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J 대학 xClass 원격수업모형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ays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n Content Utilization-Centered Classes -Focusing on the Remote Model of J University’s xClas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2;16(6):227-24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2.16.6.227
이난
전주대학교 수퍼스타칼리지 조교수, leenan@jj.ac.kr
Assistant Professor, JeonJu University Superstar College
Received 2022 November 20; Revised 2022 December 03; Accepted 2022 December 12.

Abstract

최근 COVID-19 이후 대학의 원격수업은 본격화되면서 대학의 원격수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제도 도입과 함께 원격수업 관리를 체계화한다는 지침이 발표되면서 비대면 교육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콘텐츠 활용 중심의 교양수업은 전공과 다르게 학습에 대한 욕구가 강하지 않아 자칫 ‘수업’만 근근히 제공할 수 있어, 학습량만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충분하지 못하며, 학습자 스스로 수업참여 및 관리 어려움으로 교양수업의 흥미와 교육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과정으로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교양수업을 운영하였다.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안내서와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 및 친근감을 기반으로 만든 J대학교 원격수업 신규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교양과목 xClass 비대면 수업의 세부적 구성은 학습안내서 14개, 동영상 콘텐츠 총시간 1,247분, 대면수업 시간 540분, 퀴즈 13문제, 워크시트 15개, 게시판 6개, 피드백 575건이다.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82%는 학습안내서가 도움이 되었으며, 구어체 사용 만족은 85% 그리고 교수자가 제공한 피드백은 85%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가장 만족한 것은 학습안내서(응답자 49%) 및 피드백(응답자 48%)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향후 교양과목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안내서 및 피드백은 학습자의 수업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rans Abstract

초록

Recently, after COVID-19, university distance learning has been in full swing. In addition, guidelines for systematizing distance learning management were announce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an accreditation system to strengthen the university’s distance learning capabilities. Therefore, non-face-to-face education at universities is expected to be further strengthened. In particular, liberal arts classes centered on content utilization, unlike majors, do not have a strong desire for learning.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is not sufficient, and the interest in the liberal arts clas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can be lowered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learner’s participation and management of the class on their own. As an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xClass non-face-to-face class model was developed and liberal arts classes were operated. The xClass non-face-to-face class model is a new model for distance learning at J University based on a learning guide for the learner’s leading learning and feedback and friendliness for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content-based classes.

The detailed composition of the liberal arts xClass non-face-to-face class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14 study guides, 1,247 minutes of video content, 540 minutes of face-to-face class, 13 quizzes, 15 worksheets, 6 bulletin boards, and 575 feedbacks. In the xClass non-face-to-face class,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guide was helpful to the learner by 82%, satisfaction with colloquial use was 85%, and the feedback provided by the instructor was helpful by 85%. And in the xClass non-face-to-face class,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learning guide (49%) and feedback (48%) in that order. Learners in this liberal arts class were satisfied with the learning guide (49%) and feedback (48%) in the xClass non-face-to-fac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arning guides and feedback can be used as a strategy to increase learners’ class satisfaction in future classes focused on the use of liberal arts content.

1. 연구의 필요성

2020년 COVID-19 상황에 따른 일상의 비대면 패러다임 변화는 개인 삶의 모든 측면에서 새로운 기준과 표준이 되었으며, 대학교육도 비대면 교육을 진행하게 되었다. 비대면 교육은 대면교육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다양한 매체와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동시적 및 비동시적 특성을 갖는 교육 형태를 말한다(김현수, 최형림, 김선희, 1999; Brande, 1993; Phipps, Wellman, Merisotis, 1998). 대학에서의 비대면 교육은 COVID-19 이전에는 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 형태(블랜디드 러닝, 플립 러닝)로 진행되었으나 COVID-19 이후 전적으로 대학의 교육 형태로 구축되었다. COVID-19 이전 온라인 강좌가 전체 수업의 1% 정도로 운영되었다면, COVID-19 이후는 대학의 교양강좌가 전면 비대면으로 운영되었다(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의, 2020).

