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의 효과 분석 -S 대학 사례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Ethics of Life Practice -Case Study in S University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1;15(6):147-16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1.15.6.147
문정화1, 김은경2
1 제1저자, 숭실대학교 조교수, mjhlsm@ssu.ac.kr
Assistant Professor, Soongsil University
2 교신저자, 숭실대학교 부교수, ekim@ssu.ac.kr
Associate Professor, Soongsil University
Received 2021 November 20; Revised 2021 December 03; Accepted 2021 December 27.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대학의 인성교육 중에서 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명예규약 교과목은 대학생활 및 일상생활에서 지켜야할 윤리적 규범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천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생활 현장에서 실천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좋은 인성을 가진 세계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주제 영역은 사이버윤리, 학습윤리, 인권윤리, 가정윤리(부모자녀 관계, 부부관계), 대인관계 윤리(이성관계, 의사소통), 기독교윤리로 학생들이 접하는 학교, 가정, 사회 등의 생활 영역에서의 생활윤리 실천형 수업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대학의 인성 교과목과 구별된다.

S명예규약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86명과 교양선택 교과목 수강 학생 중 29명의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인성과 핵심역량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생활윤리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S명예규약 교과목은 인지, 정의, 행동의 모든 영역에서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비판적사고/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협력, 학습역량의 핵심역량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성 덕목에 대한 지식의 함양 뿐 아니라 학교, 가정, 사회의 삶의 영역에서 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생활윤리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은 대학의 인성교육의 새로운 형태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인성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ethics of life practice within personality education at universities. The subject of the S Honor Code course attempted to cultivate global citizens with a good personality to adapt well to the future society by examining ethical norms to be observed in college life and daily life and practicing them in real life. The subject areas covered in this course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universities’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areas of life, such as cyber ethics, study ethics, human rights ethics, family ethics (parent-child relations, marital relations), interpersonal ethics (dating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Christian ethics. The ethics in life were practiced in the students’real life.

The effect of improving personality and core competency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86 students taking the S Honorary Code course and 29 students taking the elective cours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 Honor Code course, centered on ethics of life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personality development in all area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t also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in critical thinking/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learning capabilities.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life ethics not only fosters knowledge of personality virtues bu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to practice ethics in school, at home, and in society. Thus, it can be applied as a new form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personality education develops in the future.

1. 서론

세계경제포럼(WEF, 2015:3)은 21세기 지능정보사회에서 필요한 기능을 기초문해(foundational literacies), 핵심역량(core competencies), 인성자질(character qualities) 로 제시하였다. 이 3가지 기능 중에서 인성자질은 호기심, 진취성, 인내⋅끈기, 적응력, 지도력, 문화⋅사회적 인식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인성자질은 대인관계에서 협력하고 공감능력을 지닌 바른 인성을 소유한 사람의 특질에 해당된다(김영래, 강선보, 정창호, 이성흠, 류은영, 이동윤, 2015, Davidson, Lickona & Khmelkov, 2008). 미래 사회를 주도해갈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학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바른 인성을 가진 전인적 인재를 양성하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인성교육이란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이며,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국가법령정보센터, 2020). 인성교육에 대한 이러한 정의가 보여주는 것처럼 인성교육은 매우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정의되고 인성교육을 실시하는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각 대학들은 정규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 대학의 교양교육은 성숙한 인격체가 지녀야 할 품성, 세계시민으로서의 소양,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판단력과 도덕성 함양의 목표를 가지므로(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1)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성교육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학들은 ‘고전 읽기를 접목한 인문학 중심 인성교육’, ‘사회봉사를 통한 방임형 인성교육’,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신입생 대상 인성교육’, ‘종교교육과 연계한 인성교육’, ‘기숙사와 생활관 프로그램을 연계한 인성교육’, ‘교양교과목과 연계한 인성교육’등 다양한 형태의 인성교육을 제공해 왔다(김지영, 2015; 이하준, 이서인, 2015; 조명실 외, 2016).

그런데 다양한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성교육이 꼭 포함해야 하는 구성요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실제적으로 효과성 있는 인성교육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통합적 인성교육론자인 Lickona(1992)는 인성이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차원을 모두 통합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인간이 옳은 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면 옳은 것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되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게 된다고 하였다. 인성의 인지적 측면은 도덕적 인식, 도덕적 가치를 아는 것, 도덕적 추론,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주어진 상황 속에서 도덕적 판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도덕적 가치들이 다양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고 반성적인 사고를 통해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인성의 정의적 측면은 올바른 행동을 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끼는 양심, 도덕적 문제에 대한 적절한 감정을 갖고 자신을 통제하는 마음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인성의 행동적 측면은 자신의 도덕적 지식과 정서적 반응을 행동으로 전환하는 능력과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습관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성숙한 도덕적 인성의 소유자는 자신의 도덕적 가치 체계 속에서 일관되게 행동하고 자신이 속한 사회, 문화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도덕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사람이라는 것이다(Kevin Ryan, & Thomas Lickona, 1992). Lickona의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은 개인의 도덕적 가치가 사회 속에서 실현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학의 인성교육이 자신에 대한 성찰성(reflectiveness)을 포함하는 개인 성품의 차원과 공동체 속에서 융화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이 지녀야 할 연대성(solidarity)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상수, 김은정, 2017)이나 대학생 우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인 인성역량을 ‘자기성찰 및 자기이해’,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공동체적 세계시민의식’으로 제시하는 김은진(2017)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인성교육에 있어서 지식교육을 통한 인지적, 정서적 측면의 인성 함양과 실천의 연계가 필수적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아직 우리나라 대학의 인성 교양교육은 동서양의 윤리사상에 바탕을 둔 이론중심의 수동형 참여 방식의 수업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이성흠, 김진규, 박영민, 2019), 대학의 인성교육 운영 사례연구는 교과 및 교재 개발 사례(김누리 외, 2017; 김은주, 2019; 이종민, 이혜영, 2016; 조명실, 2020), 인성 역량 및 변화(김하윤, 2018; 김현주, 2020) 등 지식습득을 통한 인성 함양과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통한 덕목 체화를 균형감있게 실시하는 인성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윤리 실천을 기반으로 한 S대학교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인 “S명예규약”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교과목은 인성교육의 지식 습득을 생활윤리교육에 초점을 두고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사이버윤리, 학습윤리, 인권윤리, 가정윤리, 사회에서의 대인관계 윤리 등 생활에서 필수적인 윤리를 중심내용으로 한다. 이렇게 습득한 지식을 실천중심의 학습 방법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윤리적 판단력을 기르고 실천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였다. 인성교육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들에서 인성교육이 인성 함양과 함께 대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의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박미랑, 2019, 박은민, 2012) 본 교과목의 효과성은 인지, 정의, 행동적 차원의 인성과 핵심역량의 향상을 통계적 분석을 통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강의 평가의 자유기술형 문항을 분석하여 본 교과목이 인성교육의 지식 습득과 실천 역량을 기르는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S명예규약 교과목은 대학생의 인성 함양에 효과적인가?,

둘째, S명예규약 교과목은 대학생의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적인가?

