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Instructor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Perceived by Students in Sports Practical Class in Liberal Arts College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2;16(3):239-24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June 30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2.16.3.239
정태린
단국대학교 생활체육학과 강사, raytonchung@gmail.com
Lecturer, Department of Life Sports, Dankook University
Received 2022 May 20; Revised 2022 June 01; Accepted 2022 June 17.

Abstract

대부분이 실기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체육은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의 관계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COVID-19로 인한 장기간의 비대면 유형의 교양체육 실기수업은 심각한 인구절벽이라는 또 다른 이유까지 더해지며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교수자 지도역량,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의 관계는 더욱 중요한 요소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역량은 교수자신뢰에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지도역량은 수업만족에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신뢰는 수업만족에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 교양체육 교수자는 지도역량 제고와 학생들과의 신뢰감 형성을 위해 노력과 실천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rans Abstract

For sports practical classes of universities in Korea,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are important issues. However, high level competitiveness of liberal arts and sports practical classes are demanded for the complain about long-term education and serious population severe decrease.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y,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perceived by students in college liberal arts practical sports class. The results i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structional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faculty confidence. Second, instructional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Third, professor confid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In conclusion, university liberal arts and sports practical class instructors should make an effort and practice to enhance their teaching skills and build trust with their students.

1. 서론

우리나라에서 교양체육 실기수업은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의 전문성과 다양한 능력을 갖춘 성숙한 사회구성원을 양성하기 위한 전인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윤유진, 2020; 이숙정, 이수정, 2012). 교양체육 실기수업은 ‘교양체육’으로 통칭되기도 하는데, 졸업을 위한 학점의 취득, 개인 관심사에 대한 경험, 다양한 간접적 사회경험 등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여 대학생들에게 있어 높은 관심을 받는 교양 분야 중 하나이다(박준영, 배종희, 이안수, 2020).

최정웅, 손명준, 김태형, 김홍석(2010)은 대학생들이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통해 개인의 건강한 삶, 체육활동을 통한 폭넓은 사회성의 형성,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강우, 이한경(2015)은 교양체육 실기수업은 대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교육의 질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안효원, 김용세, 김정수(2018)는 지, 덕, 체를 겸비한 전인적 인간을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 교양체육 실기수업이 대학생들에게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교양체육 실기수업과 관련하여 교수자의 역량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부분의 교양체육 수업이 실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정태린, 2020), 또한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는 점에서 교양체육 실기 수업 교수자들의 교수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이종호, 은희관, 2014; 최용민, 유한나, 2017). 이러한 교수자에 대한 지도역량은 학생들의 교원에 대한 신뢰도와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로 이어지며(원유미, 정태겸, 2021), 이는 인구절벽 시대에 치열한 경쟁 속에서 가혹할 정도로 요구되는 대학교의 경쟁력으로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반드시 개선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루어진 교양체육 실기수업에 대한 교수자들의 지도역량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리더십과 교수의 효과 및 지도자 자신감 등 지도자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고인태, 홍대석, 2021; 정태린, 손나래, 2021), 정작 이를 경험하는 대학생의 지도역량과 신뢰도 및 수업 만족의 관계의 연구는 상대적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교의 경쟁력에 대한 판단은 결국 수요자인 학생이 판단한다는 점에서 교양체육 실기수업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교수자에 대한 신뢰도와 수업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가 있다.

지도역량은 교수모형 중 역량 중심의 모델로써, 교수자가 인지해야 할 핵심역량을 행동의 촉진 및 학습의 심화(지도 및 실행), 존중 및 자신감(관계), 노력 및 발전(자기개발), 경청 및 대화(의사소통) 등 4가지의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Whitworth, Kimsey-House, Sandahl, & Kimsey- House, 1998). 이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관계에서 비롯되며, 일련의 과정과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자 개개인이 스스로 학습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과 동시에 사람과의 관계에서 상대방을 발전적으로 이끌고 교수자 자신 또한 성장하는 결과를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지도자의 교수 역량으로 평가되기도 한다(이지원 외, 2017).

