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과학기술과 인문학
2.2 고전문학읽기의 효과적 학습전략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교과개요
3.3 블랜디드 러닝 수업설계
3.3.1 수업설계 및 내용
<표 1>
주차 | 강의주제 및 내용 | 수업 전 활동 | 수업 중 활동 | 수업 후 활동 |
---|---|---|---|---|
2 | <페미니즘 입문> | *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 정리 및 『인형의 집』 읽기 | 강의, 토론과 발표 및 질의응답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페미니즘의 시작 - 페미니즘에 대한 오해 -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 |
||||
3 (F/L)6) | <노라는 어떻게 되었을까> |
* 동영상1 - 개인노트정리 * 『인형의 집』 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전체 작품의 틀을 공부하기 - 작품의 결말에 대한 이야기 - 남성들의 보는 노라의 이야기 |
||||
4 (F/L) | <노라이즘> |
* 동영상2 - 개인노트정리 * 『인형의 집』 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 사실주의 연극의 특성정리 - 사실주의와 『인형의 집』 - 『인형의 집』 의 여성들 |
||||
5 (F/L) | <사소한 것들은 무엇일까> |
* 동영상3 - 개인노트정리 * “사소한 것들”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 여성과 남성의 삶의 비교 - 살인사건은 왜 일어났을까 - 왜 ‘사소한 것들’이라 하는가 |
||||
6 | <시스터 후드> | * 여성과 남성의 시각 차이 예 정리 및 “사소한 것들”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사건을 바라보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 - 시스터 후드 형성에 대해서 - 결말에 대한 해석 문제 |
||||
7 | <나는 여성이다> | * 삶 속의 여성문제 정리 및 중간고사 공부 | 강의, 토론과 발표 및 질의응답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사회의 여성문제 이야기 나누기 - 여러 작품 속 여성 이야기 |
||||
9 | <부조리한 세상> | * 부조리에 대한 생각 정리 및 “동물원 이야기” 읽기 | 강의, 토론과 발표 및 질의응답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부조리’ 용어 개념 정리 - 실존주의와 부조리 - 부조리 연극의 특징 |
||||
10 (F/L) | <나도 피터이고 제리이다> |
* 동영상4 - 개인노트정리 * “동물원 이야기”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개인정리 |
- 피터와 제리의 삶의 비교 - 제리와 개 이야기 - 제리는 공원엔 왜 왔을까 |
||||
11 (F/L) | <동물원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
* 동영상5 - 개인노트정리 * “동물원 이야기”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제리는 동물원에 왜 갔을까 - 동물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나 - 동물같은 인간 vs. 식물같은 인간 |
||||
12 (F/L) | <고도를 왜 기다려야 하나> |
* 동영상6 - 개인노트정리 - 질문사항정리 * 『고도를 기다리며』 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관계 - 럭키와 포조의 관계 - 고도를 왜 기다리는가 |
||||
13 (F/L) | <고도는 누구인가> |
* 동영상7 - 개인노트정리 - 질문사항정리 * 『고도를 기다리며』 읽기 |
토론, 발표 질의응답 및 강의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고도는 누구인가 - 구원은 있는가 - 나의 고도는 누구인가 |
||||
14 | <부조리한 현실> |
* 삶 속의 부조리 문제 정리하기 * 기말고사 공부 |
강의, 토론과 발표 및 질의 응답 |
- 조별토론 내용정리 및 업로드 - 토론내용 개인정리 |
- 사회의 부조리 문제 이야기 나누기 - 여러 작품 속 부조리 이야기 |
4. 연구결과
4.1 사전학습을 위한 동영상 콘텐츠 개발
<표 2>
1. 피피티 슬라이드 작성 | 간략한 활자와 이미지 중심 구성 |
2. 대본작성 | 피피티 슬라이드 화면당 녹화용 대본 작성 - 실수를 줄여서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 |