셋째, S명예규약 교과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대학의 인성교육 현황과 효과

2.1. 국내외 대학의 인성교육 현황

국내 대학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는 등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사회가 직면한 가치 혼란과 사회문제들을 앞서 겪은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학교에서 실시해온 인성교육은 공정성, 관용, 공감, 박애 등의 윤리적 가치를 중시하는 도덕적 인성만이 아니라 근면, 노력, 절제, 인내 등의 삶에 대한 태도에 관한 수행 인성까지 포괄하고 있다(이성호, 2014). 특히 미국의 주요 대학인 하버드대학, 브라운대학, 예일대학의 인성교육의 특성을 살펴보면, 하버드대학은 ‘민주국가시민’, ‘윤리자원이해’, 브라운대학은 ‘세계적 시민양성’, 예일대학은 ‘지성의 인간적 훈련’을 추구하고 있어서(윤유진, 이연주, 2018) 대학교육을 통해 세계시민으로서의 윤리적인 민주 시민 양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OECD(2018)의 DeSeCo(Defining and Selection Competencies) 프로젝트는 핵심역량의 범주를 자율적 행동(자기관리), 타인과 상호작용(대인관계 관리), 도구활용(SNS 등 인터넷 정보)로 설정하여 학생들의 기본 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신의 삶에 대한 주체성 확립과 지역공동체와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윤리적 가치관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윤유진, 이연주, 2018). 이는 대학교육에서 윤리적인 가치관을 함양한 민주 시민 양성을 포괄하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의 인성교육의 운영 형태는 학점이 부여되는 정규교육과정에 포함되는 교양 과목과 수업 외의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구분된다. 국내 대학들의 인성교육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교육부에서 시행한 2015년도 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기본 계획과 2014년도부터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추진해온 ‘인성교육 3.0’ 사업은 체험교육과 연계된 인성함양 교과목과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해왔다(박인선, 2017). 그동안 대학의 인성교육은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은 정규 교육과정에 비해 유연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박은숙, 2018). 먼저, 교육과정을 개설, 변경, 폐지가 자유롭고 주야 구분 없이 운영할 수 있다. 더불어 교원의 참여 없이 학생들의 자치적 활동이 가능하며 교외의 다양한 장소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의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어 인성 함양의 목적을 달성할 만큼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하기 어려우며, 인성 비교과 프로그램이 인성교육의 목적을 저해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지현아, 2017). 이에 따라 대학의 인성교육은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절히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 각 대학들은 <표 1>과 같이 다양한 인성교육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들은 도덕성과 인성함양 증진이라는 공통된 교육철학을 표방하면서 각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이론 중심 수업방식’, ‘실천 중심 수업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론 중심 수업 방식을 적용하는 대학들 중에서 경희대학교는 ‘인간의 가치 탐색’이라는 교양과목을 통해 인지적 차원에서 인성을 함양한다. 인간이 오랜 기간 발전시켜 온 문명전개 과정을 통해 인간이 추구해온 가치들을 탐색하고 어떤 가치 세계를 구성해왔는지를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킴으로서 인문학 능력 함양을 통한 인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의 경우는 2013년 7월에 성균인성교육센터를 설립하여 ‘성균논어’ 등의 인성 교과목을 운영해오고 있으며 인(仁), 의(義), 예(禮), 지(智)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성균논어 과목에서는 핵심고전 논어를 통해 인의예지, 수기치인의 현대적 의의를 제고하며, 성균인의 정체성 확립을 도모하고 있다.

국내대학의 인성교과목 현황

이론을 바탕으로 한 실천 중심형 수업 방식은 ‘강의실내 단순 실천형 수업 방식’과 ‘현장체험형 수업방식’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강의실내 단순 실천형 수업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대학은 동덕여자대학교와 성균관대학이 해당된다. 동덕여자대학교는 지역사회와 국가에 공헌할 수 있는 지성과 덕성을 지닌 여성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양필수인 ‘동덕Arete’ 과목은 자발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성숙한 인격체로 성장하도록 하는 전인적 교육을 지향하며, 일방적인 강의 방식이 아닌 참여형 수업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의 실천리더십 과목은 리더십의 실질적 적용에 대해 중점을 두며 기존의 이론 중심 교육을 탈피하고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방식의 강의와 실습을 통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문제 해결 학습을 도모하고 있다. 더불어 토론과 발표, 그룹활동, 체험 기반 과제를 통한 실무적 문제 해결 등의 실천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현장체험형 수업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대학은 서울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가 해당된다. 이들 대학들은 이론과 실천을 병행하고 있으며 실천 방법은 강의실 밖의 봉사활동(서울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활동 중심의 팀프로젝트(서울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와 같은 현장체험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는 사회봉사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이 주변의 이웃에 관심을 가지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학생들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여자대학교는 인류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 덕, 술을 지닌 여성 지도자 양성을 추구하면서 단과대 규모의 바롬인성교육원을 중심으로 전교생이 1학년부터 3학년까지 3단계의 인성교육과정(바롬인성교육1,2,3)을 이수하도록 한다. 바롬인성교육1(1학년), 바롬인성교육2(2학년) 과정은 공동체 생활 교육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바롬인성교육3(3학년)은 교과목 형태로 15주 동안 TPBL(Team Project-Based Learning) 방식의 수업을 통해 사회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목표로 인성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성신여자대학교는 ‘성신인’이라는 과목을 통해 자신, 타인, 공동체를 품을 수 있는 여성으로 교육하고자 하며 표준 교육 자료를 갖추어 인성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는 건학이념인 ‘나눔 정신’을 바탕으로 사회변화를 이끌 수 있는 나눔과 공존의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교양필수 과목인 ‘나눔리더십’과목은 이론교육과 팀별 프로젝트 실천 과정에서 집단지성의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중심 실천교육을 통합적으로 운영한다(김혜령 외, 2016). 이러한 교과목들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인성의 인지적 차원뿐만 아니라 실천적 행동을 유도하는 수업방식의 적용으로 정의적, 행동적 차원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인성교육이다.

