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G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Campus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on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Sense of Place : Focused on G University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3;17(5):185-19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3.17.5.185
김형숙
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과교육과, 연구원, ontoblue@gmail.com
Former Researcher,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ceived 2023 September 20; Revised 2023 October 03; Accepted 2023 October 16.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교 교양교육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이노베이션> 교과에서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용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학습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용 방법은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학생들이 교내 커뮤니티 매핑 주제 정하기, 계획세우기, 매핑하기, 문제 찾기 및 해결 방안 제안하기 그리고 발표 및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결과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공동체 의식, 장소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양수업에서의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학교에 대한 공동체 의식과 장소감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실제 자신의 속해있는 공동체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ran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mpus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which are part of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 <Community Mapping and Social Innovation>, on students. The method of using campus community mapping is a student participatory class, consisting of students setting topics for in-school community mapping, planning, mapping, finding problems, suggesting solutions, and presenting and evaluating these problems. As a result of these campus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student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sense of place in school. Also,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with campus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was positive. Therefore, in-school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in liberal arts classes can help improve a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students and a their sense of place in schools. These activities als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and participate with the communities wherein that they actually live.

1. 서론

본 연구는 대학교 교양 수업에서의 커뮤니티 매핑 활용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매핑은 시민들이 자신의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커뮤니티 매핑은 지역사회의 재해나 재난 혹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환경 문제와 같은 지역사회 문제에 대처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활용 되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지자체 단위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하여 지역자산과 생활교통 및 안전을 조사하고 공유하는데 활용되고 있다(정수희, 이병민, 2014).

커뮤니티 매핑은 교육을 목적으로 제안이 된 것은 아니지만, 실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먼저 초⋅중등학교 교육에서는 커뮤니티 매핑을 교과내용, 동아리활동, 봉사 활동 등 교육과정에서 활용하고 있으며(김형숙, 이종원, 2021), 대학 교육에서는 주로 교양수업 및 공간정보기술 관련 교육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다. 커뮤니티 매핑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지역 및 장소기반 사고와 지역에 대한 이해를 함양하는데 적합하고(고성원 외, 2016; 구순옥, 남상준, 2019; Sinha et al., 2016),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게 한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전보애, 홍일영, 2020; Schlemper et al., 2018).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 연구는 주로 초⋅중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은 초⋅중등학교와 같이 지역사회 중심뿐만 아니라 초⋅중등학교와는 다르게 학생들이 생활하는 교내(캠퍼스)를 커뮤니티 매핑 활동 범위로 지정할 수 있다. 초⋅중등학생들과 달리 대학생들에게 대학이라는 학교 공간은 초⋅중등학교와는 다른 공간적 크기와 장소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하는 대표적인 공간이다(Lounsbury & DeNeui, 1996). 특히 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은 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Townley et al., 2013),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내 커뮤니티 매핑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대학생들에게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학생들이 기존에 의미를 두지 않고 활동하던 학교 공간들을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새롭게 학교에 대한 애착과 같은 장소감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학교라는 공간을 주제로 공동체의 관심과 문제를 인식하는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학생들 개인이 아닌 학교라는 공동체로 묶어주는 활동으로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커뮤니티 매핑과 같이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지역사회의 문제를 경험하는 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성원 외, 2016).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중도탈락률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 의식(임광명, 2022)과 학교에 대한 애착과 관심부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또한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함양되는 장소감과 공동체 의식은 시민역량 함양에 바탕이 된다. 시민역량은 학생들이 능동적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학에서 교양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승연⋅김수경,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학습 효과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교양 수업에서의 커뮤니티 매핑 활용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장소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에 대한 학생 만족도는 어떠한가?

2. 이론적 배경

2.1. 커뮤니티 매핑

커뮤니티 매핑이란 “커뮤니티(community:공동체)”와 “매핑(Mapping:지도그리기)”이라는 단어의 합성어로서 일반적으로 공동체 구성원들이 지도를 만드는 활동을 의미한다(Perkins, 2007). 커뮤니티 매핑은 공동체 구성원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을 반영하여 표현하는 과정으로(Lydon, 2003), 사회적 이슈나 문제와 같은 것을 저장하는 역할과 공동체 구성원의 참여를 촉진하는 도구로써 가치를 갖는다(Fahy & Cinnéide, 2008). 이러한 커뮤니티 매핑은 다양한 장소와 사람들에게 적용가능하며 데이터 수집 및 의사소통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들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사진, 동영상, 사운드, 텍스트 등의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공유할 수 있다.

커뮤니티 매핑은 크게 두 가지 활동 영역으로 구분된다(Corbett, 2013). 첫 번째 영역은 기존의 공간데이터 베이스를 보완하고, 업데이트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 아마추어 조류학자들이 한 겨울 새들의 개체수를 계산하는 Christmas Bird Count 활동으로 들 수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시민들이 지역사회 문제에 참여하는 것이다(Elwood, 2008).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해 지진과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De Rubeis et al., 2009), 구조요청이 필요한 지점, 이재민 상황 등의 지리정보를 공유하여 시민들이 구조 활동 방법을 모색 하는 것과 같은 시민들의 활동을 의미한다(Elwood et al., 2012).

커뮤니티 매핑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만큼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다(Hagen, 2011). 공공의 자원문제 또는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지역의 물리적 환경의 이해, 현지상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필요로 할 때,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서 공공의 문제에서 관한 최신 지역 지식을 얻을 수 있다(Flanagin & Metzger, 2008). 실제 사회학, 도시계획, 지리학, 문화인류학과 같은 전문분야에서 커뮤니티의 자원, 문화, 요구에 대한 지식과 인식을 구축하는데 커뮤니티 매핑이 활용되고 있다(Tindle et al., 2005). 공동체 구성원들은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지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지식과 기술을 습득 할 수 있으며(Elwood, 2008; Kyem, 2004), 지역의 자원을 이해하고 표시함으로써 지역의 자원을 발견 및 개발할 수 있다(Brown & Kyttä, 2014). 또한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실제 지역의 문제나 정책에 관하여 시민들의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Lydon, 2003).

