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보람. (2017). 메타분석을 통한 플립러닝의 효과검증. 이화여 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고, 재석. (2015). 2015 개정 고등학교 더덕과 교육과정의 동양윤리 에 대한 고찰:유교윤리사상내용 체계와 교수학습방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1-22.
권, 혜은. (2011). 비행청소년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 길순. (2015).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 미숙. (2018). 가면을 활용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25(5), 25-47.
김, 미영. (2009). 뇌기반 인성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와 대인관계 전략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 민수. (2014). 인성교육 담론에서 인성 개념의 근거. 교양교육 연구, 8(4), 169-206.
김, 선주. (2017). 인성교육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 용 인성 척도 개발. 교양교육연구, 11(3), 217-258.
김, 정선., & 김, 한나. (2016). 간호대학생의 인성, 감성지능, 자아탄력 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애니어그램연구, 13(2), 7-28.
김, 지연. (2016). 청소년 인성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남서 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 기범. (2014). 사회과교육에서 플립러닝의 교육적 함의. 사회 과교육, 53(3), 107-120.
박, 영숙. (2010). 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 은주. (2017).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 종향. (2018). 대학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용의도 및 실천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백, 미화. (2009). 뇌교육 인성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도덕성 발달 에 미치는 영향-도덕판단력과 도덕민감성을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 형덕. (2011).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시민성, 사회성, 도덕성과의 관련성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 혜석., & 공, 은숙. (200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사회성 향상을 위한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 보호지도연구, 1(5), 53-70.
심, 상보. (2015). 인성교육에 대한 시민성 접근. 교육비평, 3(6), 162-181.
안, 관수., & 백, 현기. (2011).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 연구, 15(2), 29-55.
양, 승실., 김, 현진., & 주, 경필. (2006).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2), 145-170.
오, 상규., & 김, 원중. (2007). 음악활동을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사회성, 교우관계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2), 513-532.
이, 난. (2018).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도덕성, 시민성 및 인성의 구조적 관계분석. 교양교육연구, 12(6), 267-286.
이, 봉주., 김, 동일., & 신, 원영.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아동의 인성역량. 굿네이버스 연구보고서.
이, 상수., & 김, 은정. (2017).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인성교 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6), 235-261.
이, 숙정., & 이, 수정. (2012).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 대회자료집,, 3:79-394.
임, 정훈. (2016).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 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32(1), 165-19.
임, 철일. (2018). 미래사회 대비 고등교육의 발전 방향. SP 2018-11-337,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국회교육희망포럼, 3-37.
전주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2018). 2018-2학기 iClass 강좌개 발 및 컨설팅 운영 nlm가이드라인.
정, 종진. (2009). 초등학생용 도덕지능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2(1), 249-269.
정, 창우. (2015).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파주: 교육과학사.
정, 창우., 장, 경숙., 이, 동엽., 송, 성민., & 우, 연경. (2016). 인성 발달을 위한 상호작용 기반 인성교육 실천 방안 탐색. 윤리교육연 구, 4(0), 1-27.
정, 춘인. (2008). 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자아존중감 신장에 미치는 영향. 경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 영범. (2018). 청소년을 위한 놀이중심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 헌국. (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 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53-89.
팽, 영일. (2001).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서대 학교 동서논문집, 7:9-110.
Cho, Y. D. (2015). “South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build a dynamic network of companies, markets and character education”. Congress Forum Academic Seminar.
Baker, J. W. (2000). The classroom flip :Using web course management tools to become the guide by the side. Paper presented at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llege Teaching and Learning. Jacksonville, HL.
Bergmann, J., Overmyer, J., & Wilie, B. (2013). “The flipped class: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The Daily Riff, 9.
Bishop, J. L., & Verleger, M. A.. (2013
The flipped classroom:A survey of the research, Paper presented at 2013 ASEE Annual Conference &Exposition, Atlanta, Georgia,
Retrieved from
htpps://peer.asee.org/22585
Lickona, Thomas. (1988). Rasing Good Children:From Birth Through the Teenage Years, New York: Bantam Books.
Im, H. J. (2015).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and integrity, metacoginition, mastery- approach goal, communication skills, and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at the college level”.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en's University.
Johnson, G. B. (2013). “Student perceptions of the flipped classroom”.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Kim, J. W. (2018). “Efficacy analysis of developed course for promoting character education with women's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481-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