이처럼 국내 대학들의 인성 교과목 운영 사례를 볼 때 대부분의 대학들에서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해 체험과 실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이 학문적 성취뿐만 아니라 감성과 실천을 중시하는 교육 트렌드로 변모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의 인성교육이 유교적 관점에 기반한 도덕이나 윤리 교육 등의 교과 활동과 효, 예, 애국심 등의 덕목을 교육하기 위한 체험 활동을 적용하고 있는 수준으로 효과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적 접근의 한계가 있다(김선혜, 2013)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 노력의 결과로 짐작된다.

2.2. 인성 교육 교과목의 효과

인성 교과목의 효과성은 통합적 인성교육의 구성요소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토대로 평가해볼 수 있다. 고명희, 권미진(2015), 박은민 외(2016)의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이 인지, 정의, 행동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누리 외(2018)는 G대학 신입생 인성함양을 위한 인성 교과목(GU인성)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GU 인성 과목에서는 6가지 인성 덕목(정직, 약속, 용서, 책임, 배려, 소유)을 학습 주제로 선정하였고 그룹 토의와 일상생활에서 수업 시간에 배운 덕목을 실천하는 과제로 구성되었다. 수업 후 학생들의 인성함양정도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인지와 행동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erkowitz & Bier (2007)가 학생들의 위험 행동 감소, 친사회적 능력 증진, 학교생활 증진, 사회적⋅정서적 증진과 같은 4가지 요인의 변화에서 인성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인성에 대한 지식의 함양과 실천 과제는 학생들의 실제 행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박미랑(2019)은 인성함양 교과목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성함양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으며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 내의 결과는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나타나서 인성 교과목이 대인관계능력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은민(2012)은 자기 이해 및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양강좌가 대학 신입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노이영(2016)의 연구에서는 심리⋅사회적 성숙에 있어서는 자기실현, 사회적 책임감, 심미적 감수성, 존중과 배려, 가족애와 관계 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계능력에서는 자기노출, 처음 관계맺기, 권리주장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인성교육 교과목은 심리사회적 성숙, 자존감,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성교육의 방향은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고 바람직한 일을 하는 것으로 한정해서는 안되며, 학생들이 바람직한 태도, 가치, 습관 등을 획득하여 개인과 사회 전체를 위한 의미 있는 삶을 살고, 학교나 사회에 해로운 문제 행동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Davidson, Lickona, & Khmelkov, 2008). 이는 전반적인 인간의 삶의 영역에서 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의미한다. 가정생활 영역에서의 정서적 연결성 회복을 통한 인성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면, 김지원(2015)는 K대학교 ‘감사’의 가치관 증진을 위한 ‘마음교양’ 교양교과의 인성함양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에 속한 학생들은 특히 부모님과의 연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감사의 마음을 인식하고 부모님에 대한 미해결감정을 집단에서 표현함으로써 부모님과의 연결성이 강화되거나 회복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김현우(2018)의 연구에서는 H대학교 PBL 학습법을 적용한 교양선택 인성 교과목인 ‘예비부모교육’ 이 부모와 가족에 대한 애정 표현 의지와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밝히고 있다. 해당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은 UCC 캠페인 영상 제작 프로젝트 기반의 학습 과정을 거치면서 부모 역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부모에 대한 신뢰를 재확인하게 되었으며 부모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게 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김경아 외(2020)은 S대학 교양필수 과목인 ‘세계시민교육과 리더십’ 과목의 운영 사례를 통해 인성 함양 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구촌 시대가 기대하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성장에 기여한 것을 밝혔다. 이성흠 외(2019)는 K대학의 ‘다문화 시대의 시민교육’ 이라는 교과목을 통해 교양교육과 연계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강생들에게 사전 사후 인성검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협동, 시민성, 소통의 덕목이 인성발달에 미친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용숙, 안현효(2017)의 연구에서는 PBL 학습법을 적용한 D대학의 지역사회기반 인성 교과목인 DU지역사랑프로젝트 수업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인성역량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H대학의 인성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팀활통을 통해 UCC를 결과물로 제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팀에서는 지역기반 실천 활동과 연계된 중학교에서의 교육활동, 장애인 관련 봉사활동 등의 생활밀착형 주제를 다루었다. 연구 결과 해당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들은 공동체 의식, 시민의식,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성, 협력과 같은 인성이 향상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쉽게 접하는 학교와 가정 외의 다른 사회 환경 속에서 실제적인 지역사회의 현상과 문제들을 역동적으로 체험하고 능동적으로 실천하는 학습 과정은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대학생들에게 부모됨에 대한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된 가정생활 영역에서의 윤리, 학교와 사회 환경 속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인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내용이 인성 교과목에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들을 통해 대학의 인성교육은 바람직한 인간의 특성인 인성을 함양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각 대학의 특성에 따라 인성교육 교과목의 구성과 수업 방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인성 교과목에서 다루어지는 인성 덕목들에 대해 교수자 중심의 주지주의 교육 방식보다 생활 현장 속에서의 참여를 통해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규범을 깨달아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대학생들이 밀접하게 접하는 가정, 학교, 사회 환경에서의 윤리적 행위의 실천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통합적 인성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방법

3.1. S명예규약 교과목의 구성

본 교과목은 대학생활 및 일상생활에서 지켜야할 윤리적 규범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천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생활 현장에서 실천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좋은 인성을 가진 세계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타 대학의 인성교육 교과목들에 대한 분석에서 학생들의 일상생활 영역인 학교, 가정, 사회 생활 속에서의 윤리적 실천을 통한 수행 인성의 습관을 갖도록 하는 생활윤리 실천 교과목은 부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S명예규약 인성 교과목의 경우 학생들이 접하는 학교, 가정, 사회 등의 생활 영역에서의 생활윤리 실천을 통한 인성함양을 목표로 ‘생활윤리 실천형 수업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대학의 인성 교과목과 차이가 있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주제 영역은 사이버윤리, 학습윤리, 인권윤리, 가정윤리(부모자녀 관계, 부부관계), 대인관계 윤리(이성관계, 의사소통), 기독교윤리이다. 학교, 가정, 사회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생활윤리 실천 규약을 확립하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자기성찰, 의사소통훈련, 대인관계 능력, 갈등해결 및 대처능력, 공감과 배려 등의 역량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S명예규약 교과목은 1학점의 교양선택 과목으로, 2018년에 처음 개설하여 현재 총 2개 분반을 운영하고 있다. 1개 반의 수강인원은 45명이며 성적 평가 방법은 Pass/Fail을 채택하고 있다. 수업 진행은 강의와 팀 활동을 통한 토의 및 발표로 이루어진다. 교과목의 상세한 구성 내용은 <표 2>와 같다.