이러한 교수자의 지도역량은 만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교수자의 지도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근거가 되기도 한다. 실제로 박옥례, 한상철, 신원, 오경희(2012) , 박인경, 김효미, 박승하(2017), 그리고 이지원 외(2017) 등의 연구에서 학습자 혹은 조직원들의 학습만족,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긍정적 변수들과의 관계성을 규명하여 성공적인 만족을 위한 선행변수로써 지도역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학생들의 수업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자의 지도역량에 관한 연구는 상당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지며(Collinson & Tourish, 2015), 무엇보다 긍정적 변수들간의 단계적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실기수업에 대한 수업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과 정보 전달이 효과적이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자 상호 간의 신뢰 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아무리 교수자의 교수 내용에 대한 전문성과 이론적 배경이 훌륭하더라도 학생들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효과적인 지식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양 체육이 지식 전달과 함께 신체활동에 대한 기술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교수자에 대한 신뢰가 낮으면 동시적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남광우, 조욱상, 2014). 이러한 추론은 교수자의가 긍정적인 지도역량을 갖추고 있다면 교수-학습자 간의 높은 신뢰감이 형성되어 효과적인 교육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다양한 선행연구들(김미경, 문재승, 2019; 최진훈, 이도희, 2015; 홍지현, 전순희, 2015)에서 이미 이론적근거로서 지지되는 부분이다.

한편, 교수자에 대한 신뢰와 수업만족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선행연구들(고전규, 정구인, 2014; 김미정, 2021; 김주영, 강효영, 이제성, 2019)을 통해 교수자에 대한 신뢰가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처럼 교수자에 대한 신뢰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의 목표를 제시하고, 수업성과 및 효과에 대한 확신과 믿음을 줌으로써 수업의 만족이 높아질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로 비추어 볼 때,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 신뢰 및 수업만족의 세 변수는 서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추론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지도역량과 신뢰, 지도역량과 만족, 신뢰와 만족에 관한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도역량, 신뢰, 만족에 대한 변인들 간의 관계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보육 및 유치원 교사, 기업인, 운동선수 등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이 장에서는 지도역량과 신뢰,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2.1.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의 관계

지도역량과 교수자 신뢰에 대한 관계는 상당수의 선행연구가 존재한다.

김미경, 문재승(2019)의 연구에서는 직장 상사의 지도역량이 직장 상사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직장 상사의 지도역량은 대인관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긍정적 신뢰관계를 이루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김상범, 박성영, 나운봉(2010)은 신뢰는 업무에 대한 몰입과 자신감을 높여주는 중요 변수로써, 이러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선행변수로 역량을 언급하였으며, 실제로 지도역량과 몰입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지도역량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최진훈, 이도희(2015)의 연구에서도 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이 참여자의 지도자신뢰의 모든 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긍정적이고 높은 지도역량은 상호 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급자 혹은 지도자 즉, 교수자에 대한 신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추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1.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은 교수자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지도역량과 수업만족의 관계

지도역량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은 학습자, 참여자 혹은 조직원들의 수행만족과 긍정적인 관계성을 규명하여 성공적이고 만족할만한 성과 향상을 위해 지도역량의 필요성을 규명하고 있다. 즉, 지도역량은 만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업 조직원들이 지각하는 기업체 리더의 역량과 조직원들의 직무만족 차이에 관한 박옥례 외(2012)의 연구에서는 기업체 리더의 전문적인 역량이 조직원들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인경 외(2017)에 연구에서는 지도자에 지도행동이 선수들의 운동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llinson & Tourish(2015)의 연구에서도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지도역량이 학습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지도역량은 만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라는 점이 어느 정도 입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추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2.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은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3. 교수자신뢰와 수업만족의 관계

교수자 혹은 지도자신뢰와 수업만족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신뢰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김주영 외(2019)의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생존수영 지도자에 대한 신뢰의 하위요인 중 정직성과 능력, 공정성은 수업만족에 정(+)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미정(2021)에 연구에서는 교수신뢰의 모든 하위요인이 강의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고생의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와 수업만족에 관한 김승환, 조미혜(2020)에 연구에서는 교사신뢰의 하위요인인 정직성과 능력, 이타성은 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수자 혹은 지도자의 신뢰는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추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H3. 교수자신뢰는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가설들을 도식화 한 것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구모형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이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에 위치한 4년제 G대학과 D대학에서 야구, 소프트볼, 축구 등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거나 혹은 현재 수강 중인 대학생 400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단, COVID-19로 인해 대학생들과의 대면 접촉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네이버폼과 구글 설문지를 통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약 3개월에 거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가 이루어지기 전 연구의 취지와 목적, 설문자료의 익명성 보장, 설문동의서 등과 같은 연구윤리 내용을 포함한 안내문을 게시하였다.

