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영(2013).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적 연구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아(2012). “청소년의 예 리더십(禮 Leadership)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8), 대한가정학회, 97-112.
김경아, 김수진, 윤희정(2019). “대학의 인성기반 교양교육 현황 및 방향모색: ‘세계시민교육과 리더십’을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12,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27-156.
김경아, 이신자(2020). “베트남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175-189.
김대규(2009). “리더십 교과운영의 학업성취도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경주대학교 기초교양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16(3), 대한정치학회, 99-129.
김용수(1990). “요구사정 모형의 개발과 모형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성명희(2017).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보건업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 (2), 한국교양교육학회, 121-145.
김인영(2018).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리더십 교육 현황과 특성 분석”, 교양교육연구 12(1), 한국교양교육학회, 11-33.
김정일(2008). “대학 리더십교육의 당위성과 강화 방안”, 신라 리더십 연구 1 , 신라대학교부설 신라리더십센터, 1-25.
김진화(200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서울: 학지사.
김진희, 김선정(2017). “대학생 대상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실제와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학연구 55(1 ), 한국교육학회, 45-66.
대전일보(2020). “뉴 노멀 시대, 대학의 교양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1월 12일자.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2020). 2020 Course Catalog.
박선영(2009). “세계화를 대비하는 지구시민교육의 필요성: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7(3),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24.
박소연(2012).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리더십 교육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6(2), 한국교양교육학회, 105-126.
박은민, 박미랑(2015). “대학 신입생을 위한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한국콘텐츠학회, 565-574.
박환보, 조혜승(2016).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54(2), 한국교육학회, 197-227.
박환보, 최정윤, 김안나, 길혜지, 정연내, 우한솔(2015). “한국대학의 개발교육 사례 분석: KOICA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6(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85-112.
배병렬(2017).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2020). 2020 서울대 새내기 기초교양교육과정 길잡이.
성신여자대학교 교양교육대학(2020). 2020학년도 교양교육과 정표.
숙명여자대학교(2020). 세계시민교육과 리더십 매뉴얼.
신주연, 김진선, 정윤경(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교 학부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39-54.
신철균, 변혜영, 어성민, 김성목(2020). “학생⋅교원의 교양교육 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A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3), 한국교양교육학회, 217-231.
연혜민(2020). “미래사회를 대비한 대학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 분석-D대학교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2(10), 한국문화융합학회, 173-193.
유기웅, 정종원, 박지예(2014).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양교육 현황 실태 분석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윤성혜(2017). “대학생용 세계시민의식(Global Citizenship) 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한국교양교육학회, 311-325.
이정열, 김삼섭(2019).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 요구분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12), 한국디지털정책학회, 545-554.
이종재, 심희정, 이화진, 김민지, 허광영(2016). 대학에서의 세계 시민교육을 위한 토대구축에 관한 연구, UN Academic Impact Korea. The United Nations Academic Impact Korea. October 2016.
이청민, 정제영, 양민석(2020).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 4(5), 한국교양교육학회, 109-121.
이혜영, 조혜승, 박수정(2017). “미국 대학의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9(1), 글로벌교육연구학회, 3-30.
정효정, 전은화, 안솔뫼(2019).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 교양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열린교육연구 27(2), 한국열린교육학회, 171-189.
채진원(2013). “세계화시대 대학교육의 이념과 시민교육적 과제”, 인문사회과학연구 39,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42.
최돈민, 이희수, 윤여각, 이종섭, 류경숙(1999). 평생교육요구분석(RR 99-2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경제연구원(2021). “빼앗긴 청년의 봄, 대기업 63.6% 상반기 채용 ‘0’ 또는 미정”, 3월 8일 보도자료.
한국교양기초교육원(2021).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1). 교양교육분야 종합보고서.
한국청소년개발원(2002). 미국의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보고서, 19-47.
허영식, 정창화(2016). “다중관점 지향적 세계시민교육의 도전과 과제-독일에서의 연구동향과 함의를 중심으로”, 한⋅독사.
회과학논총 26(3), 한독사회과학회, 114-146.
Ernst, , R. R, (2008). “Societ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Wisdom and foresight leading to a better world”, Edited by Darbellay F, Cockell M, Billotte J, Waldvogel F, A vision of transdisciplinarity:Laying foundations for a world knowledge dialogue, 121-136. Boca Raton, FL: Taylor and Francis Group.
Kaufman, R. A, English, F. W(1979). Needs assessment:concept and appli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Knowles, M. S(1970).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Andragogy versus pedagogy, New York: Association Press.
Maslow, A. H, Abraham, H(1970).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Row Publishers, 1970.
Tyler, R. W(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Queeney, D. S(1995). Assessing needs in continuing education:An essential for quality improvement, Jossey-Bass.
UN News. (2020). “COVID disruption will 'pale in comparison'if world fails to act on climate change, SDGs”, Nove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