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포스코 지속가능경영과 ESG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Based Clas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 Focusing on POSCO’s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ESG Course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General Edu. 2025;19(1):337-35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5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46392/kjge.2025.19.1.337
윤수진
서울여자대학교 교육혁신단, 조교수, sujin.yoon@swu.ac.kr
Assistant Professor, Office of Educational Innov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이 논문은 서울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2024-0226)
Received 2025 January 27; Revised 2025 February 11; Accepted 2025 February 17.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 교양교과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과 포스코그룹의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을 연계한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조사하였다. 수업은 2024학년도 1학기에 운영되었으며, 총 17명의 수강생이 포스코그룹사 엔투비와 협력하여 해당 기업의 ESG 과제 ‘미래세대 순환자원 관심 제고를 위한 교육 콘텐츠 기획’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사회혁신 주체로서 기업의 역할, ESG, 순환자원, 디자인씽킹 방법론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실제 과제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작성한 프로젝트 여정맵과 성찰 에세이를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업의 실제 과제를 다루는 산학협력 수업의 특성에서 비롯된 학생들의 경험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주요 경험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피드백과 특강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관점의 변화’,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 능력 향상’, ‘사업화를 고려한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 제안’으로 범주화되었다. 이 연구는 교양교과 수업에서 산학협력 프로그램이 융합적 사고와 전문성,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효과적인 교육모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산학협력 프로그램이 대학과 기업, 사회에 미치는 교육적⋅사회적⋅경제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Tran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roject conducted within the liberal arts course ‘Social Innovation Methodology’ at Seoul Women’s University, in conjunction with the POSCO Group’s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ESG’ program. The course, offer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4, involved 17 undergraduate students collaborating with POSCO Group’s subsidiary, eNtoB, to address the company’s ESG initiative,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 to Promote Awareness of Circular Re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explored topics such as the role of corporations as agents of social innovation, ESG principles, circular resources, and design thinking methodologies, applying these concepts to a real-world project.

This study employs thematic analysis of students’ project journey maps and reflection essays submitted by the students,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within the context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s pedagogical approach, particularly those stemming from working on real-world corporate tasks. Four key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collaboration with diverse stakeholders’, ‘enhanced expertise and perspective shifts through feedback and lectures’, ‘practical skill development applicable to real-world settings’, and ‘proposing actionable ideas with consideration of commercializ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rograms within liberal arts courses can serve as effective educational models for fostering interdisciplinary thinking, professional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educational,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such programs on universities, corporations, and society.

1. 서론

UN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ESG, 사회적 책임, 사회혁신 등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부문에서의 노력에 발맞추어 대학에서도 사회적 가치 실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대학이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전달하는 전통적 역할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장후은, 이종호, 2017; Vasilescu et al., 2010). 이러한 변화는 사회문제해결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국가적, 국제적 노력과 맥을 같이한다.

기업 또한 지속가능한 경영과 사회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CSV(Creating Shared Value)와 함께,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평가의 주요 기준으로 삼는 ESG는 현대 기업 경영의 핵심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CSV는 기업 활동을 통해 경제적 성과를 창출하면서도 사회문제해결에 기여하는 방안을 통합적으로 모색하는 경영 전략으로 사회와 기업 간의 상호이익을 강조한다(Porter & Kramer, 2011). 한편 ESG는 과거 재무적 성과 중심의 기업 평가 방식을 넘어,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이행, 투명하고 공정한 지배구조 운영이라는 비재무적 요소를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도입한 개념이다(포스코, 2024). ESG는 단순한 경영 전략을 넘어, 글로벌 투자자와 소비자, 규제 기관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적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는 기업의 ESG 성과가 장기적으로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통해, ESG가 단순한 윤리적 책임을 넘어 투자 안정성과 기업 지속가능성의 핵심 척도가 됨을 강조했다(IFC, 2021). 이러한 상황에서 ESG는 단순히 환경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넘어, 기업 생존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기업이 경영 환경 변화 속에서 경제적 성과와 함께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 속에서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은 점점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산학협력은 기업과 대학이 각각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을 도모하는 모델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산학협력의 틀을 넘어, 기업과 대학이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협력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김홍규, 2018; Pan et al., 2023). 이러한 산학협력 모델은 학생들에게 이론적 지식과 실무적 경험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사회문제해결형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문제해결역량과 소통 기술을 배양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박효선, 2016).

정부 또한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사회문제해결형 교육과정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은 2012년부터 시작되어 대학과 기업 간 협력을 통해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후 2017년 시작된 LINC+ 사업은 이를 더욱 확장하여 대학이 산업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현장 중심,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사회적 문제해결과 경제적 성과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모델을 강조하고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과 산업체의 실무적 과제를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지속가능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며 미래사회와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이상미 외, 2016; 황혜원 외, 2023).

한편 대학과 기업체의 협력에는 대학과 기업의 문화차이와 합의된 목표와 평가 체계의 부족,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 목적의 차이, 지적재산권 소유 문제 등과 같은 어려움이 존재하기도 한다. 대학 자원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 그리고 이를 사업화하여 이윤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 기업의 주요 목적이라면, 대학은 연구비 확보와 인재양성, 학문적 업적 달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므로 이처럼 궁극적인 지향점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한지영, 2010; Frølund et al., 2018)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의 교양교과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과 포스코그룹의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을 연계한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을 사례로 하여 기업의 실제 과제를 다루는 산학협력 기반 수업의 특성에서 비롯된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조사하고, 산학협력 수업이 제공하는 교육적 효과와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동안 산학협력은 전공 교육과정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최근 학생들이 다양한 비즈니스 상황을 이해하고 사회적 책임을 배울 수 있도록, 학생들의 폭넓은 지식과 사고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양교육에서도 산학협력 기반 교육과정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미비한 상황이다(김소라 외, 2024).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과 수업에서 산학협력 모델을 도입하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과정을 구현한 사례로 향후 산학협력 기반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배경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 교양교과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을 수강한 학생들의 프로젝트 수업 참여 경험을 조사하였다.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사회문제해결 방법론을 배우고 이를 활용하여 실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수업으로 개요는 <표 1>과 같다.

