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기초 과학 수업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도입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고찰 -일반화학 수업 사례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for Introducing and Applying an AI-based Intelligent Learning System on Basic Science -Focusing on General Chemistry Class Case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1;15(6):71-8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1.15.6.71
황은경1, 신종호2
1 제1저자, 교신저자,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강의교수 seed25@ajou.ac.kr
Teaching Professor, Dasan University College, Ajou University
2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부교수 jayshin@ajou.ac.kr
Associate Professor, Dasan University College, Ajou University
Received 2021 November 20; Revised 2021 December 03; Accepted 2021 December 27.

Abstract

본 연구는 2020년 2학기와 2021년 1학기의 2개 학기 동안 일반 화학 교과목에서 적응형 학습 프로그램으로서의 ALEKS 활용 사례를 통하여 향후 교양 기초 과학 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업 운영에 관련하여 고려할 점들과 그 방향성에 관련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활용은 기초 개념 학습에 있어 개별적 학습 지원을 통한 학습 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진행 상황을 반영한 수업 운영을 통해 학습 흥미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은 기초 학력 수준에 따른 개별 학습으로부터 자기 주도 학습의 역량에 따라 개념 학습을 유도하는 지식 강화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탐색적 연구들이 교양 교육의 목표를 고려한 기초 과학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고려한 실제 교수 환경에서 유의미한 효과들을 만들어내고 지속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에서 사용된 교과목 내용 체계, 시스템의 산출 데이터를 비롯한 시스템 활용 방식 등에서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개념 이해를 토대로 한 인식의 확장과 과학적 사고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수업 구성과 교과목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기초 과학 교과목 도입과 적용에 관련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rans Abstract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technical found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eading innovation and change in various areas of society as a whole. Even in the education area, AI-based learning system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in adaptive classes an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tudents’ learning situations.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 of ALEKS as an AI-based system on an adapted learning system in a general chemistry class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suggested factors to consider when operating AI-applied classes. According to our study,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s hav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nceptual learning through individual learning support and learning interest and through class operations measuring the students’ learning progress. However, in order for these exploratory studies to produce real and meaningful effects, flexible access is requires in the use of course content, learning data and systems. In addition, it seems that creative class composi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re needed, with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concepts taking place in various interactions.

Finally, our exploratory research will be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 basic science class involving AI 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s.

1. 서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은 4차 산업 혁명의 기술적 토대로서 사회 전반의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과 변화를 이끌고 있다. 교육 영역에서도 AI가 제공하는 개인화 학습의 가능성은 교수 및 학습 방식을 혁신하고 가속화 할 수 있는 방편으로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다. 최근 발달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수준, 동기, 다양한 학생 배경 및 자원 제한 등 학습에서 직면할 수 있는 일반적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개별 학생의 능력과 요구에 맞는 콘텐츠 및 수업 제공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고 학습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신종호, 손정은, 2021).

특히 학습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춘 적응형 학습(adaptive learning)을 가능하게 하는 인공지능은 오늘날 대학이 직면한 학생들의 수학 및 기초 과학에서의 기초 학력 저하 및 학습격차 문제(강혜정, 2011; 이정례, 2015; 이데일리, 2021. 06.22)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수학 및 기초 과학은 대학의 거의 모든 신입생이 수강하는 교과목으로 해당 교육과정의 학습 과정과 학습성과는 향후 학업 성적뿐만 아니라 학업의 지속과 졸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Gershefeld, Hood & Zhan, 2015; Santosa & Chrismanto, 2017; Singell & Waddell, 2010)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기초 학력을 강화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의 도입과 실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Brown et al., 2020; Tesene, 2018). 더욱이 글쓰기, 수학, 기초 과학 분야 등 학문 특성 및 교육과정 특성상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교육 효과의 영향력이 큰 기초 교육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APLU, 2019; Oxman & Wong, 2014). 그리고 최근에는 적용 도메인을 확장하여 역사, 심리, 경제, 예술, 철학 분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ASU, 2021).

현재 국내 교육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은 초⋅중등 교육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학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지원 시스템은 매우 제한적이다. 국내 몇몇 대학에서 외국에서 개발된 적응형 코스웨어를 도입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시범적 단계로서 실제적 활용에 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지원시스템이 대학 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 요구되는 실제적 고려 사항과 교양 기초 교육의 역할과 방향성을 토대로 한 교수설계에 대한 논의들은 아직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지속적인 발달, 학습결손 및 학습격차와 같은 교육 문제의 해결에 대한 요구 증가, 코로나 19로 인한 에듀테크 활용의 유용성 확인, 인공지능 기반 교육 서비스 시장 확대에 따라 대학 교양 기초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이 증가할 것이라 예상된다(신종호, 2021). 따라서 향후 AI 기반의 학습 지원 시스템이 대학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성과를 만들어나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양 기초 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교양 기초 교육에서 AI 활용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A 대학 교양 기초 교육에서 이루어진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 기초 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재의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토대가 되는 지능형 학습 시스템과 최근의 국내외 활용 현황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2020년 2학기부터 2021년 1학기까지 2개 학기 동안 기초 교육 교과목인 일반화학 교과목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도입 및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교양 기초 과학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학습 시스템을 적용한 수업 운영에 관련하여 고려할 점들과 그 방향성에 관련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2.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시스템

2.1. 지능형 학습 시스템

인공지능의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자신의 환경을 관찰하기, 학습하기,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지능적으로 행동하거나 의사결정이 가능한 기계(machines) 또는 에이전트(agents)”라고 할 수 있다(Annoni et al., 2018: 19). 교육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역사는 약 30년 정도로, 지능형 컴퓨터 보조 학습(Intelligent Computer Aided Instruction: ICAI) 및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 ITS)의 등장 이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 보조학습(Computer Aided Instruction: CAI)의 시대를 거쳐, 적응적 학습(Adaptive Learning) 및 티칭 머신의 개발로 거슬러 올라가면 약 100년의 역사에 이른다(Holmes, Bialik & Fadel, 2019).