수업 구성 내용

학생들이 본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과제는 2가지 유형이다. 첫째, 윤리영역별 수업 시작 전에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조사한 비윤리적인 사례의 전체 내용과 느낀 점을 작성하여 e-캠퍼스 개방형 게시판에 업로드 한다. 더불어 동료들이 조사한 자료를 읽고 자신의 생각과 느낀 점을 댓글로 작성하는 피드백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비윤리적 사례 조사 과제는 사전학습의 효과뿐만 아니라 실제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조별 토의와 발표에 능동적인 참여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수업시간에 다룬 강의 내용과 조별 토의를 토대로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규약을 스스로 정한 후 최소 일주일 이상 실천한 결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결과보고서는 목적, 실천 규약, 실천 경험 및 느낀 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천 경험과 느낀 점 항목에는 실천 과정, 성과, 자아 성찰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통과될 수 있다.

비윤리적 사례 조사, 생활윤리 실천 결과보고서, 댓글 피드백 참여, 수업의 팀 활동, 토의, 발표 참여, 출석 등을 모두 성적에 반영한다. 본 과제는 학습자주도형의 실천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을 실현함으로서 일상생활 속에서 능동적인 윤리적 실천에 의한 인성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3.2.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학교, 가정, 사회 등의 일상 생활 속에서의 생활윤리실천을 목표로 하는 S명예규약 수업의 수강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사전 및 사후 검사에 참여한 86명(74.8%)과 비교집단으로 교양선택 교과목 수강 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사전 검사에 참여한 29명(25.2)으로 <표 3>과 같다. 설문에 응답한 재학생은 1학년 26명(22.6%), 2학년 25명(21.7%), 3학년 32명(27.8%), 4학년 32명(27.8%)이고 남학생 58명(50.4%), 여학생 57명(49.8%)이었고 전공별로는 인문계열이 21명(18.3%), 사회계열이 17명(14.7%), 자연과학계열 9명(7.8%), 공학계열이 29명(25.2%)으로 총 115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3.1. 대학생 인성 검사

이윤선, 강혜영, 김소정(2013)이 개발한 대학생 인성 검사도구를 활용한다. 대학생 인성검사는 총 60개 문항으로 인지, 정의, 행동 영역으로 구분되며 Likert 5점 척도로 평정되는 자기보고식 검사이다. 이 검사에서 본 교과목의 주제인 생활윤리실천과 관련성이 적은 도덕적 자기지식, 자기존중감, 선을 사랑, 겸양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거하고 41문항을 본 연구에서 활용하였다. 대학생 인성검사의 문항구성과 신뢰도는 <표 4>와 같다.

대학생 인성검사 문항구성과 신뢰도

3.3.2. 대학생 핵심역량검사

김은경 외(2019)가 개발한 대학생 핵심역량검사를 활용한다. 대학생 핵심역량검사(CCT)는 대학교육에서 학습성과로서 향상시켜야 하는 비판적사고/문제해결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협력 역량, 학습 역량의 다섯 가지 핵심 역량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역량은 1~3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되는 총 50문항의 Likert 5점 척도로 평정되는 자기보고식 검사이다. 대학생 핵심역량검사의 문항구성과 신뢰도는 <표 5>와 같다.

대학생 핵심역량검사 문항구성과 신뢰도

3.4. 자료분석

S명예규약 수업을 시작하기 전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교과목 이수 후 똑같은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한다. 사전 검사에서 다른 교양 선택 수업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무선배당으로 함께 설문을 실시하여 본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의 핵심역량과 인성 검사 결과가 일반적인 다른 대학생들의 결과와 차이가 없음을 T 검정을 시행하여 검증한다. S명예규약 수강생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시행하여 비교한다.

4. 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 교육의 효과

4.1.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검증

인성 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변인을 모두 고려할 수 없으므로 교과목 시행 전에 S명예규약 수업을 수강하는 실험 집단과 다른 교양 선택 수업을 이수하는 통제 집단에게 인성 검사와 핵심역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표 6>, <표 7>에서 두 검사 결과를 T 검정을 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서 실험 집단의 인성과 핵심역량의 수준은 다른 일반 학생들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서 실험 집단 구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사전 인성 검사의 실험, 통제 집단의 비교

사전 핵심역량 검사의 실험, 통제 집단의 비교

4.2. 인성

본 연구에서는 생활윤리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S명예규약 교양 교과목이 인성 함양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여 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표 8>에서 인성 검사의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인지, 정의, 행동적 영역의 거의 모든 변인에서 S명예규약 수업 실시 후 인성 검사 결과가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특히 본 교과목 수강 후 인지, 정의, 행동적 영역에서 인성 검사 점수의 높은 상승을 보이고 있어서 본 교과목이 세대를 통해 전수되는 도덕적 가치를 알고, 그것들을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이해하고, 도덕 원리들을 파악하고 이를 행동으로 전환시키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지적 영역에서 도덕적 상황이나 문제를 인식하는 도덕적 자기인식, 정의적 영역에서 옳은 일을 행하려는 의무감을 느끼는 양심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향후 수업에서 이러한 부분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인성 검사의 사전, 사후 결과 비교

4.3. 핵심역량

생활윤리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을 통하여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표 9>에서 핵심역량검사의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핵심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핵심역량 검사의 사전, 사후 결과 비교

4.4. S 명예규약 교과목에 대한 인식

최근 4학기 동안(‘19년도 1학기~’20년도 2학기)의 강의 평가 내용 중에서 자유기술형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 수업 운영 방식의 효율성, 자발성 촉진 및 개선, 인성 함양 및 자아 성찰, 윤리의식 제고, 자기인식 확장, 실생활에서의 유용성, 정서 함양과 같은 주제로 분류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살펴볼 수 있다.

4.4.1. 수업 운영 방식의 효율성

학생들이 본 과목의 장점으로 인식한 수업 운영 방식의 효율성은 ‘실천형 과제의 효과성’, ‘난이도의 적절성 및 만족도’, ‘상호작용 촉진’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먼저, 학생들은 본 과목에서 부여된 생활윤리 실천 결과보고서 과제 수행을 통해 실천규약을 정하고 실생활에서 실천해보는 기회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볼 기회가 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1학점 과목에 적합한 수준의 과제와 수업의 난이도의 적절성은 수업에 대한 애착과 자아 성찰의 동기를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 주차 마다 새로운 윤리영역을 주제로 한 팀활동을 통한 토의와 팀활동 보고서 작성 과정을 통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윤리적 가치와 규범을 습득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였다. 더불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 주제별 다양한 워크시트를 활용하고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이 본 과목을 효율성 있게 운영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① 실천형 과제의 효과성

  • 수업의 과제를 통해서 얻어 가는게 많습니다. 그래서 좋은 수업이었습니다.