대학의 모든 강좌가 전면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여러 오류가 발생하였지만, 지난 2년간 각 대학은 비대면 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LMS를 갖추었으며, 비대면 교육의 다양한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여 비대면 교육을 안정화시켰다. 교양교육 또한 비대면 교육으로 접근하면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동영상 수업, 실시간 온라인 모둠별 수업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져 앞으로 비대면 수업은 교육의 안정적 패러다임으로 확산될 것이다. 여기에 대학의 원격수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원격수업 관리를 체계화한다는 정부의 지침도 반영되어(서울경제, 20201)) 향후 비대면 교육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비대면 교육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어 반복 학습이 가능하여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사이버 공간이 가지는 교수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 부재와 즉각적 피드백 제공의 한계라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이용상, 신동광, 2020; 최영림, 2020; 권해숙, 채영일, 2014). 특히 교수자의 동영상 콘텐츠를 학습자가 수강하고 과제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원격수업은 교수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못한 운영을 초래하였으며(간진숙, 이유은, 2022), 실제로 국내 203개 대학생 2만 1,7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전국대학학생네트워크, 2020)에 의하면 대학생의 82.0%가 온라인 수업의 질이 떨어진다고 답변하였다(김지아, 2020). 또 다른 연구에서도(계보경 외 5인, 2020) 원격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수업 참여 유도, 소통과 피드백 제공 및 학사 관리 등의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교양수업의 질 저하, 과제 제시 후 피드백이 없는 경우, 교수자의 원격교육 경험 및 역량 부족 등으로 낮은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등록금 환불 및 저하 요구가 증가할 수도 있다(장상현, 2020). 교양강좌가 지식과 정보 및 기능과 기술 등의 전수 차원을 넘어 교수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현상에 대한 해석과 이해 및 통찰의 안목을 키우면서 사람과 의미부여(sense of meaning)에 초점을 두면, 일방향 비대면 수업(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으로는 한계가 있다. 최근 비대면 수업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비대면 수업모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RCS 모형을 기반한 원격수업에서 좋은 수업의 조건과 정의에 대한 연구(간진숙, 이유은, 2022), 실시간 원격수업과 비실시간 원격수업의 학업성취도 연구(고유정, 최고은, 2022), 온라인 환경을 활용한 실시간 및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 연구(엄상현, 임걸, 2017), 비실시간 토론중심 수업 연구(권성연, 2013), 원격에서의 하이플랙스 수업모형 연구(김선희, 2021),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연구(임정훈, 김미화, 이세현, 2021)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자의 활동은 수업의 질을 좌우하는 요인으로(강민석, 김명랑, 2014) 현재까지는 동영상 수강, 과제 및 워크시트, 퀴즈 및 피드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다른 교수자의 활동이 개발되어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의 질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교양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도와 상호작용은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일보, 2021) 학습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오대영, 2020). 특히 비실시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대부분 학습자 혼자 참여하기 때문에 수업의 집중력 저하, 학습과 무관한 행동, LMS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료 및 활동(영상⋅과제⋅게시판⋅퀴즈⋅팀 활동) 등의 혼란으로 학습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실패를 예방하고 학습자 혼자 주도적으로 수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몰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교수학습상황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Arbaugh & Duray, 2002; Sun et al., 2008; 장은정, 서윤경, 정효정, 2010; 김진모 외, 2020; 오대영, 2020; 이영희 외, 2020; 조보람, 2021).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자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취도와 상호작용이라면,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몰입도와 상호작용이다(서일보, 2021). 상호작용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간에 일어나는 모든 활동으로 학습자의 주도적 참여와 의미 있는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를 지니고 있다(안미리, 최윤영, 고윤미, 배윤희, 2015).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직접적 상호작용이 가능하지만, 비실시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비대면 피드백(이난, 2021)으로 접근할 수 있다.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과제와 활동에 대한 비대면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수학습상황의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 형태의 xClass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주도적 참여를 위한 학습안내서와 교수학습 친근감 및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J대학교 원격수업 신규모형이다. 본 모형을 활용하여 교양과목을 운영하고, 향후 교양의 비대면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2.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의 이해

2.1. xClass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의 이해

비대면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대면하여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는 전통적 방식의 수업과 달리 인터넷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다른 공간과 시간에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는 수업의 형태를 의미한다(교육부, 2020). 비대면 수업은 원격수업 혹은 사이버 수업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수업의 시공간적 특성을 기준으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과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구분한다. 또한 비대면 수업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과 과제수행 중심수업 및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실시간 원격교육 플랫폼을 토대로 교수자와 학습자 간 화상 수업을 하며 실시간 토론 및 소통 등 즉각적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수업모형을 말한다. 과제수행 중심수업은 교수자가 교과별 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자가 자기주도적 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과제를 제시하고 피드백을 주는 수업모형을 의미한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강의형과 강의 및 활동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강의형은 학습자가 지정된 녹화 강의와 학습 콘텐츠를 학습하고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 진행도를 확인하면서 피드백 중심의 수업이라면 강의 및 활동형은 학습 콘텐츠를 시청 후 댓글이나 답글 등으로 원격 토론을 병행하는 형태를 말한다.

콘텐츠를 활용 중심수업은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언제 어디서나 학습자가 원하는 교육 콘텐츠에 접근하여 학습할 수 있는 수업이지만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 능력과 의지력이 요구된다.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 능력과 의지력이 약하면 단순히 영상만 듣는 형태로 학습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간 실시간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사회적 실재감과 수업 역동을 기대하기 힘들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을 촉진하고 도와주는 교수자가 없다면, 학습 참여가 부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는 수업 참여의 고립감과 심리적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교수자의 동영상 콘텐츠를 학습자가 수강하면서 과제를 제출하는 원격수업은 교수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못한 운영을 초래하였으며(간진숙, 이유은, 2022), 원격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수업 참여 유도, 소통과 피드백 제공 및 학사 관리 등의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계보경 외 5인, 2020).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교양수업에서 콘텐츠 구성과 내용의 질적 저하, 학습자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없는 경우, 교수자의 원격교육 경험 및 역량 부족 등으로 낮은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지면 대학등록금 환불과 저하 등의 요구가 증가할 수도 있으며(장상현, 2020), 결국 대학 수업의 질이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 형태로 xClass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과 주도적 참여를 위한 학습안내서와 교수학습 친근감 및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J대학교 원격수업 신규모형이다.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 x는 교수자 ×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 × 학습자 콜라보레이션이 상호 교차(×)하면서 학습안내서와 피드백 및 친근감을 활용하는 원격수업을 의미한다. 기존의 콘텐츠 활용중심 수입이 동영상 수강, 과제 및 워크시트, 퀴즈와 피드백 중심으로 운영이 되었다면 xClass 콘텐츠 활용중심 수업은 동영상 수강, 과제 및 워크시트, 퀴즈와 피드백 외 학습안내서와 교수자와 학습자의 친근감과 상호작용을 위한 구어체적 표현과 평가적 및 정서적 피드백과 이모티콘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모형이다.