최초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로 알려진 1962년 미국의 일리노이 주립대학에서 개발한 PLATO는 컴퓨터를 통해 사전에 준비된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에 대한 채점과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컴퓨터를 활용한 연습 문제 제공과 같은 방식으로 수업을 위한 보조 및 지원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후 이러한 컴퓨터를 사용한 학습지원 시스템들은 컴퓨터 보조 학습 또는 이용 학습(CAI)과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 이러한 학습 시스템들은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상태를 진단하고 이해하며, 지원하는 인지과정 모델에 바탕을 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인화된 문제 은행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또는 개별적 문제와 풀이를 제공하던 문제 학습 시스템으로서의 지능형 학습 시스템으로 점차 발전하여왔다. 이에 초기 단계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성과 향상과 같은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의미하였다(Guan, Mou,& Jiang, 2020). 그리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정의는 교육 환경에서 교수자, 학습자, 관리자의 교수(teaching), 학습(learning), 교육 의사결정을 촉진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기술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한선관, 류미영, 김태령, 2020; Hwang et al, 2020).

빅데이터의 저장과 분석이 가능하게 된 컴퓨터의 비약적인 성능 향상과 함께 데이터 기반 기계학습 방법 중 하나인 딥러닝(Deep Learning)의 등장으로 인해 인공 지능 기술은 학습자의 학습 결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성된 잠재적인 메커니즘의 특징들을 정량화된 패턴으로 만들어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이 알고리즘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개별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 진행 상황에 맞추어 학습 콘텐츠를 추천하고 제공하는 개별화 학습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류미영, 한선관, 2019: 584-586). 이 과정에서 개인별 1:1 맞춤 학습처럼 학습자의 빅데이터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문제 학습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개념 관련 이해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별적인 학습 경로를 제안하고, 학습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탑재한 적응형 문제 학습 시스템으로 발전되어 왔고, 이를 활용한 적응형 교수법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주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 적응형 학습 시스템, 지능형 적응 학습 시스템(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System), 적응적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Adaptiv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적응형 학습 코스웨어(Adaptive Learning Courseware) 또는 적응형 코스웨어(Adaptive Courseware) 등으로 시스템 설계와 기능, 교수 및 학습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여기서 ‘적응형’이라는 용어는 공통적으로 학습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학습 콘텐츠 또는 학습 경로와 같은 학습 시스템의 여러 가능한 측면을 조정하여 개별 학생의 학습을 촉진한다는 목표를 강조한다(Hwang et al., 2020). 적응형 학습 시스템은 학생이 내리는 모든 결정을 포착하고, 건전한 학습 이론의 맥락을 바탕으로 학생의 다음 학습 경험을 안내하고, 학생의 경로와 속도를 조정하며, 수업 중과 수업 사이에 교수자에게 형성 및 총괄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듈식 학습 환경에 학생들이 몰입하게 하는 디지털 학습 도구이다(Lemke, 2013). 적응형 학습 시스템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자동화 및 교수자의 중재(intervation)를 통해 학습자의 성과를 빠르게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개별 학생의 능력 또는 성취 수준에 따라 교육내용의 수준이나 유형을 역동적으로 조정하도록 설계되었다(Pugliese, 2016).

2.2.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활용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연구가 상당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김형욱, 문성윤, 2021: 316-318). 그리고 이러한 연구적 접근들이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관련한 교육시장의 확장으로 인공지능을 ITS에 접목한 상업화된 소프트웨어들이 교육기업 중심으로 개발되고 이를 문제 학습 시스템으로 활용한 결과 보고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의 경우 적응형 학습 시스템은 K-12뿐만 아니라 고등교육에서도 적응형 코스웨어의 형태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많은 에듀테크 기업에서 광범위한 사용자 정의 및 사용 옵션이 있는 적응형 코스웨어 제품이 제공되고 있으며, 교수들은 교육 실천 관행, 채택 목표 및 학생 학습 요구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Tyton &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2021). 미국 대학 중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가장 효과적이고 대규모로 적용하고 있는 대학은 애리조나 주립대학(Arizona State University, 이하 ASU)이다. 주로 개별화된 문제 학습 과정을 보충 학습 형태로 지능형 학습시스템 사용 학습 대상군과 비사용 학습 대상군의 시험 및 과제에서의 비교를 통한 성적 향상, 해당 교과목의 수강 포기 학생의 비율 감소, 인공지능 학습 시스템을 통한 학습량과 성적의 상관관계 등을 그 활용 효과로 해석하여 보고되고 있다(이승환, 김승용, 2018:45-46). ASU는 2016년 대학 대수학(College Algebra) 교과에 McGraw-Hill의 적응형 코스웨어인 ALEKS를 도입하여 시범 운영한 이후 현재까지 학생 성공률에서 2015년 이후 총 17% 포인트 증가하였다. 2012년 적응형 학습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았을 때는 수업의 57%의 학생이 C 등급 이상을 받았으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이 구축된 2019년에는 수강생의 85%가 C 등급 이상을 받았다(ASU, 2021). 수학과 과학, 경영, 회계 등의 교과목에 활용하였고, 인문학 관련 교과인 정치, 역사 관련 교과목 등 다른 교과에서도 확대하여 적응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ASU에서는 적응형 기술만으로는 학생의 학습 성공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하에 수업에서 적응형 기술과 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인 액티브 러닝(Active Learning)을 함께 사용하는 적응형 학습 및 액티브 러닝 교수학습방법(Adaptive & Active learning approach)을 고안하여 실천하고 있다(Brown et al., 2020). 기본적인 지식이나 기술의 획득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을 통해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미국의 조지아주립대학교(GSU)는 학업 지속률이 낮은 학생 수가 많은 대단위 교양 교육과정에서 적응형 코스웨어를 확산하고자 시도하였다. 2017년 1,76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적응형 코스웨어를 도입한 이후 2019년에는 18,107명으로 증가하였다. 학업 지속률은 적응형 코스웨어를 도입하기 전보다 10점 이상 높았으며, 학습 부진 및 중도 탈락 비율도 약 20% 하락했다(GSU, 2021).

