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톡을 활용한 토익 스피킹 수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Using Kakao Talk on TOEIC Speaking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1;15(2):57-67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April 30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1.15.2.57
허선영1, Heo Sunyoung1, 배상희2, Bae Sanghee2
1 제1저자, 단국대학교 교수, benegos@dankook.ac.kr
Professor, Dankook University
2 교신저자, 단국대학교 교수, bsh102@dankook.ac.kr
Professor, Dankook University
Received 2021 March 20; Revised 2021 April 05; Accepted 2021 April 15.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다수의 학습자가 사용하는 카카오 톡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토익 스피킹 수업에 활용하고 그 효과와 학습자들의 평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주일에 2시간씩 총 15주 동안 진행되는 토익 스피킹 강좌를 수강하는 총 9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카카오 톡에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여 토익 스피킹의 사진 묘사하기, 설문 조사 응답하기, 의견 제시하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활동에 이용된 기능은 사진 전송, 문자 채팅, 음성 녹음 기능이었다. 활동의 효과는 사전/사후시험을 시행하여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해 설문조사과 자유 토론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의 토익 스피킹 성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전제 학생 모두 성적이 향상되어 토익 스피킹 레벨이 상승하였다. 또한, 카카오 톡의 세 가지 기능을 사용한 활동도 모두 성적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사진/문자 전송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답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학습자들은 음성 녹음 기능이 가장 효과가 낮다고 대답하였으나 실제로 음성 녹음을 활용한 활동의 성적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모든 학습자가 카카오 톡을 수업에 활용한 부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본 연구를 통해 카카오 톡이 영어 교육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도구임을 시사하고 있다.

Trans Abstract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Kakao Talk, which is used by a majority of learners today, on TOEIC Speaking, along with the feedback of the learners to the activities using the main functions of this popular SNS app. Nine 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s and grades vari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implemented for the subject of TOEIC Speaking, and the class proceeded with 2 hours over the course of 15 weeks. The researcher provided a Kakao open chatting room, wherein the students could take part in all of the activities with their classmates. Three main Kakao Talk functions were used: taking photos, text messaging, and voice recordings. To reveal the effects of these activities, three phases of TOEIC Speaking were selected: Describing a Picture, Responding to Questions, and Expressing an Opinion. Two tests, and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learners’ feedback regarding the activities themselves, an open-answered survey and a class discussion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all of the learners’ test scores increased, and all of their levels were upgraded, even though this did not equate with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activities, the learners selected the activity of taking photos and sending them as the most effective one. Nevertheless, all of the learners regarded all of the Kakao Talk activities as useful.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Kakao Talk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crucial tool in English education.

1. 서론

이제는 생소하지 않은 Marc Prensky(2001)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는 오늘날 학습자들을 가장 잘 묘사하는 호칭이 되었다. 1996년에서 2010년 사이 태어나서 성장한 세대를 칭하는 말로, 이들은 그 이전 세대와 달리 유비쿼터스적 기술 환경에서 자라난 세대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 환경에서 성장해온 학습자들에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은 자연스러운 일상의 한 부분인 것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바람직한 미래형 인재에 요구되는 ‘기계와의 협력적 소통 역량’(유은숙 외 9인, 2018)의 측면에서도 학습자들에게 충분히 기대되는 긍정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 교육적 측면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관련한 연구에 관심을 두게 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한종임, 2019).

2010년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 톡은 2019년 기준으로 할 때 그 사용자 수가 한국인의 72%에 해당하며, 한국 모바일 메신저 앱 사용 시간 중 95%를 차지할 뿐 아니라 전체 앱 사용 중 부동의 1위라고 할 수 있다(홍성용, 2020; 김현아, 2017). 디지털 세대인 학습자들이 카카오 톡을 사용하는 빈도와 추세는 영어 교육에도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매김할 뿐 아니라 새로운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영어 교육은 모바일 기기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 영어 앱 조사, 앱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등으로 분류된다(송은혜, 2016). 이는 카카오 톡을 이용한 연구 추세와도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학습자들의 손에 쥐어진 모바일 기기와 카카오 톡을 이용하는 빈도는 영어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모바일 기기의 활용적 측면으로 볼 수 있는 카카오 톡이 지닌 기능적 특징과 매우 밀접하다. 카카오 톡은 대표적 기능으로 쌍방 혹은 다자간 문자 전송과 채팅, 사진과 동영상 전송 및 소리 녹음과 보이스 톡 등이 있는데 이는 영어 교육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그 맥을 같이 할 수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카카오 톡을 활용한 다수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를 중심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학습자들의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반응 또는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카카오 톡을 활용하여 영어 학습의 기본적 네 가지 기능인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에 관련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토익 스피킹 수업에서 카카오 톡의 기능을 이용한 활동을 수행하여 말하기 시험 성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같은 활동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견해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아래와 같다.