교과목 개요

서울여자대학교는 중장기발전계획 SWU2030 추진목표 중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하여 SI(Social Innovation)교육을 특성화 전략으로 수립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사회혁신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 오고 있다. SI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은 현재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과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고(사회변화에 대한 열망), 문제의식에 그치는 것이 아닌 대안의 설계하고 기획(대안의 설계)하고 실천하는 역량을 계발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표 2>와 같이 4개의 교육요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여자대학교 SI교육의 요소

이 연구의 배경이 되는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은 <표 2>의 교육요소 중 ‘문제도/창출’과 ‘대안적 해법 모색’을 주요 교육요소로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15주 동안 디자인씽킹을 중심으로 사회문제해결 방법론을 배우고 이를 적용하여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이 수업은 포스코그룹의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과 연계하여 산학협력 기반 수업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은, 포스코그룹에서 전국 대학교에 ESG 교과목을 개설하여 포스코그룹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관련 이론 학습과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ESG 경영에 관해 배우는 수업이다. 2021년 시작하여 2024년 2학기까지 누적 23개 대학이 해당 교과목 운영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각 그룹사와 대학을 일대일로 매칭하고, 해당 그룹사의 지속가능경영 전담조직과 대학이 수업을 함께 설계하고 운영한다. 매칭된 그룹사는 기업의 실제 ESG 과제를 프로젝트 주제로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포스코 지속가능경영 및 ESG 관련 강의, 기업 관계자 멘토링, 피드백 등을 제공한다. 특별히 포스코그룹에서 제작한 도서 및 강의자료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해당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이론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과목 운영 사업이 처음 시작된 2021년에는 주로 특강과 프로젝트 지원 형태로 운영하다가 2022년도부터 본격적으로 대학 수업과 연계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서울여자대학교는 2022년 1학기부터 교과목 운영 사업에 참여하여 현재까지 엔투비, 포스코플로우, 포스코IH와 수업을 진행하였고, 이 연구의 배경이 되는 2024년 1학기 수업은 엔투비와 진행하였다.

이처럼 이 수업은 사회혁신 방법론에 관한 교양교과 수업이면서 동시에 산학협력 수업으로 운영되었다. 학생과 교수자, 기업 관계자가 함께 수업을 구성하고 운영한다는 점에서 기존 학생과 교수자 중심의 수업과는 운영 과정에 차이가 있다. 우선 구체적인 수업 설계에 앞서, 이 수업을 운영 총괄하는 포스코 지속가능경영실, 포스텍 지속가능연구소가 개최하는 교수자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하여 기업의 수업 개설 취지를 파악하고 수업을 통해 기업이 기대하는 바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때 기업은 개설한 교과목의 개설 취지와 목적, 특징, 운영 방식을 소개하고, 기업의 입장에서 ESG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최근 기업이 찾고 있는 인재상에 대한 설명 그리고 ESG 교과목 운영 자료와 관련 도서 등 수업 운영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교과목 운영의 마무리 단계에서 본 사업에 참여하는 전체 대학과 그룹사 임원이 참여하여 대표 결과물을 전시하고 발표하는 ESG 레벨업 그라운드 행사에 대한 안내를 전달한다. 다음으로 수업을 위해 매칭된 그룹사(이하 ‘협력기업’) 담당자와의 수업을 개설한 교수자가 만나 프로젝트 주제, 주요 일정 및 내용, 평가 방식 등 수업 운영을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이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기업의 비즈니스 특성에 기반하여,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다. 단회적 봉사나 선행이 아닌, 기업의 경제적 가치에 기여하고 기업의 비즈니스 활동이 실제적인 사회문제해결과 사회변화에 기여하는 CSV 관점으로 프로젝트를 설계한다. 2024년 1학기에 엔투비는 회사의 신규 순환자원 사업의 일환으로 ‘미래세대 대상 순환자원 관심 제고를 위한 환경교육 콘텐츠 기획’을 프로젝트 주제로 제시하였다. 최근 순환경제에 대한 강조로 환경보호와 자원 활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현재 미래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은 대부분 에너지 절약, 분리수거 등과 같은 일상 속 환경 실천에 집중되어 있다. 한편 엔투비는 순환경제 촉진을 위한 각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재활용 시장이 확대될 것을 전망하며 순환자원 비즈니스를 신사업으로 발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보호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환경교육이 아닌, 사회적⋅환경적⋅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관점에서의 순환자원 교육 콘텐츠 기획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수업을 통해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취지와 목적에 맞추어 협력기업 담당자와 함께 수업 내용을 <표 3>과 같이 구성하였다.

2024-1학기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 내용

수업 운영 초반에 교수자는 학생들이 사회혁신 주체로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기본 관점과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강의를 제공하고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따라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강의하고 이를 적용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습 툴을 제공하였다. 기업에서는 포스코의 지속가능경영 그리고 엔투비의 경영이념 및 ESG 경영 실천에 대해 강의를 제공하고, ESG 추가 학습 자료와 온라인 강의 영상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관련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별 수강생 관심 분야 및 역량을 조사하고 팀을 구성하여 본격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교양수업의 특성상 수강생의 학년, 소속, 전공이 다양하여 학생들이 시간표와 개인 일정을 맞추어 주중 대면 활동을 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원활한 온라인 팀 활동을 위하여 수강생 전체가 기본적인 온라인 협업 툴 활용 능력을 갖추도록 워크숍을 별도로 제공하였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는 기업의 실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니만큼 기업 관계자의 피드백이 중요한 수업의 한 부분이었다. 수업을 공동으로 기획한 엔투비뿐만 아니라, 순환자원 및 환경교육 전문가, 초중등학교 교사, 기 수강생이 참여하여 학생들의 프로젝트 과정에서 필요한 자문과 피드백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또한 이 수업에서는 대학 소재 지역(노원구)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순환자원 교육 행사를 개최하여 잠재적 교육 수요자들의 관심 정도와 요구를 파악하고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료조사를 시행하였다. 산학협력 수업 산출물 가운데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를 기업이 실제 사업에 반영할 예정이었으므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기업 관계자의 피드백은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프로젝트 후반부에서는 아이디어를 정교화하고, 포스코 교과목 운영 사업에 참여하는 전체 그룹사와 대학 관계자가 참여하는 최종 결과 발표회인 ESG 레벨업 그라운드에 참여하여 결과물을 전시하고 발표하는 기회를 가졌다. 전체적인 수업 운영 모습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수업 운영 모습

3. 연구방법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의 교양교과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과 포스코그룹의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을 연계한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산학협력 기반 수업의 특성에서 비롯된 경험을 조사하고, 산학협력 수업이 제공하는 교육적 효과와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1. 연구 참여자

연구의 참여자는 2024학년도 1학기 교양교과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에 참여한 수강생 17명이다. <표 4>와 같이 12개 학과/전공 학생들이 수강하였고, 학년별 분포는 1학년 수강생 비중이 가장 높았고(9명), 다음으로 4학년(4명), 3학년(3명), 2학년(1명)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프로젝트 중반까지는 3~5명이 한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프로젝트 후반 ESG 레벨업 그라운드 출전을 앞두고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팀을 서로 연결하여 그룹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이 수업에서는 총 4개 팀이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최종 결과발표 시에는 2개 팀을 묶어 1개 그룹으로 구성하여 최종 결과물을 기업에 제안하였다.