국내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주로 유⋅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과 외국어 교육, 초중고 학습지 시장 등에서 이미 대량의 콘텐츠와 학습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 기존의 주요 교육 회사들이 주도하고 있다. 국내 대학의 경우 현재까지 활용 가능한 국산 적응형 학습 시스템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국에서 개발된 적응형 코스웨어를 도입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강의와 관련한 자료들을 연계성 있게 정리하여 살펴볼 수 있는 LMS 기능과 학생의 평가 기록들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에듀테크 플랫폼들은 이미 국내 대학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 대학에서도 비대면 온라인 학습 일환의 문제 학습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국내 대학에서도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과 관련한 단체들이 생겨나고, 시범 운영적 성격의 교과목들이 각 학교 별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예상치 못한 코로나 팬데믹은 각 대학의 온라인 학습 환경 구축과 함께 인공지능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새로운 교수법적 측면에서 제고를 촉발시켰다.

3.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도입 및 적용

2020년 2학기와 2021년 1학기의 총 두 학기에 걸쳐 정규교과인 일반화학 수업에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인 McGrwaHill 출판사의 ALEKS를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3.1. 교과목 및 ALEKS 특성

3.1.1. 일반화학 과목의 특성 기술

일반화학 교과목은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BSM (Basic Science and Mathmatics) 교과목이다. 한 학기 16주, 한 주당 3시간 강의로 이루어져 있으며 3학점이 배정된 교양 필수의 학수구분을 갖는다. 내용 구성은 주로 물질세계의 핵심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하는 과정을 다룬다. 중요하게 다루어질 주제들은 원자의 구조와 그 성질, 화학 양론, 물질의 상태(기체, 액체, 고체), 산⋅염기와 산화⋅환원 반응 등의 수용액에서의 반응, 고전적 및 양자역학적 화학 결합, 화학 반응에서의 열역학적 변화 등이다. <표 1>은 이러한 내용 구성의 일부 예시에 해당한다.

교과목 구성 예시

3.1.2. ALEKS 특성

ALEKS는 1994년 미국 UC Irvine 대학의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 전공 교수들에 의해서 개발되었고 2013년 출판회사 맥그로힐(McGrawHill)에 인수되었다. 현재 미국 K-12 교육에서는 홈스쿨링 지원 플랫폼으로서, 고등교육에서는 대학에서의 수학, 화학 과목을 수강하기 전 준비 코스로 활용되고 있다.

ALEKS는 학생들에게 25 - 30개의 문제로 구성된 사전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학생이 학습하고 있는 과목에 대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하여 학생의 현재 상태에 최적화된 학습 경로를 제공한다. 학생들이 배울 준비가 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자신감을 높이고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정해진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ALEKS의 가장 큰 특징이다.

ALESK는 다른 적응형 학습 시스템과는 차별화되게 문제 기반으로 진행되며,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여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에 적응형 학습에서 필요한 데이터와 데이터들의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그림 1][그림 2]는 ALEKS에서 제공하는 학습 관련 데이터의 일부이다.

[그림 1]

교수자용 대시보드 캡쳐 화면

[그림 2]

개별 학생의 주요 개념 학습 성취 현황

3.2.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을 위한 준비

ALEKS는 해외 시스템이므로 주로 미국의 대학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교육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국내 대학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시스템 내 콘텐츠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3.2.1. 내용 체계 분석

먼저 시스템에서 다루는 주제 구성에 대한 내용 분석을 진행하였다. ALEKS에서 제공하는 기초화학 분야 교과목 중 화학을 수강하기 전 기초 수학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과목(Preparation for Chemistry), 한 학기로 진행하는 화학 교과로서의 교과목(Introduction College Chemistry), 두 학기로 나누어 기초화학을 배우는 교과목으로서의 화학1 (General Chemistry 1), 화학 2(General Chemistry 2)의 네 개의 교과목들을 실제적 교과목 운영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내용 체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과정은 [그림 3]과 같이 먼저 각 교과목 별 토픽 리스트를 작성하였고, 각 토픽 별 문제 샘플을 토대로 풀이집을 만들고, 두 과정에서 필요한 용어들을 추출하여 용어집을 만들었다.

[그림 3]

ALEKS 내용 분석 진행 방식

토픽은 주제 - 소주제 - 토픽 순으로 배열하였고, 이에 대한 요약 기술을 [그림 4]에서와 같이 진행하였다. 앞서 분석 대상 교과목에서 다루는 기본 주에 외에 실제 교과 운영을 위해 필요한 주제나 해당 학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교과과정에서 부족한 주제가 있는 경우 ALEKS에서 제공하고 있는 화학 관련 다른 교과목의 구성으로부터 추가하여 해당 학습 내용 구성에 활용하였다.

[그림 4]

토픽 기술 일부

시스템에서는 각 토픽에 관련한 문제가 제공되는데, 문제의 형태는 주관식이며, 평균적으로 중 또는 하의 난이도이다. 각 토픽 별로 유사한 형태의 문제들을 대표할 수 있는 학습 완료로 인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유사한 형태의 문제들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 문제에 대한 문제 구성을 소개 및 설명한 풀이집을 [그림 5]와 같이 제작하였다.

[그림 5]

토픽에 관한 문제 구성과 풀이

주제 분석, 문제 분석 과정에서 학생들이 ALEKS 활용과정에 필요한 용어들을, [그림 6]과 같이 영어-한글- 관련 토픽으로 정리하였고, 대한 화학회에서 제작한 술어집(일반화학, 물리화학, 유기화학)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그림 6]

용어집 예시

3.3.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활용

2020학년도 2학기의 경우 웹과제 형식의 개인 수준별 맞춤 문제 풀이 학습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하였고, 2021학년도 1학기의 경우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업 내용에 반영하는 적응형 수업 운영형태로 진행하였다.