커뮤니티 매핑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경우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쉽게 계획할 수 있으며, 생태환경, 오염문제, 약물남용, 지역개발, 안전문제 등을 교과 내용과 통합할 수 있다(김형숙, 이종원, 2021). 손현미 외(2016)는 청소년 흡연 예방 프로그램과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육을 통합하여 학교 교육과정에 활용하였다. 구순옥, 남상준(2019)은 지역의 환경문제와 커뮤니티 매핑과 통합하여 학생들이 해안지역의 선박 오염물, 쓰레기 불법 투기 장소, 쓰레기 장소 소각장등을 매핑하고 지자체에 보낼 환경문제 해결책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즉 학생들은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지역사회의 이슈를 조사하고 문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으며 문제해결 역량을 함양 할 수 있다(고성원 외, 2016; 구순옥, 남상준, 2019). 이러한 커뮤니티 매핑의 교육적 효과는 다양하다. 전보애, 홍일영(2020)은 도시재생을 위한 방법으로 학생들이 동해시에 위치한 노골담길 마을을 더 나은 관광지와 생활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드론으로 마을지도를 제작하고, 마을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을 보여줄 수 있는 정보를 조사하여 지도로 만들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공동체시민성이 향상되었다. 고성원 외(2016)는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생태환경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의 지역 환경에 대한 관심과 애착, 그리고 소속감 형성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학생들의 지역 환경에 대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애향심 및 공동체 의식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구순옥, 남상준, 2019; Gordon et al., 2016).

2.2. 공동체 의식

공동체 의식은 “구성원들이 소속감을 느끼고 구성원의 욕구를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같이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하는 감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McMillan & Chavis, 1986). 공동체의식의 구성요소는 사회⋅의식⋅감정과 관련된 것으로 욕구충족통합, 구성원 의식, 상호영향 의식, 공유된 정서적 연계로 설명할 수 있다(Davidson & Cotter, 1986). 김경준, 김성수(1998)는 공동체 의식을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있는 충만한 느낌, 연대의식,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 및 상호영향의식으로 공동체 의식 개념을 정립하였다. 공통된 공동체 의식의 소속감과 상호영향력, 욕구 통합 및 충족, 정서적 유대감은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임광명, 2016). 소속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집단에 대한 감정으로서 자신을 집단의 부분으로 투입하고 그에 따른 따르는 감정을 가진다는 것을 말하며, 상호영향은 개인이 집단 또는 집단이 개인으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욕구 통합과 충족은 집단으로부터 개인으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을 의미하고, 정서적 유대감은 개인이 소속하고 있는 집단에서 얼마나 오래 관계하였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체 의식의 요소들은 독립적인 요인이 아닌 서로 상호작용하는 요인으로 각 요인의 중요도와 기능은 공동체의 특성과 구성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 의식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개체 성원이 성장해 가는 공동체의 생활환경 속에서 성장하면서 서서히 형성되어 가는 것으로 획득되고 학습되는 것이다(이혜영, 1993). 공동체 의식은 사회가 복잡해지고 문제가 많이 발생하면서 사회 구성원이 함양해야 할 중요한 의식이다(임광명, 박덕병, 2015).

학교는 지식에 대한 탐구라는 동일한 목표로 학생 개인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주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기관이다(Carnoy, 1972). 대학은 대표적인 공동체 공간이며(Lounsbury & DeNeui, 1996), 학생들이 성인으로서 처음으로 경험하고 청소년의 마지막 단계를 보내는 중요한 장소이다(Cheng, 2004). 또한 대학은 지식생산의 역할과 함께 학교라는 공간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신가인 외, 2017).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이 중요한 이유는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볼 수 있다(류승아, 2014). 개인적 측면은 학생 자신이 공동체에 대한 활동에 참여하고 시민의식을 높이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성장 발달과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Cicognani et al., 2008). 사회적인 측면은 청년들의 공동체 의식이 높아진다는 것은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의 우리 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을 가진 인재를 기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공동체 의식은 사회적 문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류승아, 2014), 지역사회 봉사 활동과 같이 사회 참여, 문제인식 등의 사회적 관심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준다(박재숙, 2010). 공동체 의식이 함양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야 하며, 선행 연구에서 학생들의 공공의 문제 해결, 지역사회 개선 활동, 각종 투표 참여, 봉사활동 등과 같은 참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박가나, 2009; Davidson & Cotter, 1986). 청소년 공동체 의식과 관련된 연구들은 교내 활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임광명, 2016).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교내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고등학생보다는 대학생들이 교내 활동 참여도가 공동체 의식과 관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Pretty, 1990).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공동체의식은 문제 인식 및 사회참여와 같은 학생 참여형 활동으로 이루어 질 때 함양 될 수 있으며,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은 학교 적응에 중요한 역할이 된다(Townley et al., 2013).

2.3. 장소감

장소감은 지리적 지식과 그 장소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장소에 대한 의미를 부여한 것과 결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장소는 인간 존재의 중요한 중심으로 볼 수 있다(Relph, 1976). 장소는 공간을 더 잘 알게 되고 공간에 가치를 부여하게 됨에 따라 공간은 장소가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Tuan, 1977). 인간의 정체성의 형성에 장소는 영향을 주며, 장소는 인간 생활의 공간으로서 개개인의 삶과 상호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간이 의미를 부여한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장소에 대하여 인간은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권정화, 2015). 장소감은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애착을 의미하는 것으로(Agnew, 1987), 인간을 특정 환경에 묶이도록 만드는 감정적이며 경험적인 흔적으로 말할 수 있다.