  • 1. 카카오 톡을 이용한 활동들은 토익 스피킹 수업에 효과가 있는가?

  • 2. 카카오 톡을 이용한 활동들에 대한 학습자들의 견해는 어떠한가?

2. 이론적 배경

2.1 모바일 환경과 영어 교육 연구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인 오늘날 학습자에게 익숙한 컴퓨터와 모바일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미래 교육을 지향하는 언어교육의 측면에서는 매우 당연한 관심사라고 볼 수 있다. 모바일 환경에 관한 연구와 유/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 환경에 관한 연구는 자연스럽게 테크놀로지와 언어교육을 중심으로 한다. 이것은 1990년에 등장하기 시작한 모바일 러닝의 개념이 시대에 따라 발전하면서 언어학습을 위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콘텐츠가 시공을 초월해서 이동하는 가능성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김규미, 2019). 또한, 4차 산업혁명에서 중시되는 학습자의 창의성과 날로 발전하는 테크놀로지가 지속해서 융합하여 더욱 효과적인 영어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미래의 바람직한 영어 교육을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한종임, 2019).

컴퓨터를 활용한 영어 교육인 CALL(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은 컴퓨터의 급속한 보급과 발전에 따라 이러닝(e-learning)을 가능하게 하였고, 모바일은 여기에 휴대가 용이하게 되는 특성을 더하게 된다. 이로써 기존의 제한적 교실 수업에서 벗어나 더욱 도전적인 시도가 가능하게 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가장 보편적인 모바일 학습 연구들을 송은혜(2016)는 크게 세 분야로 분류하였는데, 학습자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영어 학습 앱에 관한 연구, 영어 학습 앱의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모바일 학습은 이동성을 중시하고 학습자에게 이를 사용한 영어 교육 효과를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스마트 기기 혹은 SNS를 활용한 연구와도 그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황영미와 이재현의 연구(2016)는 영화에 대한 감상평 쓰기를 오프라인상에서 글쓰기 하는 것과 카카오 톡 조별 채팅방을 교수자가 개설,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는 것을 비교하여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학습자들의 협동적 글쓰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지연(2016)의 연구는 폐쇄형 SNS를 활용한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이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는 단순한 스마트 기기의 활용이 아니라 그것을 활용한 사회적 관계망 구성으로 연구 중심을 이동시켜 학습자의 글쓰기 효과를 분석한 점이 눈길을 끈다. 한편, 이희정(2018)은 QR코드라는 흥미로운 요소를 영어 말하기 학습에 활용한 연구를 하여, 수업 효과 향상은 물론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서도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 또한 단순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측면에서 좀 더 나아간 연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2.2 카카오 톡과 영어 교육 연구

