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리(2018).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효과적인 대학 수업 탐색: 수업 변인과 수업 방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91-125.
강승희(2013). “한국 대학생을 위한 비판적 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인지적 모델과 학습자 주도의 루브릭제작을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34, 169-190.
김성원, 김은미(2001). “개념 만화를 이용한 토의학습이 중학생 들의 과학 학습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99-315.
김성한(2017). “초등 도덕 교육 보완 방법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초등도덕교육 57, 53-79.
김지현, 강현임(2017).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 해결능력, 셀프리더십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 435-450.
김태경(2020). “글쓰기 교육과 글쓰기 교재의 상관성 연구-S 대학교 ‘학술적 글쓰기’ 수업과 교재 [비판적 사고 학술적글쓰기]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77, 161-188.
김태영(2014). “교양교육과 비판적 사고”, 교양교육연구 8(3), 167-192.
김한종(2016).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인식과 학습방법”, 역사와 담론 80, 401-437.
문성채(2016). “대학교양에서 토의식 수업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지도력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8(1), 300-314.
박만엽(2011). “비판적 사고와 논증 분석: ‘발표와 토론’을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4(1), 63-101.
박주현(2016). “창의적 수업을 위한 토론⋅협력 학습 활성화 방안”, 교육광장 60, 36-39.
박창균(2020).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Facilitation)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 993-1013.
박혜자, 홍세훈, 박정아(2019).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응급중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329-346.
박혜진(2018). “교직수업에서 토의법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혁신연구 28(2), 139-161.
배상식(2011). “H. Siegel 의 비판적 사고 개념”, 철학논총 63, 271-292..
서민규(2010). “비판적 사고 교육,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양교육연구 4(2), 129-139.
성기산(2000). “교육적 이상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교육연구 8, 57-75.
성기산(2010).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교육사상연구 24(3), 155-172.
심승환(2008). “비판적 사고를 통한 배움의 의미”, 교육철학 41, 165-202.
안성은, 최희봉(2019). “비판적 사고 기반 철학상담: LBT를 넘어서”, 인문과학연구 61, 265-288.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2006). 교육의 목적, 오영환 역, 서울: 궁리.
원만희(2014). “비판적 사고 기반 학술적 글쓰기의 매체론적 배경과 교육 모형 비교 고찰”, 교양교육연구 8(6), 307-336.
원유상(2010). “고등학교 토론식 역사 수업의 현실과 한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과교육연구 3(2), 25-52.
윤성렬, 소금현(2017). “토의⋅토론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2), 151-160.
이경희, 강경리(2017). “대학 수업의 비인지 역량 함양 효과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591-620.
이정민(2012). “대학 수업에서 토의법 적용 질적 다중 사례 분석”, 교육방법연구 24(2), 447-475.
이혜정, 임상훈, 강수민(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 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 사회 15(2), 59-84.
정문성(2004). “토의⋅토론수업의 개념과 수업에의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2(1), 147-168.
정미숙(2007). “비판적 사고를 기초로 한 독해/토의/글쓰기 교육: 덕성여자대학교 <소집단 토의 수업> 40년사를 돌아보며”, 교양교육연구 1(2), 119-134.
정숙희(2014).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토론수업이 토익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학습태도와 학습동기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2(4), 181-206.
정은이(2009). “문제해결 토의 활동이 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0(2), 27-49.
최희봉(2017). “비판적 사고와 철학상담-코헨의 LBT 5 단계를 중심으로”, 철학논집 50, 165-200.
하오선, 김수영(2019). 톡톡 찾아가는 교수법, 서울: 박영 스토리.
한영인(2017). “문학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499-519.
허균(2015). “팀 기반 토의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 사회연결망 중심도, 토론성과 및 온라인 게시활동의 관계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7(1), 108-114.
호르크하이머(1983). 철학의 사회적 기능, 조창섭 역, 서울: 전예원.
화이트헤드(2007). 교육의 목적, 오영환 역, 서울: 궁리.
황지원(2013). “대학 토론 교육의 의미와 구체적 적용: 토론 관련 교양 교과목의 실제 활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3), 565-595.
Brookfield, S. D.(1987). Developing critical thinkers: Challenging adults to explore alternative ways of thinking and acting, Jossey-Bass.
Brookfield, S. D, Preskill, S(2012).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Tools and techniques for democratic classrooms, John Wiley & Sons.
Brooks, C. M, Ammons, J. L.(2003). “Free riding in group projects and the effects of timing, frequency, and specificity of criteria in peer assessment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78(5), 268-272.
Cohen, A. N, Hammen, C, Henry, R. M, Daley, S. E(2004).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recurrence in bipolar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2(1), 143-147.
Ennis, R. H(1992). “The degree to which critical thinking is subject specific: Clarification and needed research”, The generalizability of critical thinking: Multiple perspectives on an educational ideal 21-37.
Gensowski, M(2016). “Panel Discussion to Practice Argumentation Skills”,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11(21), 72-83.
Hartnett, T(2010). Consensus-Oriented Decision-Making, New Society Publishers.
Hee-bong, Choi, Ho-young, Lee, Seong-eun, Ahn(2018). “Applying Critical Thinking to Philosophical Counseling”, presented in the XXIV(24)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Kaner, S, Lind, L, Toldi, C, Fisk, S, Berger, D(2014). Facilitator’s Guide to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3rd ed.), San Francisco: Jossey-Bass.
de Guerrero, M. C. M, Villamil, O. S(1994). “Social-cognitive dimensions of interaction in L2 peer revision”,
Modern Language Journal 78:484-496.
Memduhoglu, H. B, Kotluk, N, Yayla, A(2017). The Effect of Focus Group Discussions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Practices: A Mixed Method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0(4), 273-292.
Paul, R, Willsen, J(1995). “Accelerating change, the complexity ofproblems, and quality of our thinking”, Willsen, J, Binker, A. J. ACritical thinking: How to prepare students for a rapidly changing world, Foundation for Critical Thinking.
Swartz, R. J(1986). “Restructuring curriculum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al Leadership May 43-44.
World Economic Forum. (2016). New vision for education: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Colony/Geneva: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