Relph(1976)는 장소감을 무엇보다도 내부에 있다는 느낌이며, 개인으로서 그리고 공동체 일원으로서 나의 장소에 속해 있다는 느낌이라고 하였다. 장소감은 장소에 대한 관심, 애착, 정체성, 지역에 대한 의식 등 장소와 관련된 여러 특성을 포함하고(Shamai, 1991), 장소에 대한 지식⋅감정⋅행동이 합쳐진 통합체계로 볼 수 있다(Scannell & Gifford, 2010). 장소에 대한 지식은 어떤 장소와 그곳의 상징적인 것들을 이해하고 다른 곳과 구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소에 대한 감정은 자신이 그 장소에 대해 얼마나 애착과 일체감을 갖는지를 의미한다. 장소에 대한 행동은 장소를 위해 자신이 희생하고 봉사하려고 하는 의지를 의미한다. 장소감은 인간과 공간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라고 이해할 수 있다(Jorgensen & Stedman, 2001).

장소감에 대한 교육적 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소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경험은 장소에 대한 애착 및 장소에 뿌리내린 정체성의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Smith, 2002). 고성원 외(2013)는 학생들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해 지역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고 지역문제에 참여하는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수집된 지역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지역의 문제를 발견하고 사회적 실천을 하는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Schulze et al., 2014). 이와 같이 학생들의 주변 지역에 대한 답사나 야외조사 활동은 학생들의 장소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된 사례를 살펴보면 학교 주변의 답사 활동 수업(이간용, 2016), 장소기반 학습으로써 지질학 수업(Semken et al., 2007)을 통해 학생들의 장소감은 향상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커뮤니티 매핑은 학생들의 장소기반 사고와 지역에 대한 참여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Sinha et al., 2016), 학생들의 장소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

3.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8년도 G대학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 이노베이션’ 교양수업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년도 2017년 1학기에 교내 커뮤니티 매핑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실행하였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 이노베이션’ 강의를 수강한 36명 학생 중, 1차시 수업부터 8차시 수업을 끝까지 이수한 학생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2.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G대학의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 이노베이션’ 강의 콘텐츠로 활용되었다.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 이노베이션’ 강의는 학생들이 커뮤니티 매핑에 대한 이해를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을 계획 및 실천을 하여 민주시민으로써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양 교과이다. G대학은 서울시와 인접한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 G대학 주변에는 D대학, 근린공원, 초등학교, 중학교, 아파트들이 있으며, 지하철역과 고속도로가 있다. G대학의 많은 학생들은 통학을 하고 있으며, 본 강의는 수강한 학생들의 70%이상이 통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 이노베이션’ 강의는 1주에 100분 수업으로 15주 동안 두 가지 콘텐츠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8주 동안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으로 하였으며, 두 번째는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경험을 토대로 학생들이 교내 스케일보다 더 넓은 범위의 지역과 주제를 설정하여 7주 동안 활동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표 1>과 같이 8주 동안 진행되었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수업 진행

1-3주차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커뮤니티 매핑활동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써 커뮤니티 매핑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매핑 툴(Mapping Tool)을 실습하였다. 4주차에는 실제 학생들이 매핑 할 주제와 범례를 정하는 것으로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학생들이 스스로 매핑 주제 및 범례를 정하고 매핑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학생들은 다양한 커뮤니티 매핑 주제와 범례를 제안 하였으며,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과 합의를 통해 “G대 사진관”이라는 주제와 “조형, 자연, 하나님관점, 환경미화 저해”라는 범례를 정하고 매핑활동을 하였다[그림 1].

[그림 1]

커뮤니티 매핑 데이터 수집 결과

6-7주차에는 학생들이 [그림 1]과 같은 매핑 된 결과를 토대로 실제 커뮤니티를 발전을 위한 커뮤니티의 문제와 해결 방안을 찾도록 진행하였다. 실제 커뮤니티 매핑 주제는 같지만 각자 조별로 다른 문제를 찾고 다양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방안은 문제중심학습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매핑 된 결과를 통해 조별로 문제설정,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가설⋅해결안), 해결방안, 기대효과 순으로 조별 최종결과물을 작성하였다. 8주차에는 8개조 모두 최종 결과물을 발표하고 다른 조 결과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조별 활동 최종 결과물의 내용은 <표 2>와 같다.

조별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최종 결과물 내용

학생들은 교내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학교 환경 개선 및 홍보(안내)와 관련 된 문제를 찾고 실제 실천 가능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3.3. 연구 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공동체 의식, 장소감, 학습 만족도 검사지이다. 공동체 의식 측정 항목은 본 연구목적에 맞게 Davidson and Cotter(1986), Peterson et al. (2008)의 공동체 의식 측정항목을 토대로 구성원 의식(소속감), 상호영향 의식, 욕구충족, 정서적 연계에 대한 요인별 4개의 문항을 조사하여 총 16개 문항을 구성되었다. 공동체 의식의 검사지의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문항 중 ‘나는 혼자 있고 싶을 때 그렇게 할 수 있다’의 결과가 검사지 전체의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제외하였다. 최종 본 연구에 사용된 공동체 의식 조사 검사 문항은 총 15문항으로 문항 내적 합치도는 .848이 나왔다.

