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음악감상 기반 수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in a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room : Focusing on a music appreciation-based class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3;17(5):259-28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3.17.5.259
한수정
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강사, aspray2000@hanmail.net
Lectur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2023 September 20; Revised 2023 October 03; Accepted 2023 October 16.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 음악감상 기반 수업에 PBL 활용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의 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A지역 4년제 B대학교에서 ‘음악의 이론과 감상’ 교과에 참여하는 남녀대학생 총 66명이다. 수업 운영은 시대별, 장르별 이론 지식 및 관련 음악감상활동과 함께 10주간 PBL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program을 사용해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개별 및 팀별 평가를 분석하고, 성찰일지로 질적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BL 적용 음악감상 기반 교양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성찰일지 분석결과, 창의적 사고의 발현과 공감적 소통의 긍정적 의미 발견,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 함양의 유익함, 팀 기반 협력수업의 효율성, 미래 학습설계 및 공동체활동의 기대에 관한 인식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PBL은 대학생의 교양 음악수업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습자 중심의 차별화된 수업을 설계, 운영하여 학습동기 및 참여를 중진하고 만족도를 향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악 비전공 대학생들이 새로운 사고의 관점에서 심도 있는 성찰을 하도록 실제 생활을 적용한 PBL 주제 및 과제의 부여가 강조되며, PBL을 적용한 학습 평가방법 제고와 혁신적 교수방식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수행을 제안한다.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use of PBL in a university liberal arts music appreciation-based class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66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Theory and Appreciation of Music’ at a four-year B university in Region A in Korea. The class was run as a PBL for 10 weeks with theoretical knowledge of each period and genre along with related music listening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PSS program to conduct pre-post t-tests, the analysis of individual and team evaluation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using reflection journals. Fir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PBL-applied music appreciation-based liberal arts class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revealed the expression of creative thinking and the positive meaning of empathetic communication, the benefits of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expectations of future learning design and community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BL is a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niversity students’ liberal arts music classes. Thus,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design and operate differentiated classes centered on learners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and to improve the students’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ssignment of PBL topics and tasks that apply to real life is emphasized to encourage non-music majors to reflect deeply from the perspective of new thinking. Finall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instructors improve upon their learning assessment methods and that they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innovative teaching methods using PBL.

1. 서론

최근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시대를 거치며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대학교육은 혁신적인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 첨단 테크놀로지 발달을 매개로 하는 교육환경은 지식융합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이고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전략의 적용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류은수, 서민원, 2014). 우리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상은 개인의 다양한 경험 및 정보의 융합,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포용 및 소통,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역량의 소유자로서(고은영, 2022), 새롭고 혁신적인 교육방법론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목표 및 방향성은 창의력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공감과 대인관계기술, 논리적 사고와 접근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기반의 융합형 인재개발과 육성(이에스더, 2022)이라 할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이하 PBL)은 실제의 세계에서 요구되는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문제를 중점으로 하여 교수-학습 과정을 구조화하고, 학습자의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해결능력과 협동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하게 하는 대표적인 학습자 중심 학습방법 중 하나이다. 학습자 스스로 비정형화된 문제를 해결하고, 비판적 사고와 소통 및 협동능력을 갖추어 창의력 있는 인재 양성을 상위 목표로 하여 암기식 공부보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은(김지영, 2019)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다.

국내 고등교육 기관에서는 학습내용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PBL 교수-학습 모형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팀 기반 활동 중심 PBL은 학생들의 원만한 학교생활 적응과 바람직한 미래사회로의 준비에도 긍정적인 의미의 학습이 될 수 있다. 대학의 음악교과 기반 교양교육에서 학생들의 음악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음악에 대한 관심과 정서적 변화 및 역할의 탐색은 중요하다. 대학과 교수자는 학생들의 더 나은 진로와 미래 준비를 위해 다양하고 차별화된 혁신적인 교육과정과 방법을 적용하여 지원해야 하며, 문제해결에 관한 계획 및 행동, 선택 방안을 위한 노력과 관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대처 전략 능력이 필요하다(한수정, 한경훈, 2022). 이에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음악감상 기반 수업에 PBL을 적용한 학습에 영향을 나타낼 수 있는 요인으로,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의 분석을 통해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학생들의 차별화된 교양 음악수업의 발전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동안 대학생들의 PBL 활용 수업에서의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적 리더십 연구(홍기칠, 2009; 조은주, 2016), PBL 적용 음악수업에 관한 연구(김영미, 조대현, 2019; 이현숙, 이정은, 2020; 이에스더, 2022), PBL 수업에서의 자기주도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성향 요인 관련 효과 연구(배영숙 외, 2005; 유명란, 최윤정, 강명숙, 2005; 이승은, 김영미, 2018; 김수향, 2020)와 학습성과 및 만족도 연구(우경애, 2015; 고은영, 2022)를 비롯해 PBL 혼합 및 융복합 수업모형을 활용한 연구들(최은영, 이우숙, 2010; 강인애, 이현민, 2015)이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PBL 교수-학습방법을 대학 교양수업에서 음악 교과목에 활용한 사례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BL 수업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음악감상활동 및 체험 등을 통해 부여되는 유익함을 공동체 협력학습으로 함께 하여 주제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에 능동적인 참여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직면하는 학습 현장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고, 수업 과정에서 자기주도학습, 비판적 사고력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년제 B대학교에서 교양교육으로 운영하는 ‘음악의 이론과 감상’ 교과목에 PBL을 적용하여 6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대별, 장르별 음악 학문 지식 및 감상활동과 함께 10주간의 수업사례를 연구하였다. 대학의 교양교육 부서 교양과정은 학문 탐구의 기본 소양과 바람직한 인성 및 역량을 갖춘 창의적 미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여 기초, 일반, 확대 교양 등 높은 교육 수준을 유지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음악의 이론과 감상 수업 외 관련 교양 음악수업으로, 뮤지컬 영화감상과 이해, 합창, 현대음악의 이해 등 다양한 음악예술 학습으로 전문성 있는 소양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적용 교양 음악수업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관한 효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음악 교양교과 운영을 위한 정보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PBL 이론 고찰

2.1.1. PBL의 개념 및 핵심역량

PBL이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 및 결과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학습자들이 팀을 이루어 문제를 분석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학습한 지식을 팀원들과 공유, 적용하여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한다(Barrows, 1988). PBL 학습방식은 경험적⋅실천적 토대를 근거로 발생하였다. 이는 교육 내용이 현실에서 실제로 적용이 가능한 지식과 기술로 환원되지 못하는 교육의 현실에 대한 반성과 대안적 접근으로 시도되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습과 문제해결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을 둔다. 또한, 교수자에 의한 일방향적인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능동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을 기본 원칙(조연순, 이명자, 2017)으로 한다.

Savery(2006)에 의하면, PBL은 학습자가 직접 학습을 수행하여 이론 및 실천을 통합하고, 지식과 기술의 적용을 위해 자율권을 부여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교육과정 접근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PBL은 단계별 설계 절차에 따라 수업이 이루어진다. Barrows and Myers(1980)가 제안한 수업모형 7단계는 수업 도입, 문제제시, 문제분석 및 해결, 문제 재확인, 후속 단계, 결과물 제시 및 발표, 결론 해결 이후의 단계이며, 핵심적인 수업의 단계로는 문제제시 단계, 문제 재확인 단계, 발표단계, 그리고 문제 결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Barrows(1994)는 PBL 수업의 특성 및 성과를 중심으로,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자 중심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제해결 바탕의 지식 습득 및 적용을 위한 사고력과 그룹 구성원 간의 협동이 원활히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 바 있다. PBL 수업은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개별학습과 그 과정에서 해결되지 못한 부분을 도울 수 있는 그룹 토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이승은, 김영미, 2018). PBL 교수-학습방법은 실제 세계의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및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게 하고,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학습의 동기를 유발하게 하거나 토론 태도 등을 학습하도록 이끈다. 한편, 행동적인 측면은 사회적 맥락과 관련된 교과의 내용으로 개인적⋅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기술과 협동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교수-학습 모형(장경원, 2006)이라 할 수 있다.

대학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예로는 기존의 강의법 외 액션러닝, 토의 및 토론법, 프레젠테이션법, 사례연구법, PBL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 PBL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자기주도적 학습역량과 문제해결 역량이 필요한 대학생들에게 적합하며, 이를 통해 사회성 증진과 인지적 능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Dunlap, 2005). 그리고 개방형의 학습 환경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비판적⋅분석적 사고 개발이 용이하도록 풍부한 학습 환경을 조성, 제공하며, 학습자들이 팀 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성 발현을 극대화(Driskell & Salas, 1991)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BL의 4C 핵심역량은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협업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창의력에 관해 Boden(2004)은 심리적⋅역사적 창의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적인 평가 및 결과와는 관계없이 개인에 따른 독창적이고 새로운 것을 심리적인 창의성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아이디어와 새로운 발견들이 사회적인 평가를 거쳐 타당성을 인정받고 창의적 산출물을 생산하는 것을 역사적인 창의성이라고 제시하였다. 비판적 사고는 평가 및 분별에 필요한 논리적인 사고를 말하며, 문제해결 과정과 의사결정의 유도를 위해 비판적인 사고를 중요시하여 스스로 판단하는 개인적 성향, 지적 열정, 지적 정직함, 신중함 및 객관성을 토대로 문제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경향을 의미한다(Facione, Facione & Sanchez, 1994). 협업능력은 최소 2인 이상의 동등한 구성원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공유된 의사결정에의 자발적 참여의 상호작용 형태로, 문제해결을 위해 조정된 노력을 함께 하는 것이다(김선주, 2019).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은 둘 이상의 사람 관계 사이에서의 사실, 생각, 의견, 감정 교환을 통해 공통적인 이해를 하는 행동으로, 조직체 내 구성원들은 일대일이나 기술적 매체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조영진, 2019).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은 의사결정 및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수행, 판단, 적용하는 데 불가분의 관계라 할 수 있다(엄숙, 최유진, 이병호, 2019). PBL 학습의 교육적 가치에 관해 조연순(2006)은 PBL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신장, 지식의 습득과 전이 및 활용능력 배양, 학습자의 흥미유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협동능력의 습득 등 교육적 가치의 유익함을 강조한 바 있다.

