 문철우와 김재현(2011)은 학습자의 과목 흥미와 난이도에 따른 상호작용의 정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습자가 어려운 과목을 수강할 경우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수업 난이도에 따른 학습자가 선호하는 온라인 학습 유형을 교수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최고의 학습 효과를 이끌어야 함을 시사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에 근거하여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 안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적절한 상호작용을 이끄는 온라인 수업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최정선, 권미경 그리고 최은경(2020)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상호작용 양적 만족도 차이가 발생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상호작용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주로 반복적인 기계학습에 의존하는 비대면 학습 패턴을 보였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미비하여도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대학 교양 영어 수업 중에서도 영어회화 수업을 학생들이 온라인 비대면 형태로 수강할 때 학습자들이 수업 중 경험하는 상호작용의 양과 질이 학습자들의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단순히 비대면 수업종류에 따른 학습자의 상호작용 결과의 차이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수준, 수업난이도 및 수업 종류에 따라 각각 선호되는 수업유형이 다르고, 이는 학습자가 만족하는 상호작용의 양적 수준에도 영향을 주어 단순히 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아닌 상호작용과 교육효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개인적인 변수들을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다음 절에서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과 학습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3. 온라인 비대면 수업과 학습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온라인 수업 설계 시 다양한 학습변인들을 고려하고 온라인 수업구조에 적절한 교수전략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온라인 강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이끌 수 있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재설계가 필요하다(김미은 외, 2020). 온라인 비대면 수업유형에서 다양한 학습변인들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먼저 온라인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업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가 있다(신소영, 권성연, 2013; 주영주, 유나연, 설현남, 2012). 온라인 강의에서의 수업 만족도란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에 대해 기대하는 요구와 목적이 수업으로 충족되었을 때 얻어지는 것으로 지식 습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김미은 외, 2020).
둘째,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학습 동기란 학습자들이 학업을 지속하려는 개인 의지를 마련해 줄 수 있기 때문에 교수자는 학습동기의 특징을 사전에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수업 중 교수자의 적극적인 역할에 의해 학습 동기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학습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하였다(김미은 외, 2020; 이지혜, 하정윤, 2016). 전영미와 조진숙(2017), 이성일(2012) 연구에 따르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는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었고. 학습동기와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는 증가하였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수자는 온라인 수업 운영 시 학습자의 학습 요구조건을 충분히 파악하여 그들의 학습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배제하여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김미은 외, 2020). 특히 학습자의 발화 참여와 학습동기 향상이 중요한 온라인 영어회화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발화기회를 높이고 수업참여 및 학습동기를 이끌 수 있는 온라인 수업 유형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김미은 외(2020)에서는 수업 내용 선정의 타당성, 내용조직의 합리성, 내용의 명확성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즉, 온라인 수업 환경 안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학습변인들을 폭넓게 관찰하여 수업만족도와 동기, 학업성취를 높일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 전략과 수업구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강의가 온라인으로 전면 전환되는 시점에 온라인 비대면 수업유형에 따른 여러 학습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대학의 온라인 교양 영어 회화 수업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20년 2학기 영어말하기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개설된 강좌(과목명: 영어회화)를 수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실험 연구자가 A 대학에서 관련 수업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참가자를 모집하였고, 수강생들에게 온라인 설문 링크를 전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85명의 학생들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이 중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비대면 수업의 형태(실시간 Zoom수업 vs 동영상 녹화 수업)의 수업을 수강했다고 정확하게 명시한 총 80명(남: 34명, 여: 46명)의 설문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실시간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각각 40명이다. 실험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같은 대학 2, 3학년에 재학 중이며, 이들의 전공은 모두 인문, 사회계열이다. 사전 설문결과 본 실험에 참가한 실험참가자들 중 영어권 국가에서 체류 및 영어를 학습한 학습자는 없었고, 이들의 평균 영어 학습 기간은 12년이다. 실험 참여 학생의 85%가 수능 영어 3등급 이하, 토익 점수 750점 이하의 성적을 갖고 있다. 또한 코로나로 인해 본 실험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지난 2020년 1학기 동안 실시간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을 활용한 타 과목 수업을 여러 번 수강하였으므로 실시간 Zoom수업 프로그램과 동영상 녹화수업을 진행 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 학습 참가자 중에서 Zoom과 동영상 녹화 수업 수강생들을 실험참가자로 선택한 이유는 최근 코로나로 인해 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본 실험 대상 대학에서 이로 인해 동영상 녹화수업과 실시간 Zoom 플랫폼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3.2. 연구도구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20년 2학기 연구 참가자들이 실시간 Zoom수업, 동영상 녹화수업 등 온라인 비대면 수업 형식에 따라 각기 달리 진행된 영어회화 수업에서 경험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 학습동기 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최윤정과 지난영(2020), 최문정(2014), 박영란(2014)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 질문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들을 문항으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표 1>, <표 2>, <표 3>, <표 4>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를 구글 설문지로 제작하여 학습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본 영어회화 실시간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에서 경험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 만족도 순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지의 각 영역별 문항내용과 측정방법, 수업모형은 아래와 같다.
<표 1>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준 설문 문항
구분 항목
교수-학습자 상호작용1 교수는 과제수행관련 피드백을 제공한다.
교수-학습자 상호작용2 교수는 이메일, 스마트클래스 토론방, Zoom채팅창에서 학생들과 능동적으로 의사소통한다.
교수-학습자 상호작용3 교수는 학생들의 학습 욕구를 파악하여 이에 알맞은 자원과 피드백을 제공 한다.
교수-학습자 상호작용4 교수는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상호작용을 제공 한다.
교수-학습자 상호작용5 교수는 지속적인 학습격려와 학습동기를 부여한다.
<표 2>
학습자-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준 설문 문항
구분 항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1 온라인상에서 다른 학생들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한다.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2 다른 학생들과 온라인 토론방에서 다양한 그룹 활동을 한다.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3 다른 학생들과 온라인 채팅방에서 서로의 질문에 다양한 대답을 한다.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4 학습 도중 다른 학생들과 학습내용 관련 정보를 교환한다.
교수-학습자 상호작용5 이메일 등을 통해 다른 학생들과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표 3>
학습동기 설문 문항구성
항목 내용 문항번호 문항수 참고
학습동기 주의집중 Ⅰ.1 1 송상호, Keller(1999)
관렫성 Ⅰ.2 1
자신감 Ⅰ.3, 4 2
만족도 Ⅰ.5 1
<표 4>
수업만족도 설문 문항구성
항목 내용 문항번호 문항수 참고
수업만족도 수업에 대한 기대 Ⅱ.1 1 최정윤(2017)
수업자료의 활용 Ⅱ.5 1
교/강사의 설명 Ⅱ.6, 10 2
흥미유발 Ⅱ.9 1
교수자의 피드백, 추가설명 Ⅱ.8 1
언어 기능 습득의 효과성 Ⅱ.3 1
수업 콘텐츠의 적절성 Ⅱ.5 1
전반적인 수업의 질 Ⅱ.2 1
평가, 시험내용 Ⅱ.4 1
학습량, 학습시간 Ⅱ.7 1

