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진 외(2018).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 나타나는 구조적 특성 및 담화표지 사용 양상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11, 담화⋅인지언어학회, 35-49.
강현선(2016).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구성 요소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 한국어교육학회, 227-241.
김민재(2004).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내용 중심 대학 예비과정설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은(2018).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시험 답안 작성하기 교육방안 연구: 시험 답안 작성의 과정과 담화 통합 과제 전략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84, 민족어문학회, 241-262.
김영선 외(2019).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ppt) 수업 지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집 2019-1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23-234.
김윤주(2016).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발표 양상 연구”, 화법연구 32, 한국화법학회, 25-51.
김현주(2020). “외국인 학부생의 비대면 한국어 수업 경험에 대한 탐색: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1(4), 아시아문화학술원, 1679-1692.
백소영(2014).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연구”, 어문연구 81, 어문연구학회, 283-301.
안민화(2015).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 담화 응집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 류선숙(2019). “A Study on the Awareness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bout the Difficulty of Academic Tasks”, 人文社會科學硏究 62(4),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51.
이경, 김지애(2016).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수행에 나타난 어휘 유창성 분석: 학문적 구술력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16,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05-517.
이선영, 나윤주(2018).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 -교양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 교양교육학회, 167-193.
이지영(2018). “외국인 학부생의 효율적인 발표 교육을 위한 발표 자료 분석”, 우리말글 79, 우리말글학회, 57-86.
이해영(2008).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문적 구두 발표 장르 분석: 한국인 대학원생 및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구두 발표와 비교하여”, 이중언어학 37, 이중언어학회, 133-174.
이재은(2012). “한국어 발표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집 201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97-209.
장아남(2014). “학문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 연구: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성호, 장경원(2018).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교육문화연구 24(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615-640.
최은지, 정명숙(2007).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발표에 대한 인식 조사”,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303-332.
한이연(2017).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발표 담화 실제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은실(2015).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발표 교육 내용 분석: 학문 목적 말하기 교재를 중심으로”, 화법연구 28, 한국화법학회, 195-219.
Reinhart, S. M(2002). Giving academic presentations, MI: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