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4(2); 2020 > Article |
|
1) 교양교육에 해당하는 영어식 표현으로는 Lib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본문에 이들 영어식 표현을 그대로 살려 개념 간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2) https://www.snu.ac.kr/basic-education 『서울대학교 교양교육 60년사』(2008)에서 이 글의 주제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점은 서울대학교가 1995년 「교양교육의 개선방안 연구」에서 교양교육 정신의 핵심으로 ‘일반교육’과 ‘자유교육’의 원칙을 내세웠다는 사실이다. 일반교육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기본기를 형성시켜주기 위해 균형 잡힌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라면, 자유교육은 교양교육이 이용가치나 취업⋅전공교육 등 별도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목적이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그 이후 서울대학교 교양교육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학문의 기초, 핵심교양, 일반교양의 세 요소는 이런 원칙에서 파생된 것이지만 일반교육, 자유교육, 기초교육 등 교양교육을 둘러싼 개념상의 혼란은 여전히 남아 있다.
12) 개념상의 혼란은 교양교육 관련 기관명에서 뿐만 아니라 교양교육 연구자들의 학술 용어 사용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창수⋅송백훈⋅전종구(2014)의 논문 「자유교육의 개념에 대한 고찰 -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영문 제목을 ‘A Study on Liberal Arts Education: Implications to General Education in Korea’로 표기하고 있다. 여기서 자유교육은 Liberal Education이 아니라 Liberal Arts Education으로, 교양교육은 관례에 따라 General Education으로 번역되고 있다.
13) 자유교육은 역사적 변천에 따라 기능적으로 재정의되어 왔으며, 유사한 개념들과 엄격히 구분되기 보다는 혼용되어 왔다. 자유교육, 일반교육, 교양교육, 학부교육 등이 그것이다. 미국에서는 통상 Liberal Arts Education과 Liberal Education을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고 있다(조영하, 2015: 38).
14) 디지털 아카이빙(digital archiving)이란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치를 가진 디지털 객체를 장기간 관리하여 이후의 이용을 보장하는 활동을 말한다(정혜경, 2005). 아카이빙은 컴퓨터학에서 말하는 데이터의 백업 수준을 넘어 기록학에서 말하는 공적 자료와 데이터의 보존이라는 적극적인 차원에서 볼 필요가 있다.
15) 구글은 지구상의 모든 도서를 스캔해 인터넷상에서 열람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하고자 야심찬 기획을 한 후 미국의 대학도서관을 필두로 영미권은 물론 그 영역을 전 지구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구글은 도서관 내 서적을 스캔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DB 소유권은 도서관과 구글이 함께 보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 가을 연세대학교가 처음으로 구글 북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하였다.
16) 문화도 생물체처럼 변화하는 존재라 여기고 하나의 생물(生物)로서 문화의 구성 요소를 연구한다는 의미로 우리말로 번역하자면 문화체학(文化體學)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김재중, 2015: 8).
18) 일반연구(General Studies)는 다의적으로 쓰이나 오늘날 대체로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위키피디아 일반연구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Studies).
20) 『대학의 배신』(2016)을 쓴 마이클 로스는 미국 고등교육의 이러한 경향성을 ‘실용주의적 교양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에둘러 비판을 가하고 있다. 그는 20세기 초 듀보이스(W. Du Bois)를 인용하면서, “돈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면 장사꾼은 키울 수 있지만 진정한 인간은 키울 수 없다”며 고등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다.
22) 이에 관해서는 국가의 공식적인 문건에 해당하는 Boyer(1987)의 『카네기 재단 보고서』, Cheney(1989)의 『연방 인문학 진흥재단 보고서』 등을 참조하길 바란다.
A Case Study of Developing and Running a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Class2022 February;16(1)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General Education at Four-Year Universities2022 February;16(1)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Revisited2022 February;16(1)
The Value of College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Economic Perspectives2021 August;15(4)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