  • 실생활에서 실행으로 옮길 수 있는 기회를 통해 더욱 좋았습니다.

  • 실천 규약을 정하고 실천해보는 과제를 통해 일상생활속 나를 한번 더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어서 좋았다.

  • 수업내용을 과제물을 통해서 실천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생활윤리실천 결과보고서 과제가 처음에는 부담스러웠지만 강의 내용을 복습해보고 생활에 적용할 수 있어서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 좋은 강의를 통해 머릿속에 생각했던 것을 실천결과보고서를 작성해보며 생각을 정리하고 실천해 볼 수 있는 뜻깊은 한 학기였던 것 같습니다.

② 난이도의 적절성 및 만족도(능률성 향상)

  • 보통은 교양 학점을 충족시키기 위해 학우들이 수강하는 경우가 많은데 1학점 과목에 맞게 적절한 과 제와 PASS 조건을 제시한 점도 좋았습니다.

  • 부담 없는 과제였기 때문에 오히려 진짜 실천해보고 제 자신을 성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부담이 안되는 강의 스케쥴과 과제는 오히려 강의에 대한 애착을 갖게 하여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수업의 난이도도 굉장히 쉬운 수준이고 언제 들어도 좋을 듯한 수업이었다.

  • 수업이 1학점인 게 아쉬울 정도로 얻어간 것이 많았고 매주 실천규약서나 (비윤리적 문제) 기사를 준비할 때 제가 아는 범위와 그 이상의 영역들을 조금이나마 습득해보자는 마음으로 임할 수 있었습니다.

③ 상호작용 촉진

  • 숭실인으로서 지켜야 할 여러 가지 가치와 규범들을 팀활동을 통해 습득할 수 있었던 수업이었습니다. 수업 방식 또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 주제 선정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면서 서로 토론하는 시간이 좋았습니다.

  • 학생들이 직접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방식이 좋았습니다.

  • 학생들과 소통하려고 하시는 모습이 인상 깊었고 여러 주제에 대해서 워크시트 등 활동을 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 이번 학기 단연 최고의 수업이었습니다. 학생들에게 정말 필요한 지식을 전달해 주려고 하셨고 소통해주시는 모습이 정말 좋았습니다.

  • 매번 다른 조원들과 모여 생각을 나누고 종이에 직접 기록하면서 채워질 수 있었습니다.

  • 다양한 주제를 통해 각 분야별로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늘 질문하시며 잘 들어주십니다. 그래서 수줍음이 많은 학생들도 수업시간에 잘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기에 좋았습니다.

  • 수업 중에 특히 조별로 토의해서 보고서를 작성할 때가 가장 재밌고 유익했던 것 같아요.

4.4.2. 자발적 실천 의지 촉진

본 수업은 학생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천규약들을 고민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발적인 실천 의지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성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스스로 돌아보고 개선해나갈 수 있었던 수업이다

  • 수업에서 배운 것들을 스스로 실천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 처음에는 실천규약을 생각해내는 것이 너무 어려웠는데 여러 주제에 대해 고민하다 보니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규약들이 많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4.4.3. 인성 함양 및 자아 성찰

학생들은 본 수업을 통해 인성 함양과 자아 성찰에 효과적이었음을 언급하였다. 과제 수행 과정을 통해 자신을 돌아볼 기회를 통해 자신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으며 인생에 대해 삶의 가치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성찰의 계기가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수업을 통해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접하면서 인지적 자각이 촉진되었으며 인간관계 속에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지녀야 할 가치를 확립할 수 있는 경험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사람은 살아가면서 참 많은 관계를 만들게 되는데 각 관계 속에서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하고, 무엇을 하면 안되는지 인생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수업이었던 것 같습니다. 졸업 전에 이런 수업을 들을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 수업을 통해 내가 가져야 할 가치들을 충분히 함양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 수업을 통해 내가 살아온 배경을 되돌아보면서 내 성격이 이렇게 된 원인을 찾을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수업이 아니었다면 평생 깨닫지 못했을 것이다. 일반 수업과는 다르게 학업적 부담보다는 윤리적인 부분에서 나를 점검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 인생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수업이었습니다.

  • 사례조사와 실천결과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수업을 통해 우리가 자주 접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의 윤리에 대해 배우면서 나의 생각도 많이 바뀐 것 같다.

  • 교양수업답게 개인적인 발전과 인식의 변화에 많은 도움이 되는 수업이었다.

4.4.4. 윤리의식 제고

본 수업은 학생들의 윤리의식 제고에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에서 다룬 다양한 윤리 영역에 대한 지식적 측면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게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학습 경험은 궁극적으로 윤리의식 제고를 통해 자아성찰의 태도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본 수업의 학습 목표와 부합되는 긍정적인 성과로 볼 수 있다.

  • 여러 윤리적 요소를 습득할 수 있었습니다.

  • 다양한 (생활)윤리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 좋았다

  • 과제를 통해서 윤리에 대해 진지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최근 들어 젠더 갈등, 세대 갈등, 이념적 갈등 등 사회가 너무 서로를 헐뜯기 바쁜데 이런 때일수록 해당 과목이 더 중요하고 생각합니다. 윤리의식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좋은 강의였습니다.

  • 사회 각 분야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어 좋았다

  • 예절과 윤리에 대해 깊게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 다양한 분야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고민하며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수업이라는 점이 좋았다

4.4.5. 실생활에서의 유용성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실천규약을 설정하고 실천해보는 과정을 통해 생활현장에서 필요한 윤리적 규범들에 대한 재인식과 더불어 실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강의 내용이 실생활에서의 실천과 연계된 점이 사회생활에 효과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 실생활에서 유용한 수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삶 속에서 실천 가능한 생활 속 윤리적 규범들에 대해 다시 한번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강의 내용이 실생활에서 실천하기에 좋고, 또 중요한 점을 다루어 사회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 일상 생활속에서 필요한 윤리에 대해 실천규약을 세우고 실천해보는 과정이 좋았다.

4.4.6. 정서함양

본 수업에서 학생들은 정서적으로 힐링이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수강생들 간의 소통과 강의에서 적용된 영상 매체 등을 통해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으며 전공 수업에 치여 생활하는 가운데 교양에 대해 기대했던 로망을 경험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 짧은 시간이지만 학우들과 이야기도 나누고 영상을 통해 메마른 일상생활에서 사람으로서 가져야하는 따뜻함을 깨워주셔서 감사합니다.

  • 전공 사이에서 힐링되는 교양이었습니다. 수업 중간에 해주시는 말씀이 위로가 될 때가 있었어요.