3.2.1. LMS 강의동영상과 실시간 Zoom수업 활용

본 실험을 위하여 A대학 영어회화 교양수업에서 사용한 Jazz English(2015) 교재를 토대로 전체 10개의 쳅터 중 말하기, 듣기 중심의 대학영어회화 수강에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된 8개의 쳅터(유닛내용)가 학습내용으로 선정되었다. 첫째, LMS 강의동영상 활용을 위해서 본 8개의 쳅터에 대한 50분 분량의 동영상 15개가 영어회화 교양과목으로 제작되었으며 “영어회화”라는 제목으로 A대학의 LMS강좌에 업로드 되어 본 과목을 수강 신청한 영어회화 수강생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LMS를 통한 동영상강의 활용은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환경에서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 그리고 2020년 1학기 온라인 비대면 수업이후 실시된 본 A대학의 학습자 수업 만족도에 대한 결과로서 본 A대학의 학생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교수자가 명시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연역적 학습스타일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A대학의 LMS 동영상 녹화 강의를 위해 선정된 학습교재와 동일한 쳅터의 내용이 또 다른 영어회화 분반의 실시간 Zoom 수업에서 활용되었다. 학습자들은 지정된 Zoom 수업 시간에 강의실에 접속하여 1교시 50분이내의 Zoom 수업 2교시 수업을 받는다. LMS 동영상 녹화 강의와는 달리 실시간 Zoom수업 시간동안 학습자들은 교수자와 동료 학습자와 실시간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교수자 역시 학습자의 이해 및 영어발화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 수 있다. 학습자들은 Zoom에 접속하여 교수자에게 1:1 쪽지 혹은 실시간 채팅기능을 활용하여 영어회화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반적인 영어단어, 문법학습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 강의의 차이점은 학생들과 상호작용이 어려운 동영상 강의의 부족함을 보완하여 개별 학습과 수준에 맞추어 학생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특히 질문에 용기가 부족한 영어실력이 낮은 학생들이 실시간 Zoom수업 중 교수자에게 1:1 개인 채팅을 함으로서 영어회화 학습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간 온라인 Zoom수업의 수업모형 예시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온라인 Zoom 수업모형 예시 (100분)
kjge-2022-16-4-101-gf1.jpg
또한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으로 인하여 LMS 게시판을 활용한 질의응답 활동이 실시되었다. 모든 학생들은 원하는 시간에 영어회화 LMS 게시판에 접속하여 어렵거나 부족한 부분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상호작용이 어려운 녹화 수업이나 실시간 Zoom수업 중 질문하는데 기회와 용기가 부족한 학습자들이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질문에 대한 답을 온라인으로 작성하여 게시하였다.