김현아(2017)가 그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한국인의 72%가 사용하며 사용 시간은 전체 모바일 앱의 95%를 차지하는 카카오 톡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환경에서 영어 교육과 관련하여 가장 다양한 연구 매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김희진, 허광, 2013; 이선혜, 2016; 송은혜, 2016; 정남숙, 2016; 최은정, 육청민, 2018; 허선영, 2019; 황영미, 이재현, 2016). 카카오 톡을 사용한 영어 교육 관련 연구들은 크게 언어 기술적 측면인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를 중심으로 하는 분야와 학습의 대상이 되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카카오 톡을 사용하여 학습효과에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에 관한 연구가 모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황영미와 이재현(2016)은 카카오 톡의 채팅방을 개설하여 학습자들이 영화 감상평을 쓰고 서로 간의 의견 공유를 통해 카카오 톡이 영어 글쓰기 수업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선혜(2016)는 학습자들이 토론한 내용을 지면으로 교수자에게 제출한 통제반과 카카오 톡으로 교수자에게 문자 전송을 사용한 실험반을 비교하여, 실험반이 문장쓰기와 문장의 복합성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송은혜(2016)는 모바일 듣기 앱을 듣고 듣기 내용 중 관련 키워드를 카카오 톡으로 조원끼리 공유하는 활동을 한 결과,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남숙(2016)의 연구는 학습자들이 교재에 있는 대화문을 짝을 지어 녹음하고 그 녹음 내용을 듣고 동료 학생들과 교수자의 피드백을 받게 함으로써 말하기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희진과 허광(2013)은 구글 플러스 행아웃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대화와 카카오 톡의 음성 녹음과 문자 채팅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영어 회화 성취도를 연구했다. 그 결과, 어휘와 이해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카카오 톡을 사용한 수업의 참여자인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두는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의 선호도나 만족도를 분석하는 연구들로서,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정의적 측면과 관련이 있다. 송은혜(2016)는 그의 연구에서 듣기 앱과 관련한 수업을 실시한 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카카오 톡 사용 효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으로 영어 듣기에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김희진과 허광 (2013)도 학습자들이 카카오 톡과 구글 행아웃을 말하기 수업에 사용한 후,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분석하였고, 그들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을 증진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정남숙(2016) 역시 학습자들이 카카오 톡을 사용한 말하기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자신감과 수업 참여도를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학습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고 밝히고 있다.

학습 효과와 학습자를 동시에 분석하고 연구하는 다수의 논문이 카카오 톡의 미래 영어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카카오 톡의 다양한 기능 중 어느 부분이 학습효과를 끌어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연구자가 출제하는 시험에 따른 성적 향상이 아닌 객관적인 시험을 시행한 결과로 효과를 평가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카카오 톡의 특징적 기능을 사용한 활동을 토익 스피킹 수업에 사용하여 어떠한 기능이 구체적으로 학습에 효과적인지, 또한 학습자들이 카카오 톡의 여러 가지 기능을 이용한 활동들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참여자

충청남도 소재의 한 대학교에서 진행된 본 연구는 교양 선택 과목 중 하나인 토익 스피킹이라고 하는 연구자의 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강좌는 일주일에 두 시간씩 총 15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카카오 톡을 이용한 활동은 중간 고사 이후에 활동과 관련된 문제 학습 주차에 한하여 실시하였다. 수강 학습자 수는 모두 11명이었으나, 취업 관계로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은 결시한 두 명의 학생을 제외한 9명으로 연구 대상을 제한하였다. 외국 거주 경험은 두 명의 학생이 1년, 한 명의 학생이 3주로 총 3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또한, 태국에서 온 외국인 학습자도 한 명 있었다. 학습자들의 전공은 외국어,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예술 등 매우 다양하였고, 수강 학년 역시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제한이 없었다. 취업 준비와 관련이 있는 과목의 특성상, 취업을 앞둔 4학년이 전체 9명 가운데 3명이나 되었다. 여학생은 세 명이었으며 한 명은 외국인 학생이었다. 학습자들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표 1>에 기술하였다.

연구 참여자

3.2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3.2.1 연구 절차

토익 스피킹 시험은 토익 시험과는 별개로 말하기 능력만을 평가하는 것으로 총 11개의 문제가 6가지 단계로 출제된다. 주어진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고 녹음하는 Read a Text Aloud 두 문제, 주어진 사진을 자세하게 묘사하는 Describe a Picture 한 문제, 설문 조사의 질문에 답변하는 Respond to Questions 세 문제, 회의 또는 비행 일정 등의 표를 보고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Respond to Questions Using Information Provided 세 문제, 고객의 전화 메시지를 듣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Propose a Solution 한 문제, 끝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찬성 혹은 반대를 표시하며 아울러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설명이 요구되는 Express an Opinion 한 문제이다. 교재는 YBMnet에서 출판한 All that English Speaking 2가 사용되었다.

