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진숙, 이유은(2022).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ARCS 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연구논총 43(3),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121-144.
감민영(2017). “피드백 유형과 과제 지속의 관계에 대한 피드백 수용성의 조절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2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3-163.
고유정, 최고은(2022). “원격수업 교수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원격수업 유형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4(2), 한국교육방법학회, 315-341.
교육부(2020).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교육 분야 학사운영 및 지원방안”.
권성연(2013).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의 인지적 실재감 단계와 학습 참여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학습자중심교육학회, 133-162.
권해숙, 채영일(2014). “오프라인과 온라인 회계교육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인식과 학습성과의 차이”, 상업교육연구 28(5), 한국상업교육학회, 21-41.
김선희(2021). “PostCOVID-19 시대 유아교육을 위한 HyFlex 수업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19(12),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11-320.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이화진(2020). “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3),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5-48.
김현수, 최형림, 김선희(1999). “가상교육의 핵심성공 요인”, 교육공학연구 15(1), 한국교육공학회, 241-260.
노현종, 손원숙(2015).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평가연구 28(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79-902.
백재파(2016). “한국어 쓰기교육에서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우리말연구 44, 우리말학회, 253-283.
서길주(2003). “피드백 유형이 내적 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일보(2021). “대학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6), 한국교양교육학회, 287-299.
송윤희(2020).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한국콘텐츠학회, 259-267.
송혁(2020). “코로나19 사태와 대학의 대응 매뉴얼 및 구성원의 역할”, 대학교육 20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64-73.
안미리, 최윤영, 고윤미, 배윤희(2015). “해외 학습분석학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실증연구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601-643.
엄상현, 임걸(2017).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실시간과 비실시간 소셜미디어 활용유형 차이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7-34.
오대영(2020). “대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만족도와 지속수강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2),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79-107.
이난(2021).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한국교양교육학회, 259-272.
이수나, 이상기(2016). “교사의 간접 피드백 유형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쓰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과교육 15(3),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5-223.
이영희, 박윤정, 윤정현(202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열린교육연구 28(3), 한국열린교육학회, 211-234.
이용상, 신동광(2020).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9-57.
이은화, 강이화(2022). “대학간 교양교육 공유 협력 현황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81-93.
이희승(2021).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교수자와의 라포형성, 자기 효능감, 수업 만족도 사이의 영향 관계 고찰”, 음악교수법연구 9(22),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99-120.
임정훈, 김미화, 이세현(2021).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1),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81-311.
장원형, 최민지, 홍훈기(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
장은정, 서윤경, 정효정(2010). “사이버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별 만족도가 강좌의 만족도, 효과성 인식과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1), 한국교육공학회, 57-85.
장제국(2020). “코로나19 사태가 고등교육에 남긴 것”, 대학교육 20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6-9.
조보람(2020).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만족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01-425.
최영림(2020).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4(2), 369-383.
Arbaugh, J. B., & Duray, R. (2002). “Technolog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web-based courses:An exploratory study of two on-line MBA programs”.
Management Learning, 33(3), 331-347.
Borovay, L. A., Shore, B. M., Caccese, C., Yang, E., & Hua, O. (2019). “Flow, achievement level, and inquiry-based lear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30(1), 74-106.
Brande, L. V. (1993). “R &D on learning felematics in the European Community”.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9(2), 75-85.
Dickman, C. A., & Davis, C. K. (2008). “Online education forum:Part two-teaching online versus teaching conventionally”.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19(2), 157-164.
Faranda, W. T., & Clarke, I. (2004). “Student Observation of Outstanding teaching:Implications for Marketing Educator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26:271-281.
Glazier, R. A. (2016). “Building rapport to improve retention and success in online classes”.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Education, 12(4), 437-456.
Lammers, W. J., & Gilaspy, J. A. Jr (2013). “Brief measure of student-instructor rapport predicts students success in online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7(2), 1-13.
Murphy, E., & Rodríguez-Manzanares, M. (2012). “Rapport in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Distance Learning, 13:167-190.
Phipps, R. A., Wellman, J. V., & Merisotis, J. P. (1998). “Assuring quality in distance education:A preliminary review”, Council of Higher Education Association.
Picciano, A. G. (2002). “Beyond student perception: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 21-39.
So, H. J., & Brush, T. A. (2008). “Student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critical factors”.
Computers &Education, 51(1), 318-336.
Sull, E. C. (2006). “Establishing a solid rapport with online students”. Online Classroom, 6-7.
Sun, P. C., Tsai, R. J., Finger, G., Chen, Y. Y., & Yeh, D. (2008). “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learner satisfaction”.
Computers &Education, 50(4), 1183-1202.
Swan, K. (2001). “Virtual interaction:Design factors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in asynchronous online courses”.
Distance Education, 22(2), 306-331.
Webb, N. G., & Barrett, L. O. (2014). “Student views of instructor- student rapport in the college classroom”.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14(2), 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