3.2.2. 수업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자간, 학습자간 상호작용

김진모 외(2020)의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은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을 잘 이해시키기 위해 수업에 대한 안내와 학습자 반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의도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이끌어내는 교육장면에서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상호작용이라고 언급하고 있다(Moore, 1989; 김진모 외, 2020).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참가자들이 수업 중 경험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최윤정과 지난영(2020) 연구에서 사용한 Kuo 외(2014)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의 형태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최종설문은 <표 1>의 내용과 같다. 교수자와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의 정도(문항1, 3, 5), 다양한 플랫폼(이메일, 토론방, 채팅 등)을 통한 교수자와의 의사소통 여부(문항 2)와 학습자 수준에 따른 교수자의 상호작용 촉진 여부(문항 4)에 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문항에 대한 응답은 5점 리커트(Likert) 척도를 구성하여 ‘전혀 그렇지않다’=1, ‘그렇지않다’=2, ‘보통이다’=3, ‘그렇다’=4, ‘매우그렇다’=5로 체크하도록 하였다.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71이었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이란 “학습자가 비대면 수업을 수강하면서 다른 학습자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 경험을 통칭하는 것으로 채팅, 이메일, LMS내 메신저나 게시판 등 온라인상의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른 학습자와 수업에 관해 질의응답하거나, 의견을 교환하는 것”(최윤정, 지난영, 2020: 240)으로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Kuo 외(2014), 김주영, 박인우, 장재홍(2017)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본 실험의 비대면 수업의 형태에 맞추어 수정, 보완하여 설문에 활용하였다. 최종문항은 <표 2>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다른 학습자와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의 정도(문항1), 다양한 플랫폼(이메일, 토론방, 채팅 등)을 통하여 학습자간 수업내용에 대하여 질의 응답하거나 의견을 제시했는지의 여부(문항 2, 3, 5), 다른 학습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거나 수업내용에 대해 의견을 공유했는지 여부(문항 4)를 묻는 문항이 포함되었다. 마찬가지로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문항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83이었다.

3.2.3.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

김미은 외(2020)연구에 따르면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 동기란 학습을 지속하려는 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Keller와 송상호(1999)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최문정(2014)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부터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어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동기가 높음을 의미한다. Keller와 송상호(1999)가 개발한 총 34문항의 학습동기 검사도구 문항 중에서 주의 집중 1문항, 관련성 1문항, 자신감 2문항, 만족감 1문항을 연구 대상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학습동기관련 설문문항은 <부록>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표 3>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총 5문항으로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Keller와 송상호(1999)가 산출한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88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이러닝 학습동기 검사 도구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79이었다.

3.2.4.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수업 만족도는 학습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학습자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를 토대로 본 연구목적에 알맞은 문항을 선별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발표한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연구(Ⅴ): 교수⋅학습 역량 진단 체제 확립>(최정윤, 2017) 보고서에서 사용한 대학생 수업만족도 설문문항을 참고하여 비대면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수업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수업에 대한 기대수준(문항1), 수업자료의 활용(문항5), 교/강사의 설명(문항6,10), 흥미유발(문항9), 교수자의 피드백과 추가설명(문항8), 언어 기능 습득의 효과성(문항3), 수업 콘텐츠의 적절성(문항5), 전반적인 수업의 질 등을 묻는 문항(문항2), 평가관리와 시험내용(문항4), 학습량 및 학습 이해시간(문항7) 등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아래 <표 4>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학습만족도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81이었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자들이 수강한 2020학년도 2학기 ‘영어회화’의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삼았다. 학업성적 평가 기준은 중간고사 30점, 기말고사 30점, 토론점수 10점, 참여도 10점, 출석점수 20점으로 본 연구에서 학업성취도는 ‘영어회화’의 모든 평가 항목 점수를 합산한 100점 만점 기준의 점수를 활용하였다.

3.2.5. 영어 회화 성취도 평가

본 연구에서는 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영어 회화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중간, 기말고사 영어 회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 동안 학습한 교과서의 주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주제에 대해 말하는 영어 회화 평가를 실시하였다. 영어 회화 평가는 2분 이상 2분 30초미만의 영어 녹음 파일 제출로 이루어지며, <표 5>에 나와 있는 본 실험 대학에서 선정한 영어 회화 과목 평가기준을 근거로 학습자들의 영어말하기 유창도(fluency), 정확도(accuracy), 주제에 맞는 영어 단어의 다양한 활용정도(lexical variety), 전반적인 주제와의 연관성으로 구성되어있다.
<표 5>
영어 회화 학업 성취도 평가 기준
평가역량 평가지표 배점
의사소통 (이해력)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할 때 대화의 주제나 맥락을 정확히 파악한다. 60점
(표현력)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타인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전달한다.
(표현력) 다양한 근거자료와 도구를 사용하여 설득력 있게 내용을 전달한다.
(표현력) 상황에 맞는 정확한 단어, 어법, 비언어적 도구(표정, 몸짓 등)를 적절히 활용한다.
(의견조율능력) 다양한 이해관계가 대립할 때, 서로의 입장을 고려하여 갈등요소를 명료화한다.