수집된 400명의 자료 중 결측치가 나타난 38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36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성별은 남학생 232명(64.1%), 여학생 130명(35.9%), 학년은 1학년 48명(13.3%), 2학년 94명(25.9%), 3학년 128명(35.4%), 4학년 92명(25.4%), 전공은 인문, 사회, 사범계열 94명(25.9%), 자연, 공학계열 92명(25.4%), 간호, 의학계열 62명(17.2%), 예체능계열 114명(31.5%)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조사도구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이며, 모든 변인과 문항들은 연구의 목적과 부합되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문항, 지도역량 16문항, 교수자신뢰 4문항, 수업만족 12문항 등 총 3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응답은 5점 Likert형 척도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설문지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역량의 조사도구는 김미경, 문재승(2019), 김상범 외(2010)의 연구에서 타당도를 검증한 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실기역량 4문항, 의사소통 역량 4문항, 관계역량 4문항, 자기개발 역량 4문항 등 총 4요인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교수자신뢰의 조사도구는 김미정(2021), 김승환, 조미혜(2020)의 연구에서 타당도를 검증한 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수자신뢰 단일요인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수업만족의 조사도구는 김대근, 김우식(2019), 안효원 외(2018)의 연구에서 타당도를 검증한 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육적 만족 3문항, 신체적 만족 3문항, 심리/사회적 만족 3문항, 환경적 만족 3문항 등 총 4요인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3. 자료분석

이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ɑ 계수에 의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규성 검증을 위한 임계치는 West, Finch, & Curran (1995)의 기준(왜도 ±2이하, 첨도 ±4이하)을 적용하였고,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4. 결과

4.1.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이 연구에서는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Cronbach’s ɑ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역량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는 χ2= 194.182, df=84, TLI=.954, CFI=.960, RMSEA=.055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 결과 모든 요인이 .80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신뢰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는 χ2= 18.328, df=4, TLI=.912, CFI=.934, RMSEA=.064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 결과 .90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만족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는 χ2= 120.952, df=51, TLI=.934, CFI=.920, RMSEA=.068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분석 결과 모든 요인이 .7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Netemeyer, Boles, McKee, & McMurrian (1997)이 제시한 TLI .9 이상, CFI .9 이상, RMSEA .05~.08 이하를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신뢰도 또한 Anderson & Gerbing (1988)이 제시한 .7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였으므로 이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통계적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정리한 것은 <표 2>와 같다.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4.2. 정규성 검증

이 연구에서는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분석에 있어 최대우도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기본 과정인 정규성을 검증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 3>과 같이 주요변인(지도역량, 교수자신뢰, 수업만족)의 왜도는 -.712~.846값, 첨도는 -.758~.912값의 범위로 나타나 West et al.(1995)이 제시한 기준(왜도 ±2이하, 첨도 ±4이하)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성 검증 결과

4.3. 상관관계 분석

이 연구에서는 주요변인(지도역량, 교수자신뢰, 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상관계수는 Kline(2011)의 다중공선성의 기준인 .80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한 것은 <표 4>와 같다.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4.4. 측정모형 검증

이 연구에서는 Anderson & Gerbing(1988)의 이론에 의거하여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기 전 측정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 5>와 같이 적합도 지수는 χ2= 284.726, df=.84, TLI=.914, CFI=.932, RMSEA=.079값으로 나타나, Netemeyer et al.(1997)이 제안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한 것은 <표 5>와 같다.