2.1.2. PBL의 진행 과정 단계

PBL의 과정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수업의 특징 및 학습목표에 관한 교수자의 설명과 학습자들의 이해로 수업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 PBL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의 수립으로 수업이 설계되어야 한다. PBL은 Barrows(1994)의 전개 과정을 기본으로 하며, 전개 과정에서 많은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 및 설계에 적절하게 수업 절차와 내용을 변형해 왔다. Barrows and Myers(1980)가 제안한 PBL 실행 과정 7단계를 기초로,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PBL 모형 중 공통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4단계는 문제제시, 계획 및 탐색, 문제해결, 발표 및 평가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재구성하여 <표 1>에 제시하였다.

PBL의 실행 과정

2.2.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의 효과 요인

음악은 상징과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람들의 삶의 양식에 관한 반영과 개인 및 집단 표현, 소통에 유용한 도구가 된다(Abeles, 1980). 또한, 함께 노래하거나 연주 및 합창, 창작활동 등의 참여 경험은 즐거움과 만족감을 부여하여 긍정적인 교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Silverman, 2003). 대학의 교양 음악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선호 및 요구가 교양교과의 목적과 내용에 부합되어 연계성 있고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실천적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전인적 교육을 기반으로 적응력을 갖춘 학습의 주체자로서, 음악적 소양의 효과적 표현과 원만한 소통, 대인관계 및 팀워크,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 등 학습의 즐거움을 마음껏 경험할 수 있도록(한수정, 한경훈, 2022), 개인적 자발성과 능동성을 고취하고, 상호작용을 통한 핵심적인 소양의 습득으로 주요 역량 함양과 더불어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해야 함이 강조된다.

본 연구에서는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의 효과 요인에 관한 교육적인 영향으로,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목표를 세우는 일부터 학습전략 수립과 필요 자원을 선택하고, 자신의 학습을 실행, 평가하는데 주도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학습의 전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계획, 실행하고 평가하는 학습 과정으로, 학습 내용보다는 과정 및 방법에 초점을 둔다(우경애, 2015). Candy(1991)에 의하면, 대부분의 고등교육 기관에서 중점을 두는 자기주도학습의 목적은 학습자 자신의 학습에 관해 자기주도적인 참여와 계획을 수립하는 자기관리력의 향상에 있다. Zimmerman(1986)은 자기조절 학습전략(SRLS) 측정도구 개발을 통해 자기조절 학습전략 요인을 인지적, 상위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측면에서의 14가지 전략을 포함하여 구성하였으며, 허남진(2004)은 학습호기심, 학습열정, 학습책임감, 학습 탐구심 등으로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구성 요소에 관해 설명한 바 있다.

다음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요인과 관련해 창의성이란 일반적으로 새롭고 적절한 산물 또는 아이디어를 만드는 능력을 의미한다. 최근, 문제발견, 문제에 대한 민감성, 문제형성 과정 등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창의성의 중요한 능력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1953년 Osborn이 7단계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제안한 후 Treffinger, Isaksen 등과 같은 교육학자들에 의해 수정, 보완된 바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학생들이 실제 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상황이나 도전 사항을 창의적⋅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일반적 영역과 특정 영역의 지식 및 기능, 확산적 사고, 논리적⋅비판적 사고, 동기적 요소 등 5가지의 요소로 제시해 볼 수 있으며,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므로(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대학생들에게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문제해결력은 주어진 문제에서 시작하여 논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며,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기초로 한다. 예컨대, 인제의대 2009 문제중심학습 워크숍의 보고에서는 학습자의 메타인지 능력 촉진, 가설 추론 및 문제해결 과정의 개념적 체계를 위한 개념지도 작성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문제해결에 필요한 귀납적 추론 능력을 구조적으로 향상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PBL의 교육적인 영향으로, 문제해결능력은 하위단위로서 사고력 및 문제처리 능력을 동반한다. 또한, 업무 수행에서 문제상황 발생 시 창조적⋅논리적 사고를 통해 이를 바르게 인식하고 적절히 해결하는 능력으로(이승은, 김영미, 2018), 대학에서는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위해 PBL 교수법 활용 수업의 운영을 권장하고 있다. PBL을 적용한 수업은 협동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성을 나타냈으며(신희선, 2011; 공하림, 2014),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력을(김수향, 2020) 보인 바 있다.

한편, 비판적 사고력은 학습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며,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 및 기능을 새로운 상황에 전이할 수 있는 수행역량에 중점을 둔다. 이는 문제이해, 자원탐색, 가능한 해결안의 구안, 최종의 해결책 선택과 검토 등으로 진행하는 문제해결 과정의 단계별 활동에서 팀 구성원들과 지속적인 반성적 사고의 공유를 통해 개인적인 성찰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찰 과정을 촉진하여 전인적이고 조화로운 판단 역량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비음악교사의 통합적⋅수렴적 사고 개발을 위한 PBL 교육 사례 연구(김영미, 조대현, 2019)에서는 PBL 교육이 학습자 중심 PBL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자 스스로 사고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고민하며, 궁극적으로는 자연스러운 내용 원리 습득을 유도하여 PBL 보고서 작성과 발표 과정에서 학습자의 포괄적 이해 및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해 긍정적인 견해를 밝힌 바 있다. PBL 적용 앙상블 음악수업의 효과성 검증 연구(이현숙, 이정은, 2020)에서는 학생들의 연주활동 정체감과 문제해결능력에 효과 및 발전이 있었으며, PBL을 적용한 수업 집단과 전통적 수업 집단의 비교 실험 연구(배영숙 외, 2005)에서는 PBL 수업 집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집단 간의 PBL 학습효과 비교 연구(유명란, 최윤정, 강명숙, 2009)에서는 PBL 수업 집단이 자기주도적 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유의미한 효과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PBL을 활용한 수업은 지식 습득뿐만이 아니라 학습자가 처한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여 해결할 수 있는 훈련의 개별학습과 그 과정에서 해결되지 못한 부분을 돕는 팀 활동의 협업과정을 취하여 문제해결에서 바탕이 되는 자료수집 및 습득한 지식 적용을 위한 사고력과 팀 구성원 간의 협동으로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은영, 2022). 한편, 디자인 PBL을 적용한 수업 집단의 경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이 향상하였으며(박양미, 2014; 우경훈, 2016), 서현화와 심현애의 연구(2019)에서는 PBL 적용 수업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협동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요인이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밝혔다. 반면, PBL 수업이 문제설계나 학습자들의 조별활동 지도, 수업촉진자로서의 교수자 역할 변화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언급한 연구(강인애, 이현민, 2015)의 견해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PBL 수업만족도 평가와 함께 학습에 대한 성찰일지 및 소감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PBL 교수-학습 모형은 개별학습과 팀 학습을 통해 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강조하며, 개별적⋅공개적인 성찰 결과를 통해 학습자가 개별화된 경험과 지식에 관한 일반화를 꾀할 수 있다(강인애, 1999). Beveridge(2009)에 의하면, 성찰저널은 개인이 경험하는 활동을 기록하고, 개인 학습자 자신의 말이나 행동, 신념 등을 글로 표현하여 과제를 이해해 나가는 자신의 사고 과정, 또는 내면의 과정을 서술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해 Kolb의 학습사이클에서는 이를 흔히 경험과 성찰로 요약하여 설명하고 있다. 학습의 출발은 맥락성과 상황성에 입각한 구체적인 경험에서 시작되며, 개인 학습자의 성찰적 관찰 과정이 첨가되어 특별한 의미 없이 지나칠 수 있었던 개인적인 경험이 새로운 의미와 가치, 개념을 창출하거나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되어 의미 있는 경험으로 재탄생된다(Jasper, 2003). 한편, 성찰 지원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권성호, 유명숙, 2006)에 의하면, 성찰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학습 진행에서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개선 방법에 관한 인식이나 확인 등의 메타인지 능력, 또는 자기조절기능 및 사고 과정을 개발하는 역동적⋅생성적 학습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학습만족도 및 성과는 학습자의 학습에서 인지적 영역뿐만이 아니라 정의적 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학습 과정 전반에 대해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는 학습에 관한 자신의 인식을 의미한다(양연숙, 2003). 교양교육에서의 음악수업은 다른 전공 분야와는 차별화된 음악예술에 대한 성향 및 태도를 요구하므로, 다양한 개인특성을 가진 음악 비전공 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수업의 만족도에 관한 효과 검증은 교육학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교육만족에 관한 연구(신효정, 민혜리, 2009)에서는 교수, 수업운영, 상호작용과 피드백, 수업내용, 평가 등 5가지의 요인을 제시하여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한 바 있다. 교수자는 학생들과 심리적⋅교육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수업만족 향상을 돕고, 대학과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양 음악수업에의 효과성과 적절성, 평가 등을 세밀히 구성하고 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 교양 음악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력과 음악교양과목의 다양화, 다각적 수업 진행, 평가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한수정, 한경훈, 2022), 차별화된 음악활동의 경험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학습의 증진과 교양 음악교육의 개선 및 방안 탐색을 위한 창의적⋅혁신적인 교수-학습 전략이 요구된다.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 이론 고찰을 토대로, PBL을 적용한 대학생의 교양 음악감상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관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을 분석하고, 대학생의 음악학습에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탐색을 위한 조사 자료와 개별 및 팀별 평가, 소감 성찰일지 등 양적⋅질적자료를 활용한 서술적 연구이다.