연구 참여자 현황

3.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에의 참여 경험을 조사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프로젝트를 마무리한 후 작성한 프로젝트 여정맵과 성찰에세이를 주요 자료로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여정맵은 학생들이 수업 참여 여정을 프로젝트 단계별로 구분하여 해당 단계에서의 경험과 감정을 시각화하여 정리한 것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험하는 전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고객여정맵(Customer’s Journey Map) 기법을 활용한 것이다. 고객여정맵은 주로 디자인 또는 비즈니스 영역에서 고객의 관점 중심으로 서비스나 제품을 개발 또는 개선하는 데에 활용하는 유용한 방법론으로, 고객의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 접점을 파악함으로써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데에 기여한다. 서비스 디자인과 고객 경험 관리의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며, 제공하는 서비스의 접점을 파악하고 고객의 명확한 니즈를 반영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고객 경험의 흐름을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단계 또는 시기에 따른 고객의 행동, 생각, 감정을 체계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전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특징에 기반하여 사회혁신, 즉 다양한 사회문제를 창의적 아이디어로 해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도출하고자 하는 사회문제해결 방법으로도 활용된다. 특정 커뮤니티 또는 대상자 그룹이 직면한 복잡한 문제 또는 필요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나 솔루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대상자의 경험을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각화하는 툴로 고객여정맵이 활용되고 있다(김학실, 2021; 이은숙, 차경진, 2021). 이처럼 고객 경험의 흐름을 시각화하면서 고객의 행동, 생각, 감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고객여정맵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수강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학생들에게는 과제의 수행이자 프로젝트 과정을 성찰하는 교육의 활동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단계에 따른 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여정의 단계를 교수자가 구분하여 제공하였고, 학생들은 각 단계를 회고하면서 경험을 기록하고 시각화하도록 하였다. 여정은 수업 내용에 따라 초반(주제 이해 및 팀빌딩, 문제정의), 중반(아이디어 구체화, 중간발표), 후반(테스트 및 아이디어 정교화, 1차 결과발표)로 나누었고 수업 과정 중 비교적 비중 있는 활동으로 여겨진 최종 결과발표회 행사 레벨업 그라운드 참여를 별도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수업 시작 전과 종료 후를 추가하여 프로젝트 과정을 여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에게는 프로젝트 여정맵 작성을 안내하며 여정 단계 구분 기준과 해당 내용을 설명하였다.

학생들의 경험을 수합하여 각 단계별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프로젝트 과정에서 느낀 감정을 +5부터 -5까지로 구분하도록 하였다. ‘+’ 영역은 기쁨, 즐거움, 보람 등과 같은 긍정적인 경험 또는 감정을 표현하고, ‘-’ 영역은 슬픔, 좌절, 실망 등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 또는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긍정적’, ‘부정적’ 구분은 감정과 경험 그 자체에 대한 기술일 뿐이며, 이 경험의 결과가 자신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판단과 성찰은 에세이 형식으로 별도로 자세하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프로젝트 여정맵을 작성하면서 프로젝트 전체 과정을 리뷰하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찰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프로젝트 참여 경험뿐만 아니라, 사회문제해결형 산학협력 수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도록 하여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수집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에 참고하기 위해 강의평가 자료를 참고로 살펴보았다. 강의평가는 학기말에 익명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에서 수업과 교수자에 대한 수강생의 만족도, 강의 전반에 대한 소감과 운영 관련 건의사항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 강의평가의 내용을 직접적인 자료로 채택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이 익명성에 기초해 솔직하게 강의를 평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ESG 산학협력 교양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확인하는 데에 의미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텍스트 자료인 성찰에세이와 프로젝트 여정맵에서의 서술 부분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텍스트 자료 질적 분석 방법론인 주제분석법(Thematic Analysis)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주제분석법은(Braun & Clarke, 2006)은 질적연구에서 텍스트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으로 텍스트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패턴과 주제를 도출하고 이를 조직화, 체계화하며 분석하는 질적연구 자료 분석법이다. Braun and Clarke (2006)가 제안한 주제분석법을 적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먼저 프로젝트 여정맵과 성찰에세이 텍스트 자료를 정리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자료의 문맥과 세부내용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흥미로운 특징과 반복적인 패턴을 식별하여 초기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검토하면서 유사하거나 연관된 코드들을 범주화하여 잠재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때 산학협력 수업의 특성에 기반한 학생들의 참여 경험 조사라는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공동작업’, ‘무임승차’, ‘갈등’, ‘소통’과 같이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내용은 제외하였다. 텍스트 자료를 다시 읽으며 도출한 주제가 적합한지 검토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부 주제는 상위 주제로 통합하거나 제외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주제의 핵심을 정의하고 적절한 이름을 부여한 뒤 주제를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발췌하여 논문 작성에 반영하였다.

기본적으로 이 연구에서 자료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주제를 도출하는 귀납적 접근(inductive approach)으로 분석하였으나, 1차 확정된 주제를 바탕으로 다시 자료를 탐색하고 2차 주제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연역적 접근(deductive approach)을 적용함으로써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자료분석의 명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수업 안내 시 학생들에게 제출한 과제 결과물이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렸고 해당 수업의 시작 전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 수집하는 자료의 종류 및 활용 범위에 관한 동의를 구하였다. 연구자료는 모두 비밀과 익명성이 보장되며, 질적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자료 분석 결과를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2인으로부터 자료분석과 결과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

4. 연구결과

이 연구는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에 관한 참여 학생들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젝트 과정을 성찰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고객여정맵 기법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단계별 학생들의 경험과 감정을 시각화하고 기술한 자료이고, 두 번째는 프로젝트 전 과정을 성찰하고 이를 에세이 형식으로 작성하는 개인 과제 제출물이다. 이 두 가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생들이 직면하는 경험과 더불어 산학협력 기반 수업의 특수성이 반영된 경험들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후자를 중심으로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4.1. 프로젝트 여정맵

학생들이 프로젝트 각 단계에서 주요 경험과 감정이 어떠했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고객여정맵 기법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여정맵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다양한 스타일로 시각화하였고 핵심 경험 또는 감정을 간단히 서술하였다. 몇 가지 산출물을 예시로 살펴보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수강생 프로젝트 여정맵 제출물 예시

학생들은 프로젝트 과정에서 단계별 경험과 감정을 +5부터 -5로 그 정도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대표적인 내용을 간단하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17명 참여 학생의 감정에 대한 점수를 평균으로 계산하고 서술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그림 3]과 같다.