  • 전공 수업에 치여 생활하는 저에게 이 수업은 정말 말 그대로 힐링되는 수업이었습니다.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교양에 대한 로망이 있었는데 그 로망이 깨지지 않게끔 해준 정말 교양다운 교양 수업이었습니다.

5. 논의 및 결론

인성교육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목적은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이다(법률 제13004호). 미래 우리 사회가 보다 나은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은 물론이고 타인과 공동체에서 발휘될 수 있는 인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교육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대학의 인성교육에서 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성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윤리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의 효과를 인지, 정의, 행동적 차원의 인성과 핵심역량의 향상 정도로 확인하고 강의평가의 자유기술형 문항을 통해 이 교과목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윤리 실천 중심의 S명예규약 수업은 인지, 정의, 행동적 영역에서 인성 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교과목 수강 후 인성 검사에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상승했고, 강의평가 주관식 문항에서 인성 함양 및 자아 성찰, 윤리의식의 제고 등 인성이 함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교과목은 인성 덕목에 대한 지식의 함양 뿐 아니라 삶의 영역에서 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생활 속에서 접하는 학교, 가정, 사회 환경에서의 윤리적 가치와 실천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본 교과목의 핵심은 단지 인지적인 차원에서의 인성 교육이 아닌 이를 실천 중심으로 실천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었는데 행동적 영역에서 의미있는 인성 검사 점수의 상승과 주관식 문항에서 윤리적 규범들이 실생활에서 유용함을 깨닫고 실천 의지를 촉진하였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는 인성교육이 개인과 사회 전체를 위해 의미있는 삶을 살고 학교나 사회에서 문제 행동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중시해야 한다는 Davidson, Lickona, & Khmelkov (2008)의 주장과 같은 맥락이며 팀별 프로젝트 실천 수업이 인성 함양에 효과적이었다는 전용숙, 안현효(2017)의 연구와 같은 결과이다. 인성발달을 위해서는 인성교육이 생활 속에서의 윤리를 중심 내용으로 하여 실천중심 교수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다만 인성 검사 결과에서 주어진 상황에 내재된 도덕적 문제 및 도덕적 판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인 도덕적 자기인식과 옮은 것을 행하려는 의무감을 느끼는 양심은 유의미한 상승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수업 내용에 이러한 부분이 개선되도록 하는 노력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생활윤리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은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한다. 본 교과목 수강 후 비판적 사고/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협력, 학습역량의 모든 핵심역량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인성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협력 역량의 향상을 확인한 박미랑(2019), 박은민(2012), 노이영(2016)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핵심역량 중에서 비판적 사고/문제해결과 창의적 사고, 학습역량 또한 인성교육을 통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주관식 문항에서 다양한 주제를 조별로 토의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는 것이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고민하고 자유롭게 생각을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보고하고 있는 것과 연관하여 이러한 핵심역량의 향상 요인을 생각해보면 본 교과목에서 초점을 둔 생활 윤리의 내용이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는 것과 그러한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가치와 태도를 토의를 통해 인지하도록 했던 것이 핵심역량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윤리 문제를 토의하고 해결해 나가는 것은 주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학습역량의 향상에 기여하며, 다양한 방향과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내는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를 촉진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S명예규약은 학교, 가정, 사회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생활윤리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앞으로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인성과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대학교육이 직면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윤리를 중심으로 한 인성교육 교과목이 인성과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의 인성교육은 학생들이 접하는 다양한 환경체계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 생활윤리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은 앞으로 교양교육의 한 형태로서 여러 대학에서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S명예규약은 학교, 가정, 사회에서 필요한 실제적인 생활윤리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앞으로 다른 인성 교과목을 개발할 때는 환경윤리, 생명윤리 등으로 확장된 인성 교양 교과목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각 대학의 특성에 맞고 학생들의 인성과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인성교육 교과목의 개발은 교양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고명희, 권민진(2015). “전문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과학연구 9(1),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1-20.
2. 권순정(2017). “도덕교육 담론을 통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의미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7(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65-686.
3. 김경아, 김수진, 윤희진(2020). “대학의 인성기반 교양교육 현황 및 방향모색: 세계시민교육과 리더십을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12,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27-155.
4. 김누리, 박현린, 표정민(2017).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인성교과 설계 및 운영사례”, 교양교육연구 11(5), 한국교양교육학회, 449-479.
5. 김성원(2013). “교양교육과 인성교육의 연계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추계전국학습대회 자료집, 331-348.
6. 김영래, 가선보, 정창호, 이성흠, 류은영, 이동윤(2015). “인성교육을 위한 ‘핵심 가치덕목’과 ‘핵심 역량’의 연구모형에 관한 고찰”,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2), 한독교육학회, 21-45.
7. 김은경, 강소연, 김정민, 노원경, 서은희, 송수지, 원영실, 임호용 (2019). 대학생 핵심역량 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8. 김은주(2019).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E대학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5),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49-258.
9. 김은진(2017). “대학생 인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복지연구 19(3), 한국청소년복지학회, 81-108.
10. 김지영(2015). “참 사람을 키우는 교양-비교과 연계 플랫폼 인성교육”, 제2회 4개 대학 협력 교양교육학술포럼 교양교육의 두 축, 지식융합교육과 인성교육, 67-85.
11. 김지원(2015). “대학교의 인성교육진흥을 위한 교양교과 개발 및 효과성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11), 한국디지털정책학회, 481-491.
12. 김누리, 박현린, 표정민(2017). “대학 신입생들을 위한 인성교과 설계 및 운영사례”, 교양교육연구 11(5), 한국교양교육학회, 449-479.
13. 김선혜(2013). “대화로 풀어가는 인성교육의 가능성”, 인격교육 7(3), 한국인격교육학회, 5-24.
14. 김하윤(2018). “대학 인성교육에서의 봉사를 통한 인성의 변화 결과 분석: 배제대학교<인성과 예(禮티켓> 수업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7), 한국문화융합학회, 395-416.
15. 김현우(2018).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통한 대학생 인성교육 사례: 예비부모교육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12(3), 한국인격교육학회, 103-122.
16. 김현주(2020). “대학 인재상을 반영한 대학생 인성역량 평가지표 개발: H대학 사례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5),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2030.
17. 김혜령, 양민석, 이은아(2016). “‘나눔’ 가치에 기반한 실천형 인성교육 사례 연구: 이화여대<나눔리더십>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3), 한국교양교육학회, 415-446.
18. 노이경(2016). “대학의 교양과목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인간이해 37(2),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115-138.
19. 박미랑(2019).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교양교육연구 13(3), 한국교양교육학회, 77-59.
20. 박은민(2012).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7), 한국컨텐츠학회, 497-509.
21. 박은민, 이주희, 강지희(2016). “DS인성교육 인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교원교육 32(3),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19-239.
22. 박은숙(2018).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연구”, 인문사회 21 9(2), 아시아문화학술원, 127-136.
23. 박인선(2017). “대학 인성교육의 재고:인성교육의 현황 및 인성실천도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윤유진, 이연주(2018).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교양교육연구 12(2) 한국교양교육학회, 259-286.
25. 이상수, 김은정(2017).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6),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5-261.
26. 이성호(2014). “미국 학교 인성교육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교육 41(3), 한국교육개발원, 35-59.
27. 이성흠, 김진규, 박영민(2019). “교양교육과 연계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교육문화연구 25(6),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133-153.
28. 이윤선, 강혜영, 김소정(2013). “대학생 인성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윤리교육연구 31, 한국윤리교육학회, 261-282.
29. 이종민, 이혜영(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기독교 사립대학 인성교육 교재 개발 및 효과성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47,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13-347.
30. 이하준, 이서인(2015). “인문학을 활용한 대학의 인성교육과정 분석과 개선방향”, 교양교육연구 9(4), 한국교양교육학회, 45-72.
31. 전용숙, 안현효(2017). “지역사회기반 인성교육 방식 및 효과성 연구: D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3), 한국교양교육학회, 185-215.
32. 조명실(2020). “보드게임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 방안 탐색: K대학교 인성교과를 중심으로”, 동서인문학 59,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3-232.
33. 조명실, 김재현, 김향숙, 이현지, 허선호(2016). 대학인성교육 학습성과 진단 방안 개발; 개인, 조직, 환경차원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34. 지현아(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교양교육연구 11(6), 한국교양교육학회, 39-61.
35. Berkowitz M. W, Bier M. C. 2007;“What Works in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haracter Education 5:29–48.
36. Davidson M, Lickona T, Khmelkov N. 2008;“Smart &good schools:A new paradigm for hig school character education”.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370–390.
37. Kevin Ryan, Thomas Lickona. 1992.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 and beyond WA: CRVP.
38. Thomas Lickona. 1992. “Character Develop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 Kevin Ryan, Thomas Lickona, eds. Character Development in Schools and Beyond Washington. D. C: The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39. 국가법령정보센터 2020. http://www.law.go.kr/.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국내대학의 인성교과목 현황