3.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A지역에 소재한 4년제 B대학교에서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교과 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남녀대학생으로서,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28일~12월 7일까지이다. 연구 조사는 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연구목적에 대해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학생들로,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한 후 최종 연구대상은 총 66명이다. PBL을 적용한 수업은 중간 및 기말 평가 기간을 제외하고, 전체 10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자는 매주 3시간씩 3학점으로 운영되는 음악의 이론과 감상 수업의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PBL 적용 교양 음악수업 참여 학생들의 응답을 토대로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그러나 연구대상 선정에서 국내 한 곳의 4년제 종합대학교에 재학하며, PBL을 적용한 교양수업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여러 전공 및 다 학년 학생들의 교양 음악수업으로 국한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에 주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전공 학생들의 적절한 팀 구성 및 주제 제시, 성과요인에 관한 의미 있는 내용 도출을 위해 대상 학습자들의 개인적 특성 배경에 관해 파악하였으며, 분석의 결과,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39명의 59.1%, 여학생은 27명으로서 40.9%의 비율로 나타났고, 학년별에서는 2학년이 34명의 51.5%로 가장 많았다. 학업 계열 구분에서는 공과대학 계열이 15명으로 22.7%의 비율을 보였으며, 거주지는 ‘하숙 및 자취’가 25명의 37.9%, ‘기숙사’가 22명의 33.3%의 응답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편, 학생들의 교양 음악교육에의 원활한 참여를 위한 의견과 현황의 분석결과, 교양 음악감상교육의 효과적 학습방식에 대한 응답에서는 ‘다양한 매체 활용 중심’이 25명의 37.9%, 대학에서의 음악교양교육 필요성은 ‘정서적⋅심리적 건강과 안정을 위해’가 49명의 74.2%, 대학 교양 음악교육의 활성화에 필요한 사항은 ‘다양한 음악교양교과 및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응답이 38명의 57.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표 2>.

개인적 특성배경 (N=66)

3.3. 측정도구

3.3.1. 팀별평가

본 연구에서 최종 발표인 음악수업 세션 진행에서 총 5개의 팀 평가항목에 따라 팀별 평가가 진행되었다. 각 팀은 성별 및 학업 계열 등을 토대로, 6~8명씩 총 7개의 팀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팀 평가 문항은 총 6문항으로, 평가 요소에서 5문항으로 구성된 내용은 팀명을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그 외 종합적인 팀별 평가 1문항은 ‘매우 미흡함’의 1점~‘매우 좋음’의 5점의 Likert 척도의 구성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3>과 같다.

팀 평가항목

3.3.2. 개별평가

본 연구에서는 10주간 PBL을 적용한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개별평가를 시행하였다. 개별평가지는 ERICA IC-PBL 자료를 바탕으로, 각 팀원에 대해 문제해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지, 문제해결 활동에 도움이 되는 태도 및 발언이 있었는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하였는지,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는지, 해결안 및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도출하였는지, 비판적⋅창의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는지, 학습 결과물을 충실하게 제시하였는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고자 하였는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하였는지에 관해 총 9문항에 대해 평가하였다.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 구성이다.

3.3.3. 사전-사후 설문지

연구에서 사용한 사전-사후 측정도구는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교육에 관한 분석을 위해 고찰한 선행연구들(류은수, 서민원, 2014; 김병길, 2013; 우경애, 2015; 이승은, 김영미, 2018; 고은영, 2022)을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 및 대상에 적절하게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표 4>에서는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측정도구 변인에 관한 설명과 함께 척도와 신뢰도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성 변인 설명

①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변인은 학생들이 느끼는 학습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 등 자신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인식 정도를 의미하며, 측정도구는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허남진(2004)의 연구를 바탕으로 우경애(2015)의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의 척도 신뢰도는 .917이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주도학습 역량 측정을 위한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 구성이며, 이를 합산, 투입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 분석결과, 사전 검사에서 .715, 사후 검사에서는 .854로 나타나 대체로 양호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②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변인은 학생들의 정보수집 및 분석능력, 확산적 사고 및 의사결정, 기획력, 문제해결력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것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파악하기 위해 고은영(2022)이 사용한 문제해결력 척도를 활용하였다. 기존 연구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척도를 본 연구의 대상에 적절하게 구성하여 총 20개의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 구성이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 분석결과, 사전 검사에서 .810, 사후 검사에서는 .890으로 나타나 양호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③ 비판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변인은 학생들 자신이 수업을 통해 얻게 된 비판적 사고능력의 변화 정도에 대한 인식을 묻는 것으로써, 총 6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이다. 이는 기존의 PBL 교수학습 설계모형 성과에 관한 연구(류은수, 서민원, 2014)에서 사용된 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판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 구성이며, 합산하여 활용하였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 분석결과, 사전 검사에서 .764, 사후 검사에서는 .840으로 나타나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비판적 사고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④ PBL 수업만족도 및 성찰일지

수업만족도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PBL 수업에 대한 만족 정도를 묻는 것으로써,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이다. 이는 대학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관한 연구(김병길, 2013)에서 사용한 척도를 토대로 본 연구의 대상에게 적절하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업만족도 측정을 위한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 구성이며, 합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29로써 양호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업참여에 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PBL 적용 수업참여에 관해 학생 개인의 느낌을 살펴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활용하였다. 성찰일지 문항은 7가지의 서술형 문항 구성이며, 내용으로는, PBL을 적용한 이번 학습을 통해 배운 것, 수업에서 어려웠던 활동, 앞으로 내가 더 알고 싶은 내용, 학습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것, 수업에서 나의 부족한 부분, 수업의 학습 과정에서 느낀 점, 기타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술하기 등의 질문에 관한 소감을 서술형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요인들의 전체 문항 구성 내용 및 내적일관성에 대한 신뢰도는 <표 4>의 내용과 같다.

3.4. 연구 절차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전검사 후 PBL 수업을 운영하였으며, 사후검사까지 3단계의 과정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운영 시기는 2022년 9월 28일~12월 7일까지 중간 및 기말 평가 기간을 제외하고 총 10주간 실시되었다. 연구에서 사전검사는 PBL에 관한 이론 및 전반적인 수업계획에 관해 안내한 후 실시되었으며,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검사지를 배부하고, 회수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사후검사는 팀별 발표가 이루어진 이후 기말고사 전에 시행되었으며, 사전검사와 동일한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측정도구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진행되었다. 이와 함께 개별 및 팀별 평가, PBL을 적용한 수업의 만족도 평가 및 성찰일지 작성이 이루어졌다.

3.4.1. PBL 수업의 설계

PBL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며, 학습성취 및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고차적 사고력, 창의력 등의 촉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Scott, 2014). 최정임과 장경원(2015)에 의하면, PBL은 문제제시, 문제분석 및 학습과제 도출,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수집,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문제해결안 발표, 학습결과 정리 및 평가의 과정을 거친다. 본 연구에서는 PBL 수업에서 활용된 문제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관련 교육전문가와 함께 개발된 문제의 타당성 검토를 하였으며, PBL 수업의 과정은 Barrows and Myers(1980)의 실행 과정 7단계를 기초로,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문제제시, 계획 및 탐색, 문제해결, 발표 및 평가 단계를 적용하였다.