토익 스피킹이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라 카카오 톡의 기능 중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중심으로 활동을 구성하였다. 세 가지 기능을 선택하였는데, 첫째는 사진 전송 기능이다. 사진을 찍고 자신이 직접 묘사하여 단체 대화방에 전송하여 서로 확인하는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두 번째 기능은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채팅기능으로 학습자 간 대화를 텍스트로 전송하여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다. 끝으로 녹음 기능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글이 주는 시간적 한계 극복과 실제 시험이 듣기를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수행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카카오 톡을 사용할 수 있는 단체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수업 시간에 보조적으로 사용할 것이란 사실을 알려주었다. 연구 과정은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첫 단계는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카카오 톡 기능을 사용한 활동을 하고, 이를 토익 스피킹 시험 결과를 통해 효과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카카오 톡의 특성을 이용한 활동은 수업 시간 중에 진행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학습자들의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자유로운 견해를 설문지를 통해 물어보았다. 마지막 단계는 전반적인 영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을 진행하게 하고, 토론 내용에 등장하는 카카오 톡을 사용한 토익 스피킹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전체적인 수업의 평가에서 살펴보았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는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견해를 보는 면에서는 같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 두 번째 단계는 기말고사를 실시하기 전, 즉 활동의 효과가 성적으로 나타나기 전의 학생들 개개인이 생각하는 활동에 대한 견해를 설문지를 통해 알아본 것인 반면, 세 번째 단계는 한 학기 수업이 종료된 후, 전체적으로 강좌에 관한 생각을 자유롭게 전체 학생이 토론한 결과 중 카카오 톡을 이용한 활동에 대한 견해 부분만을 선별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 대한 설명은 [그림 1]에 나타나 있다.

[그림 1]

연구 절차와 과정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려는 방법으로 중간고사를 사전검사로, 기말고사를 사후검사로 사용하였다. 두 시험 모두 본 연구자의 참관하에 YBMnet에서 직접 파견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그 평가는 동 기관 소속 원어민 전문 채점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학습자들의 토익 스피킹 시험 결과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방법과 토론이 시행되었다. 토론의 경우, 기말시험이 끝나고 난 뒤 마지막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모두 모여 실시하였으며 토론 내용은 학생들에게 양해를 구한 후 녹음하여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4. 연구 결과

4.1 카카오 톡을 활용한 토익 스피킹의 효과

카카오 톡의 가장 기본적이고 특징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세 가지 기능, 문자 메시지 채팅, 사진 전송, 녹음 기능을 이용한 활동을 토익 스피킹 수업에 사용하였다. 카카오 톡 기능을 활용한 수업 활동의 예를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 자료로 분석하고자 한다.

4.1.1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 활동

① 사진과 문자 전송 기능을 활용한 활동

토익 스피킹은 모두 6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두 번째 단계 질문은 Describe a Picture이다. 제시된 사진을 보고 전체적 사항과 세부적 사항을 묘사하고, 자신의 의견도 덧붙여서 도입> 전개> 마무리 과정으로 대답을 하는 문제 형태이다. 30초 동안 준비시간이 주어지고 45초 이내로 답변해야 한다. 수업 시간은 두 부분으로 분류하여 활동하였다. 이에 따라 수업 시간의 절반, 즉 한 시간은 문제 형태와 답변 유형을 설명하고, 카카오 톡을 활용한 활동을 설명하는데 소요되었다. 남은 수업 한 시간은 [그림 2]에서와 같이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찍고 그에 대한 자신의 묘사를 덧붙여서 수업 관련 단체 대화방에 올리는 활동을 하였다. 교내/교외는 물론 학교에서 한참 벗어난 곳을 사진으로 찍어서 설명을 덧붙인 학습자도 있었다.