[그림 3]

수강생 프로젝트 여정맵 종합 분석 결과

세부 내용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학생들은 프로젝트 시작 전과 초반에는 수강생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1학년의 경우 “다양한 경험이 많은 선배들과 함께하는 프로젝트 수업”, “대학에서 처음 해보는 프로젝트”에 대해 기대로 시작하였고,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산학협력 수업에 대해서 2~4학년 수강생 또한 대부분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하였다. 이후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고 팀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 관련 분야 지식이나 경험을 보유하고 있거나 또는 이전에 유사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의 경우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였으나, 자신의 전공과 무관하거나 또는 해당 분야를 새롭게 접해보는 학생의 경우 프로젝트 진행에 대해 걱정과 두려움을 표현하였다.

본격적으로 기업 관계자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초반 이후, 그리고 중반부를 거쳐 후반부로 가면서 학생 대부분이 제한된 시간 내에 프로젝트를 완성도 있게 해내야 한다는 중압감, 기업 관계자의 부정적인 피드백 또는 기업의 요구에 따라 주제나 방향성을 변경함으로 인해 좌절을 경험하기도 하였고, 중간고사나 전공 수업 발표 등과 겹쳐서 체력적으로 한계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반면 중간발표 때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팀의 경우 프로젝트 중반에서 부분적으로 성취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개별 경험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프로젝트 후반과 ESG 레벨업 그라운드, 그리고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에서는 노력과 수고에 대한 보람, 그리고 완성도 있게 프로젝트를 해냈다는 성취감과 그로 인한 개인의 성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4.2. 성찰 에세이

프로젝트 여정맵을 통해 프로젝트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을 살펴보았다면 이어 성찰 에세이를 분석하여 세부적인 경험을 조사하였다. 성찰 에세이에서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내용들(예: 소통, 갈등, 무임승차 등)도 언급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고, 연구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의 실제 과제를 다루는 산학협력 기반 수업의 특성에서 비롯된 경험을 주요 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피드백과 특강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관점의 변화’,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실무 능력 향상’, ‘사업화를 고려한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 제안’을 주요 주제로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2.1.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참여 학생들은 ‘미래세대 순환자원 관심 제고를 위한 환경교육 콘텐츠 기획’을 주제로 운영된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업이 교수자와 학생으로 이루어진 기존 수업의 틀을 벗어나, 교수자와 학생뿐만 아니라 협력기업(엔투비) 관계자, 순환자원 및 환경교육 전문가, 초중등학교 교사, 초중등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연결된 수업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더욱이 교양교과 수업의 특성상 수강생들의 전공, 수강 목적, 관심 분야 등이 다양하였기에,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의 팀원들과 교수자, 그리고 프로젝트와 연관된 복잡한 이해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기존 팀프로젝트와 이 수업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나’와 ‘팀원’만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 훨씬 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다는 점이었다. 가장 밀접하게 기업의 ‘필요’에 의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아닌 과제를 어떻게 더 잘 해낼 수 있을지, 이걸 어떻게 나의 방식으로 풀어낼 것인지에 더욱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 참여자 J)

전공생끼리 모여 프로젝트를 하는 게 아니라, 각기 다른 시각을 가지고 문제를 바라보는 이들이 모여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해볼 수 있다는 게 이 수업의 가장 큰 강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업의 입장을 고려해 보며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힐수록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도 다양한 시각이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 I)

이처럼 “많은 이해관계자가 얽혀” 수업을 진행하는 현장은 그 자체로 협업을 경험할 수 있는 살아있는 강의실이 되었다. 특히 기업을 프로젝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이해관계자로 인식하고 기업의 필요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모습이 두드러진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젝트 결과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상과 나아가 프로젝트 결과물의 실용화 단계까지 고려하여 현재 프로젝트에 직접 관여하지는 않지만 프로젝트 결과물과 연관된 잠재적 이해관계자를 고려하며 프로젝트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업하는 수업을 통해 하나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이해관계를 고려하는 안목과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동시에 이러한 관계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유용한 자원을 동원하고 활용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주로 인적자원을 활용하는 것이었는데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하나의 완성된 아이디어를 만들어 가는 것에서 단순한 역할 분담 이상의 협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경험하였다.

‘팀프로젝트’하면 자료조사, PPT 제작, 발표 등으로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될 줄 알았는데 막상 팀 활동을 직접 해보고 나니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 그 어느 한 부분도 혼자서는 절대 완성시킬 수 없었다. 처음 혼자 생각할 때는 막막하고 아이디어가 부족했지만 팀원들과 대화하고 전문가분들의 멘토링을 통해 프로젝트가 완성되어 가는 모습을 보며 팀으로 함께 일하는 가치와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 C)

이처럼 이 수업에서는 산학협력 수업을 담당하는 기업 관계자의 참여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전문성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이들로부터 프로젝트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피드백을 받았다.

4.2.2. 피드백과 특강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관점의 변화

우선 협력기업 엔투비 관계자가 밀접하게 프로젝트 전 과정에 참여하면서 멘토링과 산출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순환자원과 환경교육에 관한 자문과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후반 ESG 레벨업 그라운드에서 최종 결과를 발표하면서 학생들은 타대학, 타기업 관계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이처럼 교수자와 동료 학생뿐만 아니라 협력기업 관계자, 해당 주제 분야 전문가, 타대학, 타기업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개인의 관련 분야 지식 향상과 프로젝트 산출물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었다.