장소감 측정 항목은 장소감에 대한 것은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측면으로 나누고, 세부적 질문은 Shami(1991)의 장소감 단계와 Lalli(1992)의 장소정체성 구성요소 내용을 바탕으로 장소에 대한 지식, 장소에 대한 애착, 장소에 대한 행동을 조사하여 총 12개의 문항을 조사하였다. 장소감 검사지의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문항 ‘나는 우리학교와 다른 학교와의 차이점을 알고 있다’의 결과가 검사지 전체의 신뢰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제외하였다. 최종 본 연구에 사용된 공동체 의식 조사 검사 문항은 총 11문항으로 문항 내적 합치도는 .919이 나왔다

학습만족도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내용, 학습방법 및 학습 환경 등에 대한 총체적인 경험에 대한 만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학습만족도는 Shin(2003)이 만족도 문항을 번역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총 8문항으로 학습만족도 검사지의 문항 내적 합치도는 .853이다. 또한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 장소감, 학습만족도에 대한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활동 소감문을 활용하였다.

3.4. 자료 분석

본 연구에 사용된 3가지 검사지(공동체의식, 장소감, 학습만족도)의 각 진술에 대해 5점 리커트(Likert) 척도 방식을 점수로 환산하였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의 참여가 학생들의 공동체의식과 장소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교내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리커트 척도 값의 평균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후 설문이 끝난 후 양적연구 결과에 대한 부분을 입증하기 위해 개방형 서술형 수업 소감문을 검토와 주제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4. 연구 결과

4.1. 커뮤니티 매핑의 학습 효과

4.1.1. 공동체 의식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활동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사전-사후 공동체 의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커뮤니티 매핑 실시 전 공동체 의식 전체 평균 점수는 3.15에서 실시 후 3.89으로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t=10.54, p=0.00). 각 하위 요인별로 ‘구성원의식’, ‘상호영향 의식’, ‘욕구의 충족과 통합’, ‘정서적 연계’ 모두 커뮤니티 매핑 활동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9.45 p=0.00, t=8.02 p=0.00, t=5.12 p=0.00, t=10.77 p=0.00)<표 3>.

공동체 의식 N=34

학생들의 수업 소감을 분석한 결과 공동체 의식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구성원 의식’, ‘상호영향 의식’, ‘정서적 연계’요소가 분석 되었다. 먼저 구성원 의식에 관련하여 34명의 학생 중 11명의 학생들이 교내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학교 학생이라는 소속감과 학교가 좋아졌다고 하였다.

다른 수업과 달리 학교에 대해서 이야기를 계속하다 보니, 학교에 학생으로써의 책임감이 생기고 좋았다.(학생 5)

매핑을 하면서 학교를 다녀보니 우리학교 캠퍼스가 생각보다 좋고 이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학생 17)

다음으로 34명의 학생 중 16명의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의 의사소통과 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상호영향 의식과 정서적 연계가 생겼다고 하였다.

다른 과 애들이랑 학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서로 몰랐던 부분도 많이 알게 되면서 친해질 수 있어서 좋았다. 학교에 대한 문제해결방법을 이야기하다보니 실제 우리가 해결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학생 2)

다른 전공 사람들이랑 학교문제에 대하여 논의하고 실제 가능한 방법을 이야기 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토론하고 논의하면서 친해질 수 있는 기회 되어서 좋았다.(학생 23)

4.1.2. 장소감

커뮤니티 매핑이 활동이 학생들의 장소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에 대한 대응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사전-사후 공동체 의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커뮤니티 매핑 실시 전 장소감 전체 평균 점수는 2.61에서 활동 후 3.91으로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t= 16.71, p=0.00). 각 하위 요인별로 ‘지식’, ‘애착’, ‘행동’ 모두 커뮤니티 매핑 활동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t=18.86 p=0.00, t=12.00 p=0.00, t=10.41 p=0.00), 장소에 대한 지식이 가장 큰 폭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표 4>.

장소감 N=34

학생들의 수업 소감을 분석한 결과 장소감과 관련하여‘장소에 대한 지식’과 ‘장소에 대한 행동’요소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분석 되었다. 장소에 대한 지식에 관련하여 34명의 학생 중 26명의 학생들은 교내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학교에 대하여 많이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하면서 은근히 쓰이지 않고 방치된 공간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학생 7)

학교 구석구석에 있는, 평소에는 보지 못했던 구역들을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이 알게 된 것 같고, 학교 안전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좋은 것 같다.(학생 29)

다음으로 장소에 대한 행동으로 34명의 학생 중 20명의 학생들은 학교주변을 더 좋은 환경으로 만들기 위한 행동을 하고 싶다는 하였다.

학교 안전 부분에 있어서 글로벌 센터 옆 계단과 도서관에서 복정으로 내려가는 길을 안전하게 만들고 싶다.(학생 21)

우리학교는 바깥쪽 건물들만 새로 단장되어있고 시설이 좋다. 안쪽 건물 중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도 있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노후 된 시설들의 수준을 올려보고 싶다. 그리고 학교 근처나 교내에 험한 길이 있는데 그런 길들이 개선되어서 학우들이 다니기 편한 길로 바꾸고 싶다.(학생 30)

4.2.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의 학습만족도

교내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종료된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매핑 수업에 대한 학습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학습만족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5(매우 그렇다)’의 5단계 리커트 척도로 조사하였다.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최저 평균이 4.00, 최고 평균 4.15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학생들은 만족(4.07)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커뮤니티 매핑 수업 학습자 만족도 N=34

커뮤니티 매핑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 문항 8개 중 학생들은 ‘나는 본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라는 문항과 ‘나는 이번 학기에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들은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라는 문항에 가장 높게 반응을 하였다. 이와 같은 긍정적 학습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학생들의 소감을 분석한 결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먼저 34명의 학생 중 25명의 학생이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직접 지도를 만드는 활동이 의미가 있고 기억에 남는다고 하였다.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다른 교양 수업과 달리 실습을 가미하여 우리가 직접 지도도 만드는 법을 배우고 그것을 통해 지도를 만들었던 것이 기억에 남고 의미가 있었다.(학생 1)

학교 안을 다니면서 지도를 만들고 하는 과정을 배우고 직접 지도를 만든 것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학생 3)

지도 만들기,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와 같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수업이여서 탁월한 선택이였다고 생각한다.(학생 9)

다음으로 34명의 학생 중 23명의 학생은 학교에 관련된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과정이 의미가 있었다고 하였다.