3.3.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수업 유형에 따른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는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독립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수업 유형에 따른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유형에 따른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로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 환경에 따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SPS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3.4. 연구절차 및 평가

본 연구는 2020년 2학기, 총 15주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1주차는 오리엔테이션 주간으로, 학생들에게 교양영어인 “영어회화” 수업에 대하여 소개하고 주차별 수업내용과, 평가방법에 대해 안내하였다. 2주차에는 연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글폼 링크를 통해 사전 설문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2주차부터 14주차까지의 기간 동안 학생들은 매주 한 챕터씩, 총 11개의 영어회화 학습 주제(본인 소개하기, 취미 및 특기 소개하기, 대학생활, 호텔 및 항공권 예매, 쇼핑, 운동, 길 찾기, 좋아하는 영화장르 소개하기, 좋아하는 음식소개 및 레스토랑 예약, 은행 및 우체국 이용, 좋아하는 여행지 소개)에 대한 LMS 동영상 강의 및 실시간 Zoom수업에 참여하도록 안내받는다. 8주차 중간고사 기간에는 앞서 수강한 4개 챕터(취미나 특기 소개하기, 쇼핑, 영화, 대학생활)에 대한 주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관련 주제에 대한 영어 회화 평가를 받는다. 또한 9주차부터 14주차까지 학생들은 매주 한 챕터씩 나머지 주제에 대한 LMS 동영상 강의 및 실시간 Zoom수업 강의를 시청하도록 안내받았다. 마지막으로 15주차 기말고사 기간에 학생들은 나머지 학습한 범위에 대한 주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관련 주제에 관한 영어 회화 평가를 받게 된다. 영어 회화 평가는 2분 이상 2분 30초미만의 영어 녹음 파일 제출로 이루어지며, 영어 교육을 전공한 평가자 2인(한국인 2인)에 의해 평가되어진다. 평가자간 신뢰도는 0.79이다. 15주차 평가가 끝난 후,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구글폼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4. 연구결과 및 논의

4.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수업에서 수업 유형과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 포함된 주요 변수들의 기초통계량을 분석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표 6>과 같이 실시하였다. <표 7>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측정변수들의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이 2미만(0.008에서 0.847분포)인 것으로 볼 때(Kline, 2011) 다변량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변수들 간 피어슨 상관(Pearson’s correlation) 분석 결과, 교수-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동기의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고, 이에 따라 수업에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업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학습동기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는데 다만 교수-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동기 간의 상관(r = .734)이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동기 간의 상관(r = .260)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실험 대학 교양 영어회화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LMS 동영상 강의 시청과 실시간 Zoom수업 활동 동안 학생들이 받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학습자간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 비해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업 중 교수자가 영어회화 향상을 위해 중요 단어를 설명하고, 학습자의 발화를 수정하는 본 영어회화 수업의 수업방식이 학습자의 동기를 이끄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6>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1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503** 1
수업만족도 .750 .002 1
학업성취도 .688** .117 -.015 1
학습동기 .734** .260* .055 .592*** 1

* p<.05

*** p<.01

<표 7>
기술통계 분석
항목 N Min Max Mean SD 왜도 첨도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40 56 76 66.9 5.358 .130 .374
학습자간 상호작용 40 44 56 51 4.026 -.099 .374
수업만족도 40 76 88 83.1 4.100 -.423 .374
학업성취도 40 75 96 84.25 5.285 .513 .374
학습동기 40 78 92 84.43 4.163 .271 .374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변인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표 6>과 같다. 전체 실험 참가자들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는 <표 7>과 같다. 기술통계 분석 결과,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동기의 결과는 <표 8>, <표 9>와 같다. 실시간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을 분석한 결과, 동영상 녹화수업에서는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실시간 Zoom수업과 비교해 보면 실시간 Zoom수업에서의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모두 비실시간 녹화 수업에 비해 더 높게 측정됨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아래 <표 8><표 9>의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살펴보면 온라인 실시간 Zoom수업과 비실시간 녹화 수업 유형에 따른 큰 차이가 측정되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수업 설문응답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은 비록 온라인 실시간 Zoom수업에서 교수-학습자간,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게 측정되었지만, 동영상 녹화강의를 더 선호하는 학습자도 있었다. 따라서 수업만족도를 살펴보면 온라인 실시간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강의 수업유형에 따른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다.
<표 8>
온라인 녹화수업에서의 학습변인 기술통계 분석
항목 N Min Max Mean SD 왜도 첨도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80 56 92 73.60 8.482 -.029 -.832
학습자간 상호작용 80 40 72 56.30 7.194 -.008 -.726
수업만족도 80 76 92 83.15 4.750 .053 -.847
학업성취도 80 75 96 85.89 4.986 .181 -.549
학습동기 80 78 94 86.66 4.140 -.391 -.745
<표 9>
온라인 Zoom수업에서의 학습변인 기술통계 분석
항목 N Min Max Mean SD 왜도 첨도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40 72 92 80.3 4.99 .185 .374
학습자간 상호작용 40 40 72 61.6 5.56 -1.433 .374
수업만족도 40 76 92 83.2 5.37 .251 .374
학업성취도 40 80 96 87.5 4.11 .401 .374
학습동기 40 83 94 88.9 2.66 -.271 .374

4.2.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양 영어회화 수업의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동기의 차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의 교수-학습자, 학습자간 상호작용 및 수업 만족도, 학습동기, 학업 성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각각 실시하였다.

