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4(2); 2020 > Article |
|
4) WWW.VISIONANDCHANGE.ORG 서문 참조
6) Campbell 등 (2017)의 켐벨 생명과학의 21번째 단원을 보면, Mayr의 분석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분석에서 Mayr는 자연선택과 적응에 대한 다윈의 이론을 관찰된 사실과 이에 따른 추론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5) Mayr는 종을 ‘생식을 통해 유전자 교환이 수대에 거쳐 안정적으로 일어나는 최대의 개체군’이라 정의하였고 이를 ‘생물학적 종 개념’이라 한다. 이외에도 생태학적 지위(niche)에 따라 종을 나누는 생태학적 종개념, 형태의 차이에 따라 종을 나누는 형태학적 종개념, 조상의 공유를 비롯한 계통의 유사성에 따라 종을 정의하는 계통학적 종개념 등 여러 종개념 등이 제안되어왔다. 현대 생물학에서는 종을 나누기 어려울 때 두 가지 이상의 종개념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16) Joseph Hooker를 말한다. 이 식물학자는 『태즈매니아 식물상』, 『인도의 식물상』 등의 여러 식물학 서적을 출판하여 다윈에게 지리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식물 종이 존재하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20) 아낙시만드로스는 사람이 어류로부터 유래하였다고 주장했다. 수생동물로부터 육상동물이 유래했고 인간은 그 후손이라는 주장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History_of_evolutionary_thought 엠페도클레스는 생물은 4원소로 이루어졌는데 처음에는 완성되지 못한 모습을 띠다가 우연한 변화에 의해 점점 현재의 동식물과 비슷한 완결적이 구조를 띠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22) 박물학(natural history)은 생물과 광물들을 대상으로 하는데 생물의 경우, 기원과 진화, 생물들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고 묘사한다. 현재로 보면, 동물학, 광물학, 지질학, 고생물학 등의 분야가 해당한다.(https://www.thefreedictionary.com/Natural+historian)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