학교를 다니면서 지도를 만들고, 실제 학교에 문제를 찾고 문제해결을 하고 학교 게시판에 학교문제와 해결방법에 대해서 올리는 등의 활동이 의미 있었습니다.(학생 6)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하면서 실제 우리학교의 문제를 찾고 해결방법을 모색 과정에서 학교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학생 14)

지도를 직접 만드는 것도 기억에 남고,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해 우리학교에 대해서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되어서 좋았다.(학생 30)

이와 같이 두 가지로 분류된 소감문은 한 학생이 두 가지 모두 함께 서술한 경우도 34명중 19명으로 나타났다.

5.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장소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매핑과 소셜 이노베이션” 교양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사전⋅사후 공동체 의식과 장소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이 끝난 후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장소감은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사전⋅사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생들이 생활하는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은 교내 활동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Pretty, 1990)와 일치하였다. 또한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은 공공의 문제해결, 공동체 개선활동, 봉사활동 등과 같은 참여활동이 영향을 받는 다는 선행연구(박재숙, 2010; Davidson & Cotter, 1986)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uan (1977)이 주장한 것과 같이 학생들은 기존에 스쳐지나갔던 공간들을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가치를 부여하고 관심을 갖는 장소로 인식하게 되었다. 즉 학생들에게 “교내(학교)”라는 커뮤니티 매핑 주제 활동은 학교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 및 협업을 통해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공동체 의식과 장소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수업에 대하여 80%이상(매우 그렇다, 그렇다)이 만족하였으며, 특히 ‘나는 본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라는 문항에 97.1%(매우 그렇다, 그렇다)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답변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생들이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유할 수 있는 교내 커뮤니티 매핑 지도를 만드는 경험을 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은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해 자신이 속해 있는 공동체의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정보기술의 활용하여 실제 학교문제를 해결하는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학습 경험은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는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형성이 주로 학교 안의 동아리 활동과 같은 교내 행사를 통해서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교내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교양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함께 장소감까지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즉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교양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학교에 대한 공동체의식 그리고 지식⋅애착⋅행동과 같은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으로 교양수업의 역할로써 일부를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데이터를 수집 및 공유하여 지도를 만드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학생들이 실제 학교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디지털 4차 혁명 시대에 맞는 시민성 역량을 강화하는 새로운 교양 수업 방법으로 제안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이 아닌 학교주변의 지역사회로 커뮤니티 매핑 활동 영역을 확대하여 발전시키는 교양수업 연구로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매핑 활동 범위의 확대는 학생들의 시민교육의 교과목으로 활용 할 수 있으며, 대학과 지역사회가 공존하는 활동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커뮤니티 매핑과 소셜이노베이션’이라는 특정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라는 짧은 기간 적용하였다는 점과 둘째, 연구대상이 G대학교 대상으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과 장소감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G대학의 지역적 특성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과 장소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향후 G대학 외의 다른 학교 학생들을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Agnew J. A. 1987. Place and politics Allen and Unwin.
2. Brown G, Kyttä M. 2014;Key issues and research priorities for public participation GIS (PPGIS):A synthesi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Applied Geography 46:122–136.
3. Carnoy M. 1972;An empirical study of powerl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Journal 55(7):353–354.
4. Cheng D. X. 2004;Students'sense of campus community:What it means, and what to do about it. NASPA Journal 41(2):216–234.
5. Chun B, Hong I. 2020;Effects of community mapping using drone on citize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A school-based creative hands-on activity intervention study in Nongoldam-gil, Dongha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8(2):89–107.
6. [전보애, 홍일영. (2020). 드론을 활용한 커뮤니티 매핑이 시민성과 사회참여역량에 미치는 효과: 동해 논골담길 창의적 체험활동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2), 89-107.].
7. Chung S, Lee B. 2014;A study on community mapping as a practical express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for local community. Seoul Studies 15(4):185–204.
8. [정수희, 이병민. (2014). 지역공동체의 실천적 집단지성의 발현으로서 커뮤니티매핑에 대한 소고. 서울도시연구, 15(4), 185-204.].
9. Cicognani E, Pirini C, Keyes C, Joshanloo M, Rostami R, Nostatabadi M. 2008;Social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welling being:A study on American, Italian, and Iranian university students. Social Indicator Research 89:97–112.
10. Corbett J. 2013;Crowdsourcing geographic knowledge. In : Sui D, Elwood S, Goodchild M, eds. I don't come from anywhere:Exploring the role of the geoweb and vlo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rediscovering a sense of place in a dispered aboriginal community Springer;
11. Davidson W. B, Cotter P. R. 1986;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ithin the sphere of c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6(7):608–619.
12. De Rubeis V, Sbarra P, Tosi P. 2009;Web based macroseismic survey:Fast information exchange and elaboration of seismic intensity effects in Italy. In : Landgren J, Jul S, eds. Proceeding of the 6th International ISCRAM Conference Gothenburg, Sweden;
13. Elwood S. 2008;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Key questions, concepts and methods to guide emerging research and practice. GeoJournal 72:133–135.
14. Elwood S, Goodchild M. F, Sui D. Z. 2012;Researching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Spatial data, geographic research, and new social practice.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102(3):571–590.
15. Fahy F, O´Cinnéide M. 2008;The reality of the locality:Exploring spati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in Galway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lanning 3(1):29–44.
16. Flanagin A. J, Metzger M. J. 2008;The credibility of volunteered. GeoJournal 72:137–148.
17. Gordon E, Elwood S, Mitchell K. 2016;Critical spatial learning:participatory mapping, spatial histories, and youth civic engagement. Children's Geographies 14(5):558–572.
18. Gu S, Nam S. 2016;Effects of participatory environmental map production using a community mapping metho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7(2):131–145.
19. [구순옥, 남상준. (2019). 커뮤니티매핑 기반 참여적 환경지도 제작활동 효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2), 131-145.].
20. Hagen E. 2011;Mapping change:Community information empowerment in Kibera. Innovations Technol Governance Globalization 6(1):69–94.
21. Jorgensen B. S, Stedman R. 2001;Sense of place as an attitude:Lakeshore owners attitudes toward their proper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3):233–248.
22. Kim H, Lee J. 2021;The use of community mapp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5(5):551–564.
23. [김형숙, 이종원. (2021). 커뮤니티 매핑의 초⋅중등교육 활용사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5(5), 551-564.].