2.2.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의 핵심 요인: 학습안내서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가 해당 주차 학습 과정에 몰입하여 주도적 참여를 안내하고 무엇을 구체적으로 수행해야 하는지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교수자의 역할을 간접적으로 학습안내서(learning guide)를 통하여 제공한다. 대학의 교양은 전공과목보다 덜 중요하게 인식하여 수업 참여와 관심이 낮은 편이며, 교양강좌를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만 진행하게 되는 경우 동영상만 플레이하여 학습에 적극적 참여가 미비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교양과목에 대한 주도적 학습 참여를 위해 매주 학습의 과정을 몰입하여 혼자 진행할 수 있는 학습안내서가 필요하다. 구성주의 수업이론에서 좋은 수업의 개념과 조건으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책임지고 학습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Parpala & Lindblom-Ylanne (2007), 수업 활동에 전념하게 할 수 있으면서(Borich, 2000), 수업내용을 쉽게 조직화해주는 수업을 말한다(이혜범, 양은배, 2013). 콘텐츠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에서도 좋은 수업은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조직화, 혼자서 진행해야 하는 수업 활동의 내용과 절차, 주차에 마무리하여 스스로 학습에 책임질 수 있도록 교수자의 활동이 필요하며, 이를 학습안내서로 제시한다.

학습안내서는 해당 주차에 학습자가 무엇을 배우면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에 등의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수업에 주도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만든 가이드이다. 학습안내서는 지면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좀 더 친숙하게 접근하기 위해 정서적 이미지와 구어체 표현을 사용하여 A4 1~2page 분량으로 작성하였다.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안내서는 [그림 1]처럼 학습자의 독립학습이 가능하도록 5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구성요인은 인사하기, 수업내용 및 수업목표, 학습순서, 정리와 격려, 참고영상 안내 및 마무리 인사 등이다. 첫 번째 문단은 인사하기로 구어체와 문어체를 적절히 혼합하여 계절 및 수업내용과 관련된 주제로 시작한다. 두 번째 문단은 해당 주차의 수업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수업목표는 구체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3가지 정도를 제시한다. 세 번째 문단은 학습안내서의 가장 핵심적인 학습순서로 매뉴얼 방식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학습순서는 동영상 강의 수강, 필요한 워크시트 다운받기, 워크시트 작성하기, 게시판 의견 참여하기, 결과물 탑재하기 등으로 자세하게 순서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네 번째 문단은 정리 및 격려하기로 학습한 내용에 대한 간단한 정리와 학습 참여에 대한 격려로 마무리한다. 마지막으로 참고영상 안내와 마무리 인사로 당일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참고 영상자료 2~3개 제시하고 마무리 인사하면서 정리한다.

[그림 1]

학습안내서 구성 요인

2.3.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의 핵심 요인: 피드백과 구어체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학습자가 개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학습자와 학습자의 협력 및 공동체적 삶을 경험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수업 과정에서 문답이나 질의 처리가 어렵다는 것과 팀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한계점이 있다(인크루트, 2020).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간의 소통은 필수적으로(Webb & Barrett, 2014), 상호작용은 중요하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소통과 상호작용의 활성화 방법으로 비실시간 피드백이 있다. 교수학습상황의 피드백은 기대하는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행동에 대한 교수자의 적절한 반응으로 대면 수업에서 피드백이 학습 결과와 성취에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설명되고 있듯이(So & Brush, 2008; 서길주, 2003; Picciano, 2002; 감민영, 2017; 백재파, 2016; 이수나, 이상기, 2016; 노현종, 손원숙, 2015), 비대면 수업에서도 피드백은 학습 결과 및 학업성취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이난, 2021).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는 콘텐츠 수강, 워크시트, 게시판, 퀴즈 등의 다양한 형태에 참여하기 있어 학습자의 참여 결과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이 필요하다. 비대면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과정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으며(Brookhart, 2017), 학습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교수자의 피드백은 수업의 질을 높여줄 수 있으면서, 수업의 중도탈락률을 낮출 수 있으며 주도적 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학습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필수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이하람(2020)은 온라인 SNS에서 피드백의 효과로 학습자의 주의집중을 유지하고 인지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피드백의 중요성을 설명하였으며, 서붕언(2021)도 온라인 피드백의 전략으로 인지적 피드백 이외 정서적 피드백으로 감정 이모티콘을 활용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수자의 피드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수업이 설계되어 있다면 학습자는 과제에 더욱 몰입하여 인지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으며(서붕언, 2021), 게시판을 활용하여 학습자간 피드백을 주고 받는 활동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학습자의 의견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통찰이 발생하여 학습이 촉진될 수도 있다.