PBL 교수-학습 모형에서의 핵심은 새로운 지식 획득을 위한 출발점으로, 문제 설정에서 탐색 되며, 문제는 부과된 학습내용 및 지식 기술을 습득하는 데 견인 역할을 하고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과 교수전략 및 방법이 상보적으로 결합한다. 문제는 학습자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존재하는 비구조화된 현실적인 문제로, 실제 경험하는 문제이어야 한다. 조연순(2006)은 이러한 문제가 제시되어야 학습자가 스스로 해결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을 의미 있게 느끼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다시 말해, PBL 문제는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실제적이고, 협력학습을 유도해야 하며, 학습자 수준 및 경험에 적합한 비구조적인 문제로 개발되어야 한다(장경원, 최정임, 장선영, 2020). 이에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문제개발이 중요하므로, 기존 연구(김영미, 조대현, 2019; 김수향, 2020; 이현숙, 이정은, 2020)를 바탕으로, 수업에 적절하게 미리 개발해 온 문제를 팀에 배부하였으며, 교과 학습의 내용과 연계하여 실제 생활에서 연관된 문제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기숙사와 하숙 및 자취 거주자가 71.2%를 차지하여 많은 학생이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고 있으며, 학업 스트레스 등 학생들의 심리적⋅정서적 안정 및 발달 측면에 도움이 필요하다. 이에 교과 목표 및 내용으로 음악적 지식 및 감상활동을 중점으로 하여 연계한 음악예술의 활용으로 심리 정서적으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음악 주제 및 감상곡을 선정하도록 한 후 교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다양한 음악선물을 제작, 기획, 실행하여 전달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시된 문제는 대학의 음악감상동아리 리더로서 교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힐링하고 싶은 그대를 위한 음악선물’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먼저, 1회기에는 PBL 초기활동으로 6~8명으로 7개의 팀이 구성되어 팀명 선정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PBL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개념 및 정의, 수업 과정에서의 진행 내용과 문제에 관해 탐색하는 시간을 가진 후 문제제시와 함께 활동 전 PBL 효과에 대한 사전검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2회기에는 팀에 부여된 문제분석을 위해 PBL 문제의 요약 및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 도출하도록 하였으며, 이미 알고 있는 사실, 더 알아야 할 내용 등을 토론하며 팀 구성원 간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팀 기반 활동의 학습목표를 정하였으며, 교수자는 팀을 순회하면서 즉각적 피드백을 하고 필요 서식 제공과 함께 학습의 안내자 역할에 임하였다. 이후 3회기~7회기까지는 팀 구성원들의 역할 분담을 통해 문제해결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공유하도록 하였으며, 조사 수집 자료를 토대로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문제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을 통해 문제 해결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팀별로 작성된 문제 해결안과 문제 해결안을 바탕으로 계획하는 음악선물에 관해 피드백하였으며, 수업시간 외에도 SNS 등을 통해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였다. 8회기~9회기에는 완성된 내용을 토대로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통한 팀별 결과 보고와 관련된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느낀 점, 배운 점, 실천할 사항 등 소감과 함께 개별 및 팀 활동 평가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10회기에는 PBL 적용 학습의 주요 내용에 관한 요약 및 정리가 이루어졌으며, 수업만족도 평가 및 자기성찰일지를 작성하고, 사후검사로 PBL 수업을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PBL 수업모형은 선행연구(우경애, 2015; 고은영, 2022; 류은수, 서민원, 2014)에서 제안된 모형을 토대로 하였으며, 차시별 PBL 수업계획안 구성 및 활동 내용은 <표 5>와 같다.

PBL 활동 내용

3.4.2. PBL 수업의 운영

PBL을 적용한 음악의 이론과 감상 교양 교과목은 음악학문 기초 이론 탐색과 함께 감상활동을 하여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소양을 함양하도록 하고, 서양 중세 종교음악부터 현대음악 뮤지컬 및 재즈 음악까지 습득한다. 교과의 수업목표는 음악사적 시대별, 장르별로 음악의 미적 체험과 이론 지식을 쉽게 이해하도록 균형 있게 구성하여 선정된 감상곡들은 학생들이 듣기에 친숙하고 즐거운 음악으로 해설 악보와 시청각 자료 등 연계적인 음악학습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대의 음악계 전반적 상황에 적절한 감상활동을 하며, 팀 토론 및 소감, 성찰, 교수자와의 피드백 및 상호적 보완학습으로, 보다 심화된 심미적 경험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주차별 수업은 교수자의 이론 강의를 토대로, 음악 시대에 따른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배경의 지식 및 작곡가의 생애, 선정한 음악 작품 개념 및 작곡 배경과 음악 구조 및 형식, 특징 분석 등, 매 주차 학습 주제에 따른 음악이론 지식과 다양한 감상활동으로, 개인 및 그룹별 활동, 감상 소감 작성 및 성찰, 질의응답, 현장 연주회 체험 및 보고서 작성, 비평 발표 등의 구성으로 진행되었으며, 음악해석과 체험활동이 고루 다루어졌다.

PBL 문제는 강의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음악이론과 심미적 경험을 감상활동을 통해 통합적인 학습을 하는 것을 토대로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였다. PBL 문제가 제시되면 학생들이 문제에 대해 토의하고, 자신들의 경험을 기반으로 가설을 생성하며, 문제에서 주어진 사실을 확인하여 학습과제를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학생들은 조사해 올 내용에 대해 역할 분담을 하고, 각자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이 맡은 과제를 수행한 후 다시 그룹으로 모여서 문제를 이해하여 해결안을 모색하게 된다. 또한, 팀으로 다시 만나 각자 조사해 온 내용을 기초로 문제를 재확인하고 해결안을 도출하도록 하며, 문제해결 과정이 끝나면, 학생들은 해결안을 발표하고 이를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PBL 학습의 평가는 이러한 과정에서 측정되는 효과성을 근거로 하여 자기주도학습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척도로 평가할 수 있다. 학습자들의 깊이 있는 사고력 향상을 위해 교수자의 격려가 필요하며,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습득하고 내재화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함(Savery, 2006)이 강조된다. 이러한 학생들의 개인 및 팀 활동과 발표 등 능동적 수업의 참여와 심미적 경험에 관한 성찰의 과정을 근거로, 비판적 사고력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학생들은 제시된 문제해결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동료와 협력적으로 문제해결의 과정에 참여한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다양한 관련 정보를 습득하고, 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경험하게 된다. 이로써, 지식 전이, 비판적 사고력, 자기주도학습능력, 창의성, 문제해결력, 창의성 등이 함양될 수 있으며(강인애, 2003; 홍기칠, 2009; Tan, Chye & Teo, 2009) 이를 평가할 수 있다.

교과의 수업은 주 1회, 1일 3시간, 주차별 음악이론 주제별 학습 및 감상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교과 내용은 음악이론 강의 및 감상활동을 주된 학습으로 하여 주당 3시간 수업 중 PBL은 1시간 정도의 구성으로 10회기 진행되었다. 그리고 평가는 중간 및 기말고사를 통한 성취 평가, 음악 연주회 현장 관람 및 보고서 작성과는 별도로, PBL 학습 과정 및 결과물 발표는 ‘기타’에 해당하는 참여도 점수로 부여하여 팀 활동 및 실습 체험 과제 영역으로 제시, 운영하였다. PBL 적용 교양 음악수업에서 팀에게 주어진 주제는 대학의 음악감상동아리에서 교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힐링하고 싶은 그대를 위한 음악선물’로 진행되었다. 각 팀의 구성원들은 대상자에 대해 탐색하여 학업 스트레스의 증상을 파악하고, 음악선물에 관한 전달 내용을 선정하여 진행하며, 각 구성원이 선호하는 음악활동 및 매체 관련 선물 유형에 따라 계획서를 작성, 제작한 후 이를 전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팀 결과 보고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팀별 구성원들의 활동 진행 및 소감에 관해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활동 계획서 작성 시 음악선물의 제작 및 전달에 관한 계획서 작성과 함께 자료수집에 관해 그룹별로 의견을 나누었으며, 대상자가 대학생들인 만큼 세대가 선호하는 선정 곡을 중심으로 하여 그에 적절히 수행이 가능한 음악 연주 및 악기활동과 창의적이고 다양한 음악 관련 선물을 준비하였다.

<표 6>은 PBL 문제에 관한 세부적인 제시 내용이며, [그림 1]은 주제 내용에 따른 학생들의 PBL 활동 결과물 발표 장면 및 관련 자료 사진이다. 그리고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이 팀별 토론을 하고, 세션 결과 발표를 준비하며 10주간 주어진 주제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에서의 사진 및 자료예시는 [그림 2]와 같다. 이는 학생들의 PBL 문제에 대한 팀별 과제수행계획서 작성 활동 과정과 창의적 아이디어 촉진을 위한 Slido 활용 자료의 예시이다.

제시된 PBL 문제 내용

[그림 1]

PBL 활동 결과물 사진

[그림 2]

PBL 적용 음악수업 진행 사진 및 자료

[그림 3]은 PBL을 적용한 음악수업 진행에서의 팀 활동 자료 조사의 계획 수립 과정과 개별 평가 측정 활동지, 그리고 느낀 점, 배운 점, 실천할 사항 등의 소감 활동지, 성찰일지의 활동지 내용에 관한 예시 자료이다.

[그림 3]

PBL 적용 음악수업 진행 자료

3.5.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양적자료의 분석은 SPSS 23 Program을 활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의 개인특성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요인의 유의성 파악을 위해 측정도구의 문항 신뢰도를 산출하고, 사전-사후 효과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M, SD)를 시행하고, 질적자료 분석으로는 학습자 자신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주제 및 단어의 범주화 작업을 거쳐 하위주제를 도출하였으며, 팀 활동에 관한 개인의 느낌과 인식에 관해 발견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4. 연구결과

4.1. PBL 팀별 종합평가

PBL 수업의 평가는 학습자 자신의 개별 및 팀별 종합평가로 진행되었으며, 학생 스스로 평가에 참여하여 학습 주체자로서 책임감을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관찰,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팀별 평가는 팀 활동 전반에 관한 종합적 평가로 실시하였으며, 팀의 우열 구분을 위한 팀 평가 내용 부분에서는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많이 제시함, 다양한 학습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합리적 근거 및 이유로 의견을 제시하고 학습 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보고함, 흥미를 가지고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조원 간 의견을 존중하고 서로 도우며 학습을 이끎, 다른 조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열심히 학습에 임함 등 5가지 문항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평가와 성찰을 통해 학습 구성원들이 세운 팀 규칙 준수이행 및 반성적 사고를 수행하여 내면의 발전적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 진행 중 마지막 단계의 ‘발표 및 평가’에서는 팀별 활동 진행을 위해 팀별 활동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고, 동료 및 친구 등 음악선물 대상자의 관련 활동에서 요구되는 조사 자료 및 활동 보고를 위해 팀 구성원 각자 맡은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개인별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선정된 대상자들과 연관된 문제점에 관한 논의 및 목표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 등 최종 결과물 제시 및 발표를 위해 각 구성원의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결과 보고 발표에서 제시된 음악 관련 제작 선물로는, 좋아하는 음악 및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전달, 클래식 공연 관람 동반, 음악시디 및 음악 영상물 제작, 시 낭송과 음악 녹화물, 음악 편지, 가창 및 악기 연주 활동과 녹화영상 등 다채롭고 흥미로운 결과물이 도출되었다. 예컨대, 1조의 발표 사례에서는 친구를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전달된 음악선물로, 대상자의 불면증과 저하된 집중력 회복을 목적으로 정하여 친구의 내면과 선호 곡을 탐색하였으며, 음악을 매개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캠퍼스 내 적절한 공간을 정하여 직접 노래를 부르고 기타로 즉흥 연주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2조의 발표 사례에서는 타지에서의 학업생활을 힘들어하는 친구를 대상으로, 음악선물을 만들어 자신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위로하고, 다가오는 시험을 잘 준비하고 긍정적으로 학교생활에 임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친구가 좋아하는 곡을 파악하여 즐겁게 웃는 모습을 떠올리며, 소녀시대의 ‘힘내’와 처진 달팽이의 ‘말하는 대로’ 노래를 직접 부르면서 녹화 영상물을 찍고 그 위에 편지를 함께 써서 제작, 전달하는 활동을 하였다.