24. Kim K, Kim S. 1998;A study on the residents'sense of community in Korea.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23(2):211–232.
25. [김경준, 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발전학회논문집, 23(2), 211-232.].
26. Kim S, Kim S. 2015;The Influences of Activity experiences at the university on civic education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9(4):11–44.
27. [김승연, 김수경. (2015). 교양교육에서 대학활동 경험이 시민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9(4), 11-44.].
28. Ko S, Lee J, Ha S. 2016;A case study on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ecological education with the use of public participations GIS technology:'Firefly project'in Muju Purunkum high school.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2):41–78.
29. [고성원, 이준기, 신세인, 하민수. (2016).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집단지성 기반 생태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무주 푸른꿈 고등학교의 ‘반딧불이 프로젝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9(2), 41-78.].
30. Kyem P. 2004;Power, Participation and inflexible institutions:An examination of the challenges to community empowerment in participatory GIS applications. Cartographica 38(3):5–17.
31. Kwon J. 2015. Geography education lecture notes Puleungil.
32. [권정화. (2015). 지리교육학 강의노트. 푸른길.].
33. Lalli M. 1992;Urban-related identity:Theory, measurement, and empirical find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2(4):285–303.
34. Lee H. 1993;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o build community social solidari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3(2):113–134.
35. [이혜영. (1993).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한국교육사회학연구, 3(2), 113-134.].
36. Lee K. 2016;Geographical implications of fieldwork activities of everyday-life space:A case study on fieldwork of students of an elementary teachers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6):915–933.
37. [이간용. (2016).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의 지리 교육적 함의: G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활동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20(6), 915-933.].
38. Lim K, Park D. 2015;Characteristics of sense of Community at th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7(4):54–72.
39. [임광명, 박덕병. (2015).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 유형별 학교 및 지역사회 활동 참여 특성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4), 54-72.].
40. Lim K. 2016;College sense of community in relations to college - Related characteristics - Focused on Pyeongtaek university.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Community Development 23(2):157–167.
41. [임광명. (2016).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평택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촌지도와개발, 23(2), 157-167.].
42. Lim K. 2022;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community sense and depression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stitute of Multicultural Child &Youth 7(3):35–60.
43. [임광명. (2022).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7(3), 35-60.].
44. Lounsbury J. W, DeNeui D. 1996;Collegiat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relation to size of college/university and extrovers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381–394.
45. Lydon M. 2003;Community mapping:The recovery (and discovery) of our common ground. Geomatica 57(2):131–43.
46. McMillan D. W, Chavis D. M. 1986;Sense of community:A definition and theor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6–23.
47. Park G. 2009;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on a sense of commun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10):273–306.
48. [박가나. (2009).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6(10), 273-306.].
49. Park J. 2010;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adolescents training activity, voluntary service,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4):101–120.
50. [박재숙. (2010).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4), 101-120.].
51. Perkins C. 2007;Community mapping. The Cartographic Journal 44(2):127–137.
52. Peterson N. A, Speer P. W, McMillan D. W. 2008;Validation ofa brief sense of community scale:Confirmation of the principaltheory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6(1):61–73.
53. Pretty G. H. 1990;Relating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to social climate characteristic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60–65.
54. Relph E. 1976;Place and place lessness. Pion Limited
55. Ryu S. 2014;The effect of collegiate sense of community on individual wellbeing and social involvement.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8(3):43–60.
56. [류승아. (2014). 대학 공동체의식이 개인의 안녕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촉진방안. 한국심리학회지, 28(3), 43-60.].
57. Scannell L, Gifford R. 2010;Defining place attachment:A tripartite organizing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1):1–10.
58. Schlemper M. B, Athreya B, Czajkowski K, Stewart V. C, Shetty S. 2018;Including students geographies in geography education:Spatial narratives, citizen mapping and social justice. Theory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46(4):603–641.
59. Schulze U, Gryl I, Kanwischer D. 2014;Spatial citizenship:Creating curriculum for teacher education. In : JEKEL T, CAR A, STROBL J, GRIESEBNER G, eds. GI_Forum2014 Berlin/Offenbach :230–241.
60. Semken S, Butler Freeman C, Bueno Watts N, Neakrase J, Dial R, Baker D. R. 2007;Factors that influence sense of place as a learning outcome of place-based geoscience teaching.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61. Shamai S. 1991;Sense of place:An empirical measurement. Geoforum 22(3):347–358.
62. Shin G, Woo Y, Park H. 2017;A study about factors influencing on awareness towar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y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1(4):177–193.
63. [신가인, 유예신, 박혜연, 김정란. (2017).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복지, 21(4), 177-193.].
64. Shin N. M. 2003;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69–86.
65. Sinha G, Smucker T. A, Lovell E. J, Velempini K, Miller S. A, Weiner D, Wangui E. 2016;The pedagogical benefits of participatory GIS for geographic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116(4):1–15.
66. Smith G. A. 2002;Place-based education:Learning to be where we are. Phi Delta Kappan 83(8):584–594.
67. Son H, Jung M, Hong Y. 2016;The effect of community mapping based o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n smoking prevent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9(3):286–298.
68. [손현미, 정미영, 홍윤경. (2016). 일개 여자중학교의 흡연예방을 위한 참여형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커뮤니티 맵핑 활동의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9(3), 286-298.].
69. Townley G, Kantz J, Wandersman A, Skiles B, Schillaci M. J, Timmerman B. E, Miusseau T. A. 2013;Exploring the role of sense of community in the undergraduate transfer student experi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1(3):277–290.
70. Tindle K, Leconte P, Buchanan L, Taymans J. 2005. Transition planning:Community mapping as a tool for teachers and students. Research to Practice Brief 4(1)Retrieved from http://www.ncset.org/publications/viewdesc.asp?id=2128.
71. Tuan Y. F. 1977;Space and place: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교내 커뮤니티 매핑 수업 진행

