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옥희(2016).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문학토론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4), 543-578.
강지혜, 이병길, 권승아(2019).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설계 전략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35(2), 527-549.
고진영, 정기수(2017).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475-504.
곽윤정, 장선영(2015).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용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573-597.
권순구(2020). “고전교육 성과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양교육연구 14(3), 189-204.
권순구, 윤승준(2020).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 분석 연구 -역량, 효능감, 흥미 변화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5), 161-173.
김대중, 김소영(2017).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연구 2(1), 23-45.
김선영(2019). “캐나다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구성 방식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37(2), 83-105.
김성일(1996). “글 이해과정에서 흥미의 역할”, 실험 및 인지 8(2), 한국심리학회지, 273-301.
김성일, 윤미선, 소연희(2008).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문화 및 사회문제 14(1), 한국심리학회지, 187-221.
김아영(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학회 16(1), 1-39.
김현주(2011).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교양교육연구 5(1), 229-261.
김현진, 정재학(2011). “지각된 교수자 특성과 대학생들의 학업적 흥미, 즐거움, 내재동기, 인지적 학습전략 사용 및 과목만족도의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5(3), 569-589.
김희주, 원효헌(2019). “역량기반 교육과정 전환을 위한 조건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31(1), 287-297.
박현희(2019).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3(5), 11-37.
봉미미, 김성일, Reeve, J., 임효진, 이우걸, Jiang, Y., 김진호, 김혜진, 노아름, 노언경, 백선희, 송주연, 신지연, 안현선, 우연경, 원성준, 이계형, 이민혜, 이선경, 이선영, 이지수, 정윤경, Catherine Cho, 황아름(2012.10.29.). “SMILES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Environment Scales): 학습환경에서의 학생동기척도. 미간행 척도”,
http://bmri.korea.ac.kr/korean/research/assessmentscales/list.html?id=assessment에서 인출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39-59.
손승남(2013). “‘위대한 저서(The Great Books)’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우리나라 대학 인문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7(4), 449-472.
신종호, 신태섭(2006).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 환경 요인 간의 관계 연구”, 아동교육 15(1), 5-23.
안현효(2019).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 - 대학교육 혁신에서 교양교육강화 방안”, 교양교육연구 13(3), 99-123.
우연경(2012). “흥미 연구의 현재와 향후 연구 방향”, 교육심리연구 26(4), 1179-1199.
유경애(2018). “다문화사회 대학의 고전읽기 수업의 학습변인별 학습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언어와 문화 14(2), 55-79.
유경애, 이재득(2018). “외국인과 한국인 대학생의 다문화 고전수업의 효과 비교 연구”, 교양교육연구 12(2), 207-326.
이아영(2013).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초등학생의 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독서교육학회지 1(1), 177-201.
이아영, 조미아(2017).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청소년의 인성과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1), 245-265.
이애화, 최명숙(2014).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교육공학연구 30(4), 561-588.
이원봉(2017).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고전독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사고와 표현 10(1), 113-140.
이황직(2011).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교육의 혁신 -숙명여대의 “인문학 독서토론” 강좌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6(26), 517-548.
장승민(2015). “리커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사용”, 임상 34, 한국심리학회지, 1079-1100.
전보라, 정상훈(2018).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P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8(4), 101-123.
정선희(2014).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문학의 역할과 의의-고전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30, 397-426.
정인모, 허남영(2013). “고전읽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교양교육연구 7(1), 41-74.
한국교육개발원(2016).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현안보고 OR 2016-10.
Bandura, A(1997).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New York.
Bandura, A(1994). Self-efficacy, In V. S. Ramachaudran (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Klein, R. B(2005a).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Y: Guilford.
Klein, T. J(2005b). Psychological testing: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CA: Sage Publications.
Krapp, A(1999). “Interest, motivation and learning:An educational- psychological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4(1), 23-40.
Pajares, F(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 Educ. Res 66:543-578.
Hidi, S, K. Renninger, K. A(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Renninger, K. A, Hidi, S, Krapp, A(1992).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Schiefele, U(1991).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6(3 &4), 299-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