이에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 활용한 피드백은 정서적 피드백과 사회적 지지와 격려를 표현하는 공감적 피드백을 포함하여 1주 내로 제공하였다. 학습자가 수행하는 워크시트(과제)에는 교수자 피드백을 제공할 때 양적 피드백과 질적 피드백을 동시에 제공하였다. 양적 피드백은 과제물에 대한 [100/90/80] 점수로 평가한 것을 의미하며, 질적 피드백은 학습자의 학습활동 내용에서 일부에 초점을 맞추고 구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게시판 활동은 교수자 및 학습자간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워크시트는 내용 중심적 피드백을 게시판 활동은 사회적 지지 및 공감 중심적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공감 및 지지적 피드백을 제공할 때는 기분 좋은 표정 및 최고를 표현하는 이모티콘을 활용하였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친밀감(Faranda & Clarke, 2004)은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대면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칭찬과 유머 및 비언어적 행동 등을 활용할 수 있다면, 비대면 수업에서는 콘텐츠 강의와 워크시트 및 퀴즈 등의 체계화, 명확한 제출일 제시와 답변, 과제에 대한 피드백, 교수자의 친절한 태도와 유머 등이 있다(Sull, 2006).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친근감을 형성하기 유지하기 위하여 Sull(2006)이 제시한 방법으로 구어체적 표현과 감정과 표정을 표현하는 이모티콘을 활용한 피드백과 학습안내서의 구어체 표현을 활용하였다.

3. 교양과목의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

3.1.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의 이해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의 운영을 위해 주차 75분×2회 전체 150분으로 이루어진 [인간과 공동체] 3학점 교양필수과목을 활용하였다.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동영상 콘텐츠는 3학점 75분(1학점 기준 25분) 이상의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본 과목의 중간고사는 팀 프로젝트로 진행하였으며, 팀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대면 수업을 병행하였다. 대면 수업은 오리엔테이션, 기말고사 및 팀 프로젝트 4회로 전체 6회 3주간 진행하였다. 3주 대면 수업을 제외한 12주는 콘텐츠 활용 중심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업 진행 과정은 [그림 2]와 같다. 한 주차의 수업 일정은 4일(월요일-목요일)간 진행하였으며, 하루(금요일)는 평가와 피드백을 완료한 후 학습자에게 안내한 후, 확인하도록 하였다.

[그림 2]

xClass 비대면 수업 진행 과정

3.1.1. 학습안내서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주차별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가 혼자서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큐레이션하고 안내하기 위한 학습안내서를 준비하였다([그림 3]). 학습안내서는 학습자에게 친밀감을 전달하면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일부 구어체로 작성하였다. 학습안내서는 사이버캠퍼스 LMS에 각 단원의 내용을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과 주차 학습 내용에 관한 이미지 및 키워드로 제시한 후 pdf 파일로 제공하였다. 한 학기 동안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안내서는 14개(기말고사 제외)이다.

[그림 3]

LMS 상에서의 학습안내서 구현

학습안내서는 [그림 4]에서 제시한 것처럼, 구어체와 문어체 방식을 혼합하여 기술하였으며, 인사하기, 수업내용과 수업목표, 학습순서, 정리 및 격려, 참고 영상 및 마무리 인사 등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학습순서는 색깔 상자로 표시하면서 매뉴얼 방식으로 안내하였다. 학습순서의 색 상자에서는 동영상 콘텐츠 출석 인정 기간, 워크시트 작성 및 제출기한 등을 명확하게 기술하였다.

[그림 4]

학습안내서 구성 및 내용

3.1.2. 동영상 콘텐츠 수강

주차별 동영상 콘텐츠는 2개 이상 탑재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4개까지 만들어 제공하였다. 1학점 기준 25분으로 3학점 75분 이상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여 학습자가 수강하도록 하였으며([그림 5]), 출석으로 인정되는 기간과 콘텐츠 수강 기간으로 나누어 운영하였다. 출석으로 인정되는 기간은 학습이 완료되어야 하는 주차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콘텐츠 수강 기간은 한 달 동안 수강하도록 설정하였다. 예 들어, 인간과 공동체 6주차 4단원 타자에 대한 관심 첫 번째 동영상 수강 시간은 47분 35초, 두 번째 동영상 수강 시간은 32분 47초로 구성하여 80분 정도이다.

[그림 5]

단원 주제의 콘텐츠

3.1.3. 학습활동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가 독립적 및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콘텐츠 이외 다양한 학습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교양과목은 자칫 동영상 콘텐츠로만 구성되는 경우 동영상 플레이만 하여 수업에 수동적으로 참여하게 될 수 있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가 독립적 및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 방안으로 워크시트, 게시판과 토론 및 퀴즈 등이 있다.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 학습자가 독립적이며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워크시트 15개, 게시판 6개, 퀴즈 13개를 활용하였다.

게시판은 개인적이며 주관적 관점의 의견을 공유하는 활동으로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는 학습자가 생각하는 인성의 정의, 나는 누구인가의 다양한 관점중 한 개 선택하고 그 이유 제시, 세계시민성함양 팀프로젝트 댓글 게시판, 내가 생각하는 [정의란 무엇인가]의 정의, 내가 할 수 있는 폭력 예방 방법, 내가 생각하는 [도덕성] 정의를 활용하였다. 워크시트는 각 주차에 내용에 맞도록 교수자가 양식을 개발하여 LMS에 업로드하면, 학습자가 다운로드한 후 작성하여 다시 결과물 제출란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워크시트의 내용으로는 자기소개, 인성지수, 빙고게임, 태세우스의 배, 타자에 대한 관심, 세계시민성함양프로젝트 개인 및 팀, 삶의 태도, 우정과 사랑, 관계와 행복, 디지털 시민되기 기게스 반지, 공동체 자유주의 실천, 도덕적 감수성, 인간과 공동체 키워드 14개이다. 6주차 4단원 타자에 대한 관심 주차에서 활용한 [그림 6]의 워크시트는 강의내용에서 핵심 키워드 10개와 10개 중에서 3개 선택하고, 각각의 선택이유를 생각하여 정리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그림 6]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활용한 학습자의 활동(worksheet)

3.1.4. 학습활동에 대한 피드백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및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비대면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제공한 피드백은 15주간 574건이다. 게시판 피드백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동시에 댓글 방식으로 접근하였으며, 워크시트 피드백은 교수자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학습자가 작성한 워크시트 결과물에 양적 피드백과 질적 피드백으로 [그림 7]처럼 제공하였다.