주차 강의 주제 주요 교수⋅활동
1 커뮤니티 디자인 • 커뮤니티 이해
• 커뮤니티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

2 커뮤니티 매핑의 이해와 사례 • 지도와 지도 디자인의 이해
• 커뮤니티 매핑 이해와 사례분석

3 커뮤니티 매핑 실습 • Mapping Tool 소개 및 설명
• Mapping Tool 이용한 커뮤니티 매핑 실습
4 커뮤니티 매핑 주제와 범례 정하기 • 교내 커뮤니티 매핑 주제 및 범례정하기

5 조별 교내 매핑 활동 • 조별 활동 계획 세우기
• 교내 매핑 활동 및 활동 결과 공유
• 커뮤니티 매핑 범례 수정 보완

6-7 커뮤니티 매핑 조별 활동 • 조별 문제중심학습 방법으로 산출물 제작

8 평가 • 조별 최종 산출물 발표 및 평가

[그림 1]

커뮤니티 매핑 데이터 수집 결과

<표 2>

조별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최종 결과물 내용

조별 교내 커뮤니티 매핑 문제해결 과정 및 결과
A • 문제 찾기: 우리학교 환경미화 개선
• 문제설정 이유: 교내 커뮤니티 매핑 활동 과정에서 캠퍼스 환경미화를 저해하는 방치된 공터가 많은 것을 발견
• 문제해결방안: 방치된 공간을 ‘큰공터’, ‘자투리 공간’, ‘특수 공간’분류하였음. 큰 공터는 학생 참여공원(화단, 텃밭)·야외도서관, 자투리 공간은 탈의실⋅운동기구 대여실, 특수공간은 학생들 작업 공간으로 사용하자고 제안함. 이와 같은 의견을 총학생회에 문제 제기 및 해결방안으로 제시함
• 기대효과: 우리학교 환경 미화 개선으로 학교가 더 매력적으로 바뀌고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학생들의 생활이 좋아질 수 있음

B • 문제 찾기: 우리학교를 드라마(영화) 촬영 배경지로 홍보하기
• 문제설정 이유: 우리학교가 기존 드라마에서도 드라마 촬영지로 사용이 되었으며, 우리가 찾지 못했을 뿐 우리 학교 캠퍼스는 조형미뿐만 아니라 자연미가 어우러져 있는 장점을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발견
• 문제해결방안: 기존 드라마에 나온 장소, 기존 드라마 장면과 비슷한 장소, 장면의 배경으로 쓰일 만한 장소(야경이 좋은 장소, 조형물과 자연이 조화로운 장소)등을 매핑하여 지도로 제시함
• 기대효과: 학교홍보와 학교 이미지 그리고 학생들의 애교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함

C • 문제 찾기: 학교 가이드맵 또는 추천경로 만들기
• 문제설정 이유: 축제나 행사등의 목적으로 우리학교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학교안의 포토존과 상징을 소개하는 상황에서 특별한 가이드맵이나 추천 경로가 따로 없음
• 문제해결방안: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포토존(분수, 자연조경)’, ‘학교 상징(무당이, 바람개비동산)’, ‘휴식공간(벤치)’, ‘편의시설(atm, 카페, 편의점)’을 매핑 하여 제시함. 신입생들을 위해 지하철 1번 출구에서 기숙사까지 가는 길을 제시하고 총학생회와 학교 sns에 학교 가이드맵을 링크하여 공유함
• 기대효과: 학교를 처음 방문하는 신입생 및 주변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함

D • 문제 찾기: 교통약자들을 위한 환경 개선
• 문제설정 이유: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실제 교통약자들이 학교 캠퍼스를 이동할 때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함.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내 교통약자를 배려한 시설을 알고 있는지, 교통약자들이 교내에서 이동할 때 불편하게 느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을 조사하여 근거자료로 제시함. 교통 약자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시설을 설문조사하여 제시함
• 문제해결방안: 교통 약자들을 위해 개선해야 하는 곳 ‘높은 경사’, ‘보도 블록턱’, ‘많은 계단’, ‘추락위험’ 장소를 찾고, 이곳에 필요한 휠체어 경사로 설치⋅엘리베이터 설치⋅추락방지막 설치와 같은 것을 제시하고, 교내 비교과프로그램으로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도와주는 도우미 선정을 제안함
• 기대효과: 누구나 캠퍼스안에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함