기업과 협력하는 수업이 있다고 해 궁금증이 생기기도 했고 나 자신의 발전을 위해 수강 신청하였다. 실제 기업 관계자와 교수님이 해주는 조언과 피드백을 들으며 이러한 분야로는 무지했던 내가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도움이 되었다. 실제로 다양한 방법론을 배웠고,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들으며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기업과 협력했기에 이전의 봉사단체나 정부의 시점에서 벗어나 경제적인 부분이나 실무적인 부분을 고려해보며 새로운 시각에서 프로젝트를 바라볼 수 있어 사회에 나가기 전 필요했던 부분을 충족시킨 느낌이었다. (연구 참여자 Q)

성찰 에세이에서 학생들은 기업 관계자의 피드백을 통해 프로젝트의 전문성을 높이고 개인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이러한 “날카로운 피드백”을 수용하며 아이디어를 수정하고 보완해 가는 과정이 학생 개인과 팀 전체에 때로는 좌절과 갈등의 경험으로 나타난 것을 프로젝트 여정맵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프로젝트 주제에 관한 학습뿐만 아니라 기업이 제공한 포스코그룹 ESG 경영 사례 중심으로 제작된 강의자료를 통해 학생들은 기업의 ESG 경영 관련 지식을 습득하였다. 대기업의 역할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던 학생들도 이 수업을 통해 대규모 조직과 자본을 가진 기업이 어떻게 사회문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임팩트가 어떠한지를 실제 과제를 수행하며 학습하였다.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에서 팀원들과 함께 공동의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가면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식과 더불어 사회혁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특히 사회에 기여하려면 기업의 이윤이 낮아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과 달리 사회공헌 활동이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새로 깨달을 수 있었고, 다소 회의적으로 바라보던 시선이 바뀌게 되었다. 사회적 책임도 다하면서 이윤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사회공헌 활동과 사회혁신을 지향해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연구 참여자 D)

이 수업은 교양교과 수업이었으므로 수강생은 다양한 전공에 분포되어 있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에서 다루지 않는 영역들 - 순환자원 비즈니스, 순환경제, 환경교육 등 - 관련 지식의 향상을 경험하였다. 또한 팀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온라인 협업 툴 활용 기술과 더불어, 프로젝트 주제에 따라 교육학, 코딩, 게이미피케이션, 피지컬 컴퓨팅 등과 같이 새로운 분야의 지식과 기술에 대해 학습하며 사고와 지식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우선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순환자원에 대해서 새롭게 알 수 있었고 우리팀의 솔루션이었던 코딩 융합 기반의 순환자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코딩이나 피지컬 컴퓨팅과 같은 새롭고 다소 어려운 개념들을 배우게 되었는데 이런 점을 통해서 내가 부족한 부분이 많았고, 알고있던 분야가 협소했다는 것을 새롭게 깨닫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 O)

학생들은 교수자와 기업이 제공한 기본 강의 외에도 프로젝트 주제에 따라 자발적인 조사와 연구, 학습을 추가하며 전문성과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애썼고,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이 다른 전공수업과 중간시험 등 학사일정에 맞춰 학기 중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산학협력 수업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게 아니라, 기업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게 우선이며 더 높은 수준의 책임감이 요구된다”는 인식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동력이 되었다.

4.2.3.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실무 능력 향상

학생들이 이 수업에서 핵심으로 꼽은 경험 중 하나는 바로 ‘실무’이다. 기업의 실제 과제를 기업 관계자와의 협업으로 수행하면서 산업 현장의 맥락에서 이론을 적용하고 실천함으로써,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실질적이고 사회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이 지속가능한 사회의 발전을 이루는 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경험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무의 제공은 관련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소통, 시간의 활용, 갈등 관리, 책임감, 협업 등 태도 역량을 향상시키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었다.

우선 이 수업은 포스코그룹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ESG에 대한 이론 학습과 실무를 경험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실제 기업의 생태계를 배울 수 있고 이는 프로젝트의 전문성 향상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진로 준비에도 도움이 되었다.

산학협력 수업은 인격적 성장뿐만 아니라 학업적인 면에서도 도움이 되었다. ‘실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학생은 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기에 타 프로젝트 수업과는 다르게 실제 실무자들과 소통하며 기업의 과제를 수행하는 것은 ESG와 관련된 기업 생태계와 포스코, 엔투비의 사업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는 기업들이 어느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 취업 준비생으로서 어떤 자질을 집중적으로 개발해야 하는지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 프로젝트가 끝난 지금도 그 이론 지식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기억에 남아있는 것을 보면 ‘실무 적용’이라는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특징은 수업의 효과를 높이는 데도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참여자 A)

기업의 실제 ESG 업무 담당자들로부터 관련 이론을 배우고 이를 적용하여 기업의 ESG 과제를 수행하는 데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은 이론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경영 전략으로 실천되고 있는지 “프로젝트가 끝난 지금도 남아있는” 생생한 실무 중심의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학생들은 실무에 기반한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표의 중요성과 발표력 및 발표자료 수준의 향상이 필요함을 경험하였고 이에 대해 기업 관계자들로부터 실질적인 도움을 받았다. 학생들은 중간발표와 최종발표 시 기업 임원진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설득해야 했다. 이 아이디어가 창출할 경제적⋅사회적 가치에 대해서 명확한 논리와 근거로 설명함으로써 아이디어가 채택,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정보를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기술을 배울 수 있었고 청중의 관심을 끌고 유지하기 위해 시각적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발표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함을 배울 수 있었다. 기업이 요구하는 수준에 맞춰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표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 같다. (연구 참여자 F)

이처럼 학생들은 제한된 시간에 방대한 내용을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발표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표 능력과 발표자료 구성 능력이 기업이 요구하는 수준에 맞춰 한 단계 향상된 것을 경험하였다.

4.2.4. 사업화를 고려한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 제안

학생들은 기업의 실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존 팀 프로젝트와 달리 “기업에 맞는 기대효과와 실현 방향성까지 고려하며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고 이것이 실질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기업과의 산학협력 프로젝트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히 아이디어 도출에 그치지 않고, 기업에 맞는 기대효과와 실현 방향성까지 고려하며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이를 기업 관계자 앞에서 발표하고 피드백을 들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인 것 같습니다. 이는 실질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실제 기업 환경에서의 적용을 어떻게 하는가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연구 참여자 F)

이러한 프로젝트형 수업은 … 기업과 연계해서 진행하다 보니 대학생의 사고에서 더 나아가 기업 입장의 실무적인 사고를 할 수 있어 사고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아이디에이션 과정에 그치지 않고 프로토타입 제작, 비즈니스 모델 제작, 시제품 제작 등 다양한 활동까지 해보는 경험이 되어 더욱 뿌듯함을 느꼈다. 아이디어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현하는 데까지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이 나를 가장 성장시키는 요인이자 기업과 협력 수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연구 참여자 C)

또한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실제 교육현장에 보급할 수 있는 환경교육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서 노원구 주최 환경 관련 행사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환경교육 체험 부스를 운영하였다. 부스의 기획, 내용 구성, 실제 운영까지 학생들이 전 과정에 참여하면서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을 실제 현장을 중심으로 배울 수 있었다.

