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교육부 고시 2015-74호.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8).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편람설명회 자료집.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20).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편람설명회 자료집.
구교은(2015).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초등교육학연구 22(1), 1-23.
김동일, 오헌석, 송영숙, 고은영, 박상민, 정은혜(2009).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아시아교육연구 10(2), 195-214.
김민정(2019). “‘역량담론’의 헤게모니와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문화와 융합 41(5), 한국문화융합학회, 321-348.
김순임, 이효성, 김현정, 서명희(2013).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발전 방안: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1), 한국교양교육학회, 11-39.
김인영(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 설계 요건과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양교육연구 14(6), 한국교양교육학회, 237-251.
김필성(2018). “한국 D대학교의 역량기반 학과 교육과정의 성과평가 방법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3), 221-229.
박성미(2011).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 30(3), 327-351.
박수정, 송영수(2016). “대학 특성화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19(2), 79-107.
박영신, 안현아, 장미숙, 양길석, 김경이(2017).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9(4), 567-595.
박혜정(2018).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교양교육연구 12(2), 한국교양교육학회, 65-87.
백승수(2020).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11-23.
서금택, 윤용관(2019). “대학 핵심역량과 학과 전공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사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7),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163-173.
손승남, 김인영, 송하석, 이재성, 최예정(2021).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교양교육연구 15(1), 한국교양교육학회, 11-30.
손종현, 지정민(2013).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개혁”, 교양교육연구 7(6), 한국교양교육학회, 205-246.
신주연, 김진선, 정윤경(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I대학교 학부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39-54.
양영근, 정원희(2015). “NCS직업기초능력과 산업체 교양교육 수요를 반영한 교양교육과정 개편 연구-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9(2), 한국교양교육학회, 35-65.
유기웅, 신원석(2012).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 45,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1-54.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2007).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이근호, 김기철, 김사훈, 김현미, 이명진, 이상하, 이인제(2013a).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연구보고 RRC 2013-2.
이근호,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2013b).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17.
이민정, 김수동(2018).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평가연구-한국의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5), 759-767.
임선애, 지현배, 김지용, 강성배, 서민규(2016). 학부교육 선도대학 교양교육 성과진단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연구보고서 RR-2016-23-642.
정선호(2016).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10(4), 한국교양교육학회, 283-310.
주철안, 서용희, 이영내, 사려려, 오슬기(2015).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및 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 중요도”, 비교교육연구 25(4), 203-233.
진미석, 이수영, 채창균, 유한구, 박천수, 이성, 최동선, 옥준필(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종합검사 개발(대인관계검사 개발과 종합적 사고력 측정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진미석(2016).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연구 1(1),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1-24.
최화숙(2018). “역량기반 대학 교육과정 내용 모형 설계”, 예술인 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1), 531-539.
한혜정, 김영은, 이주연(2016). “교육목적으로서 ‘일반능력’ 설정에 대한 논의 고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의 관계에 주는 함의”, 교육과정연구 34(2), 한국교육과정학회, 1-18.
한혜정, 김기철, 이주연, 장경숙(2018).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4.
홍용기, 전승환(2013). “학습성과의 본질과 교육과정 개발”,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14(34),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85-102.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Retrieved March 3, 2020. from
http://www.oec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