3.3.1. 맞춤형 문제 풀이 학습 시스템으로서 활용

① 과제와 평가로서의 문제 풀이 학습 시스템 운영

2020학년도 2학기에는 간호계열 간호학과 1학년 학생 3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한 학기 16 주차로 진행되는 수업 구성에서 총 13개의 대주제를 평균 1주당 1주제 학습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앞 서의 시스템 내용 분석 결과와 수강 학생을 고려하여, [그림 7]에서와 같이 검토한 교과목 운영 모델 중 일반화학 교과목에서 활용할 기본 교과목을 선정하고, 선정한 교과목에서 다루는 주제 외에 교수자가 수업에서 설정한 학습 목표 관련한 주제들은 추가 문제 항목에서 선별하여 전체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림 7]

교과목 운영 모델 제안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기본 활용은 개인별 맞춤 과제였으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 같은 평가에도 일부 사용하였다. 교수자 관점에서는 학습 진도에 맞추어 생성된 문제 은행을 활용하여 퀴즈, 정기 평가, 과제 등 다양한 수업 지원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의 편이성 측면에서의 활용이었다. 또한, 비대면 환경의 경우 진행되는 온라인 원격 시험에서의 개별화된 문제 제공으로 인하여, 평가 중 부정행위와 관련한 공정성 측면에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과제로의 사용을 위하여 가장 먼저 학습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한 후 학기 전체에 다루는 내용에 대한 사전 진단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한 학기 전체 다루게 되는 주제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지식수준이 점검된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서는 그 결과를 토대로, 각 주제에 해당하는 문제들을 학생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고,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의 문제 풀이 과정에서 아는 것으로 인식되기까지 관련한 유사 유형의 문제를 각각의 학습 속도에 맞추어 맞춤형 문제 학습을 진행한다.

사용한 시스템에서의 AI는 학생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에 대한 진단 및 검토를 ‘학습인정’단계와 ‘학습 완료’ 두 단계로 구분하나, 학생들의 중간 설문 분석 결과, ‘학습 완료’ 단계까지 진행해야 하는 학습량으로 인한 피로도가 매우 높았다. 이러한 학생들의 학습에서 문제점을 반영하여 과제 난이도를 ‘학습 완료’ 전 단계인 ‘학습인정’ 단계로 조절하였다. 과제에 관한 성적 반영 여부는, 한 학기 종료 시점에서 ‘학습인정’ 비율을 80%, 50%를 기준으로 상⋅중⋅하로 나누었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의 영향 및 학습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간고사는 해당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같은 학기 화학 교과목 수강반들과 동일한 유형의 문제와 지필고사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기말고사의 경우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여 개인별 문제로 진행하였다.

② 운영 결과 분석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으로 인한 학습 성과적 측면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적용한 교과목의 성적과 동일 학과 학생이 수강한 동일 과목의 이전 3~4년간 성적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매 학기 5% 내외로 존재하던 10점 미만의 학생들이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적용한 교과목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하여 진행된 기말고사의 경우에는 적응형 시스템 활용 시간이 긴 학생들의 성적이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강의 평가 결과와 시스템 관련 만족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학교에서 학기 종료 후 전체적으로 진행되는 강의 평가 결과는 <표 2>와 같다. 강의 평가 설문은 수업 준비, 수업 진행 및 내용, 과제 및 평가 영역에서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수업 만족도는 5.0 만점 중 4.25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수업 준비는 4.45점, 수업 진행 및 내용은 4.26점, 과제 및 평가는 3.90점으로 나타났다.

2020년도 2학기 강의 평가 결과

시스템 관련 만족도는 39명의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표 3>과 같이 전체 만족도는 5.0점 만점 중 3.21점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학습 도움과 이해도 부분에서 5.0점 만점에 3.2점 정도의 답변을 하였다. 교과에 대한 흥미와 학습 진도 유지 부분에서는 비교적 낮은 평균을 보였다. 학습지원 관련 항목에서는 비교적 긍정적 답변을 하였다. 특히, ALEKS 운영에 관한 조교의 시스템 관련 및 문제 풀이 관련 항목이 가장 높은 평점을 보였다.

2020년 2학기 시스템 관련 만족도 조사 결과(N=39)

학습지원 관련 항목에서의 상대적인 높은 점수는 새로운 시스템의 첫 운영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전체 학기의 1/4 시점과 1/2 시점에서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시스템 참여 관련 필요들을 파악하고 조치하였던 점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학기 운영의 1/2 분기 시점에 진행된 수업 관련 요구 사항 파악의 반영으로 학습 소요 시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그림 8]에서와 같이, 표본 문제에 대한 해설 영상을 만들어 교내 LMS를 통해 제공하였다. 또한, 문제 학습에서 진행하는 주제에 관한 질의응답을 위해 조교를 지원하여, 학생들의 문제 학습을 돕도록 하는 연습반을 개설하여 문제 시스템의 운영 일정과 연계하여 진행한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설문 결과들을 통해 문제 시스템이 학생들의 학습 성취에 기여한 것으로 보이나, 향후 맞춤형 시스템 활용의 학습성과 요인에 관한 상관관계에 검증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8]

ALEKS 학습 지원 자료 중 일부

전체적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수업 만족도에 비해, 시스템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학생들의 만족도 점수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앞서 제시한 강의 평가 항목 중 과제 및 평가 점수가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과 관련하여 유추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은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학습활동을 새롭게 부가되는 학습과제이자 평가로 인식하고 있어 학습의 유용성보다는 학습 부담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원인은 맞춤형 학습 진행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묻는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유추할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은 영어로 된 시스템(45%), 예측할 수 없는 학습 시간 (35%), 마스터를 요구하는 토픽 학습(20%) 순으로 나타났다.