[그림 2]

카카오 톡 사진 전송과 문자 메시지 채팅 기능을 활용한 활동

② 카카오 톡 음성 녹음 기능을 활용한 활동

토익 스피킹의 세 번째 단계인 Respond to Questions는 설문 조사에 응답하는 상황을 설정하여 학습자가 일련의 세 문항에 즉답하는 유형이다. 질문은 실제 상황처럼 음성 녹음으로 제시되며, 이 단계는 준비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 다만 15초, 15초, 30초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세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 학습자들은 수업 시간에 이 단계의 질문 유형과 답변 과정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카카오 톡의 음성 녹음 기능을 활용한 활동을 수업 시간 중에 수행하였다.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한 명의 학습자가 교과서에서 이미 학습한 부분 중 다소 어려웠던 부분을 선택하여 지문을 문자로 제시한다. 이어서 연관된 문제를 음성으로 녹음하여 질문하면 다른 학생이 이 음성을 듣고 이에 대한 답변을 즉시 음성으로 녹음하여 전송한다. 여러 사람의 각기 영어 억양과 톤을 보다 자세하게 듣고, 또한 타인의 답변 형태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활동이다. 활동을 마친 후, 학생들에게 전체적인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해 부연설명을 해주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그림 3]

카카오 톡 음성 메시지 기능을 활용한 활동

③ 카카오 톡 문자 메시지 채팅을 활용한 활동

카카오 톡의 가장 기본 기능이자 다수의 SNS(사회관계망)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인 문자 메시지를 통한 채팅 기능은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토익 스피킹 수업에서 역시 많은 가능성을 가진 활동을 고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토익 스피킹의 맨 마지막 단계는 Express an Opinion으로 제시된 명제를 읽고 자신의 의견을 찬성/반대로 표현하거나 선호도를 예시를 들어 부연 설명하는 긴 답변을 요구하는 유형이다. 준비시간은 15초가 주어지고, 답변은 60초 이내에 할 수 있다. 주어진 지문을 읽고 자기 생각을 정리하여 이를 발화하는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그림 4]에서와 같이 학습자들에게 문제의 핵심과 답변 시 주의 사항 등을 설명하고,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과서 예시 지문을 한 명의 학습자가 문자로 단체 오픈 채팅방에 전송하고 다른 학생들은 이를 보고 바로 자신의 답을 문자 메시지로 전송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단순하게 묻고 답하기보다 장점과 단점 혹은 선호 이유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게 하였다. 활동을 마친 후, 다양한 형태의 답변이 가능한 문제이므로 학습자들이 제시한 답변을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변의 형태에 비추어 개선하는 방안에 관해 설명을 덧붙였다.

[그림 4]

카카오 톡 문자 메시지 채팅 기능을 활용한 활동

④ 카카오 톡 기능을 활용한 토익 스피킹 효과

세 가지 각기 다른 카카오 톡 기능을 활용하여 수업 시간 내에 행해진 활동들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통해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재 구성에 따르면 전체 단계별로 챕터가 두 개씩 들어있다. 중간고사 전에 모든 단계의 홀수 챕터를 학습하였고, 중간고사 이후 각 단계의 나머지 짝수 챕터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카카오 톡을 이용한 활동은 중간고사 이후 실시하였기 때문에 중간고사는 사전시험, 기말고사는 사후시험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에 사용된 모의 토익 스피킹은 YBMnet에서 본교에 와서 시험 주간에 직접 실시하였다. 두 시험 모두 실제 토익 스피킹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시간 동안 총 11문제로, 6유형의 말하기 관련 문제들로써 구성되었다. <표 2>는 카카오 톡 기능을 사용한 활동을 한 토익 스피킹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통계적으로 크게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세 가지 기능을 활용한 세 단계 모두 성적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진과 문자 메시지 전송을 이용한 활동을 수행한 두 번째 단계는 기말고사에서 모든 학생이 동일한 점수를 얻었다는 사실이 특이하다. 반면에 음성 녹음 기능을 사용한 3단계와 문자로 즉시 답변을 전송한 6단계의 경우 표준편차의 정도가 더욱 커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카카오 톡 기능을 활용한 토익 스피킹 효과

카카오 톡 기능을 활용한 수업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다른 방법은 바로 전체 점수와 레벨 추이를 보는 것이다. 전체 점수는 토익 스피킹 11문항 중 1번부터 9번까지는 0~3점, 10, 11번 문항은 0~5점 사이에서 평가된다. 그리고 난이도에 따라 가중치가 더해져서 0~200점 범위로 점수가 환산된다. 레벨의 경우, 전체 점수에 따라 10점 혹은 20점을 동일 구간으로 정하여 레벨 1은 0~30점, 레벨 8은 190~200점 구간이다. <표 3>은 학습자들의 전체 점수와 레벨의 변화를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학습자의 토익 스피킹 점수는 향상되었고, 레벨도 평균적으로 한 단계가 상승하였다. 한 학습자의 경우는 레벨이 두 단계 향상되었다.

