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2020). 경북대학교 교육과정 운영 및 이수에 관한 지침, 경북대학교.
김순임, 이효성, 김현정, 서명희(2013).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발전 방안: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1), 교양교육학회, 11-39.
김이경, 안지윤, 황혜정, 김경현(2017). “대학강의의 질이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대학의 학생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5(1), 한국행정학회, 169-193.
김종희, 이효성, 정다운(2019). 국내 주요 대학 교양교육 현황 분석,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김종희, 이효성, 정다운(2018). 전남대학교 교양교육 발전 방향 탐색: 학생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남민우(2015). 대학 강의평가 결과의 종단적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좋은 강의 패턴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번호 2014S1A5A8019892.
민혜리, 유병민, 심미자(2005).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좋은 강의의 기준 탐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3),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41-65.
박혜정(2018).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교양교육연구 12(2), 교양교육학회, 65-87.
백성기, 김성열, 김영일, 백란(2016). 제4차 산업혁명 대비 대학의 혁신 방안, 교육부.
변상출, 김현숙(2020). “대학 교양교육의 심화발전 방안에 대한 재고-D대학교 클라시카 자유학 ‘고전교육’ 교과목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4(2), 교양교육학회, 99-113.
오헌석, 유상옥(2015). 미래인재의 조건, 김동일(편)(2015), 미래교육의 디자인, 학지사.
윤소정(2012). “다면적 접근을 통한 대학의 좋은 수업 특성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4(6),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963-976.
윤유진(2020).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교양교육연구 14(2), 교양교육학회, 311-325.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 (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미자(2016). “교수학습센터(CTL)의 대학강의컨설팅 영역 현황 및 개선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79-299.
이혜정, 임상훈, 강수민(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 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5(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59-84.
장지현(2013). “학습자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우수 강의 핵심요소 분석: S지방대학 사례”, 한국자치행정학보 27(1), 한국자치행정학회, 269-291.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2020). 전국대학 교양기관 현황자료.
전남대학교(2019). 전남대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지침,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2020). 2020학년도 역량교양 운영 및 평가 계획,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2020). 2020학년도 교양 교과목 수업지원 조교 지원 계획, 전남대학교.
정한호(2018). “대학생이 인식하는 수업의 질, 만족도, 학습동기,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문화연구 24(4),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331-358.
조현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교양교육학회, 53-89.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18). 2017 고등교육미래위원회 전문위원회 보고서, 경성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