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교양 ‘문학’에 대한 성찰과 기대
3. 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문학교육 연계성
<표 1>
국어과 교육과정 | |
---|---|
[공통 교육과정⋅선택 중심 교육과정(공통 과목)] | 국어 |
[선택 중심 교육과정] - 일반 선택 |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
[선택 중심 교육과정] - 진로 선택 | 실용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
<표 2>
핵심개념 | 일반화된 지식 | 중등내용요소 | 고등내용요소 | 기능 |
---|---|---|---|---|
▶ 문학의 본질 |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 상화한 작품을 통해 즐거움과 깨달음을 얻고 타자와 소통하 는 행위이다. | • 심미적 체험의 소통 | • 유기적 구조 |
• 몰입하기 • 이해⋅해석하기 • 감상⋅비평하기 • 성찰⋅향유하기 • 모방⋅창작하기 • 공유⋅소통하기 • 점검⋅조정하기 |
▶ 문학의 갈래와 역사 • 서정 • 서사 • 극 • 교술15) ▶ 문학과 매체 |
문학은 서정, 서사, 극, 교술의 기본 갈래를 중심으로 하여 언 어, 문자, 매체의 변화와 함께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
• 노래, 시 • 이야기, 소설 • 극 • 교술 |
||
▶ 문학의 수용과 • 작품의 내용⋅형식⋅표현 • 작품의 맥락 • 작가와 독자 |
문학은 다양한 맥락을 바탕으 로 하여 작가와 독자가 창의적 으로 작품을 생산하고 수용하 는 활동이다. |
• 비유, 상징의 효과 •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 • 보는 이, 말하는 이의 관점 • 작품의 사회⋅문화적 배경 • 작품의 현재적 의미 • 작품 해석의 다양성 • 재구성된 작품의 변화 양상 • 개성적 발상과 표현 |
• 갈래 특성에 따른 형상화 방법 • 다양한 사회⋅문화적 가치 • 시대별 대표작 |
|
▶ 문학에 대한 태도 • 자아 성찰 • 타자의 이해와 소통 • 문학의 생활화 |
문학의 가치를 인식하고 인간 과 세계를 성찰하며 문학을 생 활화할 때 문학 능력이 효과적 으로 신장된다. | • 문학을 통한 성찰 | • 문학의 주체적 수용과 생활화 |
<표 3>
-
“고등학교 1학년 문학 영역 성취기준은 문학이 언어 예술이자 사회⋅문화적 소통 활동이라는 점을 이해하고 교양인으로서의 문학 능력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어 설정하였다. 문학 갈래의 특성과 한국 문학의 가치를 바탕으로 하여 작가의 개성을 이해하며 다양한 한국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둔다.”
“학습자는 작품에 대한 주체적 해석과 심미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자료⋅정보 활용 역량과 자기 성찰⋅계발 역량, 문화 향유 역량을 기르고, 다양한 사람들과 작품 세계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가운데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을 기른다. 또한 작품의 수용과 생산 과정에서 창의적이고 복합적인 사고를 수행함으로써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을 함양한다.”(123면. 강조는 필자)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