<표 7>의 내용과 같이 팀별 프레젠테이션 발표 후 종합평가에서 주어진 팀별 점수의 합산 결과, A팀이 4.8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 F팀, G팀, B팀, E팀, C팀, D팀의 순이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팀별 종합평가 자료분석 결과에서 종합평가 내용 및 개선점의 주된 성찰 의견을 살펴보면, A팀의 경우, 가설과 사고 과정에서 음악선물을 하기 위한 사항을 꼼꼼히 파악하였으며, 다양한 음악선물의 형태 제시, 문제에 대한 설명 및 고려사항과 함께 도출된 결과에 관해 이해하기 쉬웠다는 긍정적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개선 및 추가 필요사항으로는 사고 과정에서의 다양한 의견 및 느낀 점을 함께 설명해주기를 바라였고, 악기 연주활동 등 실제 영상물 제시를 추가로 희망하는 의견이 주된 내용이었다. 한편, F팀의 경우에는 다양한 선물 사례와 발표자의 빠르고 정확한 진행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창의적으로 다양한 방법과 사례를 제시하고 자료를 준비하였으며, 조원들의 공통된 음악선물 목적과 선정 곡 및 느낀 점을 잘 설명했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자신감 있게 발표하는 것에 대한 보완과 선물하기까지의 사고 과정이 좀 더 잘 드러나지 못한 점이 아쉽다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각 팀의 평가 분석 결과에서 전체 팀에 대한 구체적인 종합평가 내용은 <표 7>에 제시한 바와 같다.

팀별 종합평가 분석결과

평가에서 5가지의 팀 평가항목에 관한 학생들의 전체 응답을 살펴보면,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많이 제시한 팀은 A조였고, 다양한 학습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합리적인 근거와 이유를 들어 의견을 제시하고 학습 결과를 가장 이해하기 쉽게 보고한 팀도 A조였다. 그리고 흥미를 가지고 학습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팀은 F조, 조원 간의 의견을 존중하고 서로 도우며 학습을 이끈 팀은 C조이었으며, 다른 조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열심히 학습에 임한 팀에 관해서는 C조, F조, G조가 모두 동일한 긍정적인 응답 반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생들의 팀 평가를 통해 팀 구성원의 다양한 의견에 관한 긍정적 경청 및 수용과 함께 상호적 소통과 능동적 협력학습의 인식 및 성과를 살펴볼 수 있다.

4.2. 사전-사후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전-사후 설문을 하였으며, PBL 적용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나타내는 효과에 관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증의 분석결과는 <표 8>의 내용과 같다.

PBL 적용 사전-사후 대응표본 검증 결과 (N=66)

분석의 결과, PBL 수업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있어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요 요인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 전의 자기주도학습의 평균은 3.58이며, 수업 후의 평균은 3.86으로써, 사전검사 결과보다 .28점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평균은 3.54이고, 수업 후의 평균은 3.84로써, 사전검사 결과보다 .30점이 상승하였으며, 비판적 사고력의 평균은 3.43이고, PBL 수업 후의 평균은 3.92로써, 사전검사 결과보다 .49점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전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대응표본 t 검정의 분석결과, 자기주도학습의 t 값은 -4.431이며,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t 값은 -5.310, 비판적 사고력의 t 값은 -6.761로,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대학생들의 교양 음악수업에 PBL의 적용은 유의한 효과성이 있음을 사전-사후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3. PBL 수업만족도 및 성찰일지 분석결과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이 대학생들의 수업참여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만족감의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9>의 내용과 같다.

PBL 수업만족도 분석결과 (N=66)

분석의 결과, PBL을 적용한 교양 음악수업의 만족도 측정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전체 평균은 4.06점으로 확인되어 PBL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PBL을 적용한 음악감상 기반 수업의 팀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성찰일지에서는 PBL 적용 학습을 통해 배운 점과 어려웠던 활동, 앞으로 더 알고 싶은 내용, 학습 내용 적용이 가능한 것과 자신의 부족한 부분, 학습 과정에서 느낀 점, 기타 개인 소감 등 총 7가지의 질문에 관해 성찰 소감을 중심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한 PBL 활용 교양 음악수업의 효율성 및 미래 학습설계 기대에 관해 주된 대표적 의견을 살펴보면, <표 10>에서 제시한 내용과 같다.

PBL을 활용한 교양 음악수업의 효율성 및 미래 학습설계에 대한 기대

제시한 성찰일지에서 학생들이 서술한 내용을 통해 발견되는 인식은 창의적 사고의 발현과 공감적 소통의 긍정적 의미 발견,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 함양의 유익함, 팀 기반 협력수업의 효율성, 미래 학습설계 및 공동체활동의 기대에 관한 인식의 양상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화된 의미의 발견은 학생들이 음악감상활동을 바탕으로 연계된 PBL 활용 수업의 경험을 통해 유익한 학습의 효율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학생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경험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의견이 적극적으로 제시되어 원활한 소통과 표현으로 다루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PBL을 적용한 음악감상 기반 교양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은 대응표본 t-검증, 개별 및 팀별 평가, 성찰일지 자료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과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분석의 결과, PBL을 적용한 음악감상 교양수업은 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PBL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의 사고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협동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연구(공하림, 2014)와 PBL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의 성향이 증진되었음을 밝힌 연구(배영숙 외, 2005; 유명란, 최윤정, 강명숙, 2009)의 견해를 지지한다. 이에 PBL 적용 음악감상 활동 기반 교양 교과목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 확인된 유의미한 결과는 실제적인 교양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라 해석할 수 있으며, 자기주도학습과 비판적 사고력은 긍정적인 학습성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교수자의 일방향적인 강의방식 수업이 아닌, 참여도가 높은 학습자 중심 PBL 수업에서의 학습 몰입을 통해 다양한 요구의 충족과 함께 체계를 갖춘 문제해결 단계 과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능력이 촉진되어 효과성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이에 교육기관의 담당 부서 및 교수자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주제 선정 시 학생들의 특성과 니즈를 면밀히 파악하여 이를 반영해야 하며, 실제 학생들이 직면한 생활상의 문제와 연관된 적절한 PBL 주제와 과제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부여해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 개별 및 팀 학습활동의 진행을 위해 충분한 소통 및 지지와 섬세한 배려가 요구되며,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최신 정보 및 자료수집 전략 탐색과 함께 이를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방식 제시와 상호적 피드백의 강화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팀 구성원 간의 원활한 협력적인 활동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차후 다양한 음악예술 학문 교과목에의 PBL 적용 확장을 위해 창의성 있고 자율적인 평가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PBL 수업의 만족도 평가와 성찰일지를 활용한 질적자료의 분석결과, PBL 적용 음악감상 기반 교양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성찰일지의 분석을 통해 PBL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의 발현과 공감적 소통의 긍정적 의미 발견,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 함양의 유익함, 팀 기반 협력수업의 효율성, 미래 학습설계 및 공동체활동 기대에 관한 인식 등 범주화된 의미의 양상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PBL을 적용한 학습의 초기에는 수업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 간의 협력활동이 쉽지는 않았으나, 여러 차례의 팀 기반 학습과 팀 구성원-교수자 간의 상호적 피드백 과정을 거치면서 학생들은 PBL 학습의 성과를 인지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학습 초기에는 PBL 수업이 낯설고 어색한 학생들이 팀 활동에서의 소통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체계적인 학습 단계 및 과정을 적용한 팀 활동과 교수자와의 원만한 피드백 과정에서 협력적 학습성과가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성찰일지를 비롯해 함께 실시한 PBL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활동지, 개별 및 팀별 평가 등을 통해 나타난 주된 공통적 의견의 고찰로 PBL 학습성과 및 수업만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자기성찰일지를 통해 팀 구성원 간의 소통과 공감, 협력학습, 능동적 수업 참여 및 만족에 관한 긍정적 평가는 공통된 의견이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PBL 방식을 적용한 음악감상활동 기반의 교양수업은 유익한 효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PBL 적용 음악 교양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다양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고, 자신과 다른 동료 학습자의 여러 의견을 긍정적으로 경청, 수용하여 비판적⋅확산적 사고능력의 증진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PBL을 적용한 음악수업은 학생들이 처음에는 다소 어려운 내용이더라도 자신이 스스로 이해하기 위해, 주어진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도전하고 노력하였으며, 팀 활동을 통한 협력학습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주도성을 가지고 경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수업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학생의 음악 관련 교양수업에서 학생들의 실제적인 교육 문제를 다루는 새롭고 대안적인 교육 방안으로 감상 외 다른 음악예술 관련 교양수업과 연계적⋅융합 학문 영역에서도 PBL 학습설계를 적용해 볼 것을 권면하며, 실습 및 체험 위주의 교육 지원으로 음악 교양교육의 효과와 효율성을 향상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PBL 활용 음악감상활동 기반 교양수업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구성하고, 팀 활동을 통해 협력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였으며, 비판적⋅확산적 사고로 깊이 있는 성찰을 하였다. 수업의 팀 활동에서 대상자를 위한 맞춤형 음악선물의 설계와 전달 계획 및 진행, 팀별 발표 및 평가 등 전반적인 학습의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제 생활 속 현장 체험을 중심으로, 해결능력 향상에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심도 있는 성찰을 통해 느끼고, 배우고, 실천할 사항 등에 관해 나누었으며, 정보 및 자료 수집, 토의하기, 경청, 공감, 소통, 배려하기, 협력적으로 문제해결 하기 등 다양한 사고력의 증진 과정을 통해 PBL과 음악교과 교양교육의 핵심적인 활동 및 학습에 관한 유익함을 인식하였다. 이에 PBL 기반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을 위한 교육방법임이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의 원만한 대인관계 및 더 나은 사회활동과 함께 풍부한 소양 습득 및 창의적⋅심미적⋅예술적 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교양교육으로의 성장과 바람직한 변화로 발전을 기대해 본다.