4.2.1.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영어회화 수업의 교수-학습자간, 학습자간 상호작용 차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검정결과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검정통계량 t값은 -11.57이고 유의수준은 .00(p < .05)로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수업유형인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표 8><표 9>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실시간 Zoom수업에서 동영상 녹화수업에 비해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동영상 녹화 수업과 실시간 Zoom수업 모두에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더 높게 측정된 바, 본 실험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 중 수업유형에 상관없이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정도가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수업 중 더 많이 활발하게 발생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표 10>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의 차이검정 결과
구분 상호작용(100점만점) t df p

N M SD
Recording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40 66.9 5.35 -11.571 78 .000***
Zoom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40 80.3 4.99
Recording 학습자간 상호작용 40 51 4.02 -9.756 78 .000***
Zoom 학습자간 상호작용 40 61.6 5.56

*p<.05

*** p<.01

둘째,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관한 검정통계량 t값은 -9.75이고 유의수준은 .00(p < .05)로 학습자간 상호작용 역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8><표 9>의 기술통계량을 살펴보면 학습자간 상호작용 역시 실시간 Zoom 수업을 사용했을 경우 동영상 녹화수업을 진행했을 경우보다 더 높게 측정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4.2.2.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에 차이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수업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검정결과, 검정통계량 t값은 -0.94이고 유의수준은 .926(p > .05)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표 8><표 9>의 기술통계량을 살펴보면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실시간 Zoom수업과 비실시간 동영상 녹화 수업의 수업 만족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개방형 설문 응답 결과 학습자들은 영어회화 수업 만족도를 학습활동과 과제를 통해 영어 말하기 발화 기회를 많이 얻고 본인의 발화를 더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 것을 통해 얻길 원했기 때문에 동영상 녹화수업이나 실시간 Zoom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표 11>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차이검정 결과
구분 수업 만족도(100점만점) t df p

N M SD
Recording 40 83.1 4.1 -.094 78 .926
Zoom 40 83.2 5.37

*p<.05 ***p<.01

4.2.3.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영어회화 학업 성취도의 차이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영어 회화 학업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12>과 같다. 검정결과 검정통계량 t값은 -3.093이고 유의수준은 .003 (p < .05)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영어 회화 영역의 학업 성취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온라인 수업유형인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각 그룹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있었다. <표 8><표 9>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온라인 실시간 Zoom 수업에서 동영상 녹화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살펴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개방형 설문 응답 결과, 이는 Zoom수업 중 학습자들이 실시간으로 본인의 영어 말하기 발화 출력에 대한 피드백을 교수자로부터 받고 잘못된 점을 즉각 수정할 수 있었고, 수업도중 발화 연습의 기회를 더 많이 제공받음으로서 수업 주제에 관한 영어 말하기 연습을 충분히 수행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되어진다.
<표 12>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검정 결과
구분 학습동기(100점만점) t df p

N M SD
Recording 40 84.43 4.16 -5.72 78 .000***
Zoom 40 88.9 2.66

*p<.05

*** p<.01

4.2.4.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검정결과, 검정통계량 t값은 -5.72이고 유의수준은 .000(p < .05)으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온라인 수업유형인 Zoom수업과 동영상 녹화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각 그룹별 학생들의 학습동기의 차이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표 8><표 9>의 기술통계를 살펴보면 온라인 실시간 Zoom 수업에서 동영상 녹화수업에 비해 학습동기가 높게 나타났음을 살펴 볼 수 있다. 비록 독립검정결과 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본 실험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실시간 Zoom수업에 비해 동영상 녹화강의를 선호하는 학습자가 있었고 개방형 설문 결과 동영상 녹화강의로 수업을 진행할 때 학습동기가 높다고 응답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본 실험에 참가한 대다수의 학습자들은 실시간 Zoom수업에서 본인의 영어 말하기 발화를 교수자나 동료학습자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확인 및 수정받을 수 있었으므로 영어말하기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가 더 높았다고 응답하였다.
<표 13>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검정 결과
구분 학습동기(100점만점) t df p

N M SD
Recording 40 84.43 4.16 -5.72 78 .000***
Zoom 40 88.9 2.66

*p<.05

* ***p<.01

4.3.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습동기 변인 중 영어회화 수업에서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박영란(2014) 연구에서 사용한 SPSS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4.3.1.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표 14>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 14>에서 첫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는 회계계수 0.439의 t값이 5.72, 유의확률이 .000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즉,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영어회화 학업성취도를 예상,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둘째,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는 회계계수 0.201의 t값이 -3.177, 유의확률이 .002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즉, 학습자간 상호작용 또한 영어회화 학업성취도를 예상,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그러나 수업만족도와 학습동기를 살펴보면 각각 회계계수 0.007의 t값이 0.08, 유의확률이 .937, 회계계수 0.143의 t값이 1.017, 유의확률이 .31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표 14>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다중회귀분석 결과
변인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배타 t p