5.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 교양교과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과 포스코그룹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을 연계한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으로, 포스코그룹사 엔투비의 ESG 사업 과제로 ‘미래세대 대상 순환자원 관심 제고를 위한 교육 콘텐츠 기획’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수업은 2024학년도 1학기에 진행되었으며, 참여 학생들은 디자인씽킹을 중심으로 한 사회혁신 방법론, 기업의 비즈니스 특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기업의 ESG 경영 실제를 학습하고 기업 관계자들과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또한 순환자원 교육 콘텐츠 제작이라는 프로젝트 주제를 고려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특강과 피드백을 받았고, 개발한 교육 콘텐츠를 학교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현직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자문을 받았다. 또한 교육 콘텐츠의 1차 수요자인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학부모들의 관심 정도와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 체험 부스를 실제 운영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필요와 의견을 듣고 이를 종합적으로 프로젝트 반영하여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프로젝트 여정맵 작성을 통해 학생들의 프로젝트 전 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개인별 세부 경험의 차이는 있었으나, 참여 학생 대부분 프로젝트 시작과 초반에는 새로운 유형의 수업에 대한 기대가 있었고,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부터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까지 여러 도전적 상황을 경험하였다. 갈등, 한계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17명 수강생 전원이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에서는 성장과 성취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자신들이 제안한 아이디어가 기업의 자원을 바탕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에 기대를 표현하였고 수업이 끝난 후에도 아이디어 실현 단계에서 기회가 된다면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자세히 알기 위하여 성찰 에세이 제출물을 주제분석법으로 분석하였고,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소통, 갈등, 무임승차 등의 주제도 언급했으나, 이 연구에서는 기업의 실제 과제를 다루는 산학협력 기반 수업의 특성에서 비롯된 경험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경험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피드백과 특강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관점의 변화’,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 능력 향상’, ‘사업화를 고려한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 제안’으로 범주화하였다.

먼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을 통해 학생들은 교수자와 동료 학생뿐만 아니라 협력기업 관계자, 순환자원 및 환경교육 전문가, 초중등학교 교사와 학생, 학부모 등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는 프로젝트 환경을 경험하였다. 이는 기존의 팀 프로젝트와는 차별화된 특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관점뿐 아니라 기업 및 각 이해관계자의 필요와 요구를 고려하며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복잡한 이해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안목을 키우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하며 협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경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업에서 이러한 협업을 통한 역량 향상은 기존 연구와도 맥을 같이 한다. 팀원 간 의견 경청과 조율, 교수자와 기업 관계자와의 소통, 피드백 수용과 재논의의 과정에서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고, 팀원 간 갈등과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 역량이 강화되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윤상식, 김보경, 2020). 그러나 윤상식, 김보경(2020)의 경우 단일 전공 학생들이 해당 전공과 연관된 기업과 협업하는 것이었다면, 이 연구는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교양교과 수업에서 자신의 전공과는 다소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는 측면에서, 더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협업을 경험하였고 소통의 범위와 주제 또한 보다 폭넓게 경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실제 과제를 다뤄야 하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산학협력 과제를 교양교과 수업으로 개설하는 것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로 볼 수 있으나, 반면 학생들이 상위수준의 융합을 경험하는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기업은 다양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해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양교과에서의 산학협력 수업 개설 의미와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배경이 된 프로젝트 수업에서 협업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종합적인 문제해결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다른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박효선, 2016; 이지현, 임규연, 2018).