본 연구는 PBL을 적용한 음악 교양수업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함의가 있으나 연구에 대한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으며, 이를 위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대학 및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대학생들의 다양한 음악활동에 관련된 연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과의 비교, 차이 분석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PBL 적용 교양수업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학습 평가방법의 다양화로 차별화된 방안을 고려하도록 하고, 활용한 측정도구 문항을 재탐색하여 실증적 분석으로 유의성을 밝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PBL 활용 교양 음악수업과 관련된 대학 기관의 담당자와 교수자, 학생들과의 심층면담 수행 및 관찰, FGI 등 심도 있는 질적연구를 병행한 혼합연구로 다양한 음악예술교과 및 교양교육 분야에 PBL을 활용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PBL을 적용한 학습성과에 영향력을 보일 수 있는 여타의 변수들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교수방식의 혼합 및 확장으로 학습자 중심의 새롭고 혁신적인 교수-설계와 방법을 적용한 음악 교양교육의 지속적인 연구 수행을 제안한다.

References

1. Abeles H. 1980. Responses to music. In : Hodges D. A, ed. Handbook of music psychology Debuque: Kendal-Hunt.
2. Bae Y. S, Lee S. H, Kim M. H, Sun K. S. 2005;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184–190.
3. [배영숙, 이숙희, 김미희, 선광순. (2005). 문제중심학습(PBL)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비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84-190.].
4. Barrows H. S. 1988;The tutorial proces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5. Barrows H. S. 1994;Practice-based learning: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6. Barrows H. S, Myers A. C. 1980;Problem-based learning: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Springer Publishing Company
7. Beveridge I. 2009;Teaching your students to think reflectively:The case of reflective journals.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2(1):33–43.
8. Boden M. 2004;The creative mind:myths and mechanisms. Routledge
9. Candy P. 1991;Self-direction for life long learning: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Ossey-Bass
10. Chang K. W. 2006;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activities in online PBL.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2(3):33–63.
11. [장경원. (2006).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활동특성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33-63.].
12. Chang K. W, Choi J. I, Jang S. Y. 2020;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PBL problem and implementation pla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569–594.
13. [장경원, 최정임, 장선영. (2020). PBL 문제 및 수업운영 계획을 위한 실천지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569-594.].
14. Cho E. J. 2006;The effects of PBL based clas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leadership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6(4):33–51.
15. [조은주. (2016). PBL을 활용한 교양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6(4), 33-51.].
16. Cho Y. S. 2006. The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17.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8. Cho Y. S, Lee M. J. 2017.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19. [조연순, 이명자. (2017).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 Choi E. Y, Lee W. S. 2010;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BL by employing blended learning on instruction in a nursing colleg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6(2):96–104.
21. [최은영, 이우숙. (2010). 간호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 설계 및 운영 사례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6(2), 96-104.].
22. Choi J. Y, Chang K. W. 2015. Teaching with PBL Hakjisa. 2nd edth ed.
23. [최정임, 장경원. (2015). PBL로 수업하기 (2판). 학지사.
24. Driskell J. E, Salas E. 1991;Group decision making under str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3):473–478.
25. Dunlap J. C. 2005;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3(1):65–85.
26. Eom S, Choi Y. J, Lee B. H. 2019;The influence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on the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2):151–158.
27. [엄숙, 최유진, 이병호. (2019). 취위생 전공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2), 151-158.].
29. Facione N. C, Facione P. A, Sanchez C. A. 1994;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ment: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8):345–350.
30. Han S. J, Han K. H. 2022;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life adaptation through music liberal art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6(6):261–275.
31. [한수정, 한경훈. (2022). 대학생의 음악교양교육을 통한 생활적응 영향 요인 연구. 교양교육연구, 16(6), 261-275.].
32. Hong K. C. 2009;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by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vel. Korean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5(2):25–48.
33. [홍기칠. (2009). 자기주도 학습력 수준에 따른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사고개발. 5(2), 25-48.].
34. Huh N. J. 2004. Analytical study on the predict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n learner's variables.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35. [허남진. (2004).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36. Jasper M. 2003;Beginning reflective practice. Nelson Thornes Ltd
37. Jo Y. J. 2019. A qualitative study on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8. [조영진. (2019). 서울하늘초등학교의 교원 간 의사소통에 관한 질적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9. Kang I. A. 1999. Constructivism and subject education Muneumsa.
40. [강인애. (1999).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문음사.].
41. Kang I. A. 2003;PBL theory and practice. Muneumsa
42. [강인애. (2003). PBL 이론과 실제. 문음사.].
43. Kang I. A, Lee H. M. 2015;A case study of PBL in a college general art clas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635–657.
44. [강인애, 이현민. (2015). 융복합수업모형으로서의 PBL.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635-657.].
45. Kim B. G. 2013;A research on PBL teaching-learning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2):53–70.
46. [김병길. (2013). 대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방안. 열린교육연구, 20(2), 53-70.].
47. Kim J. Y. 2019;A study on the future society'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sign Research 4(2):144–154.
48. [김지영. (2019). 미래사회 창의융합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4(2), 144-154.].
49. Kim K. J, Kim A. Y, Cho S. H. 1997;Conceptualiza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chool Subject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5(2):129–153.
50. [김경자, 김아영,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51. Kim S. H. 2020;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learning motivations,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and learning styles in PBL clas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1(6):1929–1944.
52. [김수향. (2020). PBL 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효과 및 학습양식 간의 관계. 인문사회21, 11(6), 1929-1944.].
53. Kim S. J. 2019;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llaboration ability according to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recogni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3):53–75.
54. [김선주. (2019). 대학생의 협업 경험, 협업 인식에 따른 협업능력 차이 연구. 교양교육연구, 13(3), 53-75.].
55. Kim Y. M, Cho D. H. 2019;PBL model development to improve student teachers'understanding of education theory and of integrated and convergent thinking.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17(3):157–172.
56. [김영미, 조대현. (2019). 예비음악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통합적⋅수렴적 사고 개발을 위한 PBL 교육사례. 예술교육연구, 17(3), 157-172.].
57. Koh E. Y. 2022;The effects of design PBL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8(4):75–84.
58. [고은영. (2022). 디자인 PBL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8(4), 75-84.].
59. Kong H. R. 2014;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college-level composition courses. Journal of Korean Culture 25:7–42.
60. [공하림. (2014).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25, 7-42.].
61. Kwon S. H, You M. S. 2006;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reflection supporting tool for multiliteracies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2(1):139–159.
62. [권성호, 유명숙. (2006). 멀티리터러시 학습을 위한 성찰 지원 도구의 개발. 교육공학연구, 22(1), 139-159.].
63. Lee H. S, Lee J. E. 2020;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cation in ensemble music class.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24(4):157–188.
64. [이현숙, 이정은. (2020). 앙상블 음악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에 대한 효과성 검증. 이화음악논집, 24(4), 157-188.].
65. Lee S. E, Kim Y. M. 2018;The effects of PBL class on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class participa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8(2):73–89.
66. [이승은, 김영미. (2018). PBL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28(2), 73-89.].
67. Park Y. M. 2014;The effects of applying PBL in design practice class. Journal of Basic Design &Art 15(4):143–153.
68. [박양미. (2014). 문제중심학습(PBL)이 디자인 실기수업에 미치는 영향. 기초조형학회 논문지, 15(4), 143-153.].
69. Ryu E. S, Seo M. W. 2014;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n e-PBL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affecting the student outcome and the motivation factors through the medium of ARCS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7(3):727–756.
70. [류은수, 서민원. (2014).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 모형을 매개로 한 동기요인과 학생성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교육평가연구, 27(3), 727-756.].
71. Rhee E. 2022;Design of team activity-centric psychological art engineering class based on PjBL in the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20(2):73–92.
72. [이에스더. (2022). 대학에서 PjBL 기반 팀 활동 중심의 심리예술공학 수업설계. 예술교육연구, 20(2), 73-92.].
73. Savery J. R. 2006;Overview of problem-based learning:Definition and distinction. The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1(1):9–20.
74. Scott K. S. 2014;A multi level analysis of problem-based learning design characteristic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8(2):1541–5015.
75. Silverman M. J. 2003;Contingency songwriting in the treatment adult with mental disorders:Theoretical basis and clinical interventions. Shirmer
76. Shin H. J, Min H. R. 2009;Effects of students'maj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arning experiences and cours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3):49–72.
77. [신효정, 민혜리. (2009).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교육학연구, 47(3), 49-72.].
78. Shin H. S. 2011;The case studies about communication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10(3):137–169.
79. [신희선. (2011).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韓國敎育論壇, 10(3), 137-169.].
80. Sur Y. W, Sim H. A. 2019;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problem based learning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Art 20(2):159–171.
81. [서현화, 심현애. (2019).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20(2), 159-171.].
82. Tan O. S, Chye S, Teo C. T. 2009;Problem-based learning and creativity:A review. Cengage Learning Asia Pte Ltd
83. Woo K. A. 2015. A study of learning effects of the PBL using SNS.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84. [우경애. (2015). SNS를 활용한 PBL 수업의 학습효과 연구[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85. Woo K. H. 2016;Effect of PBL on teaching effect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Visual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Art 17(3):313–324.
86. [우경훈. (2016). 산업디자인학과(시각디자인) 대학생 대상 문제중심학습이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기초조형학연구, 17(3), 313-324.].
87. Yang Y. S. 2003.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adaptive and non-adaptive web-based learning material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88. [양연숙. (2003). 적응적 웹 학습자료와 비적응적 웹 학습자료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89. Yoo M. R, Cho Y. J, Kang M. S. 2009;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46–55.
90. [유명란, 최윤정, 강명숙. (2009). 문제중심학습(PBL)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비판적사고 성향,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46-55.].
91. Zimmerman B. J. 1986;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Which are the key sub 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4):307–31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PBL의 실행 과정

