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2020). “교양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2020년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207-211.
김혜영, 이은하(2019). “대학 교양의 기초교육으로서 양적 추론(Quantitative Reasoning) 개설 현황과 분석”, 교양교육연구 13(6), 한국교양교육학회, 29-55.
박일수(2020). “사회적 위기와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보건의료정보 분야를 중심으로”, 2020년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학회, 184-191.
박진희, 강윤재, 손향구, 이관수(2017). 대학 교양 과학교육의 범위와 과제, 연구보고서 RR-2017-9-655,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윤승준, 권준원, 김수연, 김지영, 주현재, 최예정(2019). 대학교양교육 현황 조사 연구, 연구보고서 RR-2019-00978,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이정미(2019).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1), 한국문헌정보학회, 159-179.
이청민, 정제영, 양민석(2020). “대학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109-121.
정광호(2008). “정책 리터러시(police literacy) 함수 분석: 시민활동변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4), 73-104.
정승원, 장현수, 김세준(2020).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표준모델을 적용한 4년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교양교육연구 14(5), 한국교양교육학회, 83-95.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2019). OECD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21 예비검사 시행 기반 구축, 연구자료 ORM 2019-1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허준(2020). 대학의 과거와 미래,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헬펀드, 데이비드(2017).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서울: 도서출판 길벗.
Carlson, ., Jake, R.., Michael, Fosmire., Chris, Miller., Megan, R., & Sapp, Nelson.. (2011 Determining Data Information Literacy Needs: A Study of Students and Research Faculty, Libraries Faculty and Staff Scholarship and Research,
Paper 23,
http://docs.lib.purdue.edu/lib_fsdocs/23
Macy, ., Katharine, V., Heather, L., & Coates, . (2016). “Data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Business and Public Health”.
IFLA Journal, 42(4), 313-327.
First Published November 30. (2016).
https://doi.org/10.1177/0340035216673382.
Ridsdale, ., Chantel, ., James, Rothwell., Mike, Smit., Hossam, Ali-Hassan., Michael, Bliemel., Dean, Irvine., Daniel, Kelley., Stan, Matwin., & Brad, Wuetherick.. (2015 Strategies and Best Practice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Knowledge Synthesis Report, Technical Report,
Dalhousie University,
DOI: 10.13140/RG.2.1.1922.5044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4029915_Strategies_and_Best_Practices_for_Data_Literacy_Education_Knowledge_Synthesis_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