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동(2012).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18(2), 83-107.
김미영, 이재신, 이지혜(2015).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와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Korea Journal 23(2), 1-19.
김성식(2008). “대학생들의 학업 중단 및 학교이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대학선택요인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영향”, 한국교육 35(1), 227-249.
김하나, 이수진(2019). “대학생의 내재적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진로교육연구 32(4), 165-186.
노대원, 김성백, 염미경, 이소영, 김세헌(2018). “4차산업혁명 시대 융합교육의 구현 방안 모색: 지역 기반 융합교육 모델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20(2), 145-167.
박수용(2018). “4차산업혁명시대의 진로교육”, 한국비즈니스연구 2(1), 1-11.
박은혁(2013). “적응력향상 단기 캠프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36, 30-58.
백승수(2017). “4차산업혁명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한국교양교육학회, 13-51.
소경희(2007). “학교 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오은주(2014).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4), 31-58.
이기학, 이학주(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이화경, 허창덕(2012). “문제기반학습(PBL)을 통한 대학생들의 사회문제 교수법”, 인문연구 66, 227-244.
이수현(2020).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2), 233-246.
조은정, 이혜경(2012).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대학생활 적응요인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7(4), 113-127.
최길성(2010). “역량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 464-478.
최미숙(2017).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전문대학 교양교육의 개선방향 연구”, 교양교육연구 11(6), 663-702.
최선희(2019). “대학생의 건강한 직업관 형성을 위한 글쓰기 교수법 연구-자기소개서 쓰기 과정을 활용하여”, 어문학 145, 391-419.
최옥현, 김봉환(2006). “대학생의 진로낙관성과 진로적응성: Career Futures Inventory (CFI)의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7(3), 821-833.
Golinkoff, R. M., & Hirsh-Pasek, K. (2018).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형 인재를 만드는 최고의 교육. 예문아카이브, 6-7.
Rottinghaus, P. J., Eshelman, A., Gore, J. S., Keller, K. J., Schneider, M., & Harris, K. L. (2017). “Measuring change in career counseling:Validation of the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17(1), 61-75.
Rottinhaus, P. J., Day, S. X., & Borgen, F. H. (2005). “The career future inventory: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1), 3-24.
WEF(World Economic Forum). (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3, 7-10, 22. Geneva: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