단계 구분 학습 단계 교수학습활동 내용
1 문제 제시 수업도입 팀 편성 및 팀 빌딩 문제제시 • 문제중심 기반 학습 소개
• 학습을 위한 팀 구성 및 역할 안내
• PBL 문제 필요성, 효과, 방식, 평가 방법


2 문제상황 제시 학습목표 설정 및 내용선정 • 문제제시 및 문제 이해
• 문제의 내재화
• 학습방법 및 활동 규명

3 계획 및 탐색 문제분석 및 해결 계획수립 • 문제해결을 위한 역할 분담과 탐색
• 팀 구성원 역할 분담
• 아이디어, 사실, 학습과제, 향후 계획


4 자기주도적 학습 문제 재확인 • 역할에 따른 학습활동 및 과제 해결
• 팀 상호 간 피드백 및 지원, 협동적인 학습
• 문제 재평가 및 과제수행계획서 보완

5 문제해결 문제해결과 종합적 검토 학습자료 공유 • 계획에 따른 문제해결
• 팀별 협동학습 및 교수자 피드백
• 결과물의 종합적 재검토와 수정 및 적용
• 최종 해결안 도출

6 발표 및 평가 결과발표 학습내용 재분석 • 최종 결과물 제시 및 발표, 제출
• 자료에 의한 학습 내용 재분석, 요약 및 발표


7 평가 개별 및 팀 활동 평가 • 교수자의 보충 강의 및 피드백
• 학습 및 문제해결 과정 평가, 학습 평가
•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수업만족 및 팀 구성원 능력 평가 등

<표 2>

개인적 특성배경 (N=66)

특성 구분 빈도(%)
성별 남학생 39(59.1)
여학생 27(40.9)

학년 1학년 17(25.8)
2학년 34(51.5)
3학년 11(16.7)
4학년 4(6.1)

학업 계열 인문대학 3(4.5)
사회과학대학 3(4.5)
자연과학대학 5(7.6)
경영대학 12(18.2)
공과대학 15(22.7)
전자정보대학 9(13.6)
농업생명환경대학 7(10.6)
사범대학 2(3.0)
생활과학대학 8(12.1)
약학대학 2(3.0)

거주지 기숙사 22(33.3)
하숙/자취 25(37.9)
자가 19(28.8)

교양 음악감상교육 효과적 학습방식 감상곡 관련 이론 지식 중심 15(22.7)
현장 연주회 관람 및 체험 중심 22(33.3)
대화 및 토론 학습 중심 2(3.0)
다양한 매체 활용 중심 25(37.9)
소그룹 및 학습공동체 활동 중심 2(3.0)

대학 교양 음악교육 필요성 올바른 자아성장 및 인격 함양을 위해 11(16.7)
원만한 대인관계 및 사회성 함양을 위해 1(1.50)
정서적⋅심리적 건강과 안정을 위해 49(74.2)
미래의 인재 및 리더 양성을 위해 2(3.0)
기타 3(4.5)

대학 교양 음악교육 활성화 필요사항 다양한 음악교양교과 및 프로그램 개발 38(57.6)
교육방법 정보 안내 및 홍보활동 6(9.1)
충분한 수업 시수 확보 3(4.5)
음악교육환경 구축 및 행⋅재정적 지원 16(24.2)
우수한 교원 확보 1(1.5)
기타 2(3.0)

<표 3>

팀 평가항목

구분 평가항목 배점
평가요소 1.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많이 제시한 팀 팀명 작성
2. 다양한 학습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합리적인 근거와 이유를 들어 의견을 제시하고 학습 결과를 이해하기 쉽게 보고한 팀
3. 흥미를 가지고 학습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팀
4. 조원 간 의견을 존중하고 서로 도우며 학습을 이끈 팀
5. 다른 조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열심히 학습에 임한 팀

팀별 점수 팀별 종합적인 평가 1~5점

<표 4>

측정도구의 구성 변인 설명

변인 구성 변인 설명 척도/신뢰도
자기주도 학습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인식 정도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정함, 배우고 싶은 것은 오랜 시간이 걸려도 배우고 싶음,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 학습에 강한 호기심이 있음, 질문에 답을 찾아내는 것이 재미있음, 학교 공부 교과에 흥미가 있음, 무엇이든 배우고 싶음, 자신이 잘 모르는 것을 알려고 노력함) Cronbach’s α 계수 사전 .715 사후 .854 1~5점 총 8문항 [합산]

창의적 문제 해결력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의 변화에 관한 인식 정도 (주제와 관련된 정보만 수집함, 자신의 선호방식으로 문제해결에 도움 되는 정보를 탐색함, 정보수집 후 자료출처의 신뢰성을 검토함, 수집 정보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비교함, 문제의 결정적 원인에 관해 정리함, 팀원들 간 의견 차이에 관해 긍정적으로 수용함, 기존 방식과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검토함, 주제와 관련성 없는 아이디어들도 중요하게 다룸, 문제해결에 필요한 경제적⋅시간적 문제를 비교함, 해결방법을 결정할 때 기준을 정함,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핵심을 확인함, 계획추진에의 문제 발생 경우를 대비해 Plan B를 마련함, 문제해결을 위해 배정된 시간을 생각하며 계획을 세움, 문제해결 마감일을 명확하게 정함, 해결책이 없을 것 같은 까다로운 문제라도 끝까지 해결방법을 찾음,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울 때 실천 가능성을 확신함, 먼저 결정을 내리고, 나중에 그 결정들이 제대로 된 것 같은 마음에 기뻐함, 창조적⋅효과적인 다양한 해결방법을 생각함,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면 문제해결에 근접할 수 있음) Cronbach’s α 계수 사전 .810 사후 .890 1~5점 총 20문항 [합산]

비판적 사고력 수업을 통해 얻게 된 비판적 사고능력의 변화에 대한 인식 정도 (수업을 통해 해당 분야 전문가로서의 지식 및 역량 함양을 위해 노력함, 수업을 통해 얻은 지식을 실제와 연관 지어 활용함, 주어진 문제해결에서 해결 과정이 올바른 것이었는지 되돌이켜 판단해 봄, 수업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점 보완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함, 어떤 기준에서 해석하고 판단하는 전문적 역량을 기르고자 애씀, 수업 과정에서 자신이 무엇을 잘하고 못하는지 스스로 진단하고 분석함) Cronbach’s α 계수 사전 .764 사후 .840 1~5점 총 6문항 [합산]

PBL 수업 만족도 PBL 수업의 만족에 대한 인식 정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수업에서 동료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 교수자는 학생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도와줌, 수업은 자신의 학습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 수업은 교과 특성에 맞게 잘 진행됨, 수업은 강의내용을 학습하는 데 다른 수업방법보다 효과가 있음, 과제 및 테스트는 학습내용 이해 및 보완에 도움이 되었음, 수업은 공정하게 평가되었음, 수업은 해당 분야의 전문성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됨, 수업에 전체적으로 만족함) Cronbach’s α 계수 .929 1~5점 총 10문항 [합산]

<표 5>

PBL 활동 내용

회기 PBL활동 구분 활동 내용
1회기 사전검사 초기활동 및 문제제시 사전검사(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PBL 학습을 위한 초기활동 및 문제제시, 6~8명씩 팀 구성 및 팀명 선정, 연습문제를 통한 PBL 방식 파악하기, 팀 활동 문제 주제 제시 ‘힐링하고 싶은 그대를 위한 음악선물’