토익 스피킹 점수와 레벨의 변화

4.2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견해

본 연구에서 카카오 톡의 주요 기능을 활용한 수업 활동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었다. 하나는 개방형 설문 방식으로 학습자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적은 내용을 통해서 살펴본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자들이 한 학기 수업을 마무리하는 시간에 전체 토의를 통해 그들의 의견을 듣고 정리한 것이다.

4.2.1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 활동에 대한 설문 결과

설문 조사를 실시한 당일, 결석이 두 명 있어서 총 7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네 개의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가 수업에 적용된 세 가지 활동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한 활동은 무엇이고, 그 활동을 선택한 이유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또한, 가장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한 활동을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그 활동을 비효율적이라고 선택한 이유를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섯 명의 학생중에서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학습자가 사진과 문자 기능을 활용한 수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대답하였다. 이 활동에 대해 무응답을 한 학습자는 사진/문자 기능을 활용한 수업 시간에 예비군 훈련으로 결석했기때문에 자신은 그 효과를 평가할 수 없다고 부연 설명하였다. 모든 활동이 동일하게 효과가 있었다고 답한 학습자도 두 명 있었다. 가장 비효과적인 활동은 무엇이었나라는 질문에 세 명의 학습자들은 효과가 없는 게 아니라 세 가지 활동 중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은 것이라고 부연 설명을 덧붙여서 응답하였다.

[그림 5]

카카오 톡 기능 활용 수업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견해

학습자들이 효과적이라고 압도적으로 선택한 사진/문자 기능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부담스럽지 않은 활동이었다.

  • * 사진으로 직접 말해보는 것이 재미있었고, 사진 묘사 방법에 도움이 되었다.

  • * 책으로 하는 공부가 아니라 사진으로 표현하는 신선한 방법이다.

  • * 각자 개인적으로 사진을 찍어 올리는 것이 영어에 좀 더 접근하게 되었으며, 매일 접하는 강의실 수업이 아니라 상당히 설레었다.

  • * 수업 후에 일부러 책을 찾아보게 되어 자동적으로 복습하는 계기가 되었다.

  • *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이었다.

학습자 대부분 기존 강의실에서 이뤄지는 수업이 아닌 야외 활동이란 사실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세 가지 활동 중 유일하게 야외에서 학습자가 올리는 사진/문자에 의한 것이기도 한 부분이 신선하고 재미를 주었다.

이와 반대로, 세 가지 활동 중 상대적으로 가장 효과적이지 않았던 문자 메시지 전송과 녹음 전송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았다.

  • * 음성 녹음 활동은 긴장이 되서 생각한 것이 말로 나오지 않았다.

  • * 음성 녹음 활동은 서로 어색해서 말이 나오지 않았다.

  • * 음성 녹음 활동은 실제 수업 중에 하는 것이라 카톡 보다 실제로 질문하고 답하는 것이 더 나을 듯하다.

  • * 음성 녹음 활동은 얼굴을 보면서 묻고 답하는 것이 더욱 생생하다고 생각한다.

  • * 문자 메시지 활동은 빠르게 답해야 하는데, 늦게 답을 적다 보니 나만 못했다.

음성 녹음 기능 활동은 강의실 내에서 서로 얼굴을 보고 말할 수 있음에도 굳이 녹음 기능을 사용한 것이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영어학습자가 즉흥적으로 말할 때 경험하는 정서적 불안감에서 올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학습자의 정서적/인지적 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Goh & Burns, 2012). 말하기 수업이므로 실제 얼굴을 보고 말하는 활동을 선호하는 것은 학습자 간의 친숙함이 정서적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카오 톡의 가장 기본 기능인 글로 묻고 답하는 활동에 대해서 부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는 활동에서 가장 먼저 글로 답한 사람이 글로 질문하는 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것이었다.

