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Korean J General Edu > Volume 19(1); 2025 > Article |
|
1) 안효경(2001)은 의존명사를 통사적인 의존성과 의미적 의존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통사적 의존성이란 의존명사가 문장 내에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없으며, 반드시 선행 관형어의 수식을 받아야 문장 안에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의미적 의존성은 의존명사가 실질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문맥을 통해서만 그 의미를 파악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2) 문학 작품은 그 나라와 민족의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이나 표현의 양태 등을 구체적이고 전형적으로 살필 수 있는 풍부한 자료이고 이는 크게 서사 문학, 서정 문학, 극 문학으로 분류된다. 서사 문학에는 소설, 단편 소설, 서사시, 전기, 자서전, 우화, 민담 등이 있으며, 이야기나 사건의 전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서정 문학은 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다루며, 시, 서정시, 송시, 엘레지, 수필 등을 포함한다. 극 문학은 무대 공연을 목적으로 한 희곡, 비극, 희극, 희비극, 뮤지컬, 오페라, 라디오 드라마, 독백 등이 있으며, 공연을 통해 관객과 소통한다. 기타 문학으로는 어린이를 위한 동화와 도덕적 교훈을 주는 우화 등이 있다(김영옥, 2016, p.99).
3) 문학 작품은 크게 서사 문학, 서정 문학, 극 문학으로 분류된다. 서사 문학에는 소설, 단편 소설, 서사시, 전기, 자서전, 우화, 민담 등이 있으며, 이야기나 사건의 전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서정 문학은 개인의 감정과 생각을 다루며, 시, 서정시, 송시, 엘레지, 수필 등을 포함한다. 극 문학은 무대 공연을 목적으로 한 희곡, 비극, 희극, 희비극, 뮤지컬, 오페라, 라디오 드라마, 독백 등이 있으며, 공연을 통해 관객과 소통한다. 기타 문학으로는 어린이를 위한 동화와 도덕적 교훈을 주는 우화 등이 있다.
4) 표준국어대사전(1999)에 의하면 ‘없다’는 “사람, 동물, 물체 따위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태어, 떤 사실이나 현상이 현실로 존재하지 않는 상태, 어 떤 일이나 현상이나 증상 따위가 생겨 나타나지 않은 상태어, 떤 것이 많지 않은 상태재, 물이 넉넉하지 못하여 가난함, 어떤 일이 가능하지 않음” 등 15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5) 2005년에 설립된 도우반은 영화, 책, 음악 등의 리뷰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커뮤니티로 유명하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본 영화나 읽은 책, 들은 음악에 대한 리뷰를 남기고,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참고할 수 있다. 2020년 기준으로 등록자 수는 1억 명 이상이며 매월 약 2억 명 이상 방문자가 도우반을 이용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6) 豆瓣年度读书榜单(2024.7) https://book.douban.com/annual/
7) 尹嘉玄은 한국 이화여자대학교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북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여, 원작의 언어적⋅문화적 함의를 정밀하게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배경을 갖추고 있다. 윤 번역가는 다년간 한중 문학 번역을 전문으로 하였으며, 특히 사회적 이슈를 다룬 문학 작품의 문화 간 전달에서 깊은 통찰력을 보여 왔다. 귀주인민출판사는 중국의 주요 출판사로, 문학 작품의 도입과 보급에 주력하며 번역서 품질에 대한 엄격한 검증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본 번역서의 학문적 신뢰성과 권위성을 한층 강화시킨다.
8) 2019年度外国文学(2024.7)https://m.douban.com/subject_collection/ECPEHPROA
9) 叶蕾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중경공상대학 외국어대학 강사 및 중국 서부 ‘일대일로’ 언어서비스와 국제소통 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엽뢰 번역가는 다년간 한중 문학 번역을 전문으로 하였으며, 대표적인 번역작으로 《90后来了》, 《N号房追踪记》, 《黄柠檬》, 《法布尔叔叔的昆 虫照相馆》, 《古道尔阿姨的动物园》 등이 있다. 그녀는 한국문학번역원 및 대산문화재단의 번역 지원을 받았고, 한국번역가협회가 부여하는 한중 번역(필기) 1급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타이하이출판사는 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중국의 저명한 출판사로, 전문적인 편집 팀과 엄격한 출판 과정을 통해 본 번역서의 학문적 신뢰성과 권위성을 더욱 강화한다.