다음으로 피드백과 특강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관점의 변화가 두드러진 경험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기업 관계자와 분야별 전문가로부터 전 과정에 걸쳐 피드백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 산출물의 질적 향상과 개인적 성장을 경험하였다. 기업의 ESG 경영 사례를 중심으로 강의와 피드백이 제공되면서, 학생들은 대규모 조직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기업에 대한 기존의 회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제적 가치의 통합 가능성을 학습하였다. 또한 기능성게임, 코딩교육과 같이 교육 콘텐츠 기획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면서 프로젝트의 전문성을 높이고 동시에 개인의 지식을 확장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문성을 강화해 가는 학습의 과정이 학생 주도적으로 필요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능동적, 협력적 학습을 통한 역량 향상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된 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효과와 일치한다(성은모 외, 2013; 양양선, 허희옥, 2018).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 능력 향상 또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기업의 실제 과제를 수행하며, 이론을 실무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 협업 기술, 발표 역량 등을 발전시켰다. 기업의 실제 과제 수행이라는 산학협력 수업 현장에서 프로젝트의 수행 수준을 높이고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련 분야 지식과 기술을 배양하는 동력이 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감이라는 태도 역량의 향상으로도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스코그룹사 임원진을 대상으로 한 최종 발표를 준비하며 논리적인 구조와 정돈된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제한된 시간 내에 설득력 있게 프로젝트 결과를 전달하기 위해 기업 실무자 수준의 발표 능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경험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에서 발표가 하나의 과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발표 능력 향상을 경험하였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면서도(신연하, 유기상, 2020), 이 연구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업의 실무자 수준으로까지 자료구성과 발표능력 향상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더 발전된 역량 향상을 경험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업화를 고려한 실효성 있는 아이디어 제안을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아이디에이션 단계를 넘어, 프로토타입 제작,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며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향상시켰다. 이처럼 학생들의 실무 능력 향상과 이를 기반으로 취⋅창업 진로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내외 산학협력 기반 대학교육에 관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김홍규, 2018; Pan et al., 2023).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학년 간 인식의 차이는 주목해 볼만하다. 1학년 학생들은 기업의 실제 과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실무 경험과 관련 분야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과제 수행을 다소 부담스럽게 느꼈으나, 반면 고학년 학생들은 진로와 연계하여 프로젝트 수행에 보다 높은 동기를 보였고 기업의 과제 수행이 자신의 경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는 학년이 높을수록 자신의 진로를 인식하고 수업의 과정을 실질적 경험으로 연결하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 기반 교양교과 수업의 더욱 활발한 개발과 운영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들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실제 기업의 과제를 해결하면서 협업 역량, 전문성, 실무 능력을 종합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모델이 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전공, 학년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교양교과 수업이라는 특징을 강화하여 융합형 수업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융합형 프로젝트는 복잡한 문제에 다각도로 접근함으로써 단일 전공 중심의 접근보다 더 창의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회문제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해결형 산학협력 수업에서 강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기업이 제공한 실무 중심의 멘토링과 피드백 그리고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는 학생들로 하여금 프로젝트 참여 동기를 강화하는 긍정적인 동력이 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강점을 강화하기 위해 향후 수업 설계와 운영 시 더욱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기업과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교과 수업 후속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아이디어를 고도화하고 사업화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겠다. 특별히 ESG가 최근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 비영리, 대학 등 다양한 부문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교양교과 수업에서의 기업 ESG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학생들이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시각과 관점, 실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학생과 교수자 중심의 프로젝트 수업과 달리, 이 수업에서 교수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조율하는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학생들과 기업 관계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오해나 갈등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은 교수자가 중간 역할을 맡아 양측의 관점을 조율하고, 기업의 요구와 기대를 학생들에게 명확히 전달하며 그들의 수준에 맞게 정보를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이 제공한 지식과 정보를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거나 설명하며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기업의 업무 방식, 의사소통 속도, 언어 사용 등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해 교수자는 학생들을 설득하고 교육하며 프로젝트를 원활히 진행하도록 지원하였다. 이러한 교수자의 중재 역할은 학생들이 실무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동시에, 학습 과정에서 기업의 기대와 학습자의 역량 간의 간극을 메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이와 같은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업 설계 시 교수자는 프로젝트 과정에 따른 역할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와 포스코그룹사 엔투비와의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 운영을 통해 대학의 교양교과 수업에서도 전공수업에서만큼 실무 중심의 프로젝트 수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역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수업의 운영은 ESG 전략을 강화하며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기회였다는 점에서 대학과 기업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러한 유형의 수업이 대학과 기업, 그리고 나아가 사회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의 교육적⋅사회적⋅경제적 효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Clarke V, Braun V. 2016;Thematic analysi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3):297–298. https://doi.org/10.1080/17439760.2016.1262613.
2. Frølund L, Murray F, Riedel M. 2018. Developing successful strategic partnerships with universitie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https://sloanreview.mit.edu/article/developing-successful-strategic-partnerships-with-universities/.
3. Han J. 2010.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task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FIP-2010-0011).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한지영. (2010) 기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산학협력의 현황과 개선과제 (FIP-2010-0011). 전국경제인연합회.].
4. Hwang H, Kim T, Oh S, Jeon J. 2023;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erformance of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LINC+program.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31(1):175–209. https://doi.org/10.14386/SIME.2023.31.1.175. [황혜원, 김태영,오승환, 전정환. (2023).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참여대학의 산학협력 성과분석. 기술혁신연구, 31(1), 175-209. https://doi.org/10.14386/SIME.2023.31.1.175].
5.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2021. IFC annual report 2021:Meeting the moment https://www.ifc.org/en/insights-reports/2021/ifc-ar-2021-download.
6. Jang H.-E, Lee J.-H. 2017;The role of universities in solving local and regional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3(3):459–469. https://doi.org/10.26863/JKARG.2017.08.23.3.459. [장후은, 이종호. (2017).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역할 제고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459-469. https://doi.org/10.26863/JKARG.2017.08.23.3.459].
7. Kim G.-W, Kim S.-A. 2020;A case study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e innovative design manpower - Focusing on Korea Design Membership(KDM) in Daegu and Gyeongbu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2):59–68.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059. [김건우, 김선아. (2020). 창조혁신형 디자인인력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교육사례 연구 - 대구 경북지역의 코리아디자 ⋅인멤버십(KDM)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59-68.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059].
8. Kim H. 2021;A study on community care using digital welfare technology:Contextual information and customer journey map.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Studies 35(4):357–376. https://doi.org/10.18398/kjlgas.2021.35.4.357. [김학실. (2021). 디지털 복지기술을 활용한 커뮤니티 케어 연구: 맥락정보와 고객여정지도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35(4), 357-376. https://doi.org/10.18398/kjlgas.2021.35.4.357].
9. Kim H. G. 2020;Study on educational cases on industry-academia customized capstone design:With focus on the design project subject. Design Research 5(1):56–68. https://doi.org/10.46248/kidrs.2020.1.56. [김홍규. (2020). 산학맞춤형 캡스톤디자인 교육사례 연구:디자인프로젝트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5(1), 56-68. https://doi.org/10.46248/kidrs.2020.1.56].
10. Kim M. 202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BL classes focusing on solving community problem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7(3):217–228. https://doi.org/10.46392/kjge.2023.17.3.217. [김미경. (2023).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문제해결 중심 PBL 수업의 효과성 연구. 교양교육연구, 17(3), 217-228. https://doi.org/10.46392/kjge.2023.17.3.217].
11. Kim S, Son Y.-J, Son S.-N. 2024;Analysis of perceptions on the direction and task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Education(RISE):Focused on local government industry university cooper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8(6):67–85. https://doi.org/10.46392/kjge.2024.18.6.67. [김소라, 손영진, 손승남. (2024).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서의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인식 분석 -지⋅산⋅학 협력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8(6), 67-85. https://doi.org/10.46392/kjge.2024.18.6.67].
12. Lee E. S, Cha K. J. 2021;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digital government for user-centered public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20(5):137–146. https://doi.org/10.9716/KITS.2021.20.5.137. [이은숙, 차경진. (2021). 사용자 중심의 공공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정부 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20(5), 137-146. https://doi.org/10.9716/KITS.2021.20.5.137].
13. Lee J, Lim K. 2018;The mediating effects of co-regulation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4(4):805–831. http://dx.doi.org/10.15833/KAFEIAM.24.4.805. [이지현, 임규연. (2018). 팀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정신모형, 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4), 805-831. http://dx.doi.org/10.15833/KAFEIAM.24.4.805].
14. Lee S, Lim E, Kim H, Kim B. M, Kim C.-H, No Y. J, Lee H. J. 2016;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INC(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6(4):27–49. http://dx.doi.org/10.23036/kapae.2016.26.4.002. [이상미, 임은혁, 김한기, 김봉문, 김창호, 노윤정, 이현정. (2016).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효과성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4), 27-49. http://dx.doi.org/10.23036/kapae.2016.26.4.002].
15. Pan G, Seow P. S, Shankararam V, Koh K. 2023;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project-based learning:Perspective and motivation of industry partn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15(3):18–32. https://doi.org/10.5296/ije.v15i3.21132.
16. Park H.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co-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https://www.riss.kr/link?id=T13976073. [박효선. (2016).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문제해결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 인지된 성취도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s://www.riss.kr/link?id=T13976073.
17. Porter M. E, Kramer M. R. 2011;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89(1/2):62–77.
18. POSCO. 2024. Adding value to the world as a corporate citizenship [PowerPoint Slides]. POSCO. [포스코. (2024). 기업시민으로 세상에 가치를 더합니다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포스코.].
19. Seong I. 202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based 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Journal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olicy 2(2)45–49.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4510. [성인하. (2022). 산학연연계 플립러닝 및 프로젝트 기반 교수 학습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협력정책학회지, 2(2), 45-49.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4510].
20. Seong J, Park I. 2013. Analysis of innovation policy changes in major countries in response to low growth. Issue &Policy (68)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성지은, 박인용. (2013). 저성장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혁신정책 변화 분석. Issue & Policy, (6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Shin Y, Ryu K. 2020;The study on instruc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12. http://doi.org/10.5392/JKCA.2020.20.12.001. [신연하, 유기상. (2020).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효과와 수업만 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 1-12. http://doi.org/10.5392/JKCA.2020.20.12.001].
22. Sung E, Oh H, Kim Y. 2013;An instructional model design of convergence project for cultivating industrial convergence talent in higher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5(3):543–580.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543. [성은모, 오헌석, 김윤영. (2013).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 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 탐구. 교육방법연구, 25(3), 543-580.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543].
23. Yang Y, Heo H. 2018;effects of cognition and emotion regulation, collective efficacy and scaffolding on learning outcome in undergraduates'project-bas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4(2):197–226. http://dx.doi.org/10.17232/KSET.34.2.197. [양영선, 허희옥. (2018). 인지 정서 조절, 집단효능감, 스캐 폴딩이 대학생의 프로젝트 학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4(2), 197-226. http://dx.doi.org/10.17232/KSET.34.2.197].
24. Yoon S, Kim B. 2020;Effects of curriculum linked project based extracurricular education based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Focusing on D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30(3):149–174. http://dx.doi.org/10.21024/pnuedi.30.3.202009.149. [윤상식, 김보경. (2020). 산학협력기반 교과연계형 프로젝트 중심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D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3), 149-174. http://dx.doi.org/10.21024/pnuedi.30.3.202009.149].
25. Vasilescu R, Barna C, Epure M, Baicu C. 2010;Developing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A model for the challenges of the new civil society.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4177–4182.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3.66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표 1>