ALEKS는 모든 콘텐츠가 영어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 입장에서 특히,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경우, 문제 학습 과정에서 문제를 푸는 단계뿐만 아니라, 문제와 함께 제공되는 풀이 및 해설을 통한 개념 학습과 같이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학습의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이 또 다른 과제로 느껴질 수 있다. 실제로 두 학기의 운영 모두에서 학생들은 학기 초반부터 영어로 된 시스템에서의 학습 진행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관련하여 사전 제작한 용어집과 보편적으로 학생들이 많이 사용한 번역기를 사용을 권장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학생들의 외국어(해당 과목에서는 영어)관련 개별 학생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개별 학습 단계가 아닌 기말고사와 같은 학습 성취도 평가의 단계에서는 적용 교과목의 학습성취 외에 영어와 같은 외국어 능력과 같은 언어 능력과 관련한 부분이 함께 평가의 요소가 되는 것이 민감한 문제로 받아들여져, 실제 운영 중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학점 부여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정기고사의 경우 영어로 제공된 문항을 한글로 재출제 한 지필 고사로 대체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언어적 측면은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 외에도 인공지능의 학습 진단과 추론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 성향과 학습 역량 인지에서 오차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단을 토대로 한 추론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기에 언어에 관련한 부분은 시스템과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높여 시스템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서도 보완이 필요한 측면으로 보인다.

3.3.2. 적응형 수업으로서의 시스템 활용

선행 학기의 운영 방식은 맞춤형 문제 풀이 학습으로 학생들의 학습은 주로 해당 주제 강의 이후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개념 학습 강화에 기여하나, 개념의 확립과 구조화, 확장뿐 아니라 개념 자체를 이해 부분에 있어서 강의에서 교수자의 관점과 해석을 통해 공유되는 상호작용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2021년 1학기에는 이를 보완하고 더불어, 학생 스스로 문제 학습의 과정을 수업 현장에서 교수자의 관점으로 해석한 강의에 적용하여 연계하거나, 단순한 개념 학습을 확장한 다양한 활용의 측면이 강화된 수업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교과목을 운영하였다.

① 수업 연계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운영

2021학년도 1학기에는 공학계열 학과의 1학년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AI 기반 적응형 수업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그림 9]는 한 학기 16 주차로 진행되는 수업 구성에서 1주당 2차시로 진행되는 장별 진행 방식을 모식도로 보여준다.

[그림 9]

AI 기반 시스템의 수업 활용 모식도

수업은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장별 진단 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한 전반적인 이해도 점검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 진행과 학생 개인별 맞춤 과제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수업의 수업 설계 과정에서 가장 주목한 부분은 인공지능이 적응형 학습 과정에서 산출해주는 학생 진단 자료를 수업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느냐였다. 이는 이미 많은 데이터 기반 학습법에서 언급하는 산출된 데이터 활용이 교수 과정 전체에서 미치는 중요성과 같은 맥락이다.

수업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강의 전에 주제별로 15분 내외의 교수자가 참여하여 제작한 장별 기본 개념 영상들을 통해서 사전학습을 한다. 이러한 사전학습을 통한 이해 수준을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서 진단 평가를 통해 확인하고, 인공지능은 이 결과를 다시 학생 개인별 맞춤 과제의 학습 경로에 반영한다. 교수자는 이 진단 평가 자료가 보여주는 학생들의 평균 학습 수준을 반영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기본 개념 학습을 위해 관련한 영상 활용은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자체에서 제공하기도 하나, 교수자 참여 제작 영상 활용의 경우 교수자의 관점을 적용하는 수업 구성면에서 도움이 되었다.

1주당 2차시로 진행을 기본으로 하는 수업 진행 방식에서, 1차시에 해당하는 첫 수업에서는 인공지능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내용 체계의 주요 개념들을 확인하고, 학생들이 학습한 기본 주요 개념들간의 체계와 인과 관계들을 통해 확장 시켜 각 주제들을 거시적 관점에서 보도록 하였다. 수업 진행과 연계한 진단 평가의 경우 수업 전 학습활동에 대한 진단 보고서를 수업 일 전날 작성한다. 주로 오답률이 높은 문제, 그리고 소요 시간이 길었던 주제와 관련된 문제들을 편집하여 수업에서의 도입 주제로서, 그리고 중점적으로 다루게 되는 주제로 삼아 강의의 중심에 둔다. 2차시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개인별 맞춤 과제 진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주간보고서의 형태로 산출하여 학생들의 AI 문제 학습 독려에 활용한다. 또한 해당 장의 후반부 수업이기에 코스웨어에서 제공하는 주제를 활용하여 교수자의 내용 구성과 연계하여 요약 강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2차시 수업 시간 종료 15분 전에 형성평가를 진행한 후 수업을 마무리하였다. 앞 서의 진단 평가는 물론 형성평가 결과는 AI에서 제공하는 개인별 과제에 반영되고, 최종 학점에서는 출석점수로만 반영하였다. 학생들의 성적은 높지 않으나, 토픽별 이해도 경향성 파악은 가능한 정도로 산출되었다. 추후 운영 시 강도 높은 수업 구성을 위해서는 형성평가의 경우 평균 기준으로 한 추가 과제 및 적절한 범위에서의 성적 반영을 고려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맞춤별 과제 학습의 경우 해당 학기 전체를 통해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화하였다. 개인별 맞춤 과제의 경우는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기본 주제 구성을 한 학기 전체에 모든 주제에 접근가능하도록 운영하였다. 수업 전후에 진행되는 진단 퀴즈와 형성평가 결과가 학생의 맞춤 학습 과정에 반영되어 개별적 문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였고, 학생들은 관련 문제 학습을 한 학기 동안 자율적으로 참여 및 진행할 수 있도록 운영하였다. 과제로서의 성적 반영은 직전 학기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표 4>는 학습 진행 관련하여 주간보고서 형식으로 정리한 자료의 일부 예시이다. 주간보고서는 시스템이 학생들의 학습 진행 과정과 관련하여 교수자와 개별 학습자에게 보여주는 다양한 정보들을 교수자 필요에 맞추어 간단한 방식으로 정리하여 학생들의 주차 별 진행 상황을 비교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사전 진단학습과는 별개로 이후 학기 중 수업에서 다루어질 주제에 관한 주제들에 관한 추가 학습 과정 정도 및 대략적인 이해도를 점검할 수 있었다.