B 표준오차
(상수) 51.939 11.106 4.677 .000***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439 .077 .747 5.721 .000***
학습자간 상호작용 -.201 .063 -.290 -3.177 .002***
수업 만족도 .007 .082 .006 .080 .937
학습동기 .143 .141 .119 1.017 .313

*p<.05

*** p<.01

또한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살펴보면 검정통계량 F값은 22.9이고 유의수준은 .000(p < .01)으로 적합한 회귀모형을 보이고 있다.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습동기 중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R Square의 값을 통해 살펴보면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검정통계량 F값이 70.08이고 유의수준은 .000(p < .01)으로 나타남에 따라 종속변수인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의 47%가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되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업성취도의 54.4%가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되어지고 학업성취도의 54.4%가 학습자간,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에 의해 설명되어진다. 즉,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는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다. 유의확률을 통해 유의미한 변수인지 살펴보면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유의확률은 .000으로 유의미한 변수이고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유의확률은 .001로 유의미한 변수이다. 그러나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유의확률은 .835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고 학습동기를 포함한 유의확률 역시 .313으로 .05보다 크므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다. 따라서 수업만족도는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즉,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업 성취도에 가장 많은 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며, 수업 중 상호작용이 교양 영어회화 수업 성취의 중요한 예측 변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습동기와 수업 만족도는 학업 성취도를 설명하는 부분이 상호작용보다는 적으며 두 변수 역시 영어회화 학업 성취도의 유의미한 예측변수는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많은 학생들이 동시에 수강하는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 비대면 온라인 수업 중 학습자의 영어 발화(output) 기회를 높이고 상호작용을 활발히 이끄는 교수 방법이 제안되어진다.

4.3.2. 영어회화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표 15>와 같이 실시하였다. 검정통계량 F값은 .34이고 유의수준은 .850(p > .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분석되었다. 첫째,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R square값이 교수-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001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대한 유의수준은 .750(p > .001)으로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표 15>
학습자의 수업만족도 다중회귀분석 결과
변인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배타 t p

B 표준오차
(상수) 70.003 15.823 4.424 .000
교수-학습자 상호작용 -.119 .129 -.212 -.923 .359
학습자간 상호작용 .038 .095 .058 .405 .687
학업 성취도 .013 .163 .014 .080 .937
학습동기 .215 .198 .187 1.085 .281

*p<.05 ***p<.01

둘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R square값은 .002로 나타났으며 유의수준은 .841(p >. 001)로 역시 수업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R square값은 .002이고, 유의수준은 .835(p > .001) 으로 수업 중 발생하는 상호작용,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는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즉,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업 성취도, 학습 동기는 영어회화 수업 만족도를 설명할 수 없었으며, 수업 만족도의 유의미한 예측변수는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개방형 설문 응답 결과,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본인들의 영어회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화기회 제공, 충분한 발화 연습 기회 및 교수자와의 적극적인 피드백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5. 결론