대학교 인성교과목 개설학년 과목형태
경희대학교 인간의 가치 탐색 1학년 교필
동덕여자대학교 동덕Arete 1학년 교필
서울대학교 사회봉사1,2,3 1,2,3,4학년 교선
서울여자대학교 바롬인성교육1,2,3 1,2,3학년 교필
성균관대학교 성균논어 1,2,3,4학년 교필
실천리더십 1,2,3,4학년 교필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인 1학년 교필
이화여자대학교 나눔리더십 1학년 교필

<표 2>

수업 구성 내용

실천현장 학습주제(윤리영역) 세부내용
학교 학습윤리1 • 나의 학습 태도는 어떠한가?
- 학습윤리에 대한 이해
- 학습윤리의 필요성
학습윤리2 • 바람직한 학습윤리 실천 전략
- 비윤리적 사례를 통한 학습윤리에 대한 고찰
- 성공적인 학습윤리 실천을 위한 규약
가정 가정윤리 (부모자녀1) • 나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을까?
- 현대 사회의 가족의 위기와 변화
-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부모됨이란?
가정윤리 (부모자녀2) • 나는 부모에게 어떤 자녀일까?
- 부모 자녀 갈등의 원인
- 부모에게 바람직한 자녀의 태도
가정윤리 (부부1) • 나는 좋은 배우자가 될 수 있을까?
- 부부폭력 실태 및 유형
- 부부폭력의 부정적 영향
가정윤리 (부부2) • 나는 왜 항상 감정에 휘둘리는가?
- 행복한 부부는 싸우지 않을까요?
- 건강한 부부관계를 위한 핵심 전략
사회 사이버윤리 • 인터넷 윤리의 필요성
- 인터넷, 잘 사용하고 계신가요?
- 사이버범죄 사례로 보는 피해 예방 대책
인권윤리1 • 나의 인권 감수성은 어느 수준일까?
- 인권 감수성 테스트
- 인권 감수성 높이기 연습
인권윤리2 • 나의 공감능력은 어느 수준일까?
- 학교폭력의 숨겨진 심리
-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공감훈련
대인관계 윤리 (이성관계1) • 건강한 이성관계, 자신 있나요?
- 데이트 폭력 실태 및 유형
- 데이트 폭력 대응 방안
대인관계 윤리 (이성관계2) • 나는 어떤 여자(남자)에게 끌리는가?
- 배우자 선택 이론
- 사례로 보는 성공적인 결혼 준비
대인관계 윤리 (의사소통1) •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나요?
-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
- 사례로 보는 의사소통 방해 요인 분석
대인관계 윤리 (의사소통2) • 대화가 풀리면 관계가 풀린다
-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 의사소통 연습
기독교 윤리 • 나는 ( S대 학생 ) 입니다
- 기독교 윤리에 대한 이해
- 기독교 윤리의 준거

<표 3>

연구대상

구분 N(%)
성별 58(50.4)
57(49.8)
학년 1 26(22.6)
2 25(21.7)
3 32(27.8)
4 32(27.8)
성적 A 44(38.3)
B 61(53)
C이하 10(8.7)
전공 인문계열 21(18.3)
사회계열 17(14.7)
상경계열 39(33.9)
자연과학계열 9(7.8)
공학계열 29(25.2)
전체 115(100)

<표 4>

대학생 인성검사 문항구성과 신뢰도

영역 요인 설 명 문항수 신뢰도
인지적 영역 도덕적 자기인식 주어진 상황에 내재된 도덕적 문제 및 도덕적 판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다 4 .714
도덕적 가치를 앎 세대를 통해 전수되어 도덕적 가치를 알고, 또 그것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안다. 7 .867
도덕적 추론 우리가 도덕적이어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고, 도덕 원리들 을 파악할 수 있다. 3 .878
반성적 의사결정 반성적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3 .777
정의적 영역 양심 옮은 것을 행하려는 의무감을 느낀다 5 .880
감정이입 인지 요인의 입장 채택의 감정적 측면으로서 인간의 공통된 휴머니티에 반응한다. 5 .821
자아통제 자신을 제어할 수 있다 2 .679
행동적 영역 역량(의지) 도덕적 판단과 감정을 행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7 .800
습관 좋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5 .784