측정모형 검증 결과

4.5. 구조모형 검증

측정모형 검증 결과,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될 통계적 구조모형을 [그림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림 1]과 같이 지도역량을 외생변수로, 교수자신뢰를 내생변수(매개변수)로, 수업만족을 내생변수이자 최종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모형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는 χ2=284.726, df=.84, TLI=.914, CFI=.932, RMSEA=.079로 나타나 Netemeyer et al.(1997)Kline (2011)이 제시한 구조모형의 적합기준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 살펴보면, 지도역량은 교수자신뢰(β=.332, t=6.364, p<.001)와 수업만족(β= .214, t=4.132,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자신뢰는 수업만족(β=.258, t=4.579, p< .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한 것은 <표 6>과 같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가운데 야구, 소프트볼, 축구 등 교양체육 실기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거나 혹은 현재 수강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체육 실기수업 교수자의 지도역량과 교수자신뢰 및 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지도역량이 교수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역량은 교수자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실기기술과 학생관리, 학생과의 관계 형성 등의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역량이 교수자신뢰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한 바 있는 김미경, 문재승(2019), 김주영 외(2019), 남광우, 조욱상(2014), 최진훈, 이도희(2015) 등 다양한 선행연구들과 같은 맥락의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현장에서 교수자의 실기역량, 의사소통 역량, 관계역량, 자기개발 역량 등 네 가지 구성요인에 따른 지도역량이 높게 형성되어 있을수록 학생들의 교수자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교수자와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신뢰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양체육 실기수업 교수자는 지도역량이 교수자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며, 전문적인 지도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이해와 노력이 대학생들과의 신뢰관계를 형성하는데 꼭 필요한 과정임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이 교양체육 실기수업이 종목 실기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교양체육 교수자들은 해당 종목에 대한 실기기능을 비롯하여 배경, 역사, 이론과 같은 이론적 전문성도 함께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이다(김인영, 2020).

둘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지도역량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역량은 수업만족에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 혹은 지도자의 전문적인 지도역량이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김상범 외(2010), 박인경 외(2017) 그리고 Collinson & Tourish(2015) 등 다양한 선행연구의 결과로부터 지지받는 결과이다. 결국 교수자들의 전문적인 지도역량은 학생들의 수업만족과도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신의 과거 강의 경험 혹은 선수 생활 및 연습 경험만으로 전문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학생들에게 과거의 교수 방식을 고수하는 것은 교양체육 교수자들에게서 가끔 나타나는 실수이자 오해 중 하나이다(강은석, 문영재, 허승은, 2020; 김성일, 황영성, 2018). 이는 오늘날 급변화하고 있는 사회 환경과 보다 개방적인 대학문화를 접한 대학생들에게는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저하시키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교양체육 실기수업 교수자들은 선수 혹은 생활체육인으로써의 경험을 전해주는 것이 아니라 대학의 교육자로써 보다 학문적 전문성에 기초한 지도역량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이영준(2020)은 일방적 수업보다는 대화 중심의 쌍방향 수업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고, 학생들과 서로 대화하며, 교육과 학습을 함께하는 대학문화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수자신뢰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수자신뢰는 수업만족에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수자 혹은 지도자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수업 또는 성과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고전규, 정구인(2014), 김미정(2021), 김승환, 조미혜(2020), 김주영 외(2019) 등 다양한 선행연구에 의해 같은 결과로 지지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자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감 형성이 수업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이며, 교수자의 가치관이나 지도철학, 그리고 가치기준에 대한 평가와 언행일치 정도, 성실, 공정성 등을 포함하는 신뢰 또한 학생들의 수업만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교수자는 교수자에 대한 신뢰가 수업만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함께 실천을 동반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다수의 교양체육 강사들이 대부분은 학생들과 함께 실기 연습에 참여하지 않는 문화에 대해서 강사 스스로부터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강은석, 문영재, 허승은, 2020). 또한,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신뢰감 형성을 위해 정직성, 공정성, 능력을 보여주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학생 개개인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최고의 수업만족을 지향하는 노력 또한 함께 경주해야 할 것이다(최재희, 2013).