주간보고서 양식

비율은 해당 주제의 학습 완료 비율을 100% 기준으로 산출한 값을 의미하며, 주별로 학습 완료에 대한 비율을 추적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주제 개수와 완료 비율이 다른 것은 해당 개념들 완료하기 위해 선정한 주제 및 문제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문제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때문에, 맞춤형 학습 진행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학생들 중심으로 아직 학기 중에 다루지 않은 장들에 대해서도 학생 스스로 문제 학습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② 운영 결과 분석

학습성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다른 동일 교과목의 전체 분반 성적을 비교하였다. 일반화학 과목은 일반적으로 많은 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으로 학생 수가 많아 분반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과목이다. 중간, 기말 정기고사 점수의 최상위권 학생을 포함한 상위 10% 학생들은 과제 점수와 출석에서 모두 10점 만점을 받았다. 이는 최상위권 학생들은 모두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사전 진단 참여 및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을 의미한다. 반대의 경우로, 정기고사 최하위 학생들의 경우 과제 참여 및 완료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개별 학습 진행도와 정기고사 결과와 같은 학습 성취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상되나 유의미한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이전 학기와 동일하게 강의 평가 결과와 시스템 관련 만족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강의 평가 설문은 수업 준비, 수업 진행 및 내용, 과제 및 평가 영역에서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수업 만족도는 5.0 만점 중 4.61점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수업 준비는 4.65점, 수업 진행 및 내용은 4.67점, 과제 및 평가는 4.37, 기타는 4.59 점으로 나타났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과제 및 평가 부분의 만족도 점수에 큰 증가가 있었고, 강의 만족도에도 전체에 대한 평점 상승이 있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맞춤형 과제 방식으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2020년 2학기)했을 때보다 수업과 연계하여 활용(2021년 1학기)한 것이 과제 및 평가 항목을 포함한 강의 전체 만족도에 고르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1년도 1학기 강의 평가 결과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 자체의 만족도 부분에서도 대체적으로 소폭의 상승(3.21→ 3.43)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학습 흥미도 부분에서 개별 문제 학습으로만 운영한 지난 학기에 비해 (2.40 → 3.05 )비교적 높은 상승(2.40 → 3.05)이 있었다. 이는 맞춤형 과제의 수업 연계가 학습 흥미와 학습 진도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교의 학습지원 관련 부분이 (4.15 → 3.73)으로 감소한 것은 지난 학기와 비교할 때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수업과 연계하기 위하여 조교 활동이 주로 시스템 제공 데이터 산출과 시스템 관리 측면으로 업무가 집중되어 학생들 입장에서는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피드백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2021년 1학기 시스템 관련 만족도 조사 결과(N=46)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향후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일반화학 과목에서의 적용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화학 과목은 한정된 시간 안에 다양한 선행학습 정도를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적 많은 내용이 다루어지는 기초 과학이라는 교육적 내용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 코로나 19로 인하여 같은 공간에서 상호작용하기 어려운 비대면 환경하에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목의 특성과 수업 환경의 제한점을 고려할 때,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활용은 학생들의 개념 지식 강화 측면에서의 보충 학습으로서 학생의 이해도를 전반적으로 높이며,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통해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수준과 상황을 반영하여 좀 더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면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교양 교육의 목표는 다양한 문해 능력, 정보 수용 능력, 총체적 조망 능력, 지식 창출 능력, 소통과 공감 및 협동 능력, 합리적 사고와 감성적 정서를 통합하는 능력 등 단순한 반복적 개념의 강화 중심의 학습으로만 함양될 수 없는 능력과 자질들을 포함하고 있다. 대학에서의 교육은 지식 교육이라는 목적적 교육을 넘어 탐구적이며, 비판적이며, 창조적인 사유와 성찰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손동현, 2019: 50-54).

