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숙희. (2016).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전략에 대한 대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869-886.
김, 미림. (2006).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화법교육 연구.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 정선., & 장, 경희. (2007). 질문에 대한 응대 방법을 통한 말하기 능력 평가. 한국언어문화, 3(4), 5-23.
김, 주환., 김, 민규., & 홍, 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김, 평원. (2007).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의사소통과정으 로서의 말하기 평가-대규모 성인 말하기 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1(1), 9-34.
나, 은미. (2007).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효과적인 프레젠 테이션의 조건 및 평가에 대한 고찰. 화법연구, 1(1), 35-66.
박, 은주., 이, 상의., 아, 리프 라흐마툴라흐., & 하, 민수. (2017). 과학 관련 성 태도 변화 검사도구(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번역본의 타당도와 관련 변인 탐색 및 동형 검사 도구 구성. 科學敎育硏究誌, 41(2), 179-194.
박, 준홍. (2014). 프레젠테이션 교육 내용 비교 연구 -한국, 미국, 캐나다, 호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2(4), 137-169.
신, 희선. (2011).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의사소통교육 사 례연구. 교육실천연구, 10(3), 137-169.
오, 경균. (2009). 프레젠테이션 능력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 안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 현진. (2017). 동료 피드백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들의 발표에 대한 사전 지식. 어문논집, 6(9), 309-335.
우, 수명. (2013). 마우스로 잡는 SPSS 20. 인간과 복지.
이, 도영. (2006). 말하기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연구. 국어교육, 1(20), 225-248.
이, 동욱., & 이, 연주. (2020). 교양교육에서 말하기 역량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2(2), 445-478.
이, 유나., & 허, 경호. (2008). 발표상황에서 발표자의 비언어적 요소가 발표자의 이미지 평가 및 메시지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1(0), 38-72.
이, 연주., & 이, 동욱. (2019). 대학 말하기 수업의 효과와 평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333-352.
이, 익섭., 홍, 세희., & 신, 은경. (2007). 장애 정체감 척도의 Rasch 모형 적용. 한국사회복지학, 59(4), 273-296.
이, 준기., & 하, 민수. (2015). AAAS유전 문항과 라쉬 모델을 활용한 동형의 유전개념검사지 개발. 현장과학교육, 9(3), 165-174.
임, 경수. (2020).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학업성취의 차이 검증 -종합적 사고력과 지식탐구역량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2(1), 281-305.
전, 영옥. (2013). 대학생 대상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방향. 한말연 구, 3(3), 221-244.
전, 은주. (2014). 대학 교양 화법 교육의 발전 방안. 화법연구, 2(4), 9-39.
조, 두환. (2006). 최고의 설득을 이끌어내는 프레젠테이션. 가림출 판사.
조, 민하. (2014). 프레젠테이션의 효과적인 조음 운율 전략-정보 전달 말하기와 설득 말하기의 비교를 통하여. 화법연구, 2(4), 235-269.
황, 혜진., & 조, 계숙. (1998).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7(1), 125-142.
홍, 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홍, 세희., 이, 현정., 손, 수경., 김, 효진., 윤, 미리., 강, 윤경., & 조, 기현. (2018). 청소년 회복탄력성 척도의 Rasch 모형 분석. 미래청소년 학회지, 15(2), 107-124.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
Springer.
Browne, M. W., &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Research, 21(2), 230-258.
Dalkir, K. (2012). Knowledge management in Theory and Practice,
서우종 역, 지식경영: 이론과 실무, 한경사.
Hafler, J. P. (2011). “Effective presentations:Tips for success”.
Nature immunology, 12(11), 1021-1023.
Keshavan, V., & Tandon, N. (2012). “How to give an effective presentation”.
Asian journal of psychiatry, 5(4), 360-361.
Reynolds, G. (2011). Presentation Zen:Simple ideas on presentation design and delivery. New Ri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