10) 2023年度外国文学(2024.7) https://m.douban.com/subject_collection/ECQA6HWWY
11) 朱萱은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한 탄탄한 기초를 갖추고 있으며, 한중 문학 번역 작업에 다수 참여한 경험이 있다. 그녀는 여러 한국 문학 작품을 번역하였으며, 번역 지원을 받기도 했으며, 한국번역가협회에서 한중 번역(필기)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저장교육출판사는 중국의 저명한 교육 출판사로, 2009년 중국 최초의 출판사 등급 평가에서 1급 출판사로 선정되었으며, “전국 100대 우수 도서 출판 단위”라는 칭호를 받았다. 2010년에는 “중국 출판 정부상 선진 출판 단위”로 선정되었고, 2011-2012년 및 2013-2014년에는 국가 중점 문화 수출 기업 명단에 포함되었다. 2014년 뉴스출판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저장교육출판사는 도서 출판의 총체적 경제 규모에서 전국 10위를 차지하였고, 지방도서 출판 단위 중에서는 경제 규모로 2위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출판사의 명성은 본 번역서의 학문적 신뢰성과 권위성을 한층 강화한다.
12) 이명정(2019, p.134)에서 ‘V不了’의 경우는 2가지 의미가 있다. (V不了1)는 본래의 ‘완성(完), 완결(尽)’ 의미가 드러나는 동작의 결과를 실현할 수 없는 것과 (V不了2)의 의미가 허화된 동작 자체를 실현할 수 없는 것으로 구분해야 한다.
13) 吕叔湘(2007, pp.414-415))은 ‘能’의 의미를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조건을 나타내며, 부정형은 ‘不能’을 사용한다. 둘째, 어떤 일을 잘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앞에 ‘很’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부정형은 ‘不能’이다. 셋째, 특정 용도를 나타내며, 부정형으로는 ‘不能’을 쓴다. 넷째, 사건이 실현될 가능성을 나타내며, 이때도 부정형은 ‘不能’을 사용한다. 다섯째, 논리적으로 허용 가능함을 나타내며, 주로 의문문이나 부정문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조건에 따라 허용 가능함을 나타내며, 역시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 자주 사용된다.
14) _표준국어대사전_에서 보조사 ‘밖에’는 ‘그것 말고는’, ‘그것 이외에는’, ‘가까이 받아들이는’, ‘피할 수 없는’의 의미가 있고 뒤에 있는 서술어는 반드시 부정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만 나타나야 한다. 즉, 보조사‘밖에’ 뒤에 ‘없다’와 결합하면 부정관계가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를 하게 되었다.
15) 강규영(2015)에서는 의존명사 ‘수’가 ‘-밖에 없-’과 통합한 구성에 ‘-(으)ㄹ’이 선행하는 ‘수’는 [가능성 1]의 ‘수’이고, ‘-는’이 선행하는 ‘수’의 의미는 [방법]임을 설명하였다(p.219).
16) 곽일성(2015)에서 의존명사‘것’은 의존명사 ‘것’에 대한 사전적 해석은 ‘사물, 일, 현상 따위를 추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고 하고 대용 기능(의미), 명사화 기능(통사), 강조 및 서술 기능(양태) 3가지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고 대용 기능은 ‘것’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밝혔다., (pp.162-168)
17) 진염평(2013)은 ‘거, 걸’이 의존명사‘것’의 이형태라고 주장하였다.
18) 안신혜(2014, p.83)는 ‘적’은 ‘때’와 같은 시간적인 의미로 주로 쓰이고 이러한 의미에서 확장되어 ‘그러한 일이 있었던 경험’ 혹은 ‘사실’의 의미로도 사용하는 것을 밝혔다.
19) 劉月華(1988)에서는 중국어 과거시제 ‘완결’의 의미를 나타내는 ‘过’는 ‘过1’로, 경험상 ‘경험’의 의미를 나타내는 ‘过’는 ‘过2’로 부른다. 그러나 부정문에서 경험상 ‘경험’의 의미를 나타내는 ‘过2’만 결합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20) 우형식(2000, p.37)에서 분류사는 명사가 지시하는 사물을 범주화하는 외현적인 언어 요소라고 한다.
21) 오상언 외(2014)에서는 중국어 ‘수량사구+(也)’형에 대한 통사와 의미, 황용 측면에서 ‘一+분류사+(명사)+也’+부정요소’와 ‘부정요소+‘一+분류사+(명사)’ 이 2가지 구조를 연구하였다.
![]() |
![]() |