<표 5>

대학생 핵심역량검사 문항구성과 신뢰도

역량 하위 역량 설 명 문항수 신뢰도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비판적사고 이론이나 주장, 자료를 객관적이고 정확한 근거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전체 상황이나 맥락을 고려하여 추 론하는 역량이다. 4 .810
문제해결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상황을 고 려하여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 고 점검하는 역량이다. 5 .790
창의적 사고 창의적사고 다양한 방향과 관점에서 문제를 바 라보고 확산적으로 사고하며 새롭 고 쓸모 있는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창출하는 역량이다. 9 .894
의사 소통 수용 능력 타인의 의도나 전달하고자 하는 바 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하는 역량 이다 5 .848
표현 능력 말이나 글,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역량이다. 6 .834
협력 과제책임감 팀 과제 수행 과정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이 맡은 역할을 책임감 있게 수행하는 역량이다 5 .888
상호 존중 함께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 상대방 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협업 할 수 있는 역량이다. 5 .861
학습 자기 결정성 학습 자체를 즐기며 자신의 성장을 위해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역량이다 4 .791
그릿 학습이 힘들더라도 끈기와 인내를 가지고 학습을 지속하고 최선을 다 하는 역량이다. 3 .752
행동 조절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시간을 비 롯한 자신의 행동과 환경을 체계적 으로 관리하는 역량이다. 4 .719

<표 6>

사전 인성 검사의 실험, 통제 집단의 비교

분반 N 평균 표준 편차 t 값
인지적 영역 도덕적 자기인식 실험집단 86 4.0669 .62476 .913
통제집단 29 4.1810 .42729
도덕적 가치를앎 실험집단 86 3.7110 .61278 2.929
통제집단 29 4.0985 .62632
도덕적 추론 실험집단 86 4.0116 .72391 2.344
통제집단 29 4.3563 .54867
반성적 의사결정 실험집단 86 3.9302 .79724 2.120
통제집단 29 4.2759 .63038
정의적 영역 양심 실험집단 86 4.2000 .61434 2.178
통제집단 29 4.4759 .50826
감정이입 실험집단 86 4.0651 .64603 1.803
통제집단 29 4.3034 .51164
자아통제 실험집단 86 3.7791 .74203 2.208
통제집단 29 4.1379 .80063
행동적 영역 역량 (의지) 실험집단 86 3.6262 .61754 3.543
통제집단 29 4.0788 .52013
습관 실험집단 86 3.0140 .86326 2.951
통제집단 29 3.5448 .75573

<표 7>

사전 핵심역량 검사의 실험, 통제 집단의 비교

분반 N 평균 표준 편차 t 값
비판적사고문제 해결 총합 실험집단 86 3.90 .555 1.786
통제집단 29 4.11 .505
비판적사고 실험집단 86 3.90 .591 1.925
통제집단 29 4.14 .511
문제해결 실험집단 86 3.90 .625 1.367
통제집단 29 4.08 .579
창의적사고 실험집단 86 3.33 .606 2.213
통제집단 29 3.62 .652
의사소통총합 실험집단 86 3.77 .566 2.354
통제집단 29 4.06 .575
수용능력 실험집단 86 3.97 .633 1.524
통제집단 29 4.18 .688
표현능력 실험집단 86 3.57 .677 2.553
통제집단 29 3.94 .614
협력 총합 실험집단 86 4.08 .580 2.522
통제집단 29 4.38 .454
과제책임감 실험집단 86 4.19 .588 1.885
통제집단 29 4.43 .575
상호존중 실험집단 86 3.97 .661 2.745
통제집단 29 4.33 .431
학습 총합 실험집단 86 3.53 .616 3.040
통제집단 29 3.91 .512
자기결정성 실험집단 86 3.54 .760 2.858
통제집단 29 3.99 .603
그릿 실험집단 86 3.81 .681 1.483
통제집단 29 4.03 .725
행동조절 실험집단 86 3.22 .813 2.970
통제집단 29 3.72 .645

<표 8>

인성 검사의 사전, 사후 결과 비교

N 평균 표준 편차 t 값
인지적 영역 도덕적 자기인식 사전 86 4.06 .624 1.824
사후 86 4.15 .626
도덕적가 치를앎 사전 86 3.71 .612 6.308***
사후 86 4.07 .605
도덕적 추론 사전 86 4.01 .723 3.381**
사후 86 4.27 .721
반성적 의사결정 사전 86 3.93 .797 3.920***
사후 86 4.18 .741
인지적 영역 총합 사전 86 3.92 .539 5.846***
사후 86 4.17 .579
정의적 영역 양심 사전 86 4.20 .614 1.000
사후 86 4.25 .670
감정이입 사전 86 4.06 .646 2.866**
사후 86 4.22 .663
자아통제 사전 86 3.77 .742 2.365*
사후 86 3.95 .790
정의적 영역 총합 사전 86 4.01 .519 2.931**
사후 86 4.14 .595
행동적영역 역량 (의지) 사전 86 3.62 .617 3.720***
사후 86 3.85 .690
습관 사전 86 3.01 .863 4.548***
사후 86 3.34 .852
행동적 영역 총합 사전 86 3.32 .671 4.695***
사후 86 3.60 .711
*

p<.05,

**

p<.01,

***

p<.001

<표 9>

핵심역량 검사의 사전, 사후 결과 비교

N 평균 표준 편차 t 값
비판적사고/ 문제해결 총합 사전 86 3.90 .555 3.682***
사후 86 4.08 .527
비판적사고 사전 86 3.90 .591 3.397**
사후 86 4.09 .601
문제해결 사전 86 3.90 .625 2.810**
사후 86 4.07 .548
창의적사고 사전 86 3.33 .606 5.467***
사후 86 3.61 .642
의사소통 총합 사전 86 3.77 .566 3.688***
사후 86 3.96 .586
수용능력 사전 86 3.97 .633 2.460*
사후 86 4.11 .598
표현능력 사전 86 3.57 .677 3.932***
사후 86 3.81 .698
협력 총합 사전 86 4.08 .580 5.548**
사후 86 4.24 .614
과제책임감 사전 86 4.19 .588 2.853**
사후 86 4.33 .621
상호존중 사전 86 3.97 .661 2.837**
사후 86 4.14 .711
학습 총합 사전 86 3.53 .616 3.745***
사후 86 3.74 .667
자기결정성 사전 86 3.54 .760 3.123**
사후 86 3.77 .738
그릿 사전 86 3.81 .681 2.414*
사후 86 3.98 .738
행동조절 사전 86 3.22 .813 3.300**
사후 86 3.48 .822
*

p<.05,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