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리(2018).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385-421.
고홍월(2012).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3(1), 125-147.
길병옥, 이소희, 이송이, 정희정(202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김근곤, 윤진, 최경윤, 박선영, 배진희(2008).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252-261.
김소형(2013). “팀 프로젝트 경영교육방식이 학생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27(4), 93-114.
김정운(2015). “갈등수준별 갈등관리 방안 연구”, 한국갈등관리 연구 2(1), 231-258.
문지윤, 신태섭(2015). “대학 수업 조별과제의 집단효능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Bandura 의 사회인지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9(1), 41-64.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박성재(2013).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효과적인 협력 학습을 위한 위키의 활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399-417.
배성아, 옥승용, 노수림(2019). “공과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공학 교육연구 22(3), 32-40.
양영선, 허희옥(2018). “인지⋅정서조절, 집단효능감, 스캐폴딩이 대학생의 프로젝트학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4(2), 197-226.
이성룡(2013). “팀원 구성에 따른 팀 프로젝트의 성과 분석: 에니어그램의 3 중심 성격유형을 통한 접근”,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1), 75-83.
이성룡(2015). “공대 신입생들의 팀 활동 만족감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2), 315-324.
이영미(2017). “대학 프로젝트 수업에서 팀 협력방식과 팀 리더 유형이 팀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157-185.
이유미(2015). “대학생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나타나는 갈등 관리와 인식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47, 595-612.
이지현(2019).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정(2019). “대학생들의 조별발표수업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1063-1090.
조성범, 배상훈(2020).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갈등: 서울 소재 S 대학 사례”, 교육학연구 58, 151-185.
정은숙(2018). “팀 프로젝트에 기반한 액트 수업에서 동료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771-794.
한희정, 이의용(2015). “대학생의 조별과제 경험: 매너리즘과 변화의 필요성”, 사회과학연구 31(4), 121-149.
Kerr, N. L(1983). “Motivation losses in small groups:A social dilemma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4), 819.
Savery, J. R(2015). “Overview of problem-based learning:Definitions and distinctions”, Essential readings in problem-based learning:Exploring and extending the legacy of Howard S. Barrows 9: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