[그림 7]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활용한 교수자 및 학습자 동료 피드백

3.2.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현황

xClass 비대면 수업으로 [인간과 공동체] 교양과목을 운영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xClass 비대면 수업 세부적 구성현황은 학습안내서 14개, 동영상 콘텐츠 시간 1,247분, 대면 수업 시간 540분, 퀴즈 13문제, 워크시트 15개, 게시판 6개, 피드백 575건이다.

교양과목 xClass 비대면 수업운영 현황

4. 교양과목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의 평가

4.1.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의견 조사

본 과목은 1학년이 수강하는 교양필수과목으로 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33명이 응답을 하였으며 남학생 17명(51.5%)과 여학생 16명(48.5%)이다.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질문은 학습안내서 도움 정도, 구어체 사용에 대한 만족, 교수로부터 받은 피드백 유형, 피드백 도움 정도, 피드백 분량, 피드백 횟수, 받고 싶은 피드백 유형, 개인 및 팀 피드백 선호도, 피드백 공개 여부, 가장 만족한 것 등 및 xClass 비대면 수업운영에 대한 주관적 의견 등이다.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의견을 조사한 빈도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의견조사 결과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에게 제공한 학습안내서는 82% 도움이 되었으며, 구어체 사용에 대한 만족은 85% 그리고 교수자가 제공한 피드백은 85%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가 가장 만족한 것은 학습안내서와 교수님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에게 받은 피드백 유형은 워크시트 제출에 대한 댓글이었으며, 피드백의 분량은 2-3문장 정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받고 싶은 피드백 횟수는 5회 이하가 43%, 받고 싶은 피드백 형태는 댓글 59%로 나타나고, 개인(85%) 및 비공개(85%) 피드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적으로 기술한 의견으로는 알람기능과 피드백 공개 및 영상 시청 기한 연장 등이 주로 기술되었다. 첫째, 알람기능은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달리면 즉각적으로 알려주는 기능, LMS 공지사항 알람기능 및 영상 및 워크시트 제출기한의 임박을 알려주는 알람기능에 대한 의견이 기술되었다. 둘째, 피드백 공개는 개인 과제 제출에 대한 피드백은 비공개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반하여 게시판 댓글은 공개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일부 학습자는 공개 피드백이 불편하다는 의견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과목이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영상 시청으로 출석 관리를 하고 있어 영상에 대한 출석 인정 기한과 강의 수강 기한으로 구분하여 운영하였으며 학습자는 출석 인정 기한의 연장을 요구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4.2. xClass 비대면 수업 강의평가

J대학교 강의평가는 9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xClass 원격수업을 운영한 분반의 강의평가와 동일 교양과목을 대면수업으로 운영한 분반의 강의평가와 비교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xClass 비대면 수업과 대면수업 강의평가 비교

동일 교양과목을 xClass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한 분반과 대면수업으로 운영한 분반의 강의평가를 비교한 결과, xClass 비대면 수업 분반이 평가 기준 및 피드백 강의평가가 대면수업 운영 분반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평가 기준 및 피드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는 대면수업 강의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xClass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한 분반은 수업의 평가 기준을 LMS를 통해 수시로 안내(공지사항 및 학습안내서)가 되었으며, 학습자의 워크시트 및 게시판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강의평가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다른 교양필수 과목을 xClass 비대면 운영 분반과 일반 비대면 운영 분반의 강의평가를 비교한 결과<표 4>,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 분반의 강의평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영상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는 교수자의 학습안내서, 구어체적 표현 및 피드백 등은 일반 비대면 수업보다는 학습자의 강의평가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xClass 비대면 수업 분반과 일반 비대면 수업 분반 강의평가 비교2)