이와 같이 특정 분야의 기성 지식을 반복 학습하는 것만으로 대학에서의 기초 교육의 역할이 충족될 수 없음을 생각할 때, 대학 교육 현장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도입 및 적용된 교과목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시스템의 유연한 활용이 필요하다. 문제 학습 과정에서 인공지능이 인식하는 학생의 학습 상황 외에 교수자의 교육 경험을 고려한 수강 학생의 학습 성향과 학습의 동기 그리고 학습 목표에 대한 파악을 통해 시스템의 활용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문제 학습 과정에서의 학습 진행 및 유지와 관련한 지원으로서의 시스템 관련 조치들이 필요하다. 개인별 맞춤 문제 학습 수행은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정해진 수업 시간 외에 학생들에게 추가적인 과제 학습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인공지능 시스템 내에서 선행학습 수준 및 개념이 낮은 것으로 진단된 학생들의 경우 시스템으로부터 학습 요구 항목을 많이 제안받는다. 이러한 경우 해당 교과목의 학습 역량이 높지 않은 학생들은 이러한 상황을 높은 학습 강도로 받아들이게 되며, 문제 학습 시스템을 통한 학습 과정을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한다. 그러기에, 문제 학습 과정에서 자신의 노력이 적절한 가시적 효과로 보여지는 효율적 효능감이 학생들에게 공유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교수자가 내용학습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학습량 조절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 전적으로 따르기보다는 학생들의 상황을 반영하여, 학습 완료 인정 난이도와 주제 선정, 문제 진행 방식 등을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는 정도의 유연한 활용이 요구된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과 관련한 시스템 산출 데이터의 활용 면에서도 유연함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 관한 인공지능 산출 데이터는 개별적인 학생들의 학습 정보를 세세하고 신속하게 제공한다. 이는 학생들의 관련 주제에 관한 학습 시간과 진행 정도 그리고 이러한 상황의 급격한 변화들을 수치화해서 보여주며, 이와 관련한 정보를 메일로 또는 시스템 내 교수자 게시판을 통해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학생들에 관한 개별 자료들은 학생 대상의 지도 및 상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교과 운영을 고려할 때, 교수자와 학생 모두에게 이러한 피드백을 얼마만큼 적용할지 고려해야 한다. 특히, 학생들의 개별적 학습 산출 기록들을 시스템의 진행을 독려하는 정도의 활용이 아닌 교수자가 진행하는 수업 안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준비가 전체 수업 설계 안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의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수업 연계는 학생들의 진단학습 결과를 통해 선행학습 과정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주제를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또 가장 많은 소요 시간이 할애된 문제와 주제를 강의의 문제 제기를 통하여 강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교실 수업에서 학생 수준에 맞는 개별화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식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군집화하여 그룹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 제공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의미의 강화된 적응형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에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교수자가 직접 수업 내용 및 목적에 맞게 학생들의 수준을 군집화한 후 그에 따라 그룹별 수준별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의 교과목 적용과정에서 내용 체계에 관한 교수자의 주도성과 창의성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은 각 교과목 도메인에 따라 교육과정이 미리 설계되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 해당 학교의 교육환경과 교육목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수자는 활용하고자 하는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서 채택한 내용 체계를 미리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교수자가 수업 설계 과정에서 계획한 내용 구성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강의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 구성을 바탕으로 검토한 후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한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개념의 이해와 확립, 구조화를 넘어 과학적 현상에 대한 관점과 해석이 공유되고 확장되는 강화된 상호작용이 강의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강의를 구성 및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대학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도 보편적이지 않은 초기 단계에 특정 과목에서의 특정 시스템을 활용한 결과이므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현재 대학 교육에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과 적용을 모색하는 시점에서 실제적인 적용과정과 성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더 다양한 교과목을 대상으로 하는 활용 사례와 결과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다양한 측면에서 적용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인공지능 기반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이를 활용한 적용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도 대학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인공지능 활용을 위하여 도움이 될 것이다.

References

1. 강혜정(2011). “서울대학교 교양수학: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 대학교육 174, 91-95, Retrieved from https://magazine.kcue.or.kr/last/popup.php?vol=174&no=4111.
2. 김형욱, 문성윤(2020).“R 매핑을 이용한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탐색- 국외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4(4), 313-325.
3. 류미영, 한선관(2019). “딥러닝 개념을 이용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83-590.
4. 신종호(2021).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블렌디드러닝을 중심으로”, 2021 국제교양교육포럼 자료집, 159-168.
5. 신종호, 손정은(2021). “대학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9(10), 39-48.
6. 윤옥한(2020). “코로나 19 이후 교양 교육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14(4), 25-34.
7. 이승환, 김용성(2018), “학교에 등장한 인공지능”, 정보과학회지 36(11), 44-50.
8. 이정례(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9(3), 513-532.
9. 한선관, 류미영, 김태령,(2021). AI 사고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도서출판 성안당.
10. 허균, 강승희(2008).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통합 모형 탐색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3), 462-472.
11. Annoni A, Benczur P, Bertoldi P, Delipetrev B, De Prato G, Feijoo C, Fernandez Macias E, Gomez E, Iglesias M, Junkleitz H, Lopez Cobo M, Martens B, Nascimento S, Nativi S, Polvora A, Sanchez I, Tolan S, Tuormi I, Vesnic Alujevic L. Artificial Intellignece. 2018;Artificial Intelligence, A European Perspective
12. Brown M, McCormack M, Reeves J, Brooks C, Grajek S. 2020. EDUCAUSE Horizon Report (Teaching and Learning ed.) Louisville, CO: EDUCAUSE.
13. Gershenfeld S, Ward Hood D, Zhan M. 2016;“The role of first-semester GPA in predicting graduation rates of underrepresented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Research, Theory &Practice 17(4):469–488.
14. Guan C, Mou J, Jiang Z. 2020;“Artificial intelligence innovation in education:A twenty-year data-driven historic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Studies 4(4):134–147.
15. Holmes W, Bialik M, Fadel C.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Promise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Open University UK: Center for Curricuum Redesign.
16. Hwang G. J, Xie H, Wah B. W, Gašević D. 2020. “Vision, challenges, roles and research iss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Computers and Education:Artificial Intelligence 1(100001)1–5.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016/j.caeai.2020.100001.
17. Lemke C. 2013;Intelligent adaptive learning:An essential element of 21st century teaching and learning. Dreambox Learning Inc
18. McGwarHill Education. 2017;“Arizona University Expands the Use of McGraw-Hill Education's ALEKS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in the Global Freshman Academy”
19. Oxman S, Wong W. 2014;“White paper:Adaptive learning systems”. Integrated Education Solutions :6–7.
20. Pugliese L. “Adaptive Learning Systems:Surviving the Storm”. EDUCAUSE Review (2016. 10. 7). Retrieved from https://er.educause.edu/articles/2016/10/adaptive-learning-systems-surviving-the-storm.
21. Santosa R. G, Chrismanto A. R. 2017;“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edicting First Semester Students Gpa Category Based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Arts, Science &Commerce 8(2):58–66.
22. Singell L. D, Waddell G. R. 2010. “Modeling retention at a large public university:Can at-risk students be identified early enough to treat?”.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51(6)546–572. Retrieved from http://dx.doi.org/10.1007/s11162-010-9170-7.
23. Tyton &Babson Survey Research Group. 2021;Making the case for courseware, Everylearner Everywhere
24. 오 희나. “[교육계 학력쇼크]③학력붕괴 대학도 불똥…수업 못 따라오는 학생늘어”. 이데일리 Retrieved fr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57846629084344&mediaCodeNo=257. (2021. 6. 22).
25. APLU. 2019. “Accelerating Adoption of Adaptive Courseware at Public Universities” Retrieved from https://www.aplu.org/projects-and-initiatives/personalized-learning-consortium/plc-projects/plc-adaptive-courseware/AdaptiveCoursewareUpdateArizonaState.pdf.
26. ASU. 2021. “Case Study:Arizona State University(ASU)” Retrieved from https://www.everylearnersolve.com/asset/Li3qFXe6MCjV7hOUYhR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교과목 구성 예시