E • 문제 찾기: 우리학교 위험 지역
• 문제설정 이유: E조가 찾은 문제에 대하여 다른 학우들도 같은 생각을 하는지 재학생과 휴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문제 설정의 근거 자료로 제시함(구체적으로 학교 주변 위험 지역을 두 곳 찾음)
• 문제해결방안: 야광 테이프, 조명개선, 안전공사 미끄럼 방지 스티커 부착과 같은 실천 가능한 방법을 제시함. 그리고 위험 지역을 포토존 같은 곳으로 만들어서 시선을 집중시켜 안전한 장소로 만들자고 하였으며 활동 결과를 총학에 제안함
• 기대 효과: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교를 방문하는 외부 사람들 모두 불편하지 않고 안전하게 활동 할 것으로 예상함

F • 문제 찾기: 학교 미화 개선
• 문제설정 이유: 커뮤니티 매핑 활동 과정에서 학교 곳곳을 돌아다닌 결과 환경 개선이 필요한 지역을 찾음
• 문제해결방안: 환경미화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을 설문을 통해 찾음(쓰레기 방치, 흡연구역주변). 해결방안으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쓰레기통 디자인 공모(실용적인 디자인 및 학생참여를 통한 재미와 홍보 가능), 금연구역 스티커 붙이기 활동을 제안함
• 기대효과: 학교가 깨끗해지고, 학생들의 생활 만족도가 높아 질 것으로 예상함

G • 문제 찾기: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교 환경(포토존)
• 문제설정 이유: 우리학교에 곳곳에는 자연환경과 관련 된 포토존을 많이 갖고 있지만, 계절적 영향을 많이 받음(봄에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갖고 있지만, 꽃이 진 난 후 캠퍼스가 황량해짐)
• 문제해결방안: 꽃을 대체할 벽화나 조형물들이 만들자고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학교 프로젝트로 실행하여 학생들이 직접 벽화와 조형물 제작에 참여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함
• 기대효과: 학생들은 직접 학교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참여 기회를 갖게 될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애정도 생길 수 있음

H • 문제 찾기: 아름다운 학교 만들기(G 대학 환경 실태를 고발합니다)
• 문제설정 이유: 커뮤니티 매핑 활동을 통해 학교환경 미화를 저해하는 것들을 발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다른 학우들도 이 사실을 알고 있는지 여부 및 어떤 부분을 그렇게 생각하는지 조사하여 문제 설정을 함
• 문제해결방안: 생활불편 신고 앱에 민원을 신고하는 것처럼 우리학교에도 학생들의 환경실태에 대한 것을 이야기할 수 있는 APP을 개발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함. 그리고 본 수업을 통해서 알게 된 학교 환경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총학에 알리고 개선 촉구를 요청함
• 기대효과: 학생들은 조금 더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으며, 학교를 찾는 방문자에게도 좋은 이미지를 심어 줄 수 있음

<표 3>

공동체 의식 N=34

요인 사전검사 사후검사 t p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구성원 의식 2.99 .367 3.85 .489 9.45 .000
상호영향 의식 3.01 .417 3.79 .497 8.02 .000
욕구의 충족과 통합 3.33 .438 3.81 .465 5.12 .000
정서적 연계 3.30 .289 4.19 .378 10.77 .000
공동체 의식 3.15 .298 3.89 .376 10.54 .000

p< 0.05

<표 4>

장소감 N=34

요인 사전검사 사후검사 t p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장소에 대한 지식 2.29 .408 3.91 .370 18.86 .000
장소에 대한 애착 2.72 .476 3.88 .520 12.00 .000
장소에 대한 행동 2.74 .570 3.94 .526 10.41 .000
장소감 2.61 .426 3.91 .353 16.71 .000

p< 0.05

<표 5>

커뮤니티 매핑 수업 학습자 만족도 N=34

질문 응답자 수(비율%) 평균

매우 그렇다 (5) 그렇다 (4) 보통이다 (3) 그렇지 않다 (2) 전혀 그렇지 않다 (1)
1. 본 커뮤니티 매핑을 통해 공부하게 된 것은 나에게 가치 있는 경험이었다. 4 (11.8%) 26 (76.5%) 4 (11.8%) 0 0 4.00

2. 나는 본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6 (17.6%) 27 (79.4%) 1 (2.9%) 0 0 4.15

3. 나는 이번 학기에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들은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7 (20.6%) 24 (70.6%) 3 (8.8%) 0 0 4.12

4. 나는 본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들으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한고 있다고 느꼈다. 5 (14.7%) 26 (76.5%) 3 (8.8%) 0 0 4.06

5. 나는 본 커뮤니티 매핑 수업을 듣는 동안 무언가를 성취하고 있다고 느꼈다. 6 (17.6%) 24 (70.6%) 4 (11.8%) 0 0 4.06

6. 나는 커뮤니티 매핑 강좌를 수강한 것이 좋다. 6 (17.6%) 24 (70.6%) 4 (11.8%) 0 0 4.06

7. 나에게 커뮤니티 매핑 강좌를 수강한 것은 가치 있다는 일이다 5 (14.7%) 25 (73.5%) 4 (11.8%) 0 0 4.03

8. 나는 다른 사람에게 본 커뮤니티 매핑강좌를 수강해 보라고 적극 권할 것이다. 7 (20.6%) 23 (67.6%) 4 (11.8%) 0 0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