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2013). “기업의 인성기반 인재 수요에 대응하는 대학교양교육의 적절성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 11), 187-204.
교육학 사전 편찬 위원회(1987). 교육학대사전, 교육서관.
김병무(2003). “대학수학과 다른 과목과의 관계를 통한 수학의 중요성 알리기”, 수학교육 논문집 15, 한국수학교육학회, 235-242.
김병학, 김재웅, 김지윤(2017).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의 기초수학분야 학업성취도 및 효율적인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1(1), 한국수학교육학회, 1-15.
김선희, 이종희(2002). “수학적 추론으로서의 가추법”, 수학교육학연구 12(2), 대한수학교육학회, 275-290.
김성옥(2016). “대학의 미적분학 교과목에서 수업 방식에 따른 교육효과 고찰”, 수학교육 논문집 30(1), 한국수학교육학회, 47-65.
김승희(2016). “수학적 사고스타일에 따른 수학적 추론능력과 메타인지, 수학적 성향 비교”,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민(2016). “대학 순수교양수학에 대한 수학적 신념 연구”,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2(2), Youngnam mathematical society, 175-192.
김지현, 신의항(2017). 대학의 학부 교육-세계 대학의 우수 사례, 교육과학사.
나귀수, 박미미, 김동원, 김연, 이수진(2018).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4), 대한수학교육학회, 437-478.
문권배(1995). “대학교육에서 교양수학의 역할과 운영방안”, 교육연구 13, 상명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33-138.
미래창조과학부, KISTEP, KAIST(2017).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지식공감.
박형빈, 이헌수(2009). “대학생들의 교양수학에 대한 인식과 교양수학의 긍정적 인식변화를 위한 방안”, 수학교육 논문집 23(4), 한국수학교육학회, 999-1014.
서남수(2010).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4(2), 한국교양교육학회, 1-18.
서보억(2015). “기초교양교육으로서 수학의 교육적 가치 공유”, 대학교육 18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59-66..
손승남(2011). 인문교양교육의 원용과 변용, 교육과학사.
송상헌, 강은희, 박은정, 허지연(2004).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추론 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7,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7-34.
심상길, 고애영(2019). “고등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수학교육의 방향”, 교양교육연구 13(4), 한국교양교육학회, 143-160.
여성곤, 김연우, 김민한(2020). PSAT으로 합격하는 NCS 수리, 법률저널.
우정호(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원만희, 김종규, 오현정(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산업계 수요조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RR 2017-10-656.
윤승준(2019). “Liberal Education을 위한 단국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편안”,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년 춘계전국학술대회, 315-330.
윤승준, 강내원, 장원철, 김주언, 김현주, 조한승, 강동승, 조헌국(2019). D-LAC 설립 및 Liberal Education 운영 계획안, 단국대학교 정책연구보고서.
윤승준, 권준원, 김수연, 김지영, 주현재, 최예정(2019). 대학 교양교육 현황 조사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RR-2019-00978.
이경언(2015). “수학 은유 분석을 통한 대학생들의 학교 수학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 수학교육 논문집 29(1), 한국수학교육학회, 51-72.
이숙정, 이수정(2012).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 역량기반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79-394..
이영윤(1990). “대학교양수학교육의 개선방안”, 교육연구 10,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55-66.
이정례(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9(3), 한국수학교육학회, 513-532.
이한철(2002). “귀납적 추론 학습방법이 학습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표용수, 조성진, 정진문, 박진한(2010). “교양수학 교과목에 대한 효율적 교수-학습지도 방안”,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6(2), Youngnam mathematical society, 319-336.
황경남, 박재림, 손원형, 공취달 공기업 연구소(2017). 30개 고공기관 출제위원이 집필한 NCS, 공취달.
National Council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3).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um solving framework, Paris, France: OECD Publishing.
SD적성검사연구소(2020). 20대기업 인적성검사 합격의 공식, 시대고시기획.
World Economic Forum [WEF]. (2016). New vison for education: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