본 연구는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학습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영어회화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변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교양영어회화 비대면 수업 설계 및 운영에 의미 있는 제언을 하고자 실시되었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기 위해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변인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의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라 교양영어회화 수업에서 교수-학습자, 학습자간 상호작용, 수업 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각각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독립 학습 변인 중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독립변인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피어슨 상관관계에서는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에서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동기, 학업 성취도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진행된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공인영어시험 준비나 취업을 위한 목적으로 영어회화수업을 수강하고 영어회화 발화 능력을 키우고 싶어 하는 바, 교수자와의 수업에 대한 활발한 상호작용과 질문을 통한 영어회화 수업 학습형태를 선호하고 이러한 교수자의 적극적인 피드백이 학습자들의 영어회화 실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이러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효과는 최윤정, 지난영(2020) 연구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데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월등히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동료학습자와의 상호작용보다 더 선호하고 학습효과 또한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어린 시절부터 교수자 중심의 수업활동에 익숙한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학습한다는 것을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자의 지식을 전달받아 습득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으로 예측되어진다(최윤정, 지난영, 2020: 247). 또한 본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85%가 수능 영어 3등급 이하, 토익 점수 750점 이하의 영어 성취도 중하위(intermediate high and low) 수준으로서, 중하위권 수준의 학습자들은 학습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보다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기계적 암기 위주의 수업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자의 영어 성취정도가 상호작용과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고 추후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업 성취도 간에도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동기 사이 역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바, 비대면 온라인 영어회화 수업에서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수업구성 및 자료가 활용되어야 함이 제안되어진다.
둘째, 교양영어회화 수업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유형에 따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실시간 Zoom수업과 비실시간 동영상 녹화수업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교수-학습자, 학습자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실시간 Zoom수업에서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어회화 과목의 특성상 실시간으로 학습자간 동시적인 피드백과 수업 말하기 활동이 높을수록 활발한 상호작용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역시 실시간 Zoom수업 진행 도중 학습자가 궁금한 점을 교수자에게 실시간으로 질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영상 녹화수업에 비해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높았다고 사료되어진다. 또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 동기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첫째, 학업성취도는 실시간 Zoom수업이 비실시간 녹화 수업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고, 학습동기 또한 실시간 Zoom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동영상 녹화 수업에 참여한 학생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비록 본 실험의 결과 실시간 Zoom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 학습동기, 상호작용이 동영상녹화수업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나,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 중에서는 동영상 녹화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가 실시간 Zoom수업에 비해 높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있었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보다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영어회화 수업 성취에 도움이 되고 동영상 녹화수업을 통한 영어수업이 본인의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있었으므로 추후 학습자의 성격, 학습 스타일, 영어성취도에 따른 비대면 수업 선호 성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충분한 발화 연습기회를 제공받고 발화수정을 적극적으로 받을 수 있는 수업 스타일을 선호하였으므로 추후 비대면 수업에서 영어회화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비대면 상황 안에서 학습자의 영어 발화 출력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 필수적으로 제안되어진다.
셋째,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업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는 없었고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는 상호작용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업성취도를 54.4% 설명할 수 있으며, 두 변인 중에서도 표준화 계수가 큰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비해 학업성취도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수업 중 다른 학습자들과 활발하게 상호작용을 함으로서 영어 회화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본인들이 알 수 없었던 내용을 학습하고 활발한 발화기회를 통해 영어회화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연습의 장으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은 곧 영어말하기 능력의 향상에까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역시 학업성취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개입이 본인의 영어회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하였으며, 다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보다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수업내용 이해에 더 도움이 많이 되었다라고 응답한 학습자도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영어과목에 대한 선행학습정도, 학습자의 영어회화 능력, 성격 및 학습스타일에 따른 선호 상호작용 유형과 학업 성취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박영란(2014)에서 소개한 상호작용이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서혜전, 2001; 신종호 외, 2005; 유평준, 2003; 이정선, 유정문, 2003; 임연욱, 이옥화, 2008; 채경민, 2003)과 결과를 함께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진행될 온라인 비대면 영어회화 학습에서는 교수자가 수업 중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독려하는 것에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이에 따른 영어말하기 학습의 효과성을 직접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활용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는 교양 영어회화 수업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박영란(2014)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상호작용이나 학습동기가 아니라 수업내용의 질, 수업 구성의 질이라는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준다. 본 연구의 학습자들의 교양 영어회화 수업 수강 목적은 공인영어시험이나 취업 인터뷰 준비를 바탕으로 한 전반적인 영어회화 실력을 키우기 위함이므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빈도나 학습동기보다는 본인의 영어 학습 목적을 잘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내용의 질이나 다양한 수업자료의 사용여부, 원어민들이 자주 쓰는 생활표현 학습이나 시험 영어 강의 등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는 수업구성여부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승일(2016)과 김미은 외(2020)에서는 동양 문화권에서는 학습자들이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이 아닌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한 바, 따라서 추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영어회화수업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탐색과 조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이끌어내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코로나로 인한 학습 위기 속에서 본 연구는 한국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 다양한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성인 학습자들의 영어 회화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 동기와 같은 학습변인들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시사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학습자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양적데이터와 간단한 개방형 질문에 대한 설문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므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자세한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회화 선행학습 수준에 따른 온라인 수업 환경 등을 자세하게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자 인터뷰 등 질적 데이터를 이용하고 학습자 수준에 따른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되는 바이다.

참고문헌

권순직, 정구인(2014). “초등학교 체육수업시간의 재미요인,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25(3), 149-165.

김주영, 박인우, 장재홍(2017).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사특성이 학생들의 수업태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65(4), 731-758.

김미은, 김민정, 오예인, 정수연(2020).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19-541.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이화진(2020). “대학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3), 25-48.

김수연, 신나민(2019). “동영상 강의 중 딴짓과 몰입의 세대간 비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2) 273-298.

문철우, 김재현(2011).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63-72.

박영란(2014). “사이버대학에서 수업환경과 학습관련 변인이 학업성취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영, 강혜경(2014). “온라인 영어회화 강의콘텐츠 개발 및 학습자들의 반응과 참여도”, 인문학연구 48, 407-438.

서혜전(2001). “웹기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관련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소영, 권성연(2013).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44(3), 107-132.

신종호, 박인우, 김동일, 계보경(2005). “e-러닝에서의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 연구”, KR2005-3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서승일(2016). “MOOCs 수료자의 학습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평준(2003).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변인”, 교육정보방송연구 9(4), 229-267.

이성일(2012). “온라인교육에서 구조변수,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77-94.

이영희(2015).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돈암어문학 28, 413-437.

이윤주, 이충현(2006). “사이버대학 온라인 영어 교수⋅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9(3), 151-185.

이정선, 유정문(2003). “CMC 환경과 상호작용 유형이 과학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7), 625-634.

이지혜, 하정윤(2016).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259-278.

이현주(2012).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1-24.

임철일, 김혜경, 김동호(2012). “글로벌 공학교육의 원격 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15(4), 66-75.

임연욱,이옥화(2008).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연구”, 열린교육연구 16(2), 177-200.

주영주, 유나연, 설현남(2012). “사이버대학생의 직장 유무에 따른 고립감, 상호작용, 콘텐츠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5), 525-540.