2회기~3회기 문제분석, 문제해결 계획 탐색 및 수립 문제분석을 통한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수립 및 해결 아이디어 제시, 알고 있는 사실과 향후 알아야 하는 내용 분석, 팀 기반 학습목표 설정, 문제해결을 위한 학습과제 도출 및 역할 분담

4회기~7회기 개별 자료수집, 문제 재확인, 문제 해결안 제시 및 작성 개별 자료수집 및 선택(자기주도학습), 자료 이해 및 분석, 자료 종합 및 활용 자료 정리, 팀별 문제 해결안 제안,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자료수집 및 팀별 의견 공유, 문제 해결안 자료 공유 및 설명, 해결안 작성, 마인드맵 등을 활용한 아이디어 확산, 해결안 개발 및 검토, 해결안 수정 및 보완, 팀별 논의 및 문제 해결안 작성, 음악선물 제작 및 전달, 팀 활동 보고서 작성

8회기~9회기 팀별 결과 보고 발표 및 평가 팀별 프레젠테이션을 활용한 팀별 결과 보고, 개별 평가 및 각 팀 발표 평가지 작성, 개인 소감(느낀 점, 배운 점, 실천할 사항 등) 작성

10회기 사후검사 PBL 학습 정리, 수업만족도 평가 및 자기성찰일지 작성, 사후검사(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표 6>

제시된 PBL 문제 내용

PBL 문제
<힐링하고 싶은 그대를 위한 음악선물>
당신은 음악감상 교내 동아리에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으며 음악 공동체 리더로 활발하게 음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며 학업 스트레스가 많은 학생의 심리적⋅정서적 안정 및 발달 측면에 도움이 필요합니다. 학교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업 및 정서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음악예술을 활용하여 뜻깊은 특별한 선물을 주는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당신은 동아리의 이벤트로 음악 주제 및 감상곡을 선정한 후 음악선물 제작을 기획하고 이를 실행할 예정입니다. 음악곡 관련 선물의 내용은 당신이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시해 주면 됩니다. 이에 당신은 학생들의 심리적⋅정서적 안정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음악곡을 선정하고, 그것을 교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음악선물로 제작하여 전달해주세요.

[그림 1]

PBL 활동 결과물 사진

[그림 2]

PBL 적용 음악수업 진행 사진 및 자료

[그림 3]

PBL 적용 음악수업 진행 자료

<표 7>

팀별 종합평가 분석결과

연번 점수 종합평가 내용 개선 및 추가 필요사항
1 A 4.80 • 음악선물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모든 조원이 음악선물을 실례로 선물한 것이 인상적이었음
• 문제에 대한 설명 및 고려사항들을 보여주어서 어떻게 결과로 제작되었는지 이해하기 쉬웠음
• 가설과 사고 과정에서 음악선물을 하기 위한 사항을 꼼꼼히 파악하고, 경험을 발표에 반영하여 더욱 집중할 수 있었음
• 사고 과정에 대해 더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 주었으면 함
• 조원별로 선물 과정과 느낀 점을 묶어 설명하면 더 좋을 것 같음
• 피아노나 기타 치신 학우분들의 추가 영상이 있었으면 함

2 B 4.12 • 선물대상, 이유, 형태, 일시, 곡, 전달방법 등을 간략히 알 수 있었으며, 선물한 사람의 전달방법과 상대방의 반응까지 볼 수 있고 자세한 사례를 제시하였음
• 학우별로 선정한 대상의 음악선물 내용 및 후기 등을 잘 작성하여 발표하였으며, 카톡을 활용한 부분이 재미있었음
• 직접 노래 부르는 영상을 선물한 후기가 흥미롭고 신선하였으며, 발표자의 사례를 엮어 발표하여 인상 깊었음
• 음악선물의 결과뿐만 아니라 선물의 결과가 도출되기 전까지의 토론 과정 등을 기재했으면 함
• 가설 및 사고 과정에서 어떤 의견으로 선물했는지 알 수 있었으면 함
• 발표내용 전달력이 다소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어 집중력이 떨어졌음

3 C 3.71 • 발표자료에 조원들의 음악선물 사례가 잘 드러났으며, 사례가 깔끔하게 한눈에 들어오도록 간단하게 발표를 잘하였음
• 노래와 클래식 선물 전달이 많아 오랜 시간 음악을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음
• 대상자에게 위로가 될 만한 멜로디와 템포를 별도로 적용했다는 점이 다른 조와 달랐음
• 문제해결 과정의 추가 제시가 필요하며, 사례만 있어 아쉬웠고 느낀 점과 후기도 궁금함
• 선물 형태가 유튜브나 플레이리스트, 링크 공유가 많아 아쉬웠음

4 D 3.35 • 사고 과정이 잘 드러나 있어 다양한 생각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자료 제시 및 통계들을 이용해 선물을 고민한 사실이 창의적이었음.
• 학생들의 공감을 끌어냈고, 조별 활동지를 통해 사고 및 해결 과정을 잘 설명하고 음악선물을 한 계기를 알려주었음
• 음악선물 형태를 기타 및 악기 연주, 멜로디 편곡 등 다양하게 준비하였음
• PPT 및 발표자료를 보완하면 가독성이 있을 것 같고, 후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면 함
• 어떤 선물인지 시각적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아쉬웠으며, 발표 시간이 조금 길었음

5 E 3.94 • 가독성이 양호한 발표자료가 인상적이며, 구체적인 대상 정보와 음악선물을 한 사람의 생생한 후기를 들을 수 있었음
• 조원들 각자의 음악선물, 대상, 이유, 형태, 곡, 전달방법, 반응, 소감, 느낀 점 등을 조원별로 기재하고 발표를 간결하게 진행하였음
• 가설과 사고 과정의 추가와 자료를 조원별보다 항목별로 나누었으면 함
• 제시한 음악선물 외 선물방법 및 활용 콘텐츠가 더욱 다양했으면 함

6 F 4.61 • 다양한 선물 사례와 발표자의 빠르고 정확한 진행이 좋았으며, 직접 노래를 불러 선물한 조원이 기억에 남음
• 대상과의 공연 관람 동반 경험 및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를 전달한 점이 좋았고, 자료정리가 잘되었음
• 창의적인 선물을 준비한 학우가 있었고, 다양한 방법과 사례제시 및 자료를 잘 준비하였음
• 조원들의 공통된 음악선물의 목적과 선정 곡, 느낀 점을 잘 설명하였으며, 시간적으로 요약을 잘하였음
• 자신감 있게 발표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진 자료 및 자세한 설명이 조금 부족하였음
• 선물하기까지의 사고 과정이 좀 더 잘 드러나도록 준비했으면 함

7 G 4.33 • 발표가 간결하고 명시적이었으며, 다양한 의견 제시로 우리 조에 없던 의견을 들을 수 있어 사고력이 증진되었음
• 생각하는 과정과 결정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사례를 정리하여 전달이 잘 되었음
• PPT가 깔끔하고 가시성이 있으며, 발표 전달력과 발표내용 구성이 좋았음
• 시간이 더 많았다면 좋은 발표를 들을 수 있었을 것 같아 아쉬웠음.
• 음악 관련 이미지를 더 첨부하고, 글씨 등 가독성 있게 PPT가 제작되었으면 함

<표 8>

PBL 적용 사전-사후 대응표본 검증 결과 (N=66)

영역 사전 사후 t


M S.D M S.D
자기주도학습 3.58 .45 3.86 .63 -4.431***
창의적 문제해결력 3.54 .41 3.84 .47 -5.310***
비판적 사고력 3.43 .55 3.92 .55 -6.761***

*p<.05, **p<.01,

***

p<.001

<표 9>

PBL 수업만족도 분석결과 (N=66)

영역 최솟값 최댓값 M S.D
PBL 수업만족도 2.60 5.00 4.06 .64

<표 10>

PBL을 활용한 교양 음악수업의 효율성 및 미래 학습설계에 대한 기대

영역 성찰 내용
창의적 사고의 발현과 공감적 소통의 긍정적 의미 발견 • PBL 학습 절차에 따라 초기활동(자기소개), 문제제시, 문제분석 및 학습과제 도출, 개별 자료 조사, 평가, 성찰 등의 팀 활동에서 개인이 생각할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으며, 창의적인 의견들을 도출해 낼 수 있어 평소 몰랐던 PBL 학습의 효과를 보았다. 장래 희망인 교육자로서 PBL에 대해 더 알아보고, 또 다른 다양한 교육방식들에 대해서도 조사해보고 싶다. 팀원들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음악선물하기 프로젝트로 친구와의 우정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었으며, PPT 발표에 대한 태도도 배울 수 있었다(학습자 A)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 함양의 유익함 • 사람들과 협력하고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또한 단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었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도 기를 수 있었다(학습자 F)

팀 기반 협력수업의 효율성 • PBL을 진행함에 있어 조원들 간에 많은 의견을 나누었다. 평소 전공수업에서는 경험하지 못한 활동이어서 처음에는 당황스럽기도 했지만, 차차 시간이 지날수록 내가 생각한 의견을 정리하고 직접 말하면서 내 생각이 더욱 완성되는 느낌이었다. 혼자보다는 여럿이서 하는 토론이 주제의 해결에 도달함에 있어 더욱 효율적이라고 느꼈다(학습자 E)

미래 학습설계 및 공동체 활동의 기대 • (PBL 학습은) 앞으로의 모든 활동에서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PBL 과정이 곧 모든 팀 활동, 공동체 활동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나중에 회사에 취업하게 되더라도 이러한 팀 기반 과정이 연속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학습자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