3. 녹화 | 녹화용 프로그램은 스크린 비츠를 사용 |
4. 인코딩 | 인코딩은 무비메이커를 사용 |
5. LMS 업로드 | 학교의 LMS에 업로드 |
4.2 블랜디드 러닝 수업구성 및 운영방식
4.2.1 온라인 사전학습 운영방식
<표 3>
온라인 동영상 학습 자료 |
⑴ 교수자가 제작한 동영상 - 동영상 길이는 10-15분 - 스크린비츠를 사용하여 녹화 - 교실수업 일주일전에 LMS에 업로드 |
⑵ 학습자의 개인노트 - 동영상 내용과 질의사항 정리 |
|
온라인 사전학습 출결 | LMS에서 자동출결확인 |
4.2.2 플립러닝 진행 주차 수업구성
<표 4>
4.2.3 강의식 진행 주차 수업구성
<표 5>
4.3 블랜디드 러닝 대한 학습자의 인식
4.3.1 플립러닝 동영상 시청률
<표 6>
1차(3주) | 2차(4주) | 3차(5주) | 4차(10주) | 5차(11주) | 6차(12주) | 7차(13주) | 평균 | |
---|---|---|---|---|---|---|---|---|
분반(001) | 49 | 59 | 77 | 31 | 54 | 56 | 64 | 55.7% |
분반(002) | 60 | 53 | 79 | 56 | 51 | 63 | 60 | 60.3% |
4.3.2 강의식 수업 퀴즈 평균
<표 7>
1차(2주) | 2차(6주) | 3차(7주) | 4차(9주) | 5차(14주) | 평균 | |
---|---|---|---|---|---|---|
분반(001) | 6 | 5.4 | 6.9 | 8.3 | 6.9 | 6.70 |
분반(002) | 7.3 | 6.4 | 7.8 | 9 | 8.2 | 7.74 |
4.3.3 학기말 강의평가 결과
4.3.4 수업방식에 대한 학생대상 설문조사결과
<표 9>
<표 10>
분반 | 문항 | |||||
---|---|---|---|---|---|---|
1 | 2 | 3 | 4 | 5 | 6 | |
A | 91.4 | 84.5 | 91.4 | 93.1 | 81.1 | 91.4 |
B | 86.7 | 73.3 | 91.2 | 84.5 | 78.8 | 82.1 |
서로의 의견을 내며 토론 하는 것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됐고, 매우 즐거웠습니다
토론을 통하여 제 생각을 말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계속해서 토론을 하는 수업은 처음이라 너무 신선하고 흥미로웠습니다. 많은 사람이 모여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한다는 자체가 좋았습니다! 제가 듣는 강의 중 제일 좋은 강의였고, 제가 제일 듣고 싶어 하는 강의였습니다.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신청하길 가장 잘 한 수업 중 하나였습니다. 어쩌면 무거운 주제들을 받아들이기 전혀 무겁지 않고 그렇다고 너무 가볍지도 않게 황금비율로 잘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소심한 성격이라 적극적으로 발표를 하진 못했지만 제 의견을 정리하고 남의 의견을 듣는 것만으로도 큰 가르침이 되어 다가왔습니다. 항상 학생들을 이해해주시고 사랑 담긴 격려를 해 주셔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세계적인 희곡들을 읽을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습니다. 특히 <인형의 집>과 같이 누구나 아는 유명한 희곡이나 <동물원 이야기> 같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잘 접하지 못하는 희곡들을 알게 되어 좋았고 생각회로를 계속 이용해야 하는 수업이라 더욱 좋았습니다. 시험문제나 방법도 최고였습니다. 한 학기동안 감사했습니다.
책을 읽고 진행하는 수업이라는 점부터가 신선한 소재로 다가왔고 혼자 읽는다면 잘 이해가 가지 않았을 내용의 책들이 교수님 과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해 내용에 담긴 의미를 보다 더 정확하게 해석하며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교수님 강의를 듣고 나서 좋은 작품들을 많이 알게 되고 접하게 되서 의미있었습니다!
현재 5학년인 제가 지난 4년 동안 많고 다양한 교양수업을 들었지만, 처음으로 교양수업에 흥미를 느끼며 책을 여러 번 읽으며 문학적으로 접근하게 되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책을 읽고 토론하여 강의시간에 교수님께서 질문하시는 것에 발표를 하여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고, 작품에 흥미와 작품 안에 숨겨진 작가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면서 건축과인 제가 문학적인 교양수업을 흥미 있고 접근하기 쉽게 강의를 편성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