이상의 논의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은 교수자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수강생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지도역량은 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신뢰는 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수자의 전문적인 지도역량과 신뢰감 형성은 대학생들의 수업만족을 향상시키는 중요변수임을 알 수 있으며, 대학 교양체육 교수자는 지도역량 제고와 학생들과의 신뢰감 형성을 위해 노력과 실천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강은석, 문영재, 허승은(2020). “체육계열 전임교원 교수매너리즘 원인과 회복하기”, 한국체육과학회지 29(5), 207-220.
2. 고인태, 홍대석(2021). “코로나 19 (COVID-19) 확산이 교양체육수업의 질, 학습정서, 성취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30(6), 627-637.
3. 고전규, 정구인(2014). “초등학생의 체육교사 신뢰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3), 한국초등체육학회, 93-101.
4. 김대근, 김우식(2019). “대학교양체육 수업만족에 따른 성취목표 성향 및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4), 한국스포츠학회, 1419-1428.
5. 김미경, 문재승(2019). “상사의 코칭행위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와 가부장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2(4), 대한경영학회, 617-644.
6. 김미정(2021). “대학의 비대면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수신뢰, 강의 만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23(4),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7-43.
7. 김상범, 박성영, 나운봉(2010). “코칭의 이론적 모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3(3), 한국소비문화학회, 1-30.
8. 김성일, 황영성(2018).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교수의 전문성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705-717.
9. 김승환, 조미혜(2020).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 및 체육수업만족의 구조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4(2), 한국여성체육학회, 33-48.
10. 김인영(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 설계 요건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양교육학회 14(6), 237-251.
11. 김주영, 강효영, 이제성(2019). “초등학생 생존수영수업에서 지도자 신뢰가 수업참여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7(4), 한국스포츠학회, 25-37.
12. 남광우, 조욱상(2014). “유도 학생선수들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1), 한국체육학회지, 143-154.
13. 박옥례, 한상철, 신원, 오경희(2012). “직장상사의 리더십유형이 째저사이즈 지도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3(1), 한국여가웰니스학회, 21-29.
14. 박인경, 김효미, 박승하(2017).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8(1), 한국스포츠심리학회, 59-69.
15. 박준영, 배종희, 이안수(2020).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 참여 학생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인지된 동기분위기, 내적동기, 운동지속의도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59-985.
16. 안효원, 김용세, 김정수(2018). “대학교양체육 운동참여동기, 수업만족도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한국웰니스학회, 165-178.
17. 원유미, 정태겸(2021).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사회적 거리감과 체육대학 온라인 실기수업 수용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6(4), 221-232.
18.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311-325.
19. 이강우, 이한경(2015). “대학교양체육 실기수업 참여자의 신체조성, 자아존중감, 수업만족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1), 한국체육교육학회, 47-60.
20. 이강우, 이한경(2015). “대학교양체육 실기수업 참여자의 신체조성, 자아존중감, 수업만족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1), 한국체육교육학회, 47-60.
21. 이영준(2020).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대학교 교양 수업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간의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8(3), 735-749.
22. 이종호, 은희관(2014). “체육지도자의 지도역량 평가요인 탐색”, 코칭능력개발지, 16(1), 27-35.
23. 이지원, 모진우, 김형준, 신지은, 양성호, 손정주, 이재영, 김중복(2017).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융합인재 지도역량 향상에 대한 인식조사”, 현장과학교육 11(1),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13-128.
24. 정태린(2020). “2020년 1학기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비대면 교양체육 수업의 질, 부정적 학습감정, 수업만족도간 경로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8(3), 509-519.
25. 정태린, 손나래(2021). “체육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법학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4(2), 175-189.
26. 최재희(2013). “대학 교양무용 참여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무용성취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905-918.
27. 최정웅, 손명준, 김태형, 김홍석(2010). “대학교양체육의 참여저해요인과 운동지속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1(2), 한국사회체육학회, 1135-1144.
28. 최용민, 유한나(2017). “대학의 교양체육 수업에서 교수의 지도행동유형과 학생들의 내적동기, 성취목표지향성, 수업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6(6), 429-443.
29. 최진훈, 이도희(2015). “생활체육지도자의 코칭역량이 지도자신뢰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9(1), 한국사회체육학회, 123-135.
30. 홍지현, 전순희(2015). “무용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이 지도자 신뢰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2), 대한무용학회, 123-139.
31. Anderson J, Gerbing D. W. 1988;“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411–423.
32. Collinson D, Tourish D. 2015;“Teaching leadership critically:New directions for leadership pedagogy”.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Education 14(4)AMLE; :576–594.
33.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th ed. New York: Guilford Press.
34. Netemeyer R. G, Boles J. S, Mckee D. O, McMurrian R. 1997;“An investigation into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in a personal sell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61(3)JM; :85–98.
35. West S. G, Finch J. F,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Problems and remedies”. In : Hoyle R. H,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 56–7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6. Whitworth L, Kimsey-House H, Sandahl P, Kimsey-House K. 1998. Co-active coaching:New skills for coaching people toward success in work and life New York: Daviesp-Black Pub.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특성 구분 N %
성별 232 64.1
130 35.9
학년 1학년 48 13.3
2학년 94 25.9
3학년 128 35.4
4학년 92 25.4
전공 인문, 사회, 사범계열 94 25.9
자연, 공학계열 92 25.4
간호, 의학계열 62 17.2
예체능계열 114 31.5
총계 362 100