주차 강의 주제 수업 내용 수업 전 수업중 수업후
1 오리엔테이션 교과목 및 수업 방식 소개, 학생활동 및 과제 소개 - 아이스 브레이크
- 학생 특성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화학: 변화에 대한 연구 물질의 성질과 상태 사전학습 적응형 진단 퀴즈 사전 진단 결과 점검을 통한 내용별 피드백
물질의 변화와 측정 개념을 심화하는 문제풀기 형성평가 적응형 과제
2 원자, 분자 및 이온 물질의 기본 입자: 원자 사전학습 적응형 진단 퀴즈 사전 진단 결과 점검을 통한 내용별 피드백
원소와 화합물 핵심 개념을 적용 및 응용하는 문제 풀기 형성평가 적응형 과제
3 화학 반응에서의 질량 관계 몰질량과 화학식 사전학습 적응형 진단 퀴즈 사전 진단 결과 점검을 통한 내용별 피드백
화학 반응과 화학 양론 - 핵심 개념을 적용 및 응용하는 문제 풀기 형성평가 적응형 과제
4 수용액에서의 반응 수용액 반응 사전학습 적응형 진단 퀴즈 사전 진단 결과 점검을 통한 내용별 피드백
무게 분석 및 적정 - 핵심 개념을 적용 및 응용하는 문제 풀기 형성평가 적응형 과제
5 기체 이상 기체 및 실제 기체 사전학습 적응형 진단 퀴즈 사전 진단 결과 점검을 통한 내용별 피드백
기체의 화학 양론과 실제 기체 - 핵심 개념을 적용 및 응용하는 문제 풀기 형성평가 적응형 과제
6 열화학 열역학 사전학습 적응형 진단 퀴즈 사전 진단 결과 점검을 통한 내용별 피드백
열화학 및 열계량
7 반응과 엔탈피 - 핵심 개념을 적용 및 응용하는 문제 풀기 형성평가 적응형 과제
8 중간고사

[그림 1]

교수자용 대시보드 캡쳐 화면

[그림 2]

개별 학생의 주요 개념 학습 성취 현황

[그림 3]

ALEKS 내용 분석 진행 방식

[그림 4]

토픽 기술 일부

[그림 5]

토픽에 관한 문제 구성과 풀이

[그림 6]

용어집 예시

[그림 7]

교과목 운영 모델 제안

<표 2>

2020년도 2학기 강의 평가 결과

항목 수업 준비 수업 진행 과제 및 평가 기타 합계
평균 4.45 4.26 3.90 4.22 4.25

<표 3>

2020년 2학기 시스템 관련 만족도 조사 결과(N=39)

문항 평균 표준편차
학습 도움 ALEKS는 전반적인 나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3.15 0.96
이해도 ALEKS는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3.10 0.99
흥미도 ALEKS는 본 교과에 흥미를 가지는 데 도움이 되었다. 2.40 1.16
학습 진도 ALEKS는 학습 진도를 포기하지 않고 따라가는데 도움이 되었다. 2.75 1.09
학습지원 관련 교수자는 ALEKS 활동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요약강의, 전체 피드백 등을 통해 수업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3.70 1.10
조교는 ALEKS 활동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피드백을 잘 제공하였다. 4.15 0.79
합계 3.21

[그림 8]

ALEKS 학습 지원 자료 중 일부

[그림 9]

AI 기반 시스템의 수업 활용 모식도

<표 4>

주간보고서 양식

진행 경과 원자 화학 양론 반응 기체 열역학 전자구조 화학 결합
비율 주제 비율 주제 비율 주제 비율 주제 비율 주제 비율 주제 비율 주제
1주차 21 6 11 3 4 1 3 1 3 1 2 1 9 2
2주차 25 7 12 4 5 1 4 1 4 1 4 1 10 3
3주차 29 8 15 4 7 1 7 1 7 1 5 1 13 3
4주차 34 10 19 6 8 2 9 2 9 2 8 2 14 3

<표 5>

2021년도 1학기 강의 평가 결과

항목 수업 준비 수업 진행 과제 및 평가 기타 합계
평균 4.65 (+0.20) 4.67 (+0.41) 4.37 (+0.47) 4.59 (+0.37) 4.61 (+0.36)

*( )는 직전 학기 2020년 2학기 대비 증감 수치

<표 6>

2021년 1학기 시스템 관련 만족도 조사 결과(N=46)

문항 평균 표준 편차 이전 학기 대비 증감
학습도움 ALEKS는 전반적인 나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3.08 1.26 -0.07
이해도 ALEKS는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3.08 1.22 -0.02
흥미도 ALEKS는 본 교과에 흥미를 가지는데 도움이 되었다. 3.05 1.23 +0.65
학습진도 ALEKS는 학습 진도를 포기하지 않고 따라가는데 도움이 되었다. 2.95 1.19 +0.20
학습 지원 관련 교수자는 ALEKS 활동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요약강의, 전체 피드백 등을 통해 수업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3.89 1.14 +0.19
조교는 ALEKS 활동 과정이나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피드백을 잘 제공하였다. 3.73 0.99 -0.42
합계 3.43 +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