4.2.2 카카오 톡을 활용한 수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토론 결과

토익 스피킹 강좌 마지막 수업 날, 학습자들에게 전반적인 수업에 대해 자유 토론 시간이 주어졌다. 수업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매우 활발하게 제시되었으며, 그 중 카카오 톡을 사용한 수업 활동에 대한 의견을 발췌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카카오 톡을 사용하여 활동하는 것은 새롭고 즐거운 경험이었다.

  • * 카카오 톡으로 사진을 찍는, 교실 밖에서 하는 활동이 무척 기억에 남았다.

  • * 카카오 톡을 이용해서 녹음하고, 낯선 사람들끼리 영어로 대화하는 것은 어색하다.

  • * 카카오 톡 활동은 학생 전체가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다.

  • * 카카오 톡 오픈 대화방에서 참여하는 수업이 좋았다. 내가 빠지면 안된다고 생각했다.

  • * 카카오 톡으로 하는 활동은 수업 이외에 하게 되면 하지 않게 되므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

  • * 카카오 톡 활동할 때,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해서 적절하게 짝을 이루어 말할 수 있게 해주면 좋겠다.

학습자들은 이전에 실시한 설문 조사와는 달리 전체 수업을 바라보면서 카카오 톡 활용 수업을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단순하게 활동의 장/단점이 아니라 전체 수업의 질적 향상을 고려해서 더욱 큰 범주에서 활동을 평가하고 의견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전체 의견을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 첫째, 가장 눈에 띄는 의견은 교수자의 역할을 강조한 부분이다. 교수자가 사전에 학습자들의 수준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짝을 이루게 도와줘야 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교수자는 단순하게 활동을 고안하고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그 이전에 학습자들의 수준에 대한 분석이 이뤄져야 더욱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둘째, 항상 강의실 내에서 진행되는 수업에 익숙한 학습자들이라서 카카오 톡을 사용한 활동은 매우 신선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학급 전체가 참여하는 대화방은 학습자들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활동은 수업 시간 내에 이뤄져야 한다는 부분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다.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수업 외로 주어지는 과제의 성격을 지니게 되는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부담과 의무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 주도 학습을 목표로 하나 실제로는 단순한 과제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끝으로, 말하기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말하는 것이 매우 낯선 학습자들을 배려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영어로 자유롭게 말하는 것이 목표임은 분명하나 그 목표를 위한 시작은 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카카오 톡처럼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새로운 환경을 제시하는 것도 긍정적 시도로 볼 수 있으나, 더욱더 적극적이고 신선한 활동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말할 수 있는 학습 분위기 조성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5. 논의 및 결론

디지털 원주민이라 불리는 오늘날 학습자 세대들이 가장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모바일 환경 중 카카오 톡을 사용한 활동은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인가와 그 활동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들이 바라본 그 활동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 질문이 제시되었다. 연구 질문과 그 결과, 그리고 이를 통해 보여주는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은 카카오 톡의 기본 기능인 사진과 문자 전송, 문자 채팅, 음성 녹음 등의 기능을 사용한 활동들이 영어 말하기에 도움을 주었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볼 때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전시험과 비교하면 사후시험에서 학습자 전원 모두 성적이 향상되는 결과는 기본적으로 활동의 긍정적 효과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반드시 활동의 결과라고 주장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나, 효과가 전혀 없다고 단언할 수 없으므로 이 부분은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은 카카오 톡을 사용한 학습 활동에 대해 학습자들이 바라보는 견해로, 다수의 학습자가 신선하고 즐겁다는 표현을 사용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사진과 문자 전송을 하는 활동은 학습자 전부가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평가했다. 이것은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해온 학습자들에게 기존의 강의실과 교과서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난 카카오 톡 활용 수업이 더욱 친숙한 부분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비해 주의 깊게 들여다봐야 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강좌 본연의 목적인 영어 말하기에 가장 유사했던 카카오 톡의 음성 녹음을 이용한 말하기 활동에 대해 과반이 넘는 학습자들이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말하기 활동을 시행하기 이전에 학습자들의 말하기 수준을 평가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보여준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큰 부분은 무엇보다 연구 참여자 수가 소수로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주장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활동의 성격상 단시간에 일회성으로 수행된 활동들이므로 그 효과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것도 실제로는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이 보완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학습자들이 카카오 톡을 이용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과연 얼마나 활동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참여하는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학습자들이 활동을 즐겁게 할 수 있었던 이유가 서로 활동을 하면서 친밀감을 형성한 부분이 결과적으로 연구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References