<표 2>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요인 잠재변수 측정변수 B β t α
지도역량 실기역량 a1 1.000 .689 - .882
a2 1.161 .795 13.3***
a3 1.115 .799 13.3***
a4 1.077 .741 13.0***
의사소통
역량
a8 1.000 .754 - .824
a5 .929 .759 14.2***
a6 1.056 .805 15.0***
a7 .939 .699 12.9***
관계역량 a12 1.000 .633 - .800
a9 1.228 .746 10.7***
a10 1.215 .757 10.8***
a11 1.136 .738 11.4***
자기개발
역량
a13 1.000 .678 - .807
a14 1.038 .673 11.8***
a15 1.157 .745 12.5***
a16 1.105 .738 12.0***
χ2=194.182, df=84, TLI=.954, CFI=.960, RMSEA=.055
교수자
신뢰
교수자
신뢰
b1 1.000 .715 - .924
b2 1.140 .738 13.4***
b3 1.160 .801 14.1***
b4 1.140 .783 13.6***
χ2=18.328, df=4, TLI=.912, CFI=.934, RMSEA=.064
수업만족 교육적
만족
c1 1.000 .676 - .850
c2 .998 .700 12.3***
c3 .999 .641 11.3***
신체적
만족
c6 1.000 .648 - .782
c4 1.133 .697 10.7***
c5 1.011 .669 10.6***
심리/사회적
만족
c7 1.000 .646 - .870
c8 1.428 .831 13.7***
c9 1.543 .894 14.1***
환경적
만족
c12 1.000 .755 - .782
c10 .962 .729 12.3***
c11 .928 .672 11.1***

χ2=120.952, df=51, TLI=.934, CFI=.920, RMSEA=.068

***

p<.001

<표 3>

정규성 검증 결과

변수 왜도 첨도
통계량 오차 통계량 오차
실기 -.530 .138 .567 .242
의사소통 -.268 .177
관계 -.660 .470
자기개발 -.162 .714
교수자신뢰 .846 .138 .382 .242
교육적 .657 .138 -.758 .242
신체적 .445 .653
심리/사회적 -.124 .121
환경적 -.712 .912

<표 4>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1 2 3 4 5 6 7 8 9
1. 실기역량 1
2. 의사소통 .602** 1
3. 관계역량 .275** .368** 1
4. 자기개발 .530** .523** .508** 1
5. 교수자신뢰 .350** .289** .344** .369** 1
6. 교육적 만족 .193** .217** .407** .355** .464** 1
7. 신체적 만족 .522** .471** .391** .569** .497** .364** 1
8. 심리/사회적 만족 .461** .406** .306** .442** .399** .313** .232** 1
9. 환경적 만족 .242** .198** .406** .360** .261** .383** .286** .293** 1
**

p<.01

<표 5>

측정모형 검증 결과

χ2 df TLI CFI RMSEA
284.726 84 .914 .932 .079

<표 6>

구조모형 분석 결과

가설 잠재변수 B β S.E t 가설검증
1 지도역량 교수자신뢰 .182 .332 .078 6.364*** 채택
2 지도역량 수업만족 .820 .214 .044 4.132*** 채택
3 교수자신뢰 수업만족 .069 .258 .082 4.579*** 채택
χ2=284.726, df=84, TLI=.914, CFI=.932, RMSEA=.079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