전지현, 정주영(2004). “웹기반 영어 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 지원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13(2), 139-157.

전영미, 조진숙(2017). “대학 이러닝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인지된 학업성취도 분석”,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8(1), 131-141.

채경민(2003). “웹기반 사내 온라인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문정(2014).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은지, 한하림, 서정민(2018).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사이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29(2), 181-208.

최윤정, 지난영(2020). “비대면 영어 수업에서 상호작용과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수업 방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4), 233-253.

최정선, 권미경, 최은경(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연구: D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81, 135-168.

최정윤(2017).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RR 2018-21, 한국교육개발원.

한형종(2020).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69-79.

Keller, J. M., & 송상호(1999). 매력적인 수업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Anderson, T, Elloumi, F(2004).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Athabasca University.

Ellis, R(1994).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Foster, P, Ohta, A. S(2004). “Negotiation for meaning and peer assistance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Applied Linguistics 26(3), 402-430.
crossref
Joe, I(2020). “Study on operational case of non-face-to-face real time online Korean classes and improvement direction:Focused on the full-scal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58:241-265.
crossref
Kuo, Y.-C, Walker, A. E, Schroder, K. E. E, Belland, B. R(2014). “Interact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student satisfaction in online education cours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0:35-50.
crossref
Kline, R. B(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Edited by Williams M, Handbook of methodological innovation, Thousand Oaks, CA: Sage.
crossref
Long, M. H(1996). “The role of the linguistic environmen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Edited by Ritchie W. C, Bhatia T. K, Handbook of research on language acquisition:Second language acquisition, 2:413-468. New York: Academic Press.
crossref
Moore, M. G(1989). “Three types of intera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2), 1-6.

Moore, M. M. P(1993).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lexically constrained transitivity alternations:Acquisition of the causative alternation by second language learners of English”,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Mercer, N(1995). The guided construction of knowledge:Talk amongst teachers and learners,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Hodges, C, Moore, S, Lockee, B, Trust, T, Bond, A. (2020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Retrieved October 21, 2020 from https://er.educause.edu/articles/2020/3/the-difference-between-emergency-remote-teaching-and-online-learning

<부록>

<설문지> 온라인 교양 영어회화 수업 학습실태 조사
본 설문은 성인 학습자의 현행 온라인 학습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에게 보다 적합한 온라인 교양 영어회화 수업을 설계, 개발할 수 있는 지침과 교수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모든 문항에 대해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Ⅰ. 다음은 귀하가 현재 수강하고 있는 <영어회화> 강좌의 학습동기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번호에 ✓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 항 매우 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수강한 영어회화 프로그램은 수업내용에 대해 열중 하도록 한다.
2. 수강한 영어회화 프로그램에서 배우고 있는 것은 나에게 유용할 것이다.
3. 영어회화 학습을 잘할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고 있다.
4. 영어회화 프로그램에서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운이 있어야 한다.
5. 영어회화 학습이 많은 만족감을 준다고 느낀다.
Ⅱ. 다음은 귀하가 현재 수강하고 있는 <영어회화> 강좌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번호에 ✓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 항 매우 아니다 아니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학습하게 된 것은 가치 있는 경험이었다.
2.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3. 영어회화를 학습하는 동안 영어회화 실력을 효과적으로 성취하고 있다고 느낀다.
4. 영어회화 수업에서 시험 및 평가가 적절하게 활용되었다.
5. 영어회화 수업에서 멀티미디어와 학습 자료가 적절하게 제공되었다.
6. 영어회화 수업에서 학습방법이 명확하게 설명되었다.
7. 적절한 수업 진도와 학습량에 따라 학습 자료를 통해 계획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다.
8. 교수자의 설명 덕분에 잘못 이해했던 부분을 제대로 알게 되었다.
9. 영어회화 수업에서 도전적인 과제로 나의 학습의욕과 흥미를 높여주었다.
10. 교수자는 열정적으로 이 수업을 운영했다.
Ⅲ. 개방형 설문문항
다음은 귀하가 현재 수강하고 있는 <영어회화> 강좌의 수업만족도, 영어회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 학습동기에 대한 질문입니다. 본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십시오.
1. 학습 동기에 대한 Ⅰ의 설문을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른 교양 영어회화 수업 수강을 하는데 있어서 학습동기 영역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여 주십시오.
예) 수강한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대한 수업내용, 주의집중 여부, 수업이 유익했는지 즐겁게 공부 하였는 지에 대한 여부, 수업 분량 및 피드백 등을 포함한 본인의 자유로운 생각을 기술해 주십시오.
2. Ⅱ의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 영어회화 수업 만족도에 관한 본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해 주십시오.
3. 온라인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면서 본인의 영어 회화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자유롭게 기술해 주십시오.
예) 전반적인 영어 회화 성적 및 학습능력
4. 객관식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온라인 교양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면서 본인과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및 다른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해 주십시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105 View
  • 12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Korean J General Edu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203-827.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ro, Dongjak-gu, Seoul, Republic of Korea, 06974
Tel: +82-2-820-5949    E-mail: hangang331@cau.ac.kr                

Copyright © 2022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