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학술적 글쓰기와 저자성에 대한 논의 검토
3. 저자성의 특성과 의미
4. 학술적 글쓰기에서 저자성 강화방안
4.1 학술담화공동체 구체화 과정으로서 자료 찾기와 주제선정하기
-
1. 문제의식7)
현재 대한민국 사회는 아동학대로 인한 논란이 뜨겁다. 보건복지부의 자료에 따르면 매년 아동 학대 건수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최근에 일어난 ‘정인이 학대 사건’으로 인해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아동 학대의 원인을 부모의 환경적, 정신적인 문제나 가족의 문제, 또는 경제적 문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동학대의 원인을 분석한 대부분의 연구들 또한 김향미와 홍성대가 주장하듯이 아동학대는 ‘부모의 사회적, 정신적, 중복학대에 따른 결과’라고 분석하거나(김향미, 홍성대, 2016) 표갑수가 주장하듯이 ‘대체로 아동과 부모의 개인적 요인과 가족요인 및 사회적요인에 의해 발생된다’고 분석한다(표갑수, 1993).이처럼 지금까지 아동학대 원인에 대한 연구는 부모, 가족, 사회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분명히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법적 제도나 정부의 역할과 같은 국가의 대처 실패를 원인으로 지적하는 것에는 초점이 많이 맞추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부모들의 사회적, 정신적인 문제와 같은 개인적인 문제들이나 가족 내의 문제들은 해결하기 쉬운 일이 결코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아동학대의 피해 사례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의 대응’이라는 다른 관점에서 아동학대의 원인을 먼저 분석해보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법적 제도나 정부의 역할이 아동학대의 원인으로 어떻게 작용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예상주장: 아동학대의 원인으로 법적 제도나 정부의 역할과 같은 국가의 대응 실패에 대한 더 자세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2 학술담화공동체 논의와의 소통- 선행연구검토 강의와 연구계획서 쓰기
-
2. 가족 다양성 수용 태도에 관한 선행 연구8) (밑줄은 저자성 가운데 자기 생각이 드러난 부분- 연구영역 구축)
가족 다양성 수용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표적으로 유계숙(2005)은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한국 사회의 수용도를 분석하고 가족 다양성 수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의하면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수입이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가족 다양성에 대해 높은 수용도를 나타냈으며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을 가진 사람일수록 가족 다양성에 대한 수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유정 외(2015)의 경우 알파맘, 기러기 가족, 딩크족, 싱글맘, 골드미스 등 다양한 가족 개념과 연계된 가족 형태에 대한 성별, 연령별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해 보다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고 연령별로는 2, 30대가 가장 수용적인 태도를, 6, 70대가 가장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 그 자체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점에서 2019년 여성가족부의 가족다양성에 대한 국민 여론조사는 가족의 의미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개인적 수용도, 다양한 가족지원 정책에 대한 수요도, 다양한 가족 포용을 위한 제도 개선 찬성도 등 가족관의 변화 및 가족 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혼, 재혼, 동거, 비혼, 혼인외 출산, 무자녀 부부, 국제결혼, 미성년 출산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찬반 혹은 수용 가능 여부를 묻는 문항을 통해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개인적 수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응답자들이 다양한 가족 형태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측면에서 수용 혹은 거부 태도를 형성하는지 그 질적인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종합하자면, 가족 다양성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가족 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는데는 관심이 저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가족 다양성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수용도를 다룬 연구들도 단순히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찬반 혹은 수용 가능 여부만을 조사하여 그 정도를 양적인 수치로 나타낸데 불과하였으며 사람들이 사실혼⋅동거가족,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무자녀부부, 입양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족, 비혼, 비혼 출산, 동성애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점에서 수용 혹은 거부 태도를 형성하는지에 관한 논의는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다.
4.3 인용과 표절 교육과 저자성
-
상당수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자살률 상승요인으로 실업률, 고용불안, 노인빈곤 등 경제적 원인을 지목한다(Khang, Lynch, & aplan, 2005; Kim, Song, Yi, Chung, & Nam, 2004). - 기존 논의 소개하는 인용, 이를 비판하기 위한 부정적 인용)
그러나 만약 자살률 증가가 순전히 경제적 이유 때문이라면 경제 사정이 악화된 다른 나라의 자살률도 증가했어야만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또한 경제적 논리만으로는 IMF 위기를 극복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우리의 자살률을 설명하기 곤란하다. - 자기 주장국내외 많은 학자들 또한 경제와 자살률의 사이에 단순한 선형적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김종섭, 2010; Nordt, Warnke, Seifritz, & Kawohl, 2015). - 자기 주장을 뒷받침하는 인용(긍정적 인용)경찰청 자료에 따르더라도 2005년 우리나라 전체자살자 중 가난이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추정된 사례는 전체의 3.9%에 불과했다(Wedding, n.d). - 근거로서 통계자료를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