1. 김규미(2019).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모바일기반 언어학습 환경 사용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22(2), 29-49.
2. 김현아(2017). “카카오톡, 국내 모바일 메신저 점유율 95%, 40대가 최고”, 이데일리 (11월 21일) www.edaily.co.kr/news/read?newsld=01571126616128016&mediaCodeNo=257.
3. 김희진, 허광(2013). “카카오 톡 구글 플러스 행아웃을 활용한 이러닝 영어회화 과목의 교수학습 방안”, 어학연구 49(3), 489-525.
4. 송은혜(2016). “A study of the use of a smartphone English listening app and Kakao Talk on English listening practice”,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9(3), 83-109.
5. 유은숙, 최재용, 양성길, 김종용, 민문희, 박연순, 윤성임, 이가원, 이미소, 최재경(2018). 4차 산업혁명: Why?, 서울: 한국문화사.
6. 이선혜(2016). “카카오톡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연구 - 영어 문장쓰기와 학습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55(2), 249-277.
7. 이지연(2016).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10(3), 753-786.
8. 이희정(2018). “QR코드를 활용한 영어 회화 수업에 대한 연구”, 언어과학연구 84, 167-188.
9. 정남숙(2016). “관광전공자의 영어말하기 능력 증진을 위한 모바일 활용사례”, 관광레저연구 28(10), 303-321.
10. 최은정, 육청민(2018). “카카오톡을 이용한 영어 학습 가능성과 실제”, 영미어문학 131, 309-334.
11. 한종임(2019). “테크놀로지 기반 영어과 창의성 교수⋅학습 방안”,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22(3), 179-208.
12. 허선영(2019). “소규모 활동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영어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721-736.
13. 홍성용(2020). “카카오톡⋅유튜브⋅네이버…앱사용자 부동의 1⋅2⋅3위”, 매일경제 (1월 14일) https://www.mk.co.kr/news/it/view/2020/01/42531/.
14. 황영미, 이재현(2016).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영화평 협동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0(2), 11-42.
15. Goh C. C. M, Burns A. 2012. Teaching speaking. New York:Cambridge Univ.
16. Prensky M. 2001;“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9(5):1–6. https://doi.org/10.1108/1074812011042481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연구 참여자

학년 1 2 3 4 학생 수
남학생 0 2 2 2 6
여학생 1 1 0 1 3
소계(명) 1 3 2 3 9

[그림 1]

연구 절차와 과정

[그림 2]

카카오 톡 사진 전송과 문자 메시지 채팅 기능을 활용한 활동

[그림 3]

카카오 톡 음성 메시지 기능을 활용한 활동

[그림 4]

카카오 톡 문자 메시지 채팅 기능을 활용한 활동

<표 2>

카카오 톡 기능을 활용한 토익 스피킹 효과

단계 평가 학습자 수 평균 표준편차 t 통계값 유의확률
2 중간고사 9 59.26 22.22 -.987 .353
기말고사 66.57 .00
3 중간고사 83.88 12.68 -1.053 .323
기말고사 90.12 18.80
6 중간고사 35.56 8.82 -1.414 .195
기말고사 42.22 18.56

<표 3>

토익 스피킹 점수와 레벨의 변화

기준 평가 학습자 수 평균 표준편차 t 통계값 유의확률
점수 중간고사 9 87.78 23.33 -1.403 .198
기말고사 96.67 31.23
레벨 중간고사 3.78 .83 -1.835 .104
기말고사 4.22 1.39

[그림 5]

카카오 톡 기능 활용 수업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