교과목 개요

과목명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Social Innovation Methodology)
※ 포스코그룹 ‘지속가능경영과 ESG’ 교과목 운영 사업 연계
수강인원/대상 17명/1-4학년 학점/시간 3학점/45시간
학문영역 사회과학 주제영역 가치와 사회
수업유형 프로젝트, 블렌디드러닝 이수구분 교양선택

<표 2>

서울여자대학교 SI교육의 요소

교육 요소 내용
시각/관점 현 사회를 비판적, 성찰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고유의 시각, 관점을 계발한다

문제도/창출 시각/관점을 통해 한국 사회와 글로벌 사회의 문제와 모순을 읽어내고 그 현상적 이유와 본질적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

대안적 해법 모색 사회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을 키울 뿐 아니라 이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차원의 해법을 모색한다

실천 사회문제에 대한 대안적 해결책의 모색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를 실효성 있게 실천하려는 노력을 함께 경주할 것을 지향한다

<표 3>

2024-1학기 ‘소셜이노베이션 방법론’ 수업 내용

주차 대면 수업 온라인 강의
1 수업안내, 수강생 이해도 점검 사회혁신과 기업의 역할 -

2 포스코 지속가능경영과 ESG 엔투비 소개 및 프로젝트 주제 안내 -

3 팀구성, 공감실습 프로젝트 주제 탐색 및 자료조사 지속가능한 기업의 조건

4 문제정의, 기업 관계자 멘토링 지속가능경영이란 무엇인가

5 아이디어 도출 포스코 ESG 경영 대표사례

6 중간발표, 기업 관계자 피드백 포스코 사례를 통한 딥러닝 (1)

7 아이디어 구체화, 전문가 자문 포스코 사례를 통한 딥러닝 (2)

8 프로토타입 제작, 테스트 포스코 사례를 통한 딥러닝 (3)

9 아이디어 정교화, 전문가 자문 ESG 이슈의 등장과 의미

10 수정 및 보완, 최종안 도출 글로벌 기후위기 확산과 에너지 전환 트렌드

11 발표자료 제작, 기업 관계자 멘토링 포스코 사례를 통한 딥러닝 (4)

12 1차 결과발표, 기업 관계자 피드백 ESG 정보 공개

13~14 최종 결과발표(ESG 레벨업 그라운드) 지속가능보고서, ESG 평가의 이해

15 수업 마무리 및 리뷰 -

[그림 1]

수업 운영 모습

<표 4>

연구 참여자 현황

번호 ID 소속 학년 팀 주제 그룹 최종 결과물
1 A 자율전공학부 1 중학교
학교교육 연계
순환자원 교육과정 개발
초중등
학교교육 연계
온⋅오프라인
순환자원 교육방안

2 B 프랑스문화콘텐츠전공 1

3 C 언론영상학부 1

4 D 디지털미디어학과 4

5 E 경영학과 2 기능성 게임 기반 순환자원
교육 콘텐츠 개발

6 F 수학과 4

7 G 디지털영상전공 3

8 H 경제학과 1

9 I 소프트웨어융합학과 3

10 J 화학전공 4 코딩교육과 환경교육을
결합한 융합적 접근
코딩을 활용한 순환자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11 K 소프트웨어융합학과 3

12 L 디지털영상전공 4

13 M 중어중문학과 1 아두이노를 활용한
순환자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14 N 경영학과 1

15 O 경제학과 1

16 P 화학과 1

17 Q 식품공학과 1

[그림 2]

수강생 프로젝트 여정맵 제출물 예시

[그림 3]

수강생 프로젝트 여정맵 종합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