5. 결론 및 시사점

최근 COVID-19 이후 대학의 원격수업은 본격화되면서 대학의 원격수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제도 도입과 함께 원격수업 관리를 체계화한다는 지침이 발표되면서 비대면 교육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교양은 전공과 다르게 학습에 대한 욕구가 강하지 않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자칫 ‘수업’만 근근이 제공하면서(송혁, 2020; 장제국, 2020) 학습량만 증가하게 되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충분하지 못하며, 학습자 스스로 수업참여 및 관리를 하는데 어려움으로 인하여 수업의 흥미와 교육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양과목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운영할 때, 기존의 동영상 콘텐츠와 과제 및 피드백 중심으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주도적 수업 참여를 위해 학습안내서와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 및 친밀감 형성을 위한 구어체적 표현과 다양한 이모티콘과 이미지를 사용하는 xClass 비대면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교양과목 xClass 비대면 수업의 세부적 구성은 학습안내서 14개, 동영상 콘텐츠 총시간 1,247분, 대면수업 시간 540분, 퀴즈 13문제, 워크시트 15개, 게시판 6개, 피드백 575건이다. xClass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에게 학습안내서가 82% 도움이 되었으며, 구어체 사용 만족은 85% 그리고 교수자가 제공한 피드백은 85%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는 학습안내서(49%) 및 피드백(48%) 순으로 만족하였다. 이런 결과는 향후 교양과목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안내서 및 피드백은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의 적극적 및 주도적 참여를 위해서는 교수자의 활동이 다양해야 한다. 현재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사용되는 활동으로는 동영상 강의, 과제 및 워크시트, 퀴즈, 게시판 및 토론 등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학습안내서 및 구어체적 표현과 다양한 이미지 등을 사이버캠퍼스 LMS에서 다양한 활동이 개발되어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가 혼자서도 불안 및 혼돈하지 않도록 학습의 순서와 내용, 활동과 제출일, 주차의 시작과 끝 등을 친절하게 안내하는 학습안내서는 비대면 학습활동으로 필요하다. 또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피드백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상호작용은 대면수업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질을 따라올 수 없기에 콘텐츠 활용 비대면 수업에서 피드백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인식하여,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이 활성화될 수 있어야 한다. 워크시트와 게시판 및 토론 등의 학습활동 내용에 대한 피드백은 활동 내용에 대한 통합적 피드백과 구체적 피드백, 인지적 내용에 대한 피드백과 정서적 피드백, 전체적 피드백과 개인적 피드백, 이모티콘 피드백 등으로 나누어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동일 교양과목을 xClass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한 분반과 대면수업으로 운영한 분반의 강의평가를 비교한 결과, 수업 평가 기준과 피드백 영역에서는 xClass 비대면 수업 분반이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대면수업 분반이 높게 나타났다. xClass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 평가 기준을 여러 번 공지하여(공지사항, 오리엔테이션 영상, 팀 프로젝트 평가, 학습안내서 3회) 학습자에게 충분히 숙지가 되었을 것이며, 워크시트 및 게시판 활동의 결과물에 대한 575건의 피드백(학생 1인당 피드백 15회)으로 인하여 피드백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교양과목의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기억과 의미를 높이기 위해 교수자가 주기적으로 안내 및 피드백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xClass 비대면 운영한 분반과 일반 비대면으로 운영한 분반의 강의평가 비교는 xClass 비대면 수업의 강의평가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양과목의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운영하고자 할 때, 학습안내서와 피드백 및 구어체를 활용하는 것은 강의평가에 효과적이며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xClass 비대면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면수업보다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수반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비대면 수업을 운영하면서 1차시의 수업에 8~12시간 긴 시간을 소요하여 강의평가 결과가 이전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는 연구(장원형, 최민지, 홍훈기, 2020)를 보면, 비대면 수업은 강의평가 및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교수자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도 학습안내서 작성에 2시간 정도 시간 소요가 들어갔으며, 학습자의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 시간은 주차에 4시간 이상은 소요되었다. 학습안내서와 활동을 위한 워크시트 및 게시판 활동 그리고 피드백 등을 위한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대면수업 강의평가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교양과목의 비대면 수업의 확산과 활성화 시점에서 몇 가지의 논의가 필요하다.

첫째, 교양교육이 특정 목적에 수단으로서의 지식과 기술⋅기능의 전수를 담당하는 과목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본래적 가치를 갖는 품성을 도야하고 자기목적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6)으로 접근했을 때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부의 지식과 기술 등을 습득해야 하는 도구적 교양과목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접근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간 직접적⋅실제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가능한 능력이나 태도 등은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는 한계가 있다. 혁신 대학과 기업가 대학 등의 신개념 대학 모형이 등장하면서 교양교과목 자체도 기업가 정신을 비롯한 취⋅창업 및 진로, 취미와 운동 및 자기개발 등의 기능 및 실무 중심으로 교양교육 내용 자체가 대체되고 있다. 더불어 교양교육의 방법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전환하게 되었을 때, 궁극적으로는 교양교육의 정체성 문제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점 따기 쉬운 과목’,‘학습 강도가 약한 과목’,‘학습량이 거의 없는 과목’ 등으로 인식되면서 ‘수강 쏠림 현상’이 야기되는 상황(이은화, 강이화, 2022)에서 교양과목의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결국 교양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교수자의 다양한 적극적 활동이 미비한 상태에서 대형 원격강의로 진행하게 되는 경우 교양교육의 질은 저하될 것이다.

