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남미. (2014).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튜터링 방안. 반교어문, 36:반교어문학회, 131-161.
김, 지영., & 김, 정숙. (2015).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육 으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쓰기 교재 개발 원리에 의한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 어학, 58:이중언어학회, 1-31.
김, 치헌. (2013). 효과적인 글쓰기 클리닉 운영 방안 연구: 성균관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6(2), 한국사고와표 현학회, 58-84.
김, 치헌., & 원, 만희. (2015). 글쓰기 상담지도 모형 연구: 성균관대학 교 글쓰기 클리닉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40:반교어문학회, 601-643.
안, 미애., 김, 영철., & 지, 현배. (2013). 글쓰기 클리닉의 운영 성과 분석 과 표준 글쓰기 클리닉 시스템의 개발 방안.
리터러시 연구, 6:한국리터러시학회, 159-183.
안, 미애., 김, 영철., & 지, 현배. (2013). 맞춤형 첨삭 매뉴얼을 활용한 표준 글쓰기 클리닉.
리터러시 연구, 6:한국리터러시학회, 241-267.
안, 미영. (2015). 건국대 글로컬캠퍼스 인문클리닉의 배경과 의 의. 리터러시 연구, 12:한국리터러시학회, 59-81.
오, 영록. (2018).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개선을 위한 비판적 고찰: 충남대학교 글쓰기 강좌 현황과 글쓰기 센터 운영을 중심으 로. 인문학연구, 57(2),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13-242.
유, 현정. (2017).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 내용 분석. 국어문학, 65:국어문학회, 281-314.
이, 규일. (2015). 충남대학교 <CNU> 글쓰기 클리닉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모색. 인문학연구, 51(1),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01-332.
이, 유경. (2016). 외국인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인용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 27(3), 국제한국어교육학 회, 203-232.
이, 윤선. (2013). 동국대학교(경주)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 영 현황과 특징. 문화와 융합, 35:한국문화융합학회, 39-74.
이, 윤진. (2012). 외국인 유학생의 자료 사용의 윤리성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 요한. (2014). 글쓰기 센터의 운영 현황과 과제: 계명대학교 표현력 클리닉 을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23:서강 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55-294.
지, 현배. (2017). 온라인 클리닉 시스템을 활용한 첨삭지도의 전 략. 교양교육연구, 11(6), 한국교양교육학회, 753-774.
지, 현배., 안, 미애., & 김, 영철. (2013). 글쓰기 클리닉 프로그램을 통해 본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현실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7(4), 한국교양교육학회, 11-38.
황, 성근. (2018). 외국인 학생을 위한 글쓰기센터의 운영과 활용방 안. 사고와표현, 11(3),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3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