둘째,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교양과목을 운영하게 되는 경우 교양의 질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 교수자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한다. 물론 수업준비 및 수업운영에서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은 교수자 역할이다. 하지만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교수자의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교수자의 기회비용 문제가 발생하고, 그 몫을 오로지 교수자 개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면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수업 준비와 운영에 필요한 노력과 투자가 부담스럽다. 현재 대부분 대학이 교양수업을 전담하는 전임교수가 부족한 상황으로 시간강사와 단과대학 소속 교수가 교양수업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을 병행하는 경우 교수자 기회비용의 문제로 인해 교양수업의 준비와 운영과정이 부담되어 교양교육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교양과목의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은 교수자 혼자가 아닌 학교의 시스템적 도움 전략이 수반되어야 한다. 미네르바 대학 MOOC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질 좋은 콘텐츠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참여하면서 듣기만 하는 지식전달의 수업이 아닌 디지털 교수자와 학습자가 지속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되면서 e-adviser와 함께 학습자 요구에 따른 맞춤형 교육까지 가능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네르바 대학의 교과목 수강인원은 최대 18명으로 교수자가 학생 한명 한명에게 최대한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도 실시간 영상 채팅을 활용하였으며, 학습자는 과제를 빨리 제출하는 대신 교수자는 1주일 안에 채점하고 피드백을 주면서 학습자의 메일은 2-3일 답을 보내야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현재 국내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기구의 비대면 교양교육 운영을 위한 시스템의 미구축 상황에서 교수 혼자서만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만 진행하게 되면 교양교육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대학 교육의 질 저하 초래할 것이다. 교양과목을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양 교과목 수강생 인원 조절이 필요하며, 인원 조절이 어려운 경우 과목담당 AT(e-adviser)의 운영, 및 교수자의 역할 변화에 대한 민감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교수자에서 학습자의 협력자로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문제의 다양한 관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최근 공유대학의 등장과 도입 시점에서 공유대학의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공유대학의 교양수업이 실시간 비대면으로 운영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크다. 교양교육의 공유대학 협력은 지방대학이 홀로 접근하기 어려운 교양과목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교양의 정체성과 교양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공유대학 플랫폼을 구축하여 관리하기 위한 연구⋅행정⋅관리 인력과 시스템을 개발한 상태에서 교양 공유대학을 접근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현재 대학의 일부 교양선택 과목을 지역대학 연합에서 공유하는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이 범위를 넓혀 가는 과정으로 교양 공유대학으로 접근하게 되는 경우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질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교양의 비대면 수업 활성화를 앞둔 시점에서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 보다 나은 비대면 수업모형을 찾고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비대면 교육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교양과목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만 접근하면서 무분별하게 진행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국고 사업 일환으로 교양 공유대학 사업과 지방 사립대학의 자율 의지로 시작한 교양 공유대학 사업도 동영상 콘텐츠 수강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방의 교양 공유대학을 대학에서 책임지고 운영하는 시스템이 아닌 대학과 별개로 독립적 온라인 캠퍼스가 구축되어 운영되어야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교양교육의 질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간진숙, 이유은(2022).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ARCS 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연구논총 43(3),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121-144.
감민영(2017). “피드백 유형과 과제 지속의 관계에 대한 피드백 수용성의 조절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2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3-163.
고유정, 최고은(2022). “원격수업 교수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4(2), 한국교육방법학회, 315-341.
교육부(2020).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권성연(2013).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의 인지적 실재감 단계와 학습 참여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학습자중심교육학회, 133-162.
권해숙, 채영일(2014). “오프라인과 온라인 회계교육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인식과 학습성과의 차이”, 상업교육연구 28(5), 한국상업교육학회, 21-41.
김선희(2021). “PostCOVID-19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HyFlex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19(12),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320.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이화진(2020). “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3),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5-48.
김현수, 최형림, 김선희(1999). “가상교육의 핵심성공 요인”, 교육공학연구 15(1), 한국교육공학회, 241-260.
노현종, 손원숙(2015).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28(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79-902.
백재파(2016). “한국어 쓰기교육에서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우리말연구 44, 우리말학회, 253-283.
서길주(2003). “피드백 유형이 내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일보(2021). “대학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6), 한국교양교육학회, 287-299.
송윤희(2020).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한국콘텐츠학회, 259-267.
송혁(2020). “코로나19 사태와 대학의 대응 매뉴얼 및 구성원의 역할”, 대학교육 20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64-73.
안미리, 최윤영, 고윤미, 배윤희(2015). “해외 학습분석학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실증연구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601-643.
엄상현, 임걸(2017).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7-34.
오대영(2020). “대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만족도와 지속수강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2),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79-107.
이난(2021).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한국교양교육학회, 259-272.
이수나, 이상기(2016). “교사의 간접 피드백 유형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쓰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교육 15(3),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5-223.
이영희, 박윤정, 윤정현(202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열린교육연구 28(3), 한국열린교육학회, 211-234.
이용상, 신동광(2020).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9-57.
이은화, 강이화(2022). “대학간 교양교육 공유 협력 현황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81-93.
이희승(2021).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교수자와의 라포형성, 자기 효능감, 수업 만족도 사이의 영향 관계 고찰”, 음악교수법연구 9(22),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99-120.
임정훈, 김미화, 이세현(2021).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81-311.
장상현(2020). “비대면 교육 시대, 대학 원격교육 진단”,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Img.do?bbsId=BBSMSTR_000000000191&nttId=10068 (2021.12. 20. 검색).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
장은정, 서윤경, 정효정(2010). “사이버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별 만족도가 강좌의 만족도, 효과성 인식과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1), 한국교육공학회, 57-85.
장제국(2020). “코로나19 사태가 고등교육에 남긴 것”, 대학교육 20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6-9.
조보람(2020).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만족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01-425.
최영림(2020).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2), 369-383.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의(2020). “코로나 19로 인한 대학 개강 이후의 학사 운영현황”, http://kapup.org/sub/sub02_02.php?boardid=notice&mode=view&idx=28&sk=&sw=&offset=10&category=&goPage= (2021.11.26. 검색).
34. Arbaugh J. B, Duray R. 2002;“Technolog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web-based courses:An exploratory study of two on-line MBA programs”. Management Learning 33(3):331–347.
35. Borovay L. A, Shore B. M, Caccese C, Yang E, Hua O. 2019;“Flow, achievement level, and inquiry-based lear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30(1):74–106.
36. Brande L. V. 1993;“R &D on learning felematics in the European Community”.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9(2):75–85.
37. Dickman C. A, Davis C. K. 2008;“Online education forum:Part two-teaching online versus teaching conventionally”.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19(2):157–164.
38. Faranda W. T, Clarke I. 2004;“Student Observation of Outstanding teaching:Implications for Marketing Educator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26:271–281.
39. Glazier R. A. 2016;“Building rapport to improve retention and success in online classes”.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Education 12(4):437–456.
40. Lammers W. J, Gilaspy J. A Jr. 2013;“Brief measure of student-instructor rapport predicts students success in online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7(2):1–13.
41. Murphy E, Rodríguez-Manzanares M. 2012;“Rapport in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Distance Learning 13:167–190.
42. Phipps R. A, Wellman J. V, Merisotis J. P. 1998. “Assuring quality in distance education:A preliminary review” Council of Higher Education Association.
43. Picciano A. G. 2002;“Beyond student perception: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21–39.
44. So H. J, Brush T. A. 2008;“Student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critical factors”. Computers &Education 51(1):318–336.
45. Sull E. C. 2006;“Establishing a solid rapport with online students”. Online Classroom :6–7.
46. Sun P. C, Tsai R. J, Finger G, Chen Y. Y, Yeh D. 2008;“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learner satisfaction”. Computers &Education 50(4):1183–1202.
47. Swan K. 2001;“Virtual interaction:Design factors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asynchronous online courses”. Distance Education 22(2):306–331.
48. Webb N. G, Barrett L. O. 2014;“Student views of instructor- student rapport in the college classroom”.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4(2):15–28.
49. Wright R. D, D'Alba A, Jones G. 2016. “Building rapport for online instructors”. iConference 1–7. http: //www.acdemia.edu/29836433/Building_Rapport_for_Online_Instructors.
50. 김 지아. (2020. 5. 6). “대학도 고통 분담하라, 코로나발 등록금 반환 소송 본격화” 중앙일보; https: //www.joongang.co.lr/article/23770030#home.

Notes

2)

2021학년도 동일 필수교양과목을 운영한 강의평가 비교이며, xClass 비대면 수업 분반은 2학기 운영, 일반 비대면 수업 분반은 1학기 운영하여 비교한 결과이다.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그림 1]

학습안내서 구성 요인

[그림 2]

xClass 비대면 수업 진행 과정

[그림 3]

LMS 상에서의 학습안내서 구현

[그림 4]

학습안내서 구성 및 내용

[그림 5]

단원 주제의 콘텐츠

[그림 6]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활용한 학습자의 활동(worksheet)

[그림 7]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에서 활용한 교수자 및 학습자 동료 피드백

<표 1>

교양과목 xClass 비대면 수업운영 현황

주차 학습 안내서 동영상 콘텐츠 시간(분) worksheet 게시판 퀴즈 피드백 (건) 대면수업
1 53 - - - -
2 59 - 71
3 64 ●● - - 42
4 93 38 -
5 51 - - 35
6 80 - - 37
7 123 ●● - - 76 -
8 81 39 -
9 86 72 -
10 86 - 39 -
11 88 - 38 -
12 114 ●● - - 36 -
13 188 16 -
14 81 36 -
15 - - - - - -

<표 2>

xClass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학습자 의견조사 결과

질문 분석 결과
학습안내서 도움 정도 매우 도움 도움 보통
46% 36% 18%
구어체 사용에 대한 만족 매우 만족 만족 보통
52% 33% 12%
피드백 도움 정도 매우 도움 도움 보통
46% 39% 15%
xClass 가장 만족한 것 학습안내서 교수님 피드백 구어체 사용
49% 48% 3%
받은 피드백 유형 과제제출 댓글 게시판 댓글 개인 메시지
56% 35% 7%
피드백 분량 1문장 2-3문장 4문장 이상
12% 76% 12%
받고 싶은 피드백 횟수 5회 이하 6-10회 11회 이상
43% 36% 21%
받고 싶은 피드백 형태 댓글 메시지 대면수업
59% 26% 11%
피드백 선호도 개인 피드백 팀 피드백
85% 15%
피드백 공개여부 공개 피드백 비공개 피드백
15% 85%

<표 3>

xClass 비대면 수업과 대면수업 강의평가 비교

J대학교 강의평가 항목 xClass 운영 대면수업 운영
1. 수업계획 4.31 4.44
2. 학습자료 4.28 4.44
3. 평가기준 4.44 4.41
4. 참여유도 4.19 4.47
5. 수업방식 4.41 4.47
6. 수업관리 4.47 4.5
7. 상세설명 4.47 4.56
8. 피드백 4.5 4.38
9. 학습자 존중 4.53 4.69

<표 4>

xClass 비대면 수업 분반과 일반 비대면 수업 분반 강의평가 비교2)

J대학교 강의평가 항목 xClass 운영 일반 비대면 수업
1. 수업계획 4.42 4.05
2. 학습자료 4.28 3.86
3. 평가기준 4.36 4.04
4. 참여유도 4.39 3.97
5. 수업방식 4.43 4.05
6. 수업관리 4.39 4.02
7. 상세설명 4.4 4.06
8. 피드백 4